KR100279164B1 - 전화번호 기억수단을 이용한 직접 연결식 공중 전화기 - Google Patents

전화번호 기억수단을 이용한 직접 연결식 공중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9164B1
KR100279164B1 KR1019980037613A KR19980037613A KR100279164B1 KR 100279164 B1 KR100279164 B1 KR 100279164B1 KR 1019980037613 A KR1019980037613 A KR 1019980037613A KR 19980037613 A KR19980037613 A KR 19980037613A KR 100279164 B1 KR100279164 B1 KR 100279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number
telephone
card
call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9491A (ko
Inventor
장재모
Original Assignee
장재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모 filed Critical 장재모
Priority to KR1019980037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9164B1/ko
Publication of KR20000019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7/0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 H04M17/3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using a code
    • H04M17/301Code input or reading
    • H04M17/303Code input or reading from material cards, i.e. magnetic stripe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implemented by means of portable electronic direct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6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magnetic recording, e.g. on tape
    • H04M1/276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magnetic recording, e.g. on tape implemented by means of portable magnetic c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08Metering calls to called party, i.e. B-party charged for th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7/0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 H04M2017/25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using a code
    • H04M2017/2506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using a code code input or reading
    • H04M2017/2518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using a code code input or reading from material card, using a magnetic stripe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62Called party billing, e.g. reverse billing, freephone, collect call, 0800 or 09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epayment Telephone System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한 전화번호를 기억시킨 전화번호 기억수단을 이용하여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직접 연결식 공중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전화번호를 직접 버튼을 눌러서 입력하여야만 전화를 걸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전화번호를 외우지 못하는 어린이나 노약자등은 전화를 걸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따라 본 발명은, 일반적인 공중전화에 있어서, 버튼 입력 없이 자동으로 직접 연결시키기 위한 전화번호를 기억시켜 사용자가 휴대하는 전화번호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공중전화기 본체내에는 상기 전화번호 기억 수단의 전화번호를 읽어서 판독하기 위한 전화번호 판독수단을 포함시키며, 그 공중전화기 본체의 메인 제어부가 상기 전화번호 기억수단이 인식되면 지능망 교환기측에 수신자 요금 부과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판독수단을 통해 읽어들인 직접 연결용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하여 전화 통화를 연결시키고, 통화 종료후 요금을 수신자 부담으로 처리하도록 정보를 교환기에 송출하고 종료하도록 프로그램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의 직접 연결식 공중전화기는, 일반적인 공중 전화기의 기능을 포함함과 아울러 전화번호를 외우지 못하는 어린이나 노약자등을 위해서 자동으로 전화번호 기억수단에 기억시킨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주는 특수기능의 공중 전화기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전화번호 기억수단을 이용한 직접 연결식 공중 전화기
본 발명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번호가 기억된 카드를 이용하여 전화번호 버튼의 입력없이 자동으로 상기 카드에 기억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한 직접 연결식 공중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 전화기는, 동전식 및 카드식 공중전화기가 있는데, 이는 모두 전화번호를 입력시켜서 전화를 걸어 주어야 한다. 그리고, 전화 통화를 위해서는 주화를 구비하고 있거나, 일정금액이 선납된 공중전화카드 또는 신용카드등을 이용하여 전화를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공중전화기는 걸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암기하고 있어야만 버튼입력이 가능하므로, 전화번호를 외우지 못하는 어린이 또는 노약자등은 자신의 집으로도 전화를 걸수 없었다.
특히, 어린이나, 지체 장애자등이 외부에서 길을 잃었을 경우에 자신의 집으로 전화를 걸고자 하더라도 자신의 집 전화번호를 외우지 못한다면 전화를 걸 수 없어서 미아 발생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전화를 걸기 위한 동전이나 카드가 없는 경우 또는 금액이 부족한 경우에도 쉽게 전화를 걸 수 없어서 매우 당황하고 어려움을 겪게되며, 수신자 부담전화는 걸고자하는 전화번호 자체도 잘 기억하지 못하는 어린이나 노약자등에게는 본인이 직접 조작하여 이용하기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전화번호를 외우지 못하는 사람이라도 특정 전화번호 예컨데, 자신의 집 전화번호로 쉽게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직접 연결식 공중 전화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전화를 걸기 위한 동전이나 요금 지불이 가능한 카드가 없더라도 전화번호 기억수단에 미리 기억시켜둔 전화번호로 자동다이얼링에 의해 전화를 걸고 그 요금을 수신자측 전화요금으로 부과 시킬 수 있도록 한 직접 연결식 공중전화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공중전화에 있어서, 버튼 입력 없이 직접 연결을 위한 다수의 전화번호를 기억시킨 전화번호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공중전화기 본체내에 그 전화번호 기억 수단의 전화번호를 읽어서 판독하기 위한 직접 연결용 전화번호 판독수단을 포함시키며, 그 공중전화기 본체의 메인 제어부가 상기 전화번호 기억수단이 인식되면 지능망 교환기측에 수신자 요금 부과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판독수단을 통해 읽어들인 직접 연결용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하여 전화 통화를 연결시키고, 통화 종료후 요금을 수신자 부담으로 처리하도록 정보를 교환기에 송출하고 종료하도록 프로그램시켜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전화번호 기억수단은, 특정 전화번호를 기록하고 있는 마그네틱 카드 또는 무선 아이씨(RF IC) 카드등을 이용할 수 있고, 외형은 일반 카드 형태, 열쇠고리, 장식물, 목걸이, 반지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직접 연결식 공중 전화기의 불록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직접 연결용 전화번호 기억 RF카드 예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직접 연결용 전화번호 기억 마그네틱 카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직접 연결식 공중전화기의 제어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직접 연결 전화통화 제어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시부 2 : 송수화기
3 : 중앙처리부 4 : 키패드
5 : 음성통화부 6 : 데이터채널
7 : 마그네틱 카드리더 8 : RFID 카드리더
10 : RFID 카드 11 : 기억소자
12 : 안테나코일 20 : 개량형 마그네틱 카드
21 : 기존 기억영역 22 : 마크
23 : 전화번호 기억영역
이하, 상기 전화번호 기억수단이, 일반적인 마그네틱 카드내에 본 발명에 의한 직접 연결식 전화번호를 기억시킨 개량형 마그네트 카드 또는 기억소자내에 본발명에 의한 직접 연결용 전화번호를 기억시킨 RF 카드이고, 상기 판독수단이 마그네틱카드 리더 및 RF카드 리더를 모두 구비한 경우를 예로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직접 연결식 공중 전화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라인(L1, L2)을 통해서 지능망 교환기와 연결되어 음성통화를 실현시키는 음성통화부(5)와, 상기 음성통화부(5)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음성통화를 하기 위한 송수신기(2)와, 숫자버튼과 기능버튼이 포함된 다이얼 키패드(4)와, 직접연결식 공중전화기의 다이얼버튼 및 안내메시지등 등의 정보를 표시하며 야간에도 볼 수 있도록 후광표시램프를 내장한 LCD표시부(1)와, 일반적인 공중전화카드와 신용카드 등등의 접촉식 마그네틱 카드를 읽고 재기록 하기 위한 마그네틱 카드리더(7)와, 비접촉식 RF 카드를 읽고 재기록하기 위한 RFID카드리더(8)와,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부(3)로 구성된 공중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3)의 제어를 받아 지능망 교환기와 연결되어 전화번호, 직접연결식 공중전화기의 요금정산 및 수신자 부담 서비스를 제어하도록 교환기와 데이터 통신을 하는 데이터 채널 통신부(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드리더(7),(8)에서 억세스 할 수 있는 마그네틱 카드 또는 RF카드내에 자동 다이얼링하여 전화번호 버튼 입력없이 직접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전화번호를 미리 기억시켜 두고, 상기 중앙처리부(3)는, 상기 카드리더(7),(8)에 투입된 카드내에 상기 직접연결식 전화번호가 기억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직접연결식 전화번호가 기억되어 있으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직접연결식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하여 통화 연결하고, 통화요금을 수신자 부담으로의 처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직접 연결식 공중전화기는,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지능망 교환기와 연결되고, 그 지능망 교환기의 수신자 부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며, 그 지능망 교환기에서 PSDN망을 통해 가입자들과 연결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직접 연결식 공중전화를 이용하기 위한 직접 연결 전화번호를 기억시킨 카드로는, RF카드(10)나, 마그네틱 카드(20)를 이용할 수 있으며, RF카드(10)인 경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가 기록되는 기억소자(11) 및 안테나 코일(12)이 내장된 RF카드로서, 기억소자(11)에 본 발명에 의한 직접 연결용 전화번호가 다수개(약 10개) 저장되어 있다. 외형은 일반 카드 형태, 열쇠고리, 장식물, 목걸이, 반지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RF카드(10)는, PC와 연결되는 RF카드 읽기/쓰기 제어기를 이용하여 상기 기억소자(11)에 기억시키는 전화번호를 재입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마그네틱 카드식인 경우, 기존의 마그네틱 카드를 이용하되, 도 2b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반적인 마그네틱 카드(20)의 기존 금액정보나 기타 카드 정보를 기록시킨 기존 사용영역(21)의 일측부에 사용되지 않고 있는 여유 영역내에 개량형 마그네틱 카드 즉, 본 발명에 의한 직접 연결용 전화번호를 기록하고 있다는 마크(22)정보를 삽입하고, 그 마크(22)에 이어서 직접 연결용 전화번호를 기억 시키기 위한 전화번호 영역(23)을 할당한다. 이와같이 직접연결식 전화번호 마크(22)와 전호번호 영역(23)을 형성하고, 그 전화번호 영역(23)내에 마그네틱 카드 관리용 PC나 마그네틱 카드 읽기/쓰기 제어기를 이용하여 직접 연결을 위한 전화번호를 기억시켜 둔다.
도 2a 또는 도 2b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직접 연결용 전화번호를 기억시킨 RF카드(10) 또는 마그네틱 카드(20)를 도 1에 도시된 직접 연결식 공중전화기의 카드리더(7)(8)에 입력시키면, 자동으로 직접 연결식 전화인지를 판단하여 전화연결을 제어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직접 연결식 공중 전화기의 제어 흐름도를 나타낸다.
먼저, 송수화기(2)를 들고 통화준비 상태에서 카드를 투입하면, 즉, RF카드(10)인 경우는 비접촉식이므로 RF 카드 리더(8)의 판독면에 일정거리 이내로 근접시키면, 그 RF 카드리더(7)(8)가 무선으로 RF카드(10)로 부터 정보를 읽어간다. 만약, 접촉식 카드인 마그네틱 카드(20)인 경우, 통상적인 방법으로 카드 투입구에 카드를 투입하면 마그네틱 카드 리더(7)에서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간다.
중앙처리장치(3)는 카드리더(7)(8)를 통해서 카드 정보를 읽어들인 후, 기존의 카드인지를 판단한다(S31). 즉, 카드에서 읽어들인 정보중에 본 발명에 의한 직접 연결식 공중 전화번호가 있는지, 아니면 직접 연결용 전화번호 정보가 없고 금액정보 또는 신용카드정보등이 있는 기존의 방식의 카드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기존 방식의 카드인 경우에는, 현재요금 표시, 데이터 채널로 지역정보 전송, 교환기 응답신호 수신, 네트웍연결, 전화번호 입력, 통화연결, 요금정산, 잔액표시 및 통화종료등 일반적인 공중전화와 동일한 방식으로 통화연결 및 요금정산 처리를 한다(S32).
한편, 기존 방식의 카드가 아니고, 본 발명에 의한 직접 연결식 카드인 경우는, RF 카드(10)인지(S33), 아니면 개량형 마그네틱 카드(20)인지(S34)를 판단하고, RF카드(10) 또는 개량형 마그네틱 카드(20)이면, 본 발명에 의한 직접 연결식 카드이므로 카드에 기록된 직접 연결용 전화번호로 자동다이얼링하여 통화 연결을 시키는 직접 연결 과정(S40)을 수행하고, RF카드(10)나 개량형 마그네틱 카드(20)가 아닌 경우 카드 고장표시 및 경고음 송출을 하면서 종료한다(S35).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직접 연결 제어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량형 카드 또는 RF카드로 판독이 이루어지면, 기억된 전화번호가 1개인지를 판단(S41)하고, 전화번호가 2개이상 다수개인 경우는, 표시부(1)에 기억된 전화번호중 원하는 번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메시지를 표시하고 선택 번호를 입력받는다(S42).
예를들어, 기억된 직접 연결용 전화번호가 4개인 경우, 사용자가 첫 번째 전화번호를 선택하고자 한다면 '*' 버튼과 '1'버튼을 입력하여 첫 번째 기억된 직접 연결용 전화번호를 선택하게 한다. 이때, 기록된 전화번호 수가 4개인데 5번을 선택하는 입력이 있으면, 즉, 기억된 수보다 큰 수의 선택번호가 입력되면 사용자에게 선택이 틀렸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선택번호 재입력 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직접 연결용 전화번호 선택 과정(S42)에서 전화번호가 선택되면, 중앙처리장치(3)는 데이터 채널 통신부(6)를 제어하여 데이터 채널을 통해 수신자 부담 서비스를 요청하고(S43), 선택된 전화번호를 카드리더에서 읽어 들인다(S44).
카드리더(7 또는 8)로부터 읽어들인 전화번호가 정상적인 전화번호인지를 판단하여(S45) 정상적인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 카드 고장표시 및 경보음을 송출하고, 전화번호를 수동으로 입력하도록 제어한다. 즉, 직접 연결을 위한 전화번호 판독이 불가능한 경우 수동으로 버튼을 입력하여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고 이 경우 역시 수신자 부담 전화 모드로서 제어된다.
전화번호가 정상적인 번호로 판독되면, 네트웍 연결을 하고, 지능망 교환기로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로 자동다이얼링하여 전화번호를 송출한다(S46).
전화번호 송출에 의해 수신자측의 전화응답에 따라 통화연결을 하여 통화요금을 정산하면서 송수화기(2)를 내려 놓을때까지(여기서는 후크 오프(Hook Off)로 표기함) 통화연결을 한다(S47). 통화 종료후 데이터 채널로 정보를 송출하고(S48) 전체 통화제어를 종료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카드에 기억시키는 직접 연결용 전화번호는, 지역번호를 포함시켜야만 다른 지역에서도 전화 통화가 가능하므로, 지역번호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역번호를 포함시켰을 경우, 전화기 본체에서 지역번호를 구별하여 공중 전화기의 해당 지역번호인 경우는 지역번호를 무시하고 전화번호만으로 다이얼링하며, 전화기가 설치된 지역번호가 아닌 경우에는 지역번호를 포함하여 다이얼링 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직접 연결식 공중 전화기는 통화 요금을 수신자 부담으로 처리함을 원칙으로 하는데, 이를 위해서 전화기 본체의 중앙처리장치(3)가 데이터 채널 통신부(6)를 통해서 교환기 측에 수신자 부담 요금처리를 하도록 제어정보를 제공한다. 교환기는 본 발명의 직접 연결식 공중 전화기로부터 수신자 부담 요금 처리를 위한 정보를 입력 받으면, 통화된 요금을 수신자 부담으로 처리를 한다.
또, 재다이얼링 버튼을 이용하여 기억된 전화번호를 인식하여 통화 연결을 시도한 후, 1번의 통화 시도에서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면, 송수화기(2)를 내려놓지 않은 상태에서 재다이얼 버튼을 입력하면, 중앙처리장치(3)는 이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해당 전화번호로의 통화를 재시도 하도록 함으로써, 다시 전화번호가 기억된 카드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입력시키지 않더라도 재 다이얼 버튼을 눌러서 통화시도를 반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일반적인 공중전화기의 기능없이 즉, 버튼 입력에 다른 통화처리 및 자체의 요금 정산 처리없이 비상전화와 마찬가지로 수신자 부담 전화 전용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키패드(4)는, 숫자버튼 및 일반 기능버튼 없이, 비상다이얼버튼과, 카드에 기억된 다수의 전화번호를 하나씩 차례로 쉬프트 시키는 선택버튼 및 재다이얼버튼 만을 구비하고, 중앙처리장치(3) 내부에도 일반전화카드인지를 판별 및 일반 전화카드에 따른 전화제어모드 등에 대한 프로그램을 삭제하고, 도 4의 본 발명에 의한 직접 연결 제어방식의 프로그램만을 구비하여 기구적인 구성을 간단히함과 아울러 제어기능도 단순화시켜 저가의 단순용도의 직접 연결식 공중전화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직접연결식 공중전화기는 전화번호를 기억하지 못하는 어린이나 노약자등이 동전이나 일반 전화요금카드가 없어도 전화번호 기억수단을 이용하여 원하는 전화번호로 손쉽게 전화를 걸 수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화번호 기억 수단을 RF식으로 목걸이나, 반지, 열쇠고리, 장식물등으로 다양하게 제작하여 휴대를 간편하게 할 수도 있다.

Claims (3)

  1. 일반적인 공중전화에 있어서,
    버튼 입력 없이 자동으로 직접 연결시키기 위한 전화번호를 기억시켜 사용자가 휴대하는 전화번호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중전화기 본체내에 상기 전화번호 기억 수단의 전화번호를 읽어서 판독하기 위한 전화번호 판독수단을 포함시키며;
    그 공중전화기 본체의 메인 제어부가 상기 전화번호 기억수단이 인식되면 지능망 교환기측에 수신자 요금 부과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판독수단을 통해 읽어들인 직접 연결용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하여 전화 통화를 연결시키고, 통화 종료후 요금을 수신자 부담으로 처리하도록 정보를 교환기에 송출하고 종료하도록 프로그램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연결식 공중 전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기억수단은,
    일반적인 마그네틱 카드의 기억장소의 특정영역에 직접 연결식 전화번호를 기억시킨 개량형 마그네트 카드 또는 기억소자내에 직접 연결용 전화번호를 기억시킨 RF 카드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전화 번호 판독수단은,
    마그네틱 카드를 읽어서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마그네틱 카드 리더와, RF 카드를 판독할 수 있는 RF 카드리더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연결식 공중 전화기.
  3. 상기 카드리더에서 엑세스 할 수 있는 마그네틱 카드 또는 RF카드내에 자동 다이얼링하여 전화번호 버튼 입력없이 직접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직접 연결용 전화번호를 미리 기억시켜 두고 사용자가 휴대하여 직접 연결 방식으로 공중전화를 사용하기 위한 전화번호 기억 카드를 구비하고,
    전화라인(L1, L2)을 통해서 지능망 교환기와 연결되어 음성통화를 실현시키는 음성통화부(5)와,
    상기 음성통화부(5)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음성통화를 하기 위한 송수신기(2)와,
    숫자버튼과 기능버튼이 포함된 다이얼 키패드(4)와,
    지능망 교환기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하는 데이터 채널 통신부(6)와,
    직접연결식 공중전화기의 다이얼 번호 및 안내메시지등 등의 정보를 표시하며 야간에도 볼 수 있도록 후광표시램프를 내장한 LCD표시부(1)와,
    일반적인 공중전화카드와 신용카드등의 접촉식 마그네틱 카드를 읽고 재기록 하기 위한 마그네틱 카드리더(7)와,
    비접촉식 RF 카드를 읽고 재기록하기 위한 RFID카드리더(8)와,
    상기 각부를 제어하여 일반적인 공중전화 통화 및 요금 정산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카드리더(7),(8)에 투입된 카드내에 상기 직접연결식 전화번호가 기억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직접 연결용 전화번호가 기억되어 있으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직접 연결용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하여 통화 연결하고, 통화요금을 수신자 부담으로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연결식 공중전화기.
KR1019980037613A 1998-09-11 1998-09-11 전화번호 기억수단을 이용한 직접 연결식 공중 전화기 KR100279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613A KR100279164B1 (ko) 1998-09-11 1998-09-11 전화번호 기억수단을 이용한 직접 연결식 공중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613A KR100279164B1 (ko) 1998-09-11 1998-09-11 전화번호 기억수단을 이용한 직접 연결식 공중 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491A KR20000019491A (ko) 2000-04-15
KR100279164B1 true KR100279164B1 (ko) 2001-01-15

Family

ID=19550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613A KR100279164B1 (ko) 1998-09-11 1998-09-11 전화번호 기억수단을 이용한 직접 연결식 공중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91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730B1 (ko) 2010-08-16 2011-08-26 주식회사 인텍 착신자 지불 통화서비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730B1 (ko) 2010-08-16 2011-08-26 주식회사 인텍 착신자 지불 통화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491A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3519A (en) Autodialer with pin feature
AU711687B3 (en) Telephone-business card
US6301472B1 (en) Portable telephone system
KR0156175B1 (ko) 전화기의 통화요금 디스플레이장치 및 방법
KR20070011676A (ko) 휴대폰 요금 절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79164B1 (ko) 전화번호 기억수단을 이용한 직접 연결식 공중 전화기
KR100298153B1 (ko) 통신기기의지역번호자동선택/송출방법
CN100493126C (zh) 一种智能公话终端及该智能公话终端实现计费的方法
JPH0243391B2 (ko)
KR100473909B1 (ko) 휴대전화의 유선전화망 접속시스템
KR20010067886A (ko) 후크(hook)상태를 감지하고 선/후불카드의 입력번호를자동 송출하는 ACR 단말기
KR20010110254A (ko) 카드리더를 구비하는 유무선 전화기의 자동 다이얼링구현방법 및 그 카드리더를 구비하는 유무선 전화기
JPH08307508A (ja) 国際電話利用装置
KR200352437Y1 (ko) 유선전화망 자동접속 휴대전화
KR20000056538A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공중전화 시스템
KR100473640B1 (ko) 복수의 카드를 사용하는 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S5966234A (ja) 自動ダイアル応答ペ−ジング方式
JP2932351B2 (ja) 公衆電話機
JP3326272B2 (ja) カード電話機および自動発呼方法
KR200254217Y1 (ko) 인공지능다중접속전화기
JP2920777B2 (ja) 公衆電話機
KR20000006885A (ko) 캐릭터를 통한 이동단말기의 통화량상태 표시방법 및 그장치
KR100629393B1 (ko) 무인 및 자급형 다기능 공중전화기
KR100418350B1 (ko) 전자화폐 공중전화기를 이용한 인터넷 구내 전화망 시스템
JPH06233012A (ja) 光学文字読み取り機能付公衆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