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5883B1 -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5883B1
KR100275883B1 KR1019980050920A KR19980050920A KR100275883B1 KR 100275883 B1 KR100275883 B1 KR 100275883B1 KR 1019980050920 A KR1019980050920 A KR 1019980050920A KR 19980050920 A KR19980050920 A KR 19980050920A KR 100275883 B1 KR100275883 B1 KR 100275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base
gear
pickup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3869A (ko
Inventor
박세웅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50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5883B1/ko
Publication of KR20000033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8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크가 얹어지는 트레이(115)를 세트의 내외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베이스(110)의 이동과 디스크가 장착되어 플레이되는 픽업베이스(120)의 승강을 메인기어(140)의 구동에 의해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베이스(110)가 세트로부터 빠져나감을 감지하는 오픈스위치(107)와 상기 픽업베이스(120)의 승강과 상기 이동베이스(110)의 세트 내부로 들어옴을 감지할 수 있는 픽업스위치(108)를 사용하여 디스크의 이동과 장착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구성부품의 개수가 적어지면서 보다 간단하게 디스크의 이동과 장착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구동장치
본 발명은 디스크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디스크를 트레이상에 안착하여 교환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구동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메인베이스(10) 상에 이동베이스(20)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베이스(20) 상에 다수개의 디스크를 안착할 수 있는 트레이(2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베이스(20)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랙기어(21)가 형성되어 있어, 아래에서 설명될 제1베이스구동기어(60) 및 제2베이스구동기어(63)와 맞물려 연동된다. 상기 이동베이스(20)에는 이동베이스(20)가 메인베이스(10)의 내부로 완전히 수납되었음을 감지하도록 하는 닫힘리브(22)가 형성되어 있고, 아래에서 설명될 메인기어(50)의 작동리브(55)에 걸려 이동베이스(20)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리브(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베이스(10)에는 또한 픽업조립체가 구비된 픽업베이스(27)가 힌지축(28)을 중심으로 그 선단부가 소정각도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메인베이스(10)에는 이동베이스(20)의 이동과 상기 픽업베이스(27)의 승강을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다. 먼저, 메인베이스(10)의 일측에 구동모터(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40)의 동력을 밸트(41)를 통해 제1기어(42)가 전달받고, 상기 제1기어(42)와 제2기어(43)가 맞물려 있다. 상기 제2기어(43)에는 구동기어부(43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기어(43)의 구동기어부(43d)와 아래에서 설명될 작동기어부(53)와 맞물려 구동되는 메인기어(50)가 상기 메인베이스(10)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메인기어(50)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측면 상부에서 하부로 차례로, 상기어부(51), 하기어부(52), 작동기어부(53) 및 캠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기어부(51)와 하기어부(52)는 상기 메인기어(50)의 상부에 상하로 소정 구간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들은 그 형성 구간이 상기 메인기어(50)의 원호상에서 서로 다른 구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기어(50)의 상면에는 각각 걸림턱이 형성된 작동리브(55)와 오픈리브(5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기어(50)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이동베이스(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베이스구동기어(60)와 제2베이스구동기어(63)가 메인베이스(10)에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제1베이스구동기어(60)는 상기 메인기어(50)의 하기어부(52)와 상기 이동베이스(30)의 랙기어(21)와 각각 맞물려 있어, 상기 메인기어(5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이동베이스(20)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베이스구동기어(63)는 그 대기어부가 상기 랙기어(21)와 맞물리고, 상기 메인기어(50)와의 사이에는 연결기어(6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기어(62)는 상기 메인기어(50)의 상기어부(51)와 맞물리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기어(50)의 일측에는 승강캠(6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캠(65)은 그 상부에 기어부(66)가 소정 구간 형성되어 있어 상기 메인기어(50)에 의해 동작된다. 상기 승강캠(65)의 측면에는 상기 픽업베이스(27)의 연동돌기(28)를 가이드하여 상기 픽업베이스(27)를 승강시키는 승강가이드(6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캠(65)의 상부 측면에는 상기 픽업벵스(27)의 승강을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리브(65')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캠(65)의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캠(6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캠(68)은 스프링(68')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있고, 그 스톱가이드(69)가 상기 승강캠(65)에 밀착되게 하여 상기 픽업베이스(27)의 상하운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메인기어(50)의 오픈리브(56)가 이동되는 궤적에 대응되는 위치에 열림감지스위치(8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열림감지스위치(80)는 상기 이동베이스(20)가 완전히 열린 경우에 오픈리브(56)와 연동되도록 되어 있어 이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베이스(20)에 형성된 닫힘리브(22)의 이동 행정에 대응되는 메인베이스(10)의 내측에는 닫힘감지스위치(8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닫힘감지스위치(82)는 상기 이동베이스(20)가 메인베이스(10)의 내부로 완전히 수납되면, 상기 닫힘리브(22)에 의해 동작되어 메인베이스(10)가 닫힌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캠(65)과 인접한 위치에는 캠감지스위치(8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캠감지스위치(84)는 상기 승강캠(65)의 스위치리브(65')에 의해 동작되면서 상기 승강캠(65)의 동작에 따른 상기 픽업베이스(27)의 승강을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구동장치는 이를 작동하기 위해 하나의 구동모터(40)를 사용하는 대신에, 이동베이스(20)의 열리고 닫힘 및 픽업베이스(27)의 승강을 감지하기 위해 3개의 스위치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이동베이스(20)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기 위해 각각 열림감지스위치(80)와 닫힘감지스위치(82)를 사용하여야 하고, 픽업베이스(27)의 승강을 감지하기 위해 캠감지스위치(84)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스위치(80,82,84)를 사용하여 이동베이스(20)의 열림과 닫힘, 그리고 픽업베이스(27)의 승강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이를 제어하는 과정이 복잡하여 마이콤(도시되지 않음)의 제어가 복잡하게 되고 많은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고가의 스위치를 여러개 사용함으로 인해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과정에서의 작업성이 떨어지고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크의 이동과 장착을 위한 제어를 보다 간단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적은 부품을 사용하여 디스크의 이동과 장착을 보다 간단한 과정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픽업베이스는 상승되어 있고 트레이는 세트의 외부로 빠져나와 있는 상태에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픽업베이스는 상승되어 있고, 트레이는 세트의 내부로 들어와 있는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픽업베이스는 하강되어 있고 트레이는 세트의 내부로 들어와 있는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픽업베이스는 하강되어 있고 트레이는 세트의 외부로 빠져나와 있는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9는 도 5에서 도6에 도시된 동작상태에서 구동모터, 오픈스위치 및 픽업스위치가 동작되는 것을 보인 타이밍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구동장치가 동작되는 흐름을 보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메인베이스 107: 오픈스위치
108: 픽업스위치 110: 이동베이스
111: 랙기어 115: 트레이
120: 픽업베이스 121: 힌지축
123: 연동돌기 130: 구동모터
131: 벨트 132: 제1기어
134: 제2기어 135: 소기어부
140: 메인기어 141: 상기어부
142: 하기어부 143: 작동기어부
144: 캠구동기어부 145: 작동리브
147: 오픈스위치리브 148: 픽업스위치리브
160: 승강캠 161: 기어부
163: 캠부 165: 가이드캠
170: 제1오픈기어 172: 연결기어
173: 제2오픈기어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어 정역회전되는 메인구동수단과, 상기 메인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디스크를 내외부로 이동시키는 디스크이동수단과, 상기 메인구동수단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크이동수단이 세트의 외부로 이동됨을 감지하는 디스크배출감지수단과, 상기 메인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디스크이동수단에 의해 세트의 내부로 이동된 디스크를 승강시키는 디스크승강수단과, 상기 메인구동수단의 회전방향과 회전위치에 따라 디스크의 승강 및 상기 디스크이동수단의 세트 내부로의 이동을 감지하는 디스크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구동수단은 그 측면에 다수개의 기어부가 형성된 기어로서, 상기 디스크이동수단의 구동을 위한 제1 및 제2기어부와,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작동기어부와, 상기 디스크승강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제3기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디스크배출감지수단은 메인구동수단에 구비된 제1온오프부재와, 상기 제1온오프부재의 이동궤적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설치되는 제1접촉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감지수단은 메인구동수단에 구비된 제2온오프부재와, 상기 제2온오프부재의 이동궤적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설치되는 제2접촉스위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보다 용이하게 디스크의 이동과 승강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구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메인베이스(100)상에 이동베이스(110)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베이스(110)는 상기 메인베이스(100)의 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이동베이스(110)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랙기어(1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베이스(110) 상에는 다수개의 디스크가 얹어지는 트레이가(115)가 별도의 구동원(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베이스(110)의 일측에는 이동베이스(110)가 닫힌 상태에서 메인베이스(100)의 내부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스톱리브(1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베이스(100)의 내측에는 디스크를 회전시키면서 디스크에 기록된 신호를 읽거나 신호를 기록하는 픽업조립체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픽업조립체는 픽업베이스(120) 상에 설치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요지와는 크게 관련이 없으므로 그 상세한 구조는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한편, 상기 픽업베이스(120)는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그 선단부가 소정 각도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픽업베이스(120)는 상기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되어 상승되면, 상기 트레이(115) 상에 있는 디스크 중 하나를 안착시켜 클램프(115)로 클램핑한 상태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메인베이스(100) 상에는 상기 이동베이스(110)의 이동과 상기 픽업베이스(120)의 승강을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다.
먼저, 구동모터(130)가 상기 메인베이스(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모터(130)의 구동력을 벨트(131)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기어(132)가 상기 메인메이스(100) 상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기어(132)와 맞물리게 제2기어(13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기어(134)에는 소기어부(13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메인베이스(100)의 대략 중앙부에는 메인기어(1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메인기어(140)는 그 측면에 다수개의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메인기어(140)의 측면 최상측에는 상기어부(141)가 소정구간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기어부(141)와 겹치지 않게 상기 상기어부(141)의 하측에는 하기어부(142)가 소정 구간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기어부(142)의 하부에는 상기 제2기어(134)의 소기어부(135)와 맞물리는 작동기어부(143)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작동기어부(143)는 상기 메인기어(140)의 외부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동기어부(143)의 하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승강캠(160)의 기어부(161)와 맞물려 연동되는 캠구동기어부(144)가 소정 구간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기어(140)의 상면에는 상기 이동베이스(110)에 있는 스톱리브(112)가 걸려지는 작동리브(14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기어(140)의 하면에는 오픈스위치(107)를 동작시키는 오픈스위치리브(147)와 픽업스위치(108)를 동작시키는 픽업스위치리브(14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오픈스위치(107)와 픽업스위치(108)는 각각 메인베이스(100) 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메인기어(1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오픈스위치리브(147)와 픽업스위치리브(148)가 이동되는 궤적상에 설치된다.
상기 메인기어(140)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면서 상기 픽업베이스(120)를 승강시키는 승강캠(160)이 상기 메인기어(140)에 인접하게 메인베이스(100) 상에 설치된다. 상기 승강캠(160)에는 그 상단에 소정 구간의 기어부(16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어부(161)는 상기 메인기어(140)의 캠구동기어(144)와 맞물려 연동된다. 상기 승강캠(160)의 측면에는 상기 픽업베이스(120)의 연동돌기(123)를 안내하는 캠부(163)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 부호 165는 상기 픽업베이스(120)의 승강을 정확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캠이다.
한편, 상기 메인베이스(120)에는 상기 메인기어(1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이동베이스(11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다. 먼저, 상기 메인기어(140)의 상기어부(141)와 맞물리게 제1오픈기어(170)가 설치된다. 상기 제1오픈기어(170)는 상기 이동베이스(110)의 랙기어(111)와도 맞물려 있다. 이와 같은 제1오픈기어(170)는 상기 픽업베이스(120)가 하강된 상태, 즉 디스크의 재생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이동베이스(11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기어(140)의 하기어부(142)에는 연결기어(172)가 맞물려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연결기어(172)는 제2오픈기어(173)와도 맞물려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오픈기어(173) 역시 상기 이동베이스(110)의 랙기어(111)와 맞물려 있다. 이와 같은 제2오픈기어(173)는 상기 픽업베이스(120)가 상승된 상태, 즉 디스크의 재생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상기 이동베이스(11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구동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모터(130)를 사용하여 트레이(115)의 이동과 픽업베이스(120)의 승강을 모두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트레이(115)의 세트 외부로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오픈스위치(107) 하나와, 픽업베이스(120)의 승강 및 트레이(115)의 세트 내부로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픽업스위치(108) 하나를 사용하게 된다.
이제, 도 5에서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디스크 구동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첫번째로 도 5의 상태를 설명한다. 즉, 도 5의 상태는 상기 픽업베이스(120)가 상승되고, 트레이(110)는 메인베이스(100)의 외부로 빠져나온 상태이다. 이는 다시 말해, 상기 픽업베이스(120)에 한 장의 디스크가 안착되어 동작가능한 상태에서, 트레이(110)의 다른 디스크를 교환하기 위해 트레이(110)를 외부로 빼낸 상태이다.
이때에는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기어(140)의 하방에 대응되는 메인베이스(100) 상에 설치되어 있는 오픈스위치(107)가 오픈스위치리브(147)에 의해 온되어 있고, 픽업스위치(108)은 오프되어 있는 상태이다.
두 번째로, 도 6의 상태는 픽업베이스(120)가 상승되어 있고, 이동베이스(110)가 세트의 내부로 완전히 수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는 픽업베이스(120)에 디스크가 장착되어 재생 혹은 기록이 가능한 상태이고, 상기 트레이(115)는 세트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에는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스위치(107)가 오프되어 있고, 픽업스위치(108) 역시 오프되어 있다.
세 번째로, 도 7의 상태는 픽업베이스(120)가 하강되어 있고, 이동베이스(110)가 세트의 내부에 완전히 수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는 상기 픽업베이스(120)에 디스크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이고, 트레이(115)는 세트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 상기 트레이(115)에는 디스크가 안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에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 스위치(107)가 오프되어 있고, 픽업스위치(108) 역시 오프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도 8의 상태는 픽업베이스(120)가 하강되어 있고, 이동베이스(110)가 세트의 외부로 빠져나와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는 다시 말해 픽업베이스(120)에 디스크가 장착되지 않고 디스크의 장착이나 교환을 위해 상기 트레이(115)가 세트의 외부에 있는 상태이다. 이때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스위치(107)가 상기 오픈스위치리브(147)에 의해 눌러져 온되어 있고, 픽업스위치(108)는 오프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트레이(110)를 세트내로 이동시키기 위해 버튼을 조작하면, 상기 구동모터(130)가 동작되면서 제1기어 및 제 2기어(132,134)를 통해 구동력이 상기 메인기어(140)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기어(140)는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상기어부(141)와 맞물려 있는 상기 연결기어(172)가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기어(172)에 의해 상기 제2오픈기어(173)가 회전되면서, 상기 랙기어(111)와 연동되어 상기 이동베이스(110)가 세트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이동베이스(110)가 세트의 내부로 완전히 이동하게 되면 상기 작동리브(45)에 상기 스톱리브(112)가 걸려 있게 된다.
한편, 실제로 동작되는 경우에는 도 5에서 도 8에 도시된 각각의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른 상태로 동작되는 것이다. 이를 예를 들어 하나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상태에서, 즉 픽업베이스(120)가 상승되어 있고, 디스크가 플레이되고 있거나 플레이 될 수 있고, 트레이(115)가 세트의 외부에 있는 상태에서 도 6의 상태 즉, 트레이(115)가 세트의 내부로 들어가 있는 상태로 되는 것을 설명한다.
즉, 사용자가 트레이(115)가 세트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조작버튼을 누르면, 상기 구동모터(130)에 의해 메인기어(140)가 A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이때에는 상기 연결기어(172)와 메인기어(140)의 하기어부(142)가 서로 맞물려 연동되어 상기 제2오픈기어(173)에 의해 이동베이스(110)가 세트의 내부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이동은 상기 픽업스위치(108)이 상기 메인기어(140)의 픽업스위치레버(148)에 의해 온될 때까지 계속 이루어진다. 일단, 상기 픽업스위치레버(148)에 의해 픽업스위치(108)가 온되면 상기 구동모터(130)는 일시적으로 B방향으로 회전되었다 멈추게 된다. 이는 상기 트레이(115) 상기 픽업베이스(120)에 대해 정확한 위치에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픽업스위치레버(148)가 픽업스위치(108)에 의해 온되는 순간에 이동베이스(110)가 세트의 내부로 들어왔음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구동장치에서 상기와 같은 각각의 상태들 사이에서 상기 메인기어(140)의 동작에 따른 본 발명의 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도 9에 도시된 동작파형도 및 도 10에 도시된 동작과정도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크 플레이어에 전원이 공급되면(제 200 단계), 구동모터(130)의 정,역방향 회전을 초기화하기 위하여 모터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점검한다. 그리고 상기 픽업베이스(120)와 이동베이스(110)의 상태를 픽업스위치(107)와 오픈스위치(108)의 동작상태에 기초해서 점검한다. 만약 이때 디스크가 트레이(115)에 안착되어 있다면, 디스크의 재생을 수행하는 메인동작도 같이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Ⅲ구간의 상태와 같이, 픽업스위치(107)의 초기상태가 오프상태이고, 오픈스위치(108)의 초기 상태 또한 오프상태일 때, 현재 시스템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픽업베이스(120)가 상승되어 있고, 이동베이스(110)는 세트 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라고 판단한다(제 204 단계).
상기 제 204 단계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픽업베이스(120)를 하강하고, 이동베이스(110)를 삽입한 도 7의 상태로 변환시키고자 할 때(제 206 단계), 시스템은 구동모터(130)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메인기어(140)를 A방향(반시계방향)(도 9의 Ⅳ구간)으로 회전시킨다(제 208 단계).
즉, 도 6의 상태에서 구동모터(1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메인기어(1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픽업스위치(108)가 온되고(도 9의 Ⅳ구간), 상기 메인기어(1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픽업스위치리브(148)가 상기 픽업스위치(108)를 계속하여 온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기어(140)의 캠구동기어부(144)와 상기 승강캠(160)의 기어부(161)가 연동되어 상기 승강캠(160)이 화살표I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캠(160)이 회전되면 상기 픽업베이스(120)가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지속되다가 상기 메인기어(140)의 회전이 계속되어 상기 픽업스위치리브(148)가 픽업스위치(108)로부터 이탈되어 픽업스위치(108)가 오프되면(도 9의 Ⅴ구간), 상기 구동모터(130)의 회전이 멈추고, 상기 픽업베이스(120)는 하강된 상태가 된다.
즉, 픽업스위치(107)가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절환되었다가 다시 오프상태가 되었을 때, 픽업베이스(120)의 하강 동작은 완료된다(제 210 단계). 상기와 같이 픽업스위치(107)의 절환동작이 수행될때, 오픈스위치(108)는 이전 상태인 오프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이렇게해서 도 7에 도시된 픽업-다운 클로즈 상태가 완료되는 것이다(제 212 단계).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디스크의 재생을 위한 메인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제 204 단계에서 픽업스위치(107)의 초기상태가 오프상태이고, 오픈스위치(108)의 초기 상태 또한 오프상태를 갖는 도 6의 상태(도 9의 Ⅲ구간)에서, 픽업베이스(120)는 그대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동베이스(110)를 세트 외부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도 5 참조), 구동모터(130)를 도 9의 Ⅱ구간과 같이 시계방향(B방향)으로 구동한다(제 216 단계).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30)의 회전시작 후부터 오픈스위치(108)가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절환되었는가를 판단하고, 동시에 픽업스위치(107)는 이전상태인 오프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가를 판단한다(도 9의 Ⅰ구간). 상기 두 판단조건을 모두 만족했을 때(제 218 단계), 시스템은 픽업베이스(120)는 상승되어 있으면서 이동베이스(110)가 세트 외부로 빠져나온 도 5의 상태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이다(제 220 단계).
다음, 제 204 단계에서 픽업스위치(107)의 초기상태가 오프상태이고, 오픈스위치(108)의 초기 상태 또한 오프상태를 갖는 도 6의 상태(도 9의 Ⅲ구간)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베이스(120)를 하강시키고 이동베이스(110)는 세트 내부에 위치시키고자 할 때(제 222 단계), 구동모터(130)를 도 9의 Ⅳ구간과 같이 반시계방향(A방향)으로 구동한다(제 224 단계).
이때, 상기 구동모터(130)의 구동에 따라서 같이 연동되어서 픽업베이스(120)가 하강되면서 픽업스위치(107)는 온상태로 절환된다. 이렇게 픽업스위치(107)가 온상태를 유지하는 소정구간동안 계속해서 상기 구동모터(130)는 반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한다. 이후, 상기 구동모터(130)의 회전동작은 정지되고, 다시 픽업스위치(107)는 오프상태로 절환된다. 즉, 도 6의 상태에서 도 8의 상태로 변환될 때, 픽업스위치(107)는 상기 구동모터(130)의 회전에 의해서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다시 오프상태로 절환되는 동작을 수행한다(제 226 단계). 이때 픽업스위치(107)의 동작상태의 파형을 도 9의 Ⅳ구간과 Ⅴ구간에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 226 단계의 조건을 만족했을 때, 즉 픽업스위치(107)가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다시 오프상태로 절환되었을 때, 다시 구동모터(130)를 반시계방향(A방향)으로 회전시키면(제 228 단계), 오픈스위치(108)가 도 9의 Ⅶ에 도시되고 이는 바와 같이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온상태로 절환된다(제 230 단계). 이때 도 8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픽업베이스(120)는 하강되면서, 이동베이스(110)는 세트 외부로 빠져나오는 동작이 완료되는 것이다(제 232 단계).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구동장치는 하나의 구동모터를 사용하여 트레이의 이동과 픽업베이스의 승강을 모두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트레이의 세트 외부로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오픈스위치 하나와, 픽업베이스의 승강 및 트레이의 세트 내부로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픽업스위치를 하나만 사용하여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부품을 사용하여 트레이의 동작을 보다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어 정역회전되는 메인구동수단과,
    상기 메인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디스크를 내외부로 이동시키는 디스크이동수단과,
    상기 메인구동수단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크이동수단이 세트의 외부로 이동됨을 감지하는 디스크배출감지수단과,
    상기 메인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디스크이동수단에 의해 세트의 내부로 이동된 디스크를 승강시키는 디스크승강수단과,
    상기 메인구동수단의 회전방향과 회전위치에 따라 디스크의 승강 및 상기 디스크이동수단의 세트 내부로의 이동을 감지하는 디스크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구동수단은 그 측면에 다수개의 기어부가 형성된 기어로서, 상기 디스크이동수단의 구동을 위한 제1 및 제2기어부와,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작동기어부와, 상기 디스크승강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제3기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구동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배출감지수단은 메인구동수단에 구비된 제1온오프부재와, 상기 제1온오프부재의 이동궤적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설치되는 제1접촉스위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구동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감지수단은 메인구동수단에 구비된 제2온오프부재와, 상기 제2온오프부재의 이동궤적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설치되는 제2접촉스위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구동장치.
KR1019980050920A 1998-11-26 1998-11-26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구동장치 KR100275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920A KR100275883B1 (ko) 1998-11-26 1998-11-26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920A KR100275883B1 (ko) 1998-11-26 1998-11-26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869A KR20000033869A (ko) 2000-06-15
KR100275883B1 true KR100275883B1 (ko) 2000-12-15

Family

ID=19559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920A KR100275883B1 (ko) 1998-11-26 1998-11-26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58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176B1 (ko) * 2005-12-23 2007-03-13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모드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869A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1251B1 (ko) 디스크형 기록 매체용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JPH01159859A (ja) Datの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US5197057A (en) Disc changer with dust cover
US5963533A (en) Disk playback device with changer allowing playback of one disk while another can be exchanged
KR100275883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구동장치
US4536865A (en) Bookshelf type record player
US5740135A (en) Disc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selecting a predetermined disc
EP0548465B1 (en) Laser disk player
EP0950243A1 (en) Cd changer with a driving mechanism operated by a single driving source
US5249089A (en) Driving device for loading/unloading a tray for a digital audio tape
US5493460A (en) Driving device for a tape holder of a tape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JPS6310500B2 (ko)
US4171136A (en) Reproducing apparatus for a disk-shaped recording medium
JP3363972B2 (ja) 初期位置復帰装置
KR970000498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카세트 로딩 감지장치
JP3768096B2 (ja) 箱体の昇降装置
JPH10112118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870002046Y1 (ko) 레코오드 플레이어의 스위치기구
KR20030077115A (ko) 슬로트인 방식의 광 디스크 플레이어용 데크 장치
JP3186514B2 (ja) テープカセット装填装置
KR0154169B1 (ko) 광재생장치
JPH07262671A (ja) ディスク装置
JPS6139970A (ja) カセツト自動再生装置
JP2000123456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S6262470A (ja) デイスク再生装置におけるデイスクク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