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7408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텔레비전에 있어서 전화면 기입단계에서의 전력 회수회로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텔레비전에 있어서 전화면 기입단계에서의 전력 회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7408B1
KR100277408B1 KR1019980025726A KR19980025726A KR100277408B1 KR 100277408 B1 KR100277408 B1 KR 100277408B1 KR 1019980025726 A KR1019980025726 A KR 1019980025726A KR 19980025726 A KR19980025726 A KR 19980025726A KR 100277408 B1 KR100277408 B1 KR 100277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 value
pulse
counter
logic contro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5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294A (ko
Inventor
김세용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25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7408B1/ko
Publication of KR20000004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4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6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DP텔레비전에 있어서 전화면 기입단계에서 PDP패널에 기입하기 위하여 전극에 전력을 인가한 후 이를 회수하는 전력회수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회로는 가변범위 펄스 형성부(902)와 제1 내지 제3 카운터(904, 906, 908), 기입펄스 전력회수 가변범위 설정부(910), 트레일러 펄스 전력회수 가변범위 설정부(920), 기입펄스 전력회수신호 형성부(930), 트레일러 펄스 전력회수신호 형성부(940), 앤드게이트(950), 제1 내지 제8 스위치(SW1∼SW8)를 포함하여 전화면 기입단계에서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erL)를 발생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발생된 로직제어펄스(erL)는 FET(Q1)를 턴온시켜 기입펄스와 트레일러펄스로서 인가된 전력을 회수시킨다.
그리고 기입펄스 전력회수 가변범위 설정부(910)는 제1 업카운터(911)와 제1 에지형성부(912), 제2 업카운터(913)와 제2 에지형성부(914), 및 오아게이트(915)를 포함하여 제1 스위치(SW1)와 제2 스위치(SW2)의 조작에 따라 기입펄스 회수 타이밍의 가변범위를 설정하고, 기입펄스 전력회수신호 형성부(930)는 제5 업카운터(931)와 제5 에지형성부(932), 제6 업카운터(933)와 제6 에지형성부(934), 및 오아게이트(935)를 포함하여 제5 스위치(SW5)와 제6 스위치(SW6)의 조작에 따라 기입펄스 전력회수를 위한 로직제어펄스를 생성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텔레비전에 있어서 전화면 기입단계에서의 전력 회수회로(A circuit for restoring power of electrodes on whole screen writing step in a PDP TV)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PDP 라 함) 텔레비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화면 기입(whole screen writing)단계에서 PDP패널에 기입하기 위하여 전극에 전력을 인가한 후 이를 회수하여 다시 인가하는 전력회수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DP(Plasma Display Panel)는 페닝(Penning) 혼합 가스를 방전 현상에 이용한 평면 디스플레이장치로서, 비교적 높은 기압(100Torr 이상)의 네온(Ne) 또는 헬륨(He) 가스 등을 베이스로 한 기체들을 유전체로 피복된 좁은 전극 사이에서 방전시켜 얻은 발광 현상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PDP는 방전셀에 가하는 구동전압의 형식에 따라 크게 AC형 PDP 와 DC형 PDP로 분류되는데, AC형 PDP는 정현파 교류 전압 또는 펄스 전압으로 구동하지만, DC형 PDP는 직류 전압으로 구동한다. 또한, AC형 PDP는 전극이 유전체로 피복되어 있어 방전시 이온충격을 받지 않아 DC형보다 수명이 길고, 분극(polarization)에 의해 유전체 표면에 생성되는 벽전하(wall charge)가 셀 내부에 기억기능을 갖게 하는 장점이 있슴에 반해, DC형 PDP는 전극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으며 방전 전압이 걸려있는 동안 방전 전류가 흐른다.
대화면 텔레비젼에 주로 사용되는 칼라 AC-PDP의 구조를 간략히 살펴보면, 칼라 AC PDP는 전면과 후면으로 이루어지고, 전면은 투명한 유리기판에 투명전극인 스캔 및 유지전극(이를 Y이라 한다)과 유지전극(이를 X전극이라 한다)이 평행으로 배설되어 있고 이 전극들은 유전체층으로 피복되어 있다. 후면은 배면 유리기판상에 격벽이 돌출되어 가스봉입을 위한 셀공간을 형성하고, 격벽 및 기판 표면에 형광체가 도포되어 있으며 R,G,B 어드레스 전극(이를 Z 전극이라 한다)이 배설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전극 상호간에 전압을 인가하면 유전체층의 표면에서 방전이 일어나 자외선이 발생하게 되고, 이 자외선에 의해 형광체가 여기(excitation)되어 칼라표시를 하게 되는데, 방전영역이 전면 유리기판상의 평행한 2개 투명전극 사이에 존재하므로 면 방전(surface discharge)방식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PDP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극 사이에 높은 전압을 일정주기로 인가할 필요가 있는데, 두 전극은 일종의 커패시터이므로 두 전극 사이에 인가된 전력을 다시 회수하여 사용하므로써 전체적으로 전력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전극 사이에 전력을 인가한 후 이를 회수하고, 회수된 전력을 다시 전극에 인가하는 회로를 "전력회수회로"라 한다.
이러한 전력회수회로에 있어서 회수된 전력을 전극에 다시 인가하는 타이밍이 매우 중요한데, 종래의 전력회수회로에서는 이 타이밍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수된 전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해 불필요하게 전력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회수전력을 인가하는 타이밍이 부적적할 경우의 동작 예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 도 6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서 (가)는 전극에 직류 고전압을 인가하는 로직제어펄스(susH)이고, (나)와 (라)는 회수된 전력(Vc1)을 전극에 다시 인가하는 로직제어펄스(erH)인데, (나)는 인가 타이밍이 빠른 경우이고, (라)는 인가 타이밍이 늦은 경우이다. (다)는 (나)와 같이 인가 타이밍이 빠른 경우에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도이고, (마)는 (라)와 같이 인가 타이밍이 늦은 경우에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도이다.
도 6의 (다)을 살펴보면, 인가 타이밍이 빠른 경우에는 회수되어 캐퍼시터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Vc1)이 인가되어 소모된 후 직류 고전압이 인가되어 인가파형이 왜곡되고 회수전력의 사용이 비효율적인 것을 알 수 있으며, (마)를 살펴보면 인가 타이밍이 늦을 경우에는 회수전력이 충분히 공급되기 전에 직류 고전압이 인가되어 회수전력을 사용이 비효율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인가 타이밍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면 회수전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화면 기입단계에서 회수전력을 인가하는 타이밍을 가변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텔레비전의 전력 회수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회로는, 스캔 및 유지전극과 유지전극, 그리고 어드레스 전극을 포함하는 PDP에, 타이밍 제어부가 로직제어펄스를 상기 전극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들에 제공하고, 상기 구동부들은 상기 로직제어펄스에 따라 해당 전극에 직류 고전압을 인가하며, 로직제어펄스에 따라 상기 전극들에 인가된 전력을 회수하고 다시 상기 전극들에 인가하도록 된 전력회수회로를 구비하며, 화면의 계조를 표현하기 위해 한 필드를 다수개의 서브필드로 분할한 후 상기 각 서브필드는 전화면 기입단계, 데이터 기입단계, 및 방전유지단계로 동작하도록 된 PDP 텔레비젼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가 제1 클럭을 입력받아 전화면 기입단계에서 전력회수 타이밍을 가변할 수 있는 최대범위를 정하기 위하여 카운트인에이블신호를 발생하는 가변 범위펄스 형성수단; 상기 카운트인에이블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면 제2 클럭을 카운트하여 카운트값을 출력하는 제1 카운터; 상기 제1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스위치신호에 따라 가변되는 설정 카운트값과 비교하여 기입펄스의 전력회수를 위한 로직 제어펄스의 가변범위를 설정하고, 이 설정범위에서 상기 제2 클럭을 카운트하여 카운트값을 제공하는 제1 가변범위 설정수단; 상기 제1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스위치신호에 따라 가변되는 설정 카운트값과 비교하여 트레일러펄스의 전력회수를 위한 로직 제어펄스의 가변범위를 설정하고, 이 설정범위에서 상기 제2 클럭을 카운트하여 카운트값을 제공하는 제2 가변범위 설정수단; 상기 제1 가변범위 설정수단의 카운트값을 스위치신호에 따라 설정된 카운트값과 비교하여 기입펄스의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를 형성하는 제1 로직제어펄스 형성수단; 상기 제2 가변범위 설정수단의 카운트값을 스위치신호에 따라 설정된 카운트값과 비교하여 트레일러펄스의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를 형성하는 제2 로직제어펄스 형성수단; 및 상기 로직제어펄스 형성수단들의 출력을 논리연산하여 전화면 기입단계에서 전극에 인가된 기입펄스와 트레일러펄스의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를 제공하는 논리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AC형 컬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텔레비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압 구동회로부의 세부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칼라 PDP의 전극에 인가되는 유지펄스의 예,
도 4는 일반적인 전력회수회로의 일부를 도시한 회로도,
도 5는 일반적인 전력회수회로의 로직 제어펄스의 예,
도 6은 회수전력 인가 타이밍이 빠르거나 늦은 경우의 동작 파형도,
도 7은 PDP에서 계조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각 서브필드의 전화면 기입/소거 단계에서 전극에 인가하는 기입펄스 의 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전화면 기입/소거 단계에서 회수전력 인가를 위한 제 어펄스를 발생하는 타이밍 제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각 부의 출력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02: 가변범위 펄스 형성부 904,906,908: 카운터
911,913,921,923,931,933,941,943: 업카운터
912,914,922,924,932,934,942,944: 에지형성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AC형 컬러 PDP 텔레비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상기 AC형 컬러 PDP 텔레비전은 오디오/비디오부(110),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20), 메모리부(130), 데이터 인터페이스부(140), 상부 및 하부 어드레스 구동 IC부(150-1, 150-2), 스캔 및 유지 구동 IC부(160), 타이밍 제어부(170), 고압 구동회로부(180), AC-DC 변환부(190) 및 3전극 면방전 컬러 PDP(200)로 구성된다.
또한 고압 구동회로부(1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전극 구동부(182), Z전극 구동부(184), X전극 구동부(186)로 이루어지는데, 각 전극 구동부(182, 184, 186)는 타이밍 제어부(170)로부터 입력되는 로직제어펄스에 따라 직류고전압을 해당 전극에 인가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오디오/비디오부(110)는 안테나를 통해 NTSC 복합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R(Red), G(Green), B(Blue) 신호와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Hsync, Vsync)를 분리하고, 휘도 신호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APL(Average Picture Level)을 구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20)에 제공한다. 여기서, NTSC 복합 영상 신호는 비월 주사 방식으로 1 프레임이 홀수 및 짝수의 2개 필드로 구성되어 있고, 수평 동기 신호(Hsync)는 약 15.73KHz, 수직 동기 신호(Vsync)는 약 60Hz 의 주파수를 가진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20)는 오디오/비디오부(110)로부터 아날로그 R, G, B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메모리부(130)로 출력한다.
메모리부(13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20)로부터 입력받은 디지털 R, G, B 신호를 저장한다. 보통, PDP 의 계조 처리를 위하여 1 필드의 영상 데이터를 복수개의 서브 필드로 재구성 한 다음 최상위 비트부터 최하위 비트까지 재배열해야 하고, 비월 주사 방식으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순차 주사 방식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므로 메모리부(130)는 1 프레임 분량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으로 사용된다.
데이터 인터페이스부(140)는 메모리부(130)로부터 입력받은 R, G, B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였다가 어드레스 구동 IC부(150-1, 150-2)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형태로 맞추어 제공한다.
어드레스 구동 IC부는 상부 및 하부 어드레스 구동 IC부(150-1, 150-2)로 구성되어 상부 어드레스 구동 IC부(150-1)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부(140)로부터 입력받은 R, G, B 데이터의 "하이", "로우"에 따라 3전극 면방전 PDP(200)의 홀수번째 어드레스 전극라인에 어드레스 펄스를 각각 공급하고, 하부 어드레스 구동 IC부(150-2)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부(140)로부터 입력받은 R, G, B 데이터의 "하이", "로우"에 따라 3전극 면방전 컬러 PDP(200)의 짝수번째 어드레스 전극라인에 어드레스 펄스를 각각 공급한다.
스캔 및 유지 구동 IC부(160)는 3전극 면방전 컬러 PDP(200)의 스캔 및 유지 전극(Y전극) 라인에 스캔 펄스와 유지 펄스를 각각 공급한다.
타이밍 제어부(170)는 오디오/비디오부(110)에서 출력되는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Hsync, Vsync)를 입력받아 데이터 판독 클록(데이터 판독 CLK)을 발생시켜 메모리부(130)와 데이터 인터페이스부(140)에 각각 공급하고, 각종 로직 제어 펄스를 발생시켜 고압 구동회로부(180)에 공급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력회수 관련 로직제어펄스들도 타이밍 제어부(170)에서 생성된다.
고압 구동회로부(180)는 타이밍 제어부(170)에서 출력되는 각종 로직 제어 펄스에 따라 AC-DC 변환부(190)에서 공급되는 DC 전압을 조합하여 어드레스, 스캔 및 유지 구동 IC부(150-1, 150-2, 160)에서 필요로 하는 고전압 제어 펄스를 생성하여 3전극 면방전 컬러 PDP(200)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데이터 인터페이스부(140)로부터 어드레스 구동 IC부(150-1, 150-2)로 제공되는 데이터 스트림도 적합한 전압 레벨로 높여 3전극 면방전 컬러 PDP(200)에 선택적 기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AC-DC 변환부(190)는 교류전원(220V AC, 60Hz)을 입력으로 하여 각 전극 구동 펄스를 조합하는데 필요한 직류고전압과 그 밖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부에서 요구하는 모든 DC 전압을 생성하여 공급한다.
3전극 면방전 컬러 PDP(200)는 표시 치수가 640×3(R, G, B)×480 인 것을 사용한다. 3전극중에서 X전극은 공통으로 연결되어 버스전극이라고도 하며 유지펄스가인가되고, 스캔 및 유지 전극(Y)전극은 Y1 내지 Y480까지 480라인의 전극으로 이루어져 순차적으로 스캔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Z전극(데이터 기입 전극이라고도 한다)은 하나의 픽셀에 R,G,B 3개의 전극이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680x3 = 2040 라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3은 방전유지를 위해 X전극과 Y전극에 인가되는 유지펄스전압의 예로서, (가)는 X전극에 인가되는 유지전압의 예이고, (나)는 Y 전극에 인가되는 유지전압의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X전극과 Y전극에서 교번적으로 직류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방전개시전압 보다는 낮고 최저 유지전압보다는 큰 전압으로서 약 180V 정도이다.
도 4는 일반적인 전력회수회로의 일부 회로도인데, 이 전력회수회로는 타이밍 제어부(170)로부터 입력되는 로직제어펄스(erL, erH)에 따라 해당 FET를 구동하기 위한 FET구동부(402)와, FET구동부(402)의 출력에 따라 온되면 전극의 전력을 회수하는 회수 FET(Q1)와, 회수된 전력을 저장하는 커패시터(C1), FET구동부(402)의 출력에 따라 온되면 회수된 전력을 다시 전극에 인가하는 인가 FET(Q2)로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타이밍 제어부(170)로부터 입력되는 로직제어펄스(erL)가 로우이면 회수 FET(Q1)가 턴온되고, 이에 따라 전극에 축적된 고전압이 코일(L1)과 회수FET(Q1)를 통해 커패시터(C1)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커패시터(C1)에 회수된 전력이 축적되어 있는 상태에서 타이밍 제어부(170)로부터 입력되는 로직제어펄스(erH)가 하이이면 인가 FET(Q2)가 턴온되고, 이에 따라 커페시터(C1)에 축적된 전압이 인가 FET(Q2)와 코일(L2)을 통해 전극에 인가된다.
이와 같이 전극에 유지전압을 인가하고 회수하며 다시 인가하는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가)는 유지전압으로 제공되기 위한 직류고전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압의 크기는 약 180V이다. 도 5의 (나)는 전극에 유지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susH)를 나타내고, (다)는 다른 전극에 유지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로직제어펄스(susL)를 나타내고, (라)는 (나)의 로직제어펄스(susH)에 따라 전극에 (가)의 직류고전압이 유지전압으로서 인가되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마)는 전극에 인가된 전압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erL)를 도시한 것이고, (바)는 회수된 전력을 전극에 다시 인가하는 로직제어펄스(erH)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마)와 (바)를 보면, 최초에는 인가후 회수하고 이를 다시 인가하는 것이 순서이나 동일한 유지펄스가 무수히 반복되므로, 회수전력을 인가한고 다시 회수하는 순서로 설명해도 충분하다.
도 5에서 회수된 전력을 다시 인가하는 로직제어펄스(erH)의 타이밍은 유지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펄스(susH)의 상승에지에 걸쳐 있고, 전력을 회수하는 펄스(erL)의 타이밍은 유지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펄스(susH)의 하강에지 후에 있음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
도 6은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수된 전력을 다시 인가하는 타이밍이 빠르거나 늦을 경우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회수된 전력을 가장 효율적으로 인가하는 최적의 타이밍은, 실제에 있어서 사용되는 PDP의 개별적인 특성에 영향을 받으므로 이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PDP에서 계조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횡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PDP에서는 방전상태 혹은 비방전상태의 2가지 상태밖에 없기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필드를 8개의 서브필드(subfield)로 나누어 방전횟수를 달리하므로써 화상의 계조(gray scale)를 표현한다. 이때 각 서브 필드는 고정된 기간의 "어드레스구간"과 단계별로 시간이 증가되는 "방전유지구간"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방전유지구간은 2n형태(n=0~7)로 시간이 증가한다. 그리고 유지구간의 조합에 의해 0부터 255까지의 스케일(즉, 8비트 스케일)을 나타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직 동기(Vsync) 사이에 존재하는 한 필드는 8개의 서브 필드로 구분되고, 각 서브필드에서의 동작은 3개의 단계(step)로 이루어진다.
제1 단계(step1)는 전화면 기입(whole screen writing) 혹은 소거(erasing)단계(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화면 기입)로서, 이전 서브필드의 방전유지 후 선택된 화소에 남아 있는 벽전하를 전부 소거(전화면 소거) 혹은 선택된 화소에 지워진 벽전하를 전부 충전(전화면 기입)시키는 초기화를 수행한다.
제2 단계(step2)는 데이터 기입단계로서, Y전극(Y1∼Y480)에 순차적으로 스캔펄스를 시프트시키면서 Z전극을 통해 해당 데이터를 라인단위로 기입 혹은 소거하여 화소에 선택적으로 벽전하를 형성시킨다.
제3 단계(step3)는 방전유지단계로서, X전극과 Y 전극 사이에 교번으로 유지펄스를 인가하여 벽전하가 형성된 화소의 방전을 유지시킨다.
도 8은 각 서브필드의 전화면 기입 단계(step1)에서 전극에 인가하는 기입펄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X전극에 인가되는 전화면 기입펄스(P1)와 트레일러 펄스(P2), 그리고 Y전극에 인가되는 유지펄스(P3)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X전극에는 전화면을 기입하기 하기 위한 기입펄스(write pulse)가 인가되는데, 이 기입펄스는 약 360V 정도의 전압 크기를 갖고 있고, 이어 약 180V 크기의 트레일러 펄스(trailer pulse)가 따른다. 이와 같이 기입펄스와 트레일러 펄스에 의한 전력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통상의 유지펄스의 전력회수와는 다른 타이밍의 전력회수회로가 요구되는 바,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전화면 기입펄스 및 그에 뒤따르는 트레일러 펄스의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회로를 제공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전화면 기입단계에서 전극에 인가된 전력을 회수하는 타이밍을 가변할 수 있도록 된 전력회수회로의 일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력회수회로는 회수관련 로직제어펄스를 발생하는 타이밍 제어부(170)와, 타이밍 제어부(170)의 로직제어펄스에 따라 전력을 회수하고 인가하는 회로(도 4의 회로)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4의 회로는 고압구동회로부(180) 내에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화면 기입단계(step 1)에서 전극에 인가된 기입펄스와 트레일러 펄스의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를 발생하는 타이밍 제어부(170)의 일부 구성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범위 펄스 형성부(902)와 제1 내지 제3 카운터(904, 906, 908), 기입펄스의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의 타이밍 가변범위를 설정하는 가변범위 설정부(910), 트레일러펄스의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의 가변범위를 설정하는 가변범위 설정부(920), 기입펄스의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를 생성하는 로직제어펄스 형성부(930), 트레일러펄스의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를 생성하는 로직제어펄스 형성부(940), 앤드게이트(950), 제1 내지 제8 스위치(SW1∼SW8)를 포함하여 전화면 기입단계에서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erL)를 발생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발생된 로직제어펄스(erL)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회수회로로 입력되어 전극으로부터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 FET(도 4의 Q1)를 턴온시킨다.
그리고 기입펄스 전력회수 가변범위 설정부(910)는 제1 업카운터(911)와 제1 에지형성부(912), 제2 업카운터(913)와 제2 에지형성부(914), 및 오아게이트(915)를 포함하여 제1 스위치(SW1)와 제2 스위치(SW2)의 조작에 따라 기입펄스 회수 타이밍의 가변범위를 설정하고, 트레일러펄스 전력회수 가변범위 설정부(920)는 제3 업카운터(921)와 제3 에지형성부(922), 제4 업카운터(923)와 제4 에지형성부(924), 및 오아게이트(925)를 포함하여 제3 스위치(SW3)와 제4 스위치(SW4)의 조작에 따라 기입펄스의 전력회수 타이밍의 가변범위를 설정한다.
기입펄스 전력회수를 위한 로직제어펄스 형성부(930)는 제5 업카운터(931)와 제5 에지형성부(932), 제6 업카운터(933)와 제6 에지형성부(934), 및 오아게이트(935)를 포함하여 제5 스위치(SW5)와 제6 스위치(SW6)의 조작에 따라 기입펄스 전력회수를 위한 로직제어펄스(erLW)를 생성하고, 트레일러 펄스 전력회수를 위한 로직제어펄스 형성부(940)는 제7 업카운터(941)와 제7 에지형성부(942), 제8 업카운터(943)와 제8 에지형성부(944), 및 오아게이트(945)를 포함하여 제7 스위치(SW7)와 제8 스위치(SW8)의 조작에 따라 트레일러펄스의 전력회수를 위한 로직제어펄스(erLT)를 생성한다.
그리고 오아게이트(950)는 기입펄스 전력회수를 위한 로직제어펄스 형성부(930)의 로직제어펄스(erLW)와 트레일러펄스 전력회수를 위한 로직제어펄스 형성부(940)의 로직제어펄스(erLT)를 논리합 연산하여 전화면 기입 단계(step1)에서 전극에 인가된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erL)를 제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가변범위 펄스형성부(902)는 본 발명에 따라 전력 회수 타이밍을 조절할 경우에 허용되는 최대 범위(시간영역)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스템으로부터 인가되는 2MHz클럭에 의해 동작하며 허용 범위에서 카운트 인에이블신호를 발생하여 제1 카운터(904)를 인에이블시킨다. 제1 카운터(904)는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25MHz 클럭에 동기되어 카운트하는 카운터로서, 가변범위펄스 형성부(902)의 인에이블신호범위에서 0부터 약 99까지를 카운트한다. 즉, 통상 허용가능한 가변범위는 4 마이크로초 정도인데, 25MHz로 카운트할 경우 이 범위에서는 약 100까지를 카운트할수 있다. 따라서 카운터(904)는 6비트 바이너리 카운터정도이면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인에이블신호가 카운터의 동작을 중지시키도록 변화하면 제1 카운터(904)는 리셋되어 다시 0부터 카운트할 수 있게 된다.
제1 스위치(SW1)는 토글 스위치로서 제1 업카운터(911)의 카운트값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고, 제2 스위치(SW2)는 토글 스위치로서 제2 업카운터(913)의 카운트값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1 업카운터(911)는 기입펄스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erLW)의 가변범위의 시작부분을 결정하기 위한 카운트값을 저장하고 있는데, 이 카운트값은 스위치(SW1)의 조작으로 조절가능하다.
제1 에지 형성부(912)는 "하이"를 출력하면서 제1 업카운터(911)의 카운트값과 제1 카운터(904)의 카운트값을 비교하다가 제1 카운터(904)의 카운트값이 설정 카운트값에 도달하면 "로우"를 출력한다.
제2 업카운터(913)는 기입펄스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erLW)의 가변범위의 끝부분을 결정하기 위한 카운트값을 저장하고 있는데, 이 카운트값은 스위치(SW2)의 조작으로 조절 가능하다.
제2 에지 형성부(914)는 "로우"를 출력하면서 제2 업카운터(913)의 설정 카운트값을 제1 카운터(904)의 카운트값과 비교하다가 제1 카운터(904)의 카운트값이 설정 카운트값에 도달하면 "하이"를 출력한다.
오아게이트(915)는 제1 에지 형성부(912)의 출력과 제2 에지 형성부(914)의 출력을 논리합 연산하여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가변범위에 상당하는 카운트인에이블신호를 발생하여 제2 카운터(906)에 인가한다. 제2 카운터(906)는 오아게이트(915)가 출력하는 카운트인에이블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25MHz클럭에 동기되어 0부터 약 37까지를 카운트한다.
제3 스위치(SW3), 제4 스위치(SW4), 제3 업카운터(921), 제4 업카운터(923), 제3 에지형성부(922), 제4 에지형성부(924), 오아게이트(925), 및 제3 카운터(908)는 앞서 설명한 제1 스위치(SW1), 제2 스위치(SW2), 제1 에지형성부(912), 제2 에지형성부(914), 오아게이트(915), 및 제2 카운터(906)와 각각 유사하게 동작하여 트레일러 펄스의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타이밍의 가변범위를 결정한다.
그리고 제5 스위치(SW5), 제6 스위치(SW6), 제5 업카운터(931), 제6 업카운터(933), 제5 에지형성부(932), 제6 에지형성부(934), 오아게이트(935)는 제2 카운터(906)의 카운트값(cnt_W)을 스위치(SW5,SW6) 조작에 따라 설정된 카운트값과 비교하여 기입펄스의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erLW)를 형성하고, 제7 스위치(SW7), 제8 스위치(SW8), 제7 업카운터(941), 제8 업카운터(943), 제7 에지형성부(942), 제8 에지형성부(944), 오아게이트(945)는 제3 카운터(908)의 카운트값(cnt_T)을 스위치(SW7,SW8) 조작에 따라 설정된 카운트값과 비교하여 트레일러펄스의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erLT)를 형성한다.
오아게이트(950)는 오아게이트(935)의 출력과 오아게이트(945)의 출력을 논리합하여 최종적으로 전화면 기입단계에서 기입펄스와 트레일러펄스로서 전극에 인가된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erL)를 생성하여 도 4의 회로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강 혹은 상승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카운터로서 업 카운터를 사용하였으나 다운 카운터를 사용할 수도 있고, 프리셋 가능한 카운터를 사용하여 임의의 초기값을 프리셋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구성의 동작 타이밍도로서, 도 10의 (A)는 전화면 기입단계에서 기입펄스와 트래일러펄스를 인가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susH)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의 (B)는 가변범위펄스 형성부(도 9의 902)가 출력하는 카운터인에이블신호(cnt_perL)로서, 회수 타이밍을 가변할 수 있는 허용범위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허용범위는 로직제어펄스(susH)의 하강에지에 이어 약 4 마이크로초이다. 그리고 가변범위는 25MHz클럭으로 카운트할 경우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0부터 약 99까지를 카운트할 수 있는 타이밍이다.
도 10의 (C)는 제1 카운터(904)가 인에이블된 후 25MHz클럭에 동기되어 순차적으로 카운트 업하는 출력(cnt_perL)을 나타낸 것이다. (D)는 제1 에지형성부(912)가 출력하는 출력(S_serW) 파형으로서, 제1 카운터(904)의 출력이 제1 업카운터(911)의 카운트값에 도달하면 "하이"에서 "로우"로 변화되어 유지되는 것을 보여준다. (E)는 제2 에지형성부(914)가 출력하는 출력(E_serW) 파형으로서, 제1 카운터(904)의 출력이 제2 업카운터(913)의 카운트값에 도달하면 "로우"에서 "하이"로 변화되어 유지되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도 10의 (F)는 (D)의 파형과 (E)의 파형을 논리합 연산하여 구한 펄스(serW)로서, 기입펄스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erLW)의 가변범위를 설정한다. 이때 기입펄스의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erLW)의 가변범위는 제1 스위치(SW1)와 제2 스위치(SW2)를 조작하므로써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의 (G)는 (F)의 펄스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제2 카운터(906)가 카운트한 값(cnt_W)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약 0 내지 37까지 카운트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의 (H)는 제5 에지형성부(932)의 출력(S_erLW)으로서, 제2 카운터(906)의 출력이 제5 업카운터(931)의 카운트값에 도달하면 "하이"에서 "로우"로 변화되어 유지되는 것을 보여주고, (I)는 제6 에지형성부(934)의 출력(E_erLW)으로서, 제2 카운터(906)의 출력이 제6 업카운터(933)의 카운트값에 도달하면 "로우"에서 "하이"로 변화되어 유지되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J)는 (H)의 파형과 (I)의 파형을 논리합 연산하여 구한 펄스(erLW)로서, 기입펄스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erLW)이다. 이때 기입펄스의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erLW)는 제5 스위치(SW5)와 제6 스위치(SW6)를 조작하므로써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의 (K)는 제3 에지형성부(922)가 출력하는 출력(S_serT) 파형으로서, 제1 카운터(904)의 출력이 제3 업카운터(921)의 카운트값에 도달하면 "하이"에서 "로우"로 변화되어 유지되는 것을 보여준다. (L)은 제4 에지형성부(924)가 출력하는 출력(E_serT) 파형으로서, 제1 카운터(904)의 출력이 제4 업카운터(923)의 카운트값에 도달하면 "로우"에서 "하이"로 변화되어 유지되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M)은 (K)의 파형과 (L)의 파형을 논리합 연산하여 구한 펄스(serT)로서 트레일러펄스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erLT)의 가변범위를 설정한다. 이때 트레일러펄스의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erLT)의 가변범위는 제3 스위치(SW3)와 제4 스위치(SW4)를 조작하므로써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의 (N)는 (M)의 펄스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제3 카운터(908)가 카운트한 값(cnt_T)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약 0 내지 37까지 카운트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의 (O)는 제7 에지형성부(942)의 출력(S_erLT)으로서, 제3 카운터(908)의 출력(cnt_T)이 제7 업카운터(941)의 카운트값에 도달하면 "하이"에서 "로우"로 변화되어 유지되는 것을 보여주고, (P)는 제8 에지형성부(944)의 출력(E_erLT)으로서, 제3 카운터(908)의 출력(cnt_T)이 제8 업카운터(943)의 카운트값에 도달하면 "로우"에서 "하이"로 변화되어 유지되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Q)는 (O)의 파형과 (P)의 파형을 논리합 연산하여 구한 펄스(erLT)로서, 트레일러펄스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erLT)이다. 이때 트레일러펄스의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erLT)는 제7 스위치(SW7)와 제8 스위치(SW8)를 조작하므로써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의 (R)은 (J)의 파형과 (Q)의 파형을 논리합 연산하여 구한 펄스로서, 전화면 기입단계에서 기입펄스와 트레일러펄스의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erL)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PDP 텔레비젼에서 전화면 기입시 전극에 인가되는 기입펄스와 트레일러 펄스의 전력을 회수함에 있어서 허용 범위 안에사 사용자가 타이밍을 가변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전력을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스캔 및 유지전극과 유지전극, 그리고 어드레스 전극을 포함하는 PDP에, 타이밍 제어부가 로직제어펄스를 상기 전극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들에 제공하고, 상기 구동부들은 상기 로직제어펄스에 따라 해당 전극에 직류 고전압을 인가하며, 로직제어펄스에 따라 상기 전극들에 인가된 전력을 회수하고 다시 상기 전극들에 인가하도록 된 전력회수회로를 구비하며, 화면의 계조를 표현하기 위해 한 필드를 다수개의 서브필드로 분할한 후 상기 각 서브필드는 전화면 기입단계, 데이터 기입단계, 및 방전유지단계로 동작하도록 된 PDP 텔레비젼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가
    제1 클럭을 입력받아 전화면 기입단계에서 전력회수 타이밍을 가변할 수 있는 최대범위를 정하기 위하여 카운트인에이블신호를 발생하는 가변 범위펄스 형성수단;
    상기 카운트인에이블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면 제2 클럭을 카운트하여 카운트값을 출력하는 제1 카운터;
    상기 제1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스위치신호에 따라 가변되는 설정 카운트값과 비교하여 기입펄스의 전력회수를 위한 로직 제어펄스의 가변범위를 설정하고, 이 설정범위에서 상기 제2 클럭을 카운트하여 카운트값을 제공하는 제1 가변범위 설정수단;
    상기 제1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스위치신호에 따라 가변되는 설정 카운트값과 비교하여 트레일러펄스의 전력회수를 위한 로직 제어펄스의 가변범위를 설정하고, 이 설정범위에서 상기 제2 클럭을 카운트하여 카운트값을 제공하는 제2 가변범위 설정수단;
    상기 제1 가변범위 설정수단의 카운트값을 스위치신호에 따라 설정된 카운트값과 비교하여 기입펄스의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를 형성하는 제1 로직제어펄스 형성수단;
    상기 제2 가변범위 설정수단의 카운트값을 스위치신호에 따라 설정된 카운트값과 비교하여 트레일러펄스의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를 형성하는 제2 로직제어펄스 형성수단; 및
    상기 로직제어펄스 형성수단들의 출력을 논리연산하여 전화면 기입단계에서 전극에 인가된 기입펄스와 트레일러펄스의 전력을 회수하기 위한 로직제어펄스를 제공하는 논리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텔레비전에 있어서 전화면 기입단계에서의 전력 회수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범위 설정수단이
    스위치신호에 따라 설정된 카운트값을 상기 제1 카운터의 카운트값과 비교하여 기입펄스 혹은 트레일러펄스의 전력회수를 위한 타이밍의 최대 허용범위에 상당하도록 카운트인에이블신호를 발생하는 가변범위 설정부(910,920)와, 상기 가변범위 설정부의 카운트인에이블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면 상기 제2 클럭에 동기되어 카운트하는 카운터(906,908)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텔레비전에 있어서 전화면 기입단계에서의 전력 회수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범위 설정부는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의 토글에 따라 설정된 카운트값을 가변시키는 하강 타이밍 설정 카운터; 상기 제2 스위치의 토글에 따라 설정된 카운트값을 가변시키는 상승 타이밍 설정 카운터; 하이를 출력하면서 상기 하강 타이밍 설정 카운트값과 상기 제1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비교하다가 상기 제1카운터의 카운트값이 상기 설정 카운트값에 도달하면 하이를 출력하는 제1 에지 형성부; 로우를 출력하면서 상기 상승 타이밍 설정 카운트값과 상기 제1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비교하다가 상기 제1카운터의 카운트값이 상기 설정 카운트값에 도달하면 하이를 출력하는 제2 에지 형성부; 및 상기 제1 에지형성부의 출력과 제2 에지형성부의 출력을 논리합 연산하여 가변범위를 위한 인에이블신호를 제공하는 오아게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텔레비전에 있어서 전화면 기입단계에서의 전력 회수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제어펄스 형성수단이
    제5스위치; 제6 스위치; 상기 제5 스위치의 토글에 따라 설정된 카운트값을 가변시키는 하강 타이밍 설정 카운터; 상기 제6 스위치의 토글에 따라 설정된 카운트값을 가변시키는 상승 타이밍 설정 카운터; 하이레벨을 출력하면서 상기 하강 타이밍 설정 카운트값과 상기 의 카운트값을 비교하다가 상기 카운트값이 상기 설정 카운트값에 도달하면 로우를 출력하는 하강펄스 형성부; 로우레벨을 출력하면서 상기 상승 타이밍 설정 카운트값과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비교하다가 상기 카운트값이 상기 설정 카운트값에 도달하면 하이를 출력하는 상승펄스 형성부; 및 상기 상승펄스 형성부의 출력과 하강펄스 형성부의 출력을 논리합 연산하여 전력회수 타이밍을 위한 로직 제어펄스를 제공하는 오아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텔레비전에 있어서 전화면 기입단계에서의 전력 회수회로.
KR1019980025726A 1998-06-30 1998-06-3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텔레비전에 있어서 전화면 기입단계에서의 전력 회수회로 KR100277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5726A KR100277408B1 (ko) 1998-06-30 1998-06-3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텔레비전에 있어서 전화면 기입단계에서의 전력 회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5726A KR100277408B1 (ko) 1998-06-30 1998-06-3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텔레비전에 있어서 전화면 기입단계에서의 전력 회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294A KR20000004294A (ko) 2000-01-25
KR100277408B1 true KR100277408B1 (ko) 2001-01-15

Family

ID=19542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5726A KR100277408B1 (ko) 1998-06-30 1998-06-3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텔레비전에 있어서 전화면 기입단계에서의 전력 회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74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724A (ko) * 2000-02-08 2001-08-20 김순택 플라즈마 표시패널의 구동방법
KR100373533B1 (ko) * 2001-01-06 2003-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너지 회수회로 제어장치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294A (ko) 200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12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US6982685B2 (en) Method for driving a gas electric discharge device
US7375702B2 (en) Method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KR10027740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텔레비전의 전력 회수방법 및 그 회로
KR10063694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KR2004001076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6914584B2 (en) Plasma display device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while preventing erroneous write-in
US7710359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driving method for enhancing grayscale display capable of low luminance portion without increasing driving time
US20010033255A1 (en) Method for driving an AC type PDP
JP200024222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27740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텔레비전에 있어서 전화면 기입단계에서의 전력 회수회로
KR100427019B1 (ko)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텔레비전의타이밍제어회로
KR100251148B1 (ko) 3전극 면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JPH10187095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表示装置
KR100217278B1 (ko) Pdp-tv의 데이터 로드클럭 발생장치.
JP3862720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217280B1 (ko) Pdp-tv에서 어드레스 구동ic의 데이터 입력 제어신호 생성장치 및 그 방법.
KR100280887B1 (ko)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구동장치
KR100217275B1 (ko) Pdp-tv의 데이터 로드클럭 발생장치.
KR100217276B1 (ko) Pdp-tv의 구동을 위한 방전유지 제어방법
KR100266327B1 (ko) 피디피 텔레비전의 면방전시 쉘프( shelf)전압 사용방법
KR100269641B1 (ko) 피디피 텔레비전의 데이터 인터레이스 방법
KR100397355B1 (ko) Pdp 텔레비전의 수직동기구간에서의 오동작 방지방법
KR10048132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및 방법
WO2003098586A1 (en) Driving method for fast addressing technique in an ac-pd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