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7043B1 - 다중 오에스디(osd)에서의 하이라이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오에스디(osd)에서의 하이라이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7043B1
KR100277043B1 KR1019980014468A KR19980014468A KR100277043B1 KR 100277043 B1 KR100277043 B1 KR 100277043B1 KR 1019980014468 A KR1019980014468 A KR 1019980014468A KR 19980014468 A KR19980014468 A KR 19980014468A KR 100277043 B1 KR100277043 B1 KR 100277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d
highlight
highlights
region
highlight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0893A (ko
Inventor
민승재
이경윤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14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7043B1/ko
Priority to DE19918046A priority patent/DE19918046B4/de
Priority to US09/296,528 priority patent/US6462746B1/en
Priority to GB9909470A priority patent/GB2336748B/en
Publication of KR19990080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043B1/ko

Links

Landscapes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티브이(DTV), 디지탈 브이씨알(DVCR) 등의 디지탈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한 화면상에 여러개의 OSD(On Screen Display)가 표시되는 다중 OSD 상태에서 특별히 원하는 부분의 색을 변경시켜 그 부분을 하이라이트(High light) 시킬수 있도록 하는 다중 오에스디(OSD)에서의 하이라이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OSD 하이라이트 처리 방법에 있어, 윈도우 기반 하이라이트 처리 방법은 계속적인 윈도우 포인트를 저장하고 있어야만 하기 때문에, 다중 OSD에 있어, 복수개의 OSD 하이라이트 처리가 요구되어질 경우에 있어, 하드웨어의 부담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OSD 영역(Region)을 정의하는 메모리 헤더정보에 하이라이트를 결정하는 플레그(flag)를 설정하고, 플레그의 셋팅에 따라서, 각 OSD 영역별로 하이라이트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므로써, 다중 OSD의 하이라이트를 구현함에 있어, 하드웨어의 부담없이 다수개의 OSD에 대한 하이라이트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한 OSD 영역내의 부분적인 하이라이트 처리 및 OSD 영역간의 하이라이트 처리는 윈도우 기반 하이라이트 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써, 다중 0SD에서의 다양한 OSD 하이라이트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중 오에스디(OSD)에서의 하이라이트 처리 방법
본 발명은 디지탈 티브이(DTV), 디지탈 브이씨알(DVCR) 등의 디지탈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한 화면상에 여러개의 OSD(On Screen Display)가 표시되는 다중 OSD 상태에서 특별히 원하는 부분의 색을 변경시켜 그 부분을 하이라이트(High light) 시킬수 있도록 하는 다중 오에스디(OSD)에서의 하이라이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SD 기능은 티브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위에 도형, 문자 등의 또다른 영상을 표시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OSD는 이와 같은 메모리영역에 저장된 OSD 정보를 이용하여 기기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표시되고 있는 원영상위에 표시하여 주게 되는 바,
도 1은 이와 같은 OSD 동작 기능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에서와 같이, 호스트 프로세서(host processor)(1)로 부터 OSD 명령 제어신호(CMD;command)가 영상처리 IC(2)로 전달되면, 영상 처리 IC(2)에서는 영상신호복호기(2a)가 영상(Video)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여 OSD 제어기(2b)로 주게 된다.
OSD 제어기(2b)에서는 메모리(3)로 부터 OSD 정보를 입력받아 OSD 출력 데이타를 만든후에 영상신호복호기(2a)에서 오는 영상출력신호와 생성한 OSD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티브이, 또는 PC 모니터 등과 같은 표시수단(4)에 표시하여 주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메모리(3)에는 영상(video) 정보와 OSD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OSD 정보가 저장된 OSD 메모리는 커멘드(command)영역과 비트맵(bitmap)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이때, 비트맵 영역에있어, 임의의 위치에 대한 데이타의 일예로써, 도 2의 (가)에서와 같이 각 N 비트로 표현할 수 있으며, 각 N 비트내의 인덱스(index)는 커멘드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도 2의 (나)에서와 같이 색 룩업 테이블(CLUT; Color Look Up Table)의 어드레스로 사용하게 된다.
즉, 도 2의 (나)에서와 같은 색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OSD 정보를 표시수단(4)에 OSD가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영상처리 IC(2)와 표시수단(4)의 사이에는 티브이 엔코더가 구성되어, 색룩업테이블에서 나오는 휘도신호(Y) 및 색신호(Cb,Cr)를 R,G,B 아날로그 색신호로 변환시켜 OSD를 표현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표현되는 OSD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하이라이트 기능이라함은 OSD 정보의 내용 변경없이 색을 변경시켜 다른 부분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종래에는 이러한 하이라이트 방법으로, 윈도우를 기반으로 하는 방법(window based method)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윈도우 기반 하이라이트 방법은 도 3에서와 같이, 화면상에 OSD가 표시되고 있을때, 표시되는 화면의 위치정보를 지정하기 위하여 P1(start point)과 P2(stop point)를 지정하여 윈도우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설정된 윈도우에 대한 정보를 커멘드(command)로 지정하고, 이와 같이 커멘드 형태의 하이라이트 정보를 받아 그 윈도우내의 내용을 하이라이트 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윈도우 기반 하이라이트 방법은 설정되는 윈도우의 위치(start point, stop point)를 알려주어야 하므로, X의 경우 0≤X≤720이고, Y의 경우 0≤Y≤480인경우로 가정할때, 최소한 X_start 10비트, X_stop 10비트, Y_start 8비트, Y_stop 9비트 총 38비트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메뉴선택에 따라 서브 픽처(sup picture)가 계속해서 나타나는 경우에 하이라이트할 윈도우의 갯수가 늘어나면 날 수록 하드웨어의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화면상에서 하나의 OSD만 표시할 경우에는 표시되는 OSD의 위치만을 선택하여 다른 부분과의 차이를 주면 되지만, 다중 OSD로 화면상에 표시되어질 경우에는 하드웨어의 부담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OSD 영역(Region)을 정의하는 메모리 헤더정보에 하이라이트를 결정하는 플레그(flag)를 설정하고, 플레그의 셋팅(setting)에 따라서, 각 OSD 영역별로 하이라이트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므로써, 다중 OSD의 하이라이트를 구현함에 있어, 하드웨어의 부담없이 다수개의 OSD에 대한 하이라이트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OSD 영역내의 부분적인 하이라이트 처리 및 OSD 영역간의 하이라이트 처리는 윈도우 기반 하이라이트 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써, 다중 0SD에서의 다양한 OSD 하이라이트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OSD 동작 기능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의 (가)는 OSD 메모리의 비트맵 영역에 있어, 임의의 위치에 대한 데이타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나)는 색 룩업 테이블(CLUT; Color Look Up Table)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종래 윈도우 기반(window based) 하이라이트 처리를 이용한 OSD의 하이라이트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실시되는 디지탈 영상표시기기의 OSD 메모리 제어 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있어, 글로벌 헤더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a는 본 발명 다중 오에스디(OSD)에서의 하이라이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영역 기반(Region based) 하이라이트 처리에 의한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6b는 본 발명에 있어서, 윈도우 기반 하이라이트 처리에 의한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6c는 본 발명에 있어서, 영역 기반 하이라이트 처리 및 윈도우 기반 하이라이트 처리를 혼합하여 사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OSD 메모리의 각 OSD 영역(Region)별 헤더정보에 각 OSD 영역별 하이라이트를 결정하는 하이라이트 인에이블(enable) 플레그(flag)를 설정하고, 필요에 따른 하이라이트 요구에 따라 그 값을 셋트(set)시키고, 상기 플레그(flag)에 셋트된 값에 따라서 화면에 표시된 각 OSD 영역의 하이라이트 실행을 결정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OSD 영역내의 하이라이트 처리 및 OSD 영역간의 부분적인 하이라이트 처리는 OSD 메모리의 헤더정보에 포함되는 화면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윈도우 기반 하이라이트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메모리에 표시되는 각 OSD 영역의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을 감안하여 메모리의 OSD 영역별 헤더정보에 하이라이트 실행유무를 결정하는 플레그를 설정하므로써, 하드웨어의 부담없이 간단하게 하이라이트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OSD 영역내의 부분 및 OSD 영역간의 부분에 대하여서는 영역 기반(Region based) 하이라이트 처리 과정을 실행하지 않고, 윈도우 기반 하이라이트 처리 과정을 실행하므로써, OSD 영역 내의 부분적인 하이라이트 및 OSD 영역간의 하이라이트 처리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 4는 OSD 메모리 제어 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글로벌 헤더(Global Header)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서 표현한 OSD 메모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OSD 구현을 위한 제어 명령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 커멘드 영역(100)과 OSD 구현을 위한 색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비트맵 영역(200)을 분리한 것으로,
상기 커멘드 영역(100)은 글로벌 헤더 정보와 로칼 헤더(Local Header) 정보로 나눌 수 있으며, 상기 비트맵 영역(200)에 저장되는 각 OSD 영역(Region 0∼15)의 위치정보(bitmap point)는 상기 로칼 헤더 정보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글로벌 헤더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현하고자하는 각 OSD 정보(Info; information), 백그라운드(background) 정보(BackGR Info), 메뉴 선택시 필요한 커서 정보(Cursor Info), 필요부분만 강조하기 위하여 영역(Region) 전부 또는 그 일부만 색을 바꾸어주도록 하는 하이라이트 정보(Hi-light Info) 등이 포함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은 글로벌 헤더의 정보에 따라서 로칼 헤더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해당 OSD 영역을 찾아 상기와 같은 OSD 기능을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글로벌 헤더 정보에 하이라이트를 결정하기 위한 플레그를 설정하여 두고, 이에 따라서 로칼 헤더 정보에 포함된 OSD 영역별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OSD 영역을 찾아 영역기반 하이라이트를 실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영역 기반 하이라이트 처리는 OSD 영역별 헤더정보에 하이라이트를 결정하기 위한 플레그를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정되는 플레그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또는 프로그램의 필요에 의해 하이라이트의 실행 정보로서 셋트 된다.
이후, 이러한 하이라이트 헤더 정보 즉, 하이라이트 인에이블 플레그의 값에 따라서, 해당 OSD 영역의 하이라이트를 실행결정하게 되는 바,
예를 들어 하이라이트 인에이블 플레그의 값이 1이면 그에 해당하는 OSD 영역을 하이라이트시켜주고, 0이면 하이라이트를 실행하지 않는다.
도 6a는 화면에 세개의 OSD 영역이 표현되고 있을 때, 영역 기반 하이라이트 처리 실행예를 나타낸 것으로,
현재 OSD 영역(Region0,Region2)은 하이라이트 처리되지 않은 상태이고, OSD 영역(Region1)은 플레그가 1로 셋팅된 상태로 하이라이트가 처리된 상태이다.
도 6b는 화면에 OSD 영역(Region1)이 하나 일 경우 OSD 영역(Region1)내의 한 텍스트에 대하여 윈도우 기반 하이라이트 처리 실행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와 같이 OSD 영역내의 한 텍스트(MBC)만을 하이라이트 처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영역 기반 하이라이트 방법으로는 처리할 수 없으므로, 이때에는 종래에서와 같이 윈도우 포인트를 설정하여 윈도우 기반 하이라이트 처리를 실행하여야 한다.
도 6c는 다중 OSD 영역에서 OSD 영역의 하이라이트와 OSD 영역내의 부분 하이라이트, OSD 영역간의 부분 하이라이트 사용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OSD 영역(Region0)은 P1,P2 포인트에 따른 윈도의 하이라이트 처리에 의한 내부 텍스트(MBC)만을 하이라이트 처리한 것이고, OSD 영역(Region1)은 영역 기반 하이라이트 처리를 실행한 것이다.
그리고, OSD 영역(Region4)과 OSD 영역(Region3)은 윈도우 기반 하이라이트 처리를 통하여 영역간의 부분 하이라이트 처리를 실행한 것이다.
이와 같이, OSD 영역(Region)을 정의하는 헤더에 플레그만 두고, 이러한 플레그를 이용하여 하이라이트를 구현하므로, 복수개의 하이라이트를 구현해도 하드웨어의 부담이 상기 윈도우 기반 하이라이트 처리에 비하여 적게 된다.
그러나, 일단 플레그에 하이라이트를 위한 플레그가 셋팅되면, 영역내에서의 부분적인 하이라이트가 불가능하게 되므로서, 예를 들어 노래방 가사자막에 이용되는 하이라이트처리에는 부적합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부분적인 하이라이트를 할 수 있는 윈도우 기반 하이라이트로 구현하게 되는 바,
윈도우 기반 하이라이트 처리는 임의의 영역을 하이라이트 할 수 있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부분적인 하이라이트 처리에 있어서는 윈도우 기반 하이라이트를 이용하여 OSD 영역내의 부분 하이라이트는 물론, 서로 다른 두개 이상의 OSD 영역을 하이라이트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를 구현하고자 하는 화면부분에 따라서, OSD 영역 기반 하이라이트 처리 및 윈도우 기반 하이라이트 처리를 효과적으로 실행하도록 하므로써, 하드웨어의 부담없이 다수개의 OSD에 대한 하이라이트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OSD 메 모리의 각 OSD 영역(Region)별 헤더정보에 각 OSD 영역별 하이라이트를 결정하는 하이라이트 인에이블(enable) 플레그(flag)를 설정하고, 필요에 따른 하이라이트 요구에 따라 그 값을 셋트(set)시키고, 상기 플레그(flag)에 셋트된 값에 따라서 OSD 메모리의 헤더정보에 포함된 OSD 영역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된 각 OSD 영역의 하이라이트 실행을 결정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오에스디(OSD)에서의 하이라이트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처리에 있어서, OSD 영역내의 하이라이트 처리 및 OSD 영역간의 부분적인 하이라이트 처리는 상기와 같은 영역 기반 하이라이트 처리 과정대신 OSD 메모리의 헤더정보에 포함되는 화면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윈도우 기반 하이라이트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오에스디(OSD)에서의 하이라이트 처리 방법.
KR1019980014468A 1998-04-23 1998-04-23 다중 오에스디(osd)에서의 하이라이트 처리 방법 KR100277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468A KR100277043B1 (ko) 1998-04-23 1998-04-23 다중 오에스디(osd)에서의 하이라이트 처리 방법
DE19918046A DE19918046B4 (de) 1998-04-23 1999-04-21 Speicherstruktur für Bild-in-Bild-Anzeige bei einer digitalen Videoanzeigeeinheit sowie Verfahren hierfür
US09/296,528 US6462746B1 (en) 1998-04-23 1999-04-22 On screen display memory structure in a digital video display unit and method therefor
GB9909470A GB2336748B (en) 1998-04-23 1999-04-23 On screen display memory structure in a digital video display unit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468A KR100277043B1 (ko) 1998-04-23 1998-04-23 다중 오에스디(osd)에서의 하이라이트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893A KR19990080893A (ko) 1999-11-15
KR100277043B1 true KR100277043B1 (ko) 2001-01-15

Family

ID=65890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468A KR100277043B1 (ko) 1998-04-23 1998-04-23 다중 오에스디(osd)에서의 하이라이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70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936B1 (ko) * 2001-12-29 2008-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에서 하이라이트 모드를 지원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893A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2746B1 (en) On screen display memory structure in a digital video display unit and method therefor
US4802104A (en) Dual screen document processing system
US6362816B1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apparatus
US6876397B2 (en) Menu display apparatus
KR20010085702A (ko) 화상 처리 장치
US5151974A (en) Data display method
US6518985B2 (en) Display unit architecture
KR20040001736A (ko) Osd프로세서 및 osd 데이터 프로세싱 방법
JP2000099236A (ja) アイコンメニュー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US5225819A (en) Screen display device
KR100277043B1 (ko) 다중 오에스디(osd)에서의 하이라이트 처리 방법
EP0724230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467618B1 (ko) 어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방법
KR0123758B1 (ko) 조합형으로 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처리회로 및 그 방법
KR100277044B1 (ko) 오에스디(osd)의 하이라이트 처리를 위한 칼러 액세스 방법
KR100277042B1 (ko) 디지탈 영상표시기기의 오에스디(osd) 메모리 제어구조
KR920006067B1 (ko)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문자 보간회로
KR100188664B1 (ko) 부영상 표시 위치 제어 방법
KR100311470B1 (ko) 캡션 텍스트 처리 방법
US5420610A (en) Screen display circuit apparatus
US6064402A (en) Character display control circuit
US20050030428A1 (en) On-screen display device
KR19990018067A (ko) 전자 사전을 구비한 인터네트 텔레비젼 장치
JP2858581B2 (ja)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5326701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