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5504B1 - 횡렬식 전해조를 포함한 브라운가스 대량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횡렬식 전해조를 포함한 브라운가스 대량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5504B1
KR100275504B1 KR1019980044586A KR19980044586A KR100275504B1 KR 100275504 B1 KR100275504 B1 KR 100275504B1 KR 1019980044586 A KR1019980044586 A KR 1019980044586A KR 19980044586 A KR19980044586 A KR 19980044586A KR 100275504 B1 KR100275504 B1 KR 100275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water supply
electrode plate
pip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6861A (ko
Inventor
김상남
Original Assignee
김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남 filed Critical 김상남
Priority to KR1019980044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5504B1/ko
Priority to JP11114420A priority patent/JP3130014B2/ja
Publication of KR20000026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6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5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25B1/04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producing mixed hydrogen and oxygen gas, e.g. Brown's gas [HHO]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25B15/021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of heating or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60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 C25B9/63Holders for electrodes; Positioning of th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Abstract

본 발명은 물의 전기분해방법에 의해 수소와 산소의 혼합가스 즉, 브라운가스를 단시간에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횡렬식 전해장치에 의한 브라운가스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극판과 (-)전극판이 횡렬식으로 배열되어 있는 전해장치에 의해서 생성되는 수소와 산소의 혼합가스를 포집함과 아울러 전해장치에 보충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다량의 가스를 연속적으로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기대산에 등간격을 형성되어 있는 요홈부에는 하부고정구를 결합하고 하부고정구에 형성된 삽착홈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전극판을 횡으로 입설하여 상부고정구의 저면에 형성된 상부고정구를 결합하여 기대와 고정구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에 스테이볼트를 결합하여 일체로 형성된 전극판유니트를 정합한 전해장치와; 가스상승관과 전해액하강관의 일정길이를 사행으로 벤딩하여 양측에는 핀튜브로 결합하고 내부중앙에는 냉각팬을 설치한 전해액 냉각장치와 ; 내부에 수위센서를 구비하고 일측 하부에는 전해장치와 연결되는 가스상승관과 상부에는 급수탱크와 연결되는 배기관을 설치하고, 타측저부에는 급수관의 일정부위에 연결되는 전해액하강관이 고정되어 있는 하광상협형상의 가스포집탱크와 ; 상부에는 배기관과 배출관이 고정되고 저부에는 하부 전해액탱크에 결합하는 급수관이 장착되어있는 좌협우광형상의 급수탱크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횡렬식 전해조를 포함한 브라운가스 대량 발생장치
본 발명은 물의 전기분해방법에 의해 수소와 산소의 혼합가스 즉 브라운가스를 단시간에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횡렬식 전해조를 포함한 브라운가스 대량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극판과 (-)전극판이 횡렬식으로 배열되어 있는 전해장치에 의해서 생성되는 수소와 산소의 혼합가스를 포집함과 아울러 전해장치에 보충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다량의 가스를 연속적으로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전기분해의 기초이론인 전기화학 기원은 200년전에 시작되었고 1833년 파라데이가 전기분해에 대한 정량적 이론을 최초로 정립한 이래 이렇다 할 진전이 없었다.
이후 1971년 호주의 울 브라운(YULL BROWN)박사는 세계적인 관심사인 무공해 에너지 개발에 몰두하기 시작해서 물(H2O)에서 나오는 수소원자와 산소원자를 일정비율로 결합하면 보다 안전하게 연소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어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에 의해서 고효율의 전해조를 개발하는데 성공하므로서 브라운가스라 불리는 그만의 독특한 연료를 발명하게 되었으며, 브라운가스만의 임프로젼(Impolosion) 특성 및 열핵반응특성등은 종래의 상식과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었던 획기적인 발명으로서 비로소 브라운가스에 대한 이론이 정착하게 된 것이다.
브라운박사에 의해 처음으로 제창된 브라운가스만의 임프로젼 특성과 열핵반응특성은 브라운가스가 비폭발성임을 증명하고있고, 가열대상물에 따라 상이한 열핵반응을 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출원인은 이에 더하여 임프로젼 현상을 측정하여 순간시간 백만분의 44초 동안에 최고압력 0.5MPa에 이르자마자 순간적인 압력강하를 일으키며 진공상태를 만드는 임프로젼 현상을 세계최초로 수치로서 증명하였다.
이러한 브라운가스의 이론은 종전의 상식과 이론과는 판이하게 다른 것으로서, 즉 이전에는 수소와 산소를 2:1로 혼합시켜 연소시키게 되면 격렬한 폭발을 일으키므로 대단히 위험하다고 하는 것으로만 알고 있었고, 이것을 폭명기라고 부르기까지 하였다.
따라서 종전의 가스발생기는 임프로젼 현상 및 열핵반응 특성등의 중요한 가스특성을 알지 못한 상태에서 개발된 것이기 때문에 원천적으로 기술적 한계에 직면할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이 브라운가스의 특성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는 본 출원인이 연구하여 제안한 바 있는 실용신안등록제117445호 ″산소-수소가스 발생기의 전해조구조″에 의해서 새로운 브라운가스 발생기가 탄생하고 전기분해의 기술적 발전을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전해조구조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몸판에 전류연결볼트와 전해액연결니플을 가진 전해조마감판을 2개 구비하고 4개의 스테이볼트로서 양쪽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양쪽의 전해조마감판 사이에는 사방에 볼트 구멍이 형성되고 중심 상측과 하측에 가스유통장공과 전해액 유통장공이 수직 수평간으로 형성된 전극판과 일측으로 돌출된 볼트하우징이 형성된 스페이서를 원형으로 형성하여 교호 반복적으로 결합하여 상기의 스페이서의 내주연면에는 ○-링으로 씰링하여 전해액충전실을 구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제안되어 현재 가스용접, 가스절단, 가열 등의 열가공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브라운가스는 연소후 수증기상태로 환원되므로 무공해에너지로서 환경보호나 대체에너지로서 하루속히 난방용 등의 산업분야에서 범용화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브라운가스 발생기는 용량이 적어 용도가 제한적이고, 자동급수가 이루어지지 않고 냉각방법 또한 대용량의 가스를 생산하기에는 부적당한 것이 사실이었다.
본 발명자는 상기에서 지적되고 있는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고 더 나아가서는 일부 특정산업분야에 이용하는 것을 탈피하여 여러 산업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브라운가스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단시간에 다량의 가스를 얻을 수 있는 본 발명을 제안하기에 이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라운가스를 대량 생산하기 위해 전극판의 유효면적을 크게 제안한 횡렬식 전해장치와 전기분해과정에서 소모되는 물을 계속적으로 보충하여 연속적으로 브라운가스를 얻을 수는 횡렬식 전해조를 포함한 브라운가스 대량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기대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요홈부에는 하부 고정구를 결합하고, 하부 고정구에 형성된 삽착홈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전극판을 횡으로 입설하여, 상부 고정구의 저면에 삽착홈이 형성된 상부 고정구를 결합하여 기대와 상, 하부 고정구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에 스테이볼트를 결합하여 일체로 형성된 전극판유니트를 정합한 전해장치와 ; 가스상승관과 전해액하강관의 일정길이를 사행으로 벤딩하여 양측에는 핀튜브로 결합하고, 내부 중앙에는 냉각팬을 설치한 전해액 냉각장치와 ; 내부에 수위센서를 구비하고 일측 하부에는 전해장치와 연결되는 가스상승관과 상부에는 급수탱크와 연결되는 배기관을 설치하고, 타측 저부에는 급수관의 일정부위에 연결되는 전해액하강관이 고정되어 있는 하광상협형상의 가스포집탱크와 ; 상부에는 배기관과 배출관이 고정되고 저부에는 하부전해액탱크에 결합하는 급수관이 장착되어 있는 좌협우광형상의 급수탱크로 구성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의 장치를 이용하여 대량의 브라운가스를 얻게 되는 것으로서, 이는 전극유니트가 내설되어 있는 전해장치에서 발생된 브라운가스와 전해액은 가스상승관에 구비된 냉각부를 통과하면서 1차 냉각시킨 후, 상부의 가스포집탱크에 포집되고, 포집된 브라운가스는 배기관으로 상승하여 급수탱크에 집적되게 하고, 전해액은 전해액하강관에 구비된 냉각부를 경유하여 하부 전해액탱크로 공급하고, 급수탱크의 상부에 집적된 브라운가스는 배출관을 통해 연소기기로 공급하고, 급수탱크에 만수된 보충수는 가스포집탱크의 내부에 설치된 수위가 저수위로 떨어지면 급수관에 장착되어 있는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여 물이 하부 전해액탱크를 통해 전해장치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브라운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전해유니트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해유니트의 일부 절결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해유니트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상태를 예시한 일부 절결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기대 2,2'…체결홈 3…하부고정구 4…(+)전극판
5…(-)전극판 6...상부고정구 10…전해장치 11…가스상승관
12…전해액하강관 13,13'…냉각부 14,14'…핀튜브 15…냉각팬
20…냉각장치 21…수위센서 25…가스포집탱크 26…가스배기관
27…가스배출관 28…급수관 29…수위센서 30…급수탱크
40…하부전해액탱크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횡렬식으로 조합된 전극유니트(A)에 의해서 브라운가스를 생성하는 전해장치(10)와, 전해장치(10)에 의해서 생성된 브라운가스와 전해액을 냉각시키는 전해액 자연순환 냉각장치(20) 및 브라운가스를 포집하는 가스포집탱크(25) 및 전해장치(10)에 계속적으로 물을 자동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탱크(3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의 전해장치(10)의 전체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정간극을 유지한 한 쌍의 기대(1)(1')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2)(2')에는 하부고정구(3)를 삽입하게 된다.
하부고정구(3)는 (+)전극판(4)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3a)와 (-)전극판(5)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3b)로 구성되어 기대(1)(1')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홈(2)(2')상에 교번으로 연속적으로 반복 배열한다.
그리고 상기의 하부고정구(3)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배설되어 있는 삽착홈(3c)상에 (+)전극판(4)과 (-)전극판(5)을 용량에 따라 횡방향으로 적정수 배열하게 되는 것으로서, 도 1에서는 (+)(-)전극판을 횡으로 5개, 종으로 4개를 각각 배열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부고정구(3)에 형성되어 있는 삽착홈(3c)에 삽입되어 입설되어 있는 (+)(-)전극판(4)(5)의 상부에는 저면에 하부고정구(3)상에 형성되어 있는 삽착홈(3c)과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삽착홈(6c)이 형성된 상부고정구(6)를 결합하게 된다.
상, 하부의 삽입된 전극판(4)(5)의 요동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고정구(3)와 상부고정구(6)의 양단부에 천공되어 있는 통공(3d)(6d)에 스테이볼트(8)(8')을 삽입하여 상부고정구(6)와 기대(1)의 저면에서 볼트(9)(9')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견고하게 고정된 (+)전극판(4)과 (-)전극판(5)의 일측을 전선으로서 상호 연결하여 이에 전원을 공급하면 전원이 도통되어 (+)전극판과 (-)전극판 사이에 충만되어 있는 전해액은 전기 분해되어 브라운가스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전극판유니트(A)는 직육면체 또는 원통형상의 전해탱크(T) 내부에 안치되어 전기분해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서, 전극판의 유효면적을 전극판의 숫자에 따라 넓게 할 수 있도록 제안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전해액 자연순환 냉각장치(20)는 전해장치(10)와 가스포집탱크(25)를 연결하는 가스상승관(11)과 가스포집탱크(25)와 하부전해액탱크(40)에 연결되어 있는 전해액하강관(12)의 일측개소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의 구성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상승관(11)과 전해액하강관(12)의 일정부위를 사행으로 밴딩시켜 브라운가스(B)와 전해액(E)의 이송거리를 최대한 길게 하기 위한 냉각부(13)를 형성하고, 이 냉각부(13)의 양측에는 냉각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핀튜브(14)를 결합하고, 또 중앙에는 냉각팬(15)을 장착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냉각부(13)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전해액과 브라운가스는 상부의 가스포집탱크(25)에 포집되는 것으로서, 이의 구성은 정방형상으로서 우측의 일면을 축소하여 하광상협형상으로 구성되어 브라운가스는 상부로 이동하여 공간부에 포집되고 전해액은 전해액하강관(12)으로 순환하도록 하였으며, 내부에서는 전해액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21)가 구비되어 가스포집탱크(25)의 내부에 충만되는 전해액의 양을 항상 일정높이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전해액의 수량이 소모되어 저수위에 도달하면, 후술하는 급수관(28)에 장착된 솔레노이드 밸브(S)를 작동시켜 급수탱크의 물을 전해장치(10)에 공급하게 되고, 전해장치(10)에서는 소모된 수량에 상응하는 양의 전해액이 보충되게 되어 이로 인해 정상수위를 유지하게 되면 다시 솔레노이드밸브(S)가 폐쇄된다.
한편, 가스포집탱크(25)에 포집된 가스는 상부로 이동하여 배기관(26)을 경유하여 급수탱크(30)로 이송되고 내부에 만수되어 있는 전해액은 전해액하강관(12)을 따라 하부로 이동한다.
하부로 이동하여 전해장치(10)에 공급되는 전해액은 전해액하강관(12)의 일정개소에 장착되어 있는 또 다른 냉각부(13')에 의해서 냉각되어 하부전해액탱크(40)로 공급되고 전해액보충관(41)을 통하여 전해장치(10)에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가스상승관(11)의 냉각부(13)의 외부에 핀튜브(14)를 2개의 조를 만들어 수직으로 설치하고, 전해액하강관(12)에 형성된 냉각부(13')외부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핀튜브(14')를 2개의 조로 만들어 수직으로 설치하므로서, 양쪽 핀튜브(14)(14')의 중앙에 냉각팬(15)을 장착하고 외부를 밀폐하므로서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는 강력한 팬의 송풍력에 의해서 핀튜브(14)(14')를 통과하면서 내부에 사행으로 밴딩된 냉각부(13)(13')를 통과하는 브라운가스와 전해액을 냉각시키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구성요소인 자동급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급수탱크(30)는 가스포집탱크(25)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이의 형상도 가스포집탱크(25)와 마찬가지로 가스집합부(30a)의 용적을 가능한한 작게 하기 위하여 좌협우광형상을 취하고 있다.
이 급수탱크(30)에는 가스포집탱크(25)에서 상승하는 브라운가스를 인도하는 배기관(26)의 단부가 저부에 근접하도록 배설하고, 일측에는 배출관(27)을 설치하여 외부의 후레쉬백 아레스터(F)에 연결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하부전해액탱크(4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28)이 구비되어 있다.
급수관(28)상에는 솔레노이드밸브(S)를 장착하여 가스포집탱크(25)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수위센서(21)가 저수위로 떨어지면 자동적으로 개방되고 전해액이 보충되어 정상위치로 복귀하면 폐쇄되어 급수탱크(30)내의 물을 하부전해액탱크(40)에 공급 및 차단하게 된다.
또한, 급수탱크(30)의 내부에는 소모되는 물의 양을 관찰하기 위한 수위센서(29)가 구비되어 저수위경고장치에 의해 필요한 양을 급수하게 된다.
상기의 급수탱크(30)는 전해장치(10)에 보충수를 공급하는 급수 목적 외에도 후레쉬백아레스터(Flash Back Arrester)의 기능과 아울러 탱크내부를 통과하는 브라운가스의 냉각기능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급수탱크(30)는 후레쉬백에 의한 역화시 후레쉬백아레스터(F)에서 역화방지에 실패하더라도 재차 역화방지가 되도록 제안된 것이다.
또 가스포집탱크(25)와 급수탱크(30)를 연결하는 가스배기관(26)은 물속에 침지되는 부분은 코일형태로 하여 배기관(26)과 물의 접촉을 많게 하고, 단부는 물속 깊숙이 넣어서 급수탱크(30)의 저면에 근접하도록 하여 배기관(26)을 통과하는 가스는 물속을 통과한 후 급수탱크(30)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가스집합부(30a)에 모이게 되고, 이와 같이 포집된 브라운가스는 가스배출관(31)을 통하여 별도로 장착된 후렛쉬백아레스터(F) 및 화염조정기(G)를 통과하여 연소기구의 노즐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본 자동급수장치는 상기 가스포집탱크(25)의 내부에 걸리는 압력과 급수탱크(30)에 걸리는 내부압력을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급수탱크(30)내의 물이 중력에 의해 하부전해액탱크(40)로 이동되도록 한 것으로서, 이때 솔레노이드밸브(S)는 가스포집탱크(25)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수위센서(21)와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이 일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면, 극판의 유효면적을 설정하여 전극판(4)(5)의 크기를 정하고 용량에 따라 적정수 배설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극판(4)을 횡으로 12개 종으로 20개 또 (-)전극판(5)을 횡으로 12개 종으로 20개를 배열하여 합계 480개의 전극판을 배열한 전극유니트(A)로서 실험한 결과를 토대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적정수의 (+)(-)전극판(4)(5)을 배설하여 유효면적을 크게 만든 전극유니트(A)를 전해장치(10)에 내설하고, 상,하부고정구상에 삽입되어 고정된 전극판(4)(5)의 양단에 전선을 연결하여 직류변환장치에 의해 DC50V의 전압이 걸리도록 하고, AC 220V의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전해장치(10)에 내설된 전극유니트(A)에 의해서 전기분해가 이루어지므로써, 브라운가스를 생성하게 되고, 이 브라운가스와 일부 전해액은 가스상승관(11)을 경유하여 상승하면서 외주연에 장착되어 있는 냉각장치(20)에 의해 냉각되어 가스포집탱크(25)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포집된 브라운가스는 가스배기관(26)을 경유하여 급수탱크(30)에 공급하여 이 급수탱크(30)에 일정높이로 충만되어 있는 물에 의해 재냉각되어 가스배출관(27)을 통해서 외부기기인 후레쉬백 이레스터를 통해 연소기기인 노즐로 분사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스포집탱크(25)에 일정수위로 유지되고 전해액은 하부전해액탱크(40)와 가스포집탱크(25)를 연결하는 전해액하강관(12)에 의해서 계속적으로 보충하게 되고, 또 전기분해과정에서 소모되는 물은 가스포집탱크(25)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수위센서(21)의 감지에 의해서 급수관(28)에 장착되어 있는 솔레노이드밸브(S)를 개방하므로서, 전해장치(10)에 보충수를 공급하게 되고, 전해액 자연순환장치를 작동하여 풍량 3,000M3/H인 냉각팬(15)을 가동시켜 전해액의 냉각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었다.
이렇게 하여 얻게 되는 브라운가스의 생산량은 4,600L/H로서 단시간에 대량의 브라운가스를 얻게 되어 일반산업분야에 널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횡렬식 전해장치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브라운가스를 생성하여 이를 냉각하여 가스포집탱크에 포집한 후 배기라인을 통해 연소기구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전해장치의 전기분해에 의한 소모되는 물은 급수탱크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공급이 이루어지므로서, 단시간에 많은 양의 브라운가스를 얻을 수 있어 이로 인해 난방시설, 보일러, 건조로, 단조로, 가열로 등의 연소실에 브라운가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일반산업분야에 널리 응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브라운가스는 자체산소에 의해 연소가 가능하므로 연소실에 브로어에 의해 공기를 강제로 공급할 필요성이 없으며 또 굴뚝도 필요 없게 되어 연소실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어 시설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특히 연소과정에서 공해물질의 배출이 전혀 없으므로 자연환경에도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우리생활에 너무나도 유용한 브라운가스의 수요는 무궁무진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요를 충당할 수 있는 횡렬식 전해조를 포함한 브라운가스 대량발생장치의 발명은 그 효과가 지대하다 하지 않을 수 없다.

Claims (5)

  1. 기대산에 등간격을 형성되어 있는 요홈부에는 하부고정구를 결합하고 하부고정구에 형성된 삽착홈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전극판을 횡으로 입설하고 상부에는 저면에 협착홈이 형성된 상부고정구를 결합하여 기대와 고정구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에 스테이볼트를 결합하여 일체로 형성된 전극판유니트를 정합한 전해장치와 ; 가스상승관과 전해액하강관의 일정길이를 사행으로 벤딩한 냉각부의 양측에는 핀튜브로 결합하고 내부 중앙에는 냉각팬을 설치한 전해액 냉각장치와 ; 내부에 수위센서를 구비하고 일측 하부에는 전해장치와 연결되는 가스상승관과 상부에는 급수탱크와 연결되는 가스배기관을 설치하고, 타측 저부에는 급수관의 일정부위에 연결되는 전해액하강관이 고정되어 있는 하광상협형상의 가스포집탱크와 ; 상부에는 가스배기관과 가스배출관이 고정되고 저부에는 하부 전해액탱크에 결합하는 급수관이 장착되어 있는 좌협우광형상의 급수탱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렬식 전해조를 포함한 브라운가스 대량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기대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체결홈에 결합되는 전극판고정구는 (+)전극판고정구와 (-)전극판고정구를 교번으로 연속적으로 반복해서 배열하고, (+)(-)전극판의 양단부는 상,하고정구의 측면에 당접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렬식 전해조를 포함한 브라운가스 대량 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장치는 가스배기관의 단부를 코일형상으로 하여 급수탱크의 저부에 근접되도록 하여 급수탱크와 가스포집탱크의 내부압력이 항시 동일하도록 하여, 수위차의 중력에 의해 자연 급수되도록 하고, 가스포집냉크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수위센서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급수관의 일정부위에 장착하여 자동급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렬식 전해조를 포함한 브라운가스 대량 발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의 저부에 근접토록 설치하는 배기관의 단부를 코일형상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렬식 전해조를 포함한 브라운가스 대량 발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고정구에 형성된 삽착홈에 삽입 고정되는 (+)(-)전극판을 종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고, 횡으로 피치의 1/2이 상호 중첩되도록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렬식 전해조를 포함한 브라운가스 대량 발생장치
KR1019980044586A 1998-10-23 1998-10-23 횡렬식 전해조를 포함한 브라운가스 대량 발생장치 KR100275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586A KR100275504B1 (ko) 1998-10-23 1998-10-23 횡렬식 전해조를 포함한 브라운가스 대량 발생장치
JP11114420A JP3130014B2 (ja) 1998-10-23 1999-04-22 横列式電解槽を含むブラウンガス大量発生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586A KR100275504B1 (ko) 1998-10-23 1998-10-23 횡렬식 전해조를 포함한 브라운가스 대량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6861A KR20000026861A (ko) 2000-05-15
KR100275504B1 true KR100275504B1 (ko) 2001-04-02

Family

ID=19555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586A KR100275504B1 (ko) 1998-10-23 1998-10-23 횡렬식 전해조를 포함한 브라운가스 대량 발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30014B2 (ko)
KR (1) KR10027550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665B1 (ko) * 2001-03-20 2004-03-24 주식회사 유니온 가변형 전해조에 의한 대용량 산소, 수소 혼성 가스 발생장치
KR100479472B1 (ko) * 2002-02-04 2005-03-30 주식회사 이앤이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
WO2011115370A2 (ko) * 2010-03-15 2011-09-22 유니테크 주식회사 차아염소산나트륨 제조용 전해조
WO2013005885A1 (ko) * 2011-07-04 2013-01-10 김천우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
KR20210040582A (ko) 2019-10-04 2021-04-14 이정용 튜브형 전기분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013Y1 (ko) * 2000-06-09 2000-11-15 주식회사옥시켐 디지탈 수산화가스 보일러
AU2000267366A1 (en) * 2000-08-22 2002-03-04 Sang Nam Kim Heating apparatus using thermonuclear reaction of brown gas
KR100367223B1 (ko) * 2000-09-28 2003-01-14 김상남 브라운가스 보일러
AU2001237721A1 (en) * 2000-09-28 2002-04-08 Sang-Nam Kim The brown gas combustion apparatus and heat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0420677B1 (ko) * 2001-02-16 2004-03-02 주식회사 이앤이 수냉식 냉각장치를 갖는 고효율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
KR100897203B1 (ko) * 2001-05-02 2009-05-14 니혼 테크노 가부시키가이샤 수소-산소 가스발생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수소-산소가스발생방법
KR100450134B1 (ko) * 2001-09-25 2004-10-06 주식회사 이앤이 대용량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
KR100450835B1 (ko) * 2002-01-15 2004-10-01 김상남 횡렬식 전해조를 포함한 브라운가스 대량발생장치
US7014740B2 (en) 2002-12-11 2006-03-21 Sang-Nam Kim Brown gas mass production apparatus including a line style electrolytic cell
KR100503886B1 (ko) * 2002-12-21 2005-08-01 김상남 고효율 브라운가스발생기
CN1304641C (zh) * 2003-05-06 2007-03-14 金相南 包括直线型电解池的Brown气体批量生产设备
WO2005020352A1 (en) * 2003-08-24 2005-03-03 Mohammad Ahmad Electricity production system
KR20050050045A (ko) * 2003-11-24 2005-05-27 강성덕 브라운 가스의 새로운 용도
JP4074322B2 (ja) 2006-07-06 2008-04-09 炳霖 ▲楊▼ 電気分解を利用した燃焼ガス発生装置及び車載用燃焼ガス発生装置
KR100925754B1 (ko) * 2007-09-18 2009-11-11 삼성전기주식회사 반응기 커버, 이를 구비한 수소 발생 장치 및 연료 전지발전 시스템
JP4745309B2 (ja) * 2007-10-18 2011-08-10 炳霖 ▲楊▼ 水素酸素混合ガス燃焼装置の消火装置および消火方法
JP4745313B2 (ja) * 2007-11-02 2011-08-10 ▲ふく▼楊 久慶 空気加熱装置
KR100965353B1 (ko) * 2008-05-14 2010-06-22 김상남 공냉식 전해조를 이용한 브라운가스 자동공급장치
KR100900914B1 (ko) * 2008-12-05 2009-06-03 황부성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
CN102139978B (zh) * 2010-12-31 2013-01-02 清华大学 一种移动式餐饮废水处理设备
JP2013151400A (ja) * 2012-01-26 2013-08-08 Yasutane Takato 水素ガス発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010Y2 (ko) * 1987-03-13 1990-05-11
JPH0892780A (ja) * 1994-09-27 1996-04-09 Dalnivast Aktion Opushestva Atokurita Chiipa Praizuvotsuto Izuje Elektron Darielektron 水電解ガス発生装置
JP3035478B2 (ja) * 1995-06-22 2000-04-24 スガ試験機株式会社 酸素・水素電解ガス製造装置および該装置を用いた超高純度水製造装置
JP3037121B2 (ja) * 1995-11-20 2000-04-24 神鋼パンテツク株式会社 水素・酸素発生装置
JP3228883B2 (ja) * 1997-01-27 2001-11-12 神鋼パンテツク株式会社 水素・酸素発生装置の運転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水素・酸素発生装置
JP3409996B2 (ja) * 1997-06-27 2003-05-26 神鋼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オゾン水製造装置及びその装置によるオゾン水の製造方法
JP3340385B2 (ja) * 1998-05-06 2002-11-05 株式会社ササクラ オゾン発生用の電解槽及びこれを用いた水処理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665B1 (ko) * 2001-03-20 2004-03-24 주식회사 유니온 가변형 전해조에 의한 대용량 산소, 수소 혼성 가스 발생장치
KR100479472B1 (ko) * 2002-02-04 2005-03-30 주식회사 이앤이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
WO2011115370A2 (ko) * 2010-03-15 2011-09-22 유니테크 주식회사 차아염소산나트륨 제조용 전해조
WO2011115370A3 (ko) * 2010-03-15 2011-12-29 유니테크 주식회사 차아염소산나트륨 제조용 전해조
CN102762773A (zh) * 2010-03-15 2012-10-31 唯一科技股份公司 次氯酸钠制造用电解槽
US8753490B2 (en) 2010-03-15 2014-06-17 Unitech Co., Ltd Electrolyzer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WO2013005885A1 (ko) * 2011-07-04 2013-01-10 김천우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
KR101360353B1 (ko) 2011-07-04 2014-02-07 서용석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
KR20210040582A (ko) 2019-10-04 2021-04-14 이정용 튜브형 전기분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30014B2 (ja) 2001-01-31
KR20000026861A (ko) 2000-05-15
JP2000129480A (ja) 2000-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5504B1 (ko) 횡렬식 전해조를 포함한 브라운가스 대량 발생장치
US7014740B2 (en) Brown gas mass production apparatus including a line style electrolytic cell
US6630061B2 (en) Apparatus for generating a mixture gas of oxygen and hydrogen
WO2015115881A1 (es) Reactor electroquimico para la produccion de gas oxihidrógeno
US9005412B2 (en) Electrolyzer
JP4571386B2 (ja) ブラウンガス発生装置
KR20020032272A (ko) 산소/수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JP5893637B2 (ja) 水素−酸素ガス発生装置
KR100824827B1 (ko) 전해조 일체형 전해액탱크를 갖는 워터가스 발생장치
KR100859604B1 (ko) 워터가스 발생장치
JPH11302885A (ja) 水素と酸素との可燃性混合ガス発生装置
CA3009375A1 (en) Electrolytic cel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60091136A (ko) 전해효율이 향상된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및 그 사용방법
KR101798606B1 (ko) 물 전기분해 장치
KR100780515B1 (ko) 공냉식 전해조를 이용한 브라운가스 자동공급장치
KR100833735B1 (ko) 워터가스와 연료가스의 혼합장치
KR100407481B1 (ko) 수소가스발생장치
ES2315077B1 (es) Demostrador didactico del ciclo solar del hidrogeno.
CN206328468U (zh) 电解法二氧化氯发生器
KR0117445Y1 (ko) 산수가스 발생기의 전해조구조
KR100877434B1 (ko) 워터가스와 에멀전유 증기의 혼합 연소장치
KR100424665B1 (ko) 가변형 전해조에 의한 대용량 산소, 수소 혼성 가스 발생장치
KR200222276Y1 (ko) 수소가스발생장치
KR20020094396A (ko) 가스 발생장치
KR20010112577A (ko) 디지탈 수산화가스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