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5056B1 - 데이타 처리 시스템 및 화상 축소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타 처리 시스템 및 화상 축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5056B1
KR100275056B1 KR1019920011719A KR920011719A KR100275056B1 KR 100275056 B1 KR100275056 B1 KR 100275056B1 KR 1019920011719 A KR1019920011719 A KR 1019920011719A KR 920011719 A KR920011719 A KR 920011719A KR 100275056 B1 KR100275056 B1 KR 100275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duced
pixels
pixel
ori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1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744A (ko
Inventor
드 보겔 로베르트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930003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0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데이타 처리 시스템(10)에서 서류의 수 많은 축소 화상이 VDU(14)의 스크린에 동시에 보여진다. 화상은 2 단계 과정을 거쳐 축소된다. 제1단계는 선형 축소율이 20인 중간 화상을 얻기 위한 실행 길이 알고리듬으로 구성되고, 제2단계어스는 중간 화상의 화소(1 내지 9) 블럭을 선형 축소율 3으로 더욱 축소하기 위해 축소 화상의 1개 화소로 대체한다. 축소 화상의 화소에는 중간 화상의 화소(1 내지 9) 블럭에 포함된 흑화소의 분포에 따라 명도 값이 지정된다.

Description

데이타 처리 시스템 및 화상 축소 방법
제1도는 데이타 처리 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원래 화상의 화소를 중간 화상의 화소로 축소하는 실행 길이 코딩(run-length coding)도.
제3도는 중간 화상을 압축 화상으로 축소하는 화소 세트 축소 과정도.
제4도는 시각 디스플레이 유니트(Visual Display Unit : VDU) 상에 나타난 몇 개 화상의 디스플레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화상 저장 메모리 12 : 서류 스캐너(scanner)
13 : 워크스테이션
14 : 시각 디스플레이 유니트(VDU : Visual Display Unit)
15 : 키보드 16 : 프로세서
1,2,..., F-1, F, F+1... : 원형 화상의 행번호 F : 선형 축소율
pi: 원형 화상의 천이점 좌표(i = 0,..., n : n은 정수)로, 원형 화상의 한 행에서 상접한 흑백 화소중 하나의 열 좌표. 단, P는 행의 첫번째 화소의 열좌표이며, 이후 Pi는 Pi-1이, 원형 화상의 한행에서 i-1번째 상접 흑백 화소중 백화소의 좌표이면, i번째 상접 흑백 화소중 흑화소의 좌표가 되고 Pi-1이 i-1번째 상접 흑백 화소중 흑화소의 좌표이면 i 번째 상접 흑백 화소중 백화소의 좌표가 된다.
22 : 천이점(Pi) 배열 qi: 중간 천이값(qi=Pi/F)
23 : 중간 천이값(qi) 배열 24 : 중간 행
본 발명은 복수의 래스터 포인트(raster point)를 갖는 래스터형 VDU(Visual Display Unit)와 원형 화소값 세트로 이용되는 원형 화상에서 VDU 디스플레이용 축소 화상을 생성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데이타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원형 화상의 수개 화소로 구성된 블럭은 축소 화상에서 단일 화소로 표현된다. 이같은 데이타 처리 시스템은 수 페이지로 구성된 파일(file)을 취급하는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데, 파일의 페이지수는 많은 경우 수백 페이지에 이르기도 한다.
이같은 사무 환경에서는, 서류의 모든 페이지를 세세히 읽어보지 않더라도 서류의 내용을 전체적으로 훑어봄으로써 서류의 종류를 알아 볼 수 있게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같은 데이타 처리 시스템은 WO 89/11695 로부터 알 수 있다. 기존의 데이타 처리 시스템에서는 파일의 각 페이지가 축소된 형태로 VDU 상에 나타나는데, 가령 화상 디지타이저(digitizer)로 스캐닝된 텍스트-페이지의 원형 화상을 몇개 화소로 구성되는 블럭으로 분할하여 이 블럭을 단일 화소로 표현함으로써 축소 화상이 얻어진다. 이 축소 화상의 화소값을 결정하려면, 이 화소에 상응하는 원형 화상의 블럭에 포함된 화소의 평균값을 콘트라스트 보강하여야 한다. 축소 화상 각 화소의 화소값은 그에 상응하는 원형 화상의 블럭에 포함된 화소의 평균값뿐 아니라 인접 블럭에 포함된 화소와의 관계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다.
선형 8 요소 축소법은 WO 89/11695에 기술되어 있으며 만족할만한 결과를 준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더 이상의 화상 축소가 어려워지는데, 축소율을 크게 하려면 결국 한 화소로 축소하려는 원형 화상의 블럭에 포함된 화소의 수가 증가하여야 하고 이렇게 되면 각 블럭을 구성하는 화소의 평균 명도(grey level)는 거의 동일한 값이 되어 축소 화상의 구성 화소 대부분이 동일한 명도를 갖게 되버리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축소된 페이지의 상세한 부분은 더이상 구별이 불가능해지고 시스템 사용자는 찾고자 하는 페이지를 찾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축소율을 낮출 필요가 생기는데 그러나 이렇게 하면, 서류의 수많은 페이지의 특징을 한 눈에 파악하기 곤란해져 결국 서류의 종류를 분간하기 어려워지는 현상이 수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사용자가 극도로 축소된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서류의 페이지를 보고도 그 서류 내용의 특징적 인상을 얻을 수 있는 데이타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또한 각 페이지의 특징이 충분히 인식가능할 정도로 나타나서, 사용자가 페이지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축소형 화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일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축소 화상으로부터 각 서류의 종류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데도 있다.
필요한만큼 축소되고도 각 페이지의 특성과 종류를 분간할 수 있는 화상을 얻기 위해 본 발명의 데이타 처리 시스템은, 축소 화상 생성 수단이, 축소 화상의 화소에 지정될 명도 또는 색체를, 축소 화상에서 단일 화소로 표현될 원형 화상의 화소 블럭에 포함된 화소의 명도 패턴의 함수로 결정하는 화상 축소 수단을 구비하고, VDU의 각 래스터 포인트가 다수의 명도(grey level) 값 또는 색채 값중 하나로 조정되며, 디스플레이된 축소 화상의 각 화소가 VDU의 각 래스터 포인트에 의해 나타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축소 화상은 각 화소를 다양한 휘도로 나타내는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다. 축소 알고리듬은 단지 축소 화상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원형 화상 블럭에 포함된 화소의 평균 명도만이 아니라, 그들의 분포에 의거하여, 축소 화상 각 화소의 명도를 결정한다. 적정한 코딩기법을 사용함으로써, 페이지의 특징적 사항이 축소 과정에서 그대로 보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타 처리 시스템은, 화상 축소 수단이, 원형 화상을 중간 화상으로 축소하는 제1처리 수단과 중간 화상을 축소 화상으로 축소하는 제2처리 수단으로 구성되며, 제2처리 수단은, 축소 화상이 각 화소로 표현될 중간 화상 블럭에 포함된 화소값의 분포를 고려하여 축소 화상 각 화소의 명도값 또는 색채값을 결정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축소율을 충분히 크게 하려면 축소 화상에서 하나의 화소로 표현될 원형 화상의 블럭에 포함된 화소의 수가 많아야 한다.
원형 화상의 화소가 단지 2개의 명도, 즉 백(또는 on)과 혹(또는 off)만으로 표현된다 해도, 블럭내 화소의 명도 분포 형태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결국 명도 분포 형태의 분석은 까다로와지고 소요 시간이 길어진다.
축소 과정을 2가지 단계로 분할함으로써 축소 화상에서 하나의 화소로 표현될 원형 화상의 화소 블럭에 대한 분석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처리 시스템의 제2처리 수단에는 중간 화상의 블럭에 포함된 화소의 명도 분포로부터 축소 화상 각 화소의 명도값 또는 색채값을 결정하는데 활용되는 명도값 분포 룩-업 테이블(look-up-table)이 제공되어 있다. 중간 화상의 화소 블럭에 대한 분포 형태의 수가 한정되어 있다면, 룩-업 테이블을 활용함으로써 각 분포를 축소 화상의 명도로 변환하는 과정이 신속히 이루어지는 한편 과다한 메모리 소요가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근거한 데이타 처리 시스템의 구현예에서, 제2처리 수단은 중간 화상의 3 x 3 화소 블럭을 축소 화상의 한개 회소로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축소율에 따른 명도 결정과 분포 테이블 저장에 필요한 장치(CPU 와 메모리 등)는 어렵지 않게 구현될 수 있다. 가령 상기한 3 x 3 화소 블럭에 대한 명도 분포 형태의 종류, 즉 룩-업 테이블의 엔트리 수는 29=512개에 불과하다. 또한 4 x 4 화소 블럭을 채택한다 해도 명도 분포 형태는 216=65536종에 불과해, 현재 유통되는 메모리의 가격을 생각한다면 데이타 처리 시스템 구현에 큰 어려움이 수반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원형 화상에서 중간 화상을 얻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된 데이타 처리 시스템의 1차 처리 수단은 원형 화상의 화소를 실행길이 코딩(run-lengthcoding)함으로써 중간 화상의 화소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축소 알고리듬에 따라 서류의 페이지에 대한 전체적인 특성의 세부 사항을 크게 손실하지 않고도 충분한 축소율로 원형 화상을 축소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대략 20배의 축소율까지 가능한 것이다.
이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 및 그 구현예에 대해 설명하겠다.
제1도에는 데이타 처리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보여져 있다. 시스템(10)은 화상을 저장하는 메모리(11) 가령, 수개의 광디스크로 이루어진 광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다. 시스템(10)에는 또한, 저장에 앞서 화상을 디지타이징(digitizing)하는 서류 스캐너(20)(scanner) 및 시각 디스플레이 유니트(14)와 키보드(15) 따위의 입력용 주변 장치를 갖춘 워크스테이션(13)이 구비되어 있다. 워크스테이션과 스캐너 및 메모리에 대한 제어와 그들사이의 통신은 프로세서(16)에 의해 수행된다. 워크스테이션과 프로세서가 개인용 컴퓨터(PC)로 대체된다면 전체 시스템은 소형이 될 수 있고, 전체 시스템이 수개의 스캐너와 워크 스테이션 및 중앙 프로세서로서 메인 프레임 컴퓨터를 구비한다면 시스템으로 구현되어야 한다.
데이타 처리 시스템(10)을 사용하는 오퍼레이터는 스캐너(12)를 이용해 서류의 각 페이지를 디지타이징(digitizing)하여 서류를 시스템에 입력한다. 디지타이징은 각 페이지를 수많은 화소로 세분하여 각 화소에 흑 또는 백에 상응하는 수치를 지정함으로써 달성된다. 흑과 백 사이의 명도는 인접한 화소에 흑과 백을 번갈아 지정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는데, 이때 흑백의 교번 주파수는 원형 화상의 명도에 따라 다르다. 스캐너로는 밀리미터당 8개 또는 12개 화소의 해상도를 갖는 것이 상업화되어 있으며 팩시밀리 등에 사용되고 있다. 서류를 입력하는 방법으로는 다른 처리 시스템에서 미리 디지타이징된 형태의 서류를 전화선 따위의 전자 채널로 보내는 방법과 자기 또는 광 기록 매체에 기록된 디지타이징된 화상을 읽어들이는 방법이 있다. 데이타 처리 시스템(10)에서는 서류와 파일이 서로 논리적 연관 관계를 이루고 있다. 가령 보험 회사 관련 데이타 세트를 나타내는 파일은 보험 회사의 고객 또는 보험 대상에 관계된 모든 서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파일을 다루는 사람은 파일의 종류나 필요한 서류가 그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어떤 때는 수백 수천 페이지에 이르는 파일에 포함된 모든 페이지를 낱낱이 검토하는 일은 매우 번거롭고 시간을 많이 소비한다. 이같은 이유로 수많은 페이지를 시각 디스플레이 유니트상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 목적을 위해 프로세서(16)는 디지타이징된 원형 화상을 충분한 축소율로 축소하여 A4 크기의 페이지에 대한 축소 화상이 시각 디스플레이 유니트상에 백개이상 동시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하는 화상 압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적합한 크기의 시각 디스플레이 유니트는 이른바 메가픽셀-스크린(Megapixel-Screen)이라 하는데 1140 x 860 화소로 구성된 래스터(raster)를 갖고 있다. 화상 축소 수단(17)은 소프트웨어로 제어되고, 시스템을 제어하는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거나 이러한 목적에 부합할 수 있는 장치일 수도 있다. 화상은 축소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필요가 있을때마다 매번 축소될 수 있다. 그러나 축소 화상 저장 용량과 많은 수의 화상을 축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등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화상은 단 한차례, 가평 스캐닝 직후에 한 차례 축소되어, 원형 화상과 함께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화상 축소 수단은 2 단계로 구성된다. 제1단계에서 중간 화상이 생성되는데 이때 원형 화상에 대한 축소율은 20 내지 400이다. 제2단계는 중간 화상을 3 내지 9의 축소율로 축소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축소율은 한가지 예로서 제시된 것일 뿐이고 필요한 축소율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제1단계는 실행길이 알고리듬(run-length algorithm)을 포함하고 있다. 이 알고리듬은 제2도에 설명되어 있다.
수직 방향의 축소는 매 F 번째 행의 화소를 선택함으로써 수행되는데 여기서 F는 선형 축소율이다. 따라서 제F행, 제2F행, 제3F행 등의 행만이 선택되는데 제2도에서는 선택 행으로 제 F 행 즉 21 행을 보였다. 선택된 각행에서 흑과 백이 서로 인접하는 천이점의 열 좌표(P1,P2,P3....P3)가 결정되는데 이러한 점들로 천이점(Pi) 배열(22)이 결정된다.
계속하여 이러한 좌표값 Pi는 선형 축소 팩터 F로 나뉘어져 qi= Pi/F값을 갖는 중간 천이값 배열(23)이 된다. 이 값(qi)은 반올림하여 정수값이 되고, 중간행(24)의 이 정수값에 해당하는 위치에 원형 화상의 해당 위치(Pi)에서 발생하는 것과 같은 흑/백 또는 백/흑 천이가 나타나게 한다.
천이점 Pi을 결정하기 앞서 몇가지 행의 화소를 모의 행(artificialrow)에 투영함으로써 위의 과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천이점은 모의행에서 결정되는데, 이 모의 행의 각 화소에는, 모의행에 화소를 투영하기 위해 선택된 몇개 행중 임의의 한 행에서 모의 행과 상응하는 위치의 화소 명도가 흑일 경우나 선택행중 특정 임계값을 넘어선 수의 행에서 모의 행과 상응하는 위치의 화소 명도가 흑일 경우, 흑을 지정한다. 2개 이상의 중간 천이점이 중간 행의 1개 화소에 해당된다면, 색채 지정을 고려해볼 수 있다. 가령 흑 백중 다수의 해당되는 것으로 색채를 결정하는 것이다. 또는 주변 화소의 값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중간 화상 축소 단계의 변형으로서, 서로 다른 값의 수직 방향 축소율과 수평 방향 축소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2단계는 제3도에 설명되어 있다. 이 도면은 중간 화상에서 취한 3 x 3 화소 블럭(30)을 보인다. 각 화소에는 1 내지 9의 번호가 붙여져 있는데, 좌상단에서 우하단의 차례를 따른다. 9개 화소 각각은 백 또는 흑이다. 제3도에 보인 분포에서는 화소(2,6,7,8)가 흑이다. 흑백 화소로 이루어진 각 분포에 대해 연접도(connectivity)가 산정되는데, 이것은 흑(또는 백) 화소가 다른 흑(또는 백) 화소와 인접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숫자로서 나타내어진다. 연접도는 여러 방법으로 산정될 수 있으며 산정 방법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낳고 축소 화상의 해당 화소에 지정할 명도도 서로 조금씩 달라지게 하는 결과를 낳는다.
가령 한 모퉁이에서 한쌍의 흑 화소가 서로 만나는 횟수로 연접도를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두개의 흑 화소만이 만나는 모퉁이는 연접도가 그의 값을 갖게하며 세개의 흑 화소가 만나는 모퉁이는 연접도가 3의 값을 갖게 하고 네개의 흑 화소가 만나는 모퉁이는 연접도가 6의 값을 갖게 한다. 3 x 3 화소 블럭에서 연접도의 최대값은 32이다. 이러한 산정 방법을 적용한다면 제3도 분포의 연접도는 4이다. 각 모퉁이가 이 분포의 연접도에 기여하는 정도를 분석한다면, 화소(2)와 화소(6)가 만나는 모퉁이(31)와 화소(6)와 화소(8)가 만나는 모퉁이(32)는 1을 기여한다. 또한 화소(7)와 화소(8)가 만나는 모퉁이(33과 34)도 각각 1을 기여한다.
다음 테이블은 디스플레이에서 압축 화상의 화소에 명도를 지정할 때 사용되는데 디스플레이에서 각 화소는 0(백)에서 15(흑)에 이르는 16 가지 명도를 갖는다. 이 테이블에 따르면 제3도의 블럭에 대한 축소 화상의 화소(35)에는 명도값으로 4가 지정된다.
이와는 달리 명도는 흑화소의 수와 연접도의 조합이 아니라 단순히 연접도에 따라서만 지정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에서 실행속도를 높이기 위해 이러한 산정 절차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과 512개의 상이한 흑백 분포 각각에 붙여진 식별 번호를 이용해 수행될 수 있다. 번호 지정에는 가령, 각 흑화소의 가중치(2i-1)의 합을 이용할 수 있는데, 여기서 i는 화소의 번호이다. 제3도에 보인 분포의 식별 번호는 이에 따라 226(=21+25+26+27)이 된다.
연접도 지정법은 달라질 수 있다. 가령 위에서 든 예에서 한 변을 공유하면 가중치가 2가 되고 한 모퉁이를 공유하면 가중치가 1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변과 모퉁이를 공유하는 화소쌍에 대해 이와 다른 가중치가 지정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위에서 정의된 흑의 연접도만이 아니라 백의 연접도도 고려할 수 있다. 백의 연접도는 백화소를 사용한다는 점말고는 흑의 연접도와 유사하게 정의된다. 3 x 3 블럭보다 더 큰 블럭, 가령 4 x 4 블럭에도 이와 유사한 축소법을 적용할 수 있고 수평 방향 축소율과 수직 방향 축소율을 달리하면 3 x 4 블럭등 직사각형 블럭에도 유사한 축소법이 적용될 수 있다. 블럭의 크기는 연접도 산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가능한 흑백화소 분포 모두를 저장하는데 필요한 룩-업 테이블의 크기에 의해 제한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축소법에 따라 축소된 몇가지 서류가 디스플레이된 스크린을 보여준다. 각 페이지의 원형은 A4 크기(29.7x21cm)이고 밀리미터당 11.8 도트의 해상도를 갖는 스캐너를 이용해 2480 x 3507 화소로 디지타이징되었다. 상기 2단계 방법을 이용하여 화상은 수직 방향과 수평방향 모두 축소율 60으로 축소되었다. 그 결과 2가지 이상의 명도를 갖는 41 x 58 화소로 구성된 화상이 도면에 나타났다. 밀리미터당 3개 래스터 포인트(75 points/inch)의 스크린에서 이 크기는 대략 우표크기 정도이다(약 1.5x2cm). 이런 축소 화상으로부터 서류의 종류를 쉽게 알아볼 수 있고, 수많은 화상이 스크린에 동시에 보여져, 화일을 취급하는 사람은 파일의 내용을 한눈에 신속하게 살펴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워크스테이션 구현예에서 사용자는 서류의 부항목들을 선택할 수 있고, 그들사이의 논리적 연관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이 경우 수많은 페이지-화상으로 구성된 파일-화상은 사용자의 필요에 맞도록 수정될 수도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다수의 래스터 포인트(rasterpoint)를 갖는 래스터형(raster type) 시각 디스플레이 유니트(VDU)(14) 및 원래 세트의 화소값으로서 이용가능한 원래 화상으로부터 상기 VDU(14)상에 디스플레이될 축소 화상(41,42)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16,17)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10)으로서, 상기 원래 화상의 축소된 화상 부분들이 단일 화소들에 의해 표현되고, 상기 축소 화상은 상기 원래 화상보다 더 적은 수의 화소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 시스템(10)에 있어서,
    상기 축소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축소 화상내의 화소들에 지정될 명도(greylevel) 또는 색채(colour)를, 상기 축소 화상의 단일 화소들에 의해 표현될 상기 원래 화상의 일부분의 화소 값들의 패턴의 함수로서 함수로서 결정하기 위한 화상 축소 수단(17)을 포함하고,
    상기 함수는 동일한 소정의 값을 가진 화소들간에 변(edge)의 인접(adjacencies) 또는 모퉁이(corner)의 인접에 가중치를 두어 합산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원래 화상의 일부분의 화소들의 연접도 총계(connectivity count)에 의존하고,
    VDU(14)의 각 래스터 포인트는 다수의 명도 또는 색채 중 하나로 조정가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된 축소 화상(41,42)의 각 화소는 상기 VDU(14)의 하나의 래스터 포인트에 의해 도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축소 수단(17)은 원래 화상을 중간 화상으로 축소하기 위한 제1처리수단, 및 중간 화상을 상기 축소 화상으로 축소하기 위한 제2처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처리 수단은 상기 축소 화상의 상기 화소들로 표현될 중간 화상의 일부의 화소값들의 분포(configuration)를 포함시키면서, 상기 축소 화상의 화소들의 명도 또는 색채를 결정하기 위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처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 수단에 상기 중간 화상 부분의 화소값들의 분포로부터 상기 축소 화상의 단일 화소의 명도 또는 색체를 결정하기 위한, 화소값들의 가능한 분포의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처리 시스템.
  4. 제2항 및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 수단은 상기 중간 화상의 3 x 3 화소(1-9) 블럭을 상기 축소 화상의 하나의 화소에 의해 표현하도록 하기 위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처리 시스템.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 수단은 상기 원래 화상(21)의 화소의 실행길이 코딩(run-length coding)에 의해 상기 중간 화상의 화소들을 생성하기 위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처리 시스템.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 수단은 상기 원래 화상에 비해 대략 20 정도의 선형 팩터(linear factor)에 의해 축소되는 중간 화상을 생성하기 위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처리 시스템.
  7. 원래 세트의 화소값으로서 이용가능한 원래 화상으로부터 축소된 포맷의 화상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축소 화상은 상기 원래 화상보다 더 적은 수의 화소를 가지고 있는 축소 화상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축소 화상의 각 화소에 명도 또는 색채가 지정되고, 상기 명도 또는 색채는 상기 축소 상기 화소에 의해 표현되는 상기 원래 화상의 일부분의 화소값들의 패턴의 함수로서 결정되고, 상기 함수는 동일한 소정의 값을 가진 화소들간에 변(edge)의 인접(adjacencies) 또는 모퉁이(corner)의 인접에 가중치를 두어 합산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원래 화상의 일부분의 화소들의 연접도 총계(connectivity count)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 화상 생성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먼저 상기 원래 화상이 중간 화상으로 축소되고, 그 다음에 상기 중간 화상의 화소 블럭들을 상기 축소 화상에서의 단일 화소들에 의해 표현함으로써, 상기 중간 화상이 상기 축소 화상으로 축소되고, 상기 단일 화소들의 명도 또는 색채는 상기 중간 화상의 화소 블록들의 화소값들의 배치(configuration)에 의존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 화상 생성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화상은 상기 원래의 화상의 화소들을 실행 길이 코딩(run-length coding)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소 화상 생성 방법.
  10. 래스터(raster)형 시각 디스플레이 유니트상에 다수의 텍스트-페이지들을 포함 하는 파일의 내용을 제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각 텍스트-페이지는 제7항 내지 제9항 중 하나의 방법에 따라 축소되고,
    실질적으로 모든 텍스트-페이지들의 축소 화상들 또는 상기 파일의 대표적인 부분을 형성하는 텍스트 페이지의 일부분의 축소 화상이 동시에 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내용 제시 방법.
KR1019920011719A 1991-07-05 1992-07-02 데이타 처리 시스템 및 화상 축소 방법 KR100275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1201741.5 1991-07-05
EP91201741 1991-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744A KR930003744A (ko) 1993-02-24
KR100275056B1 true KR100275056B1 (ko) 2000-12-15

Family

ID=8207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1719A KR100275056B1 (ko) 1991-07-05 1992-07-02 데이타 처리 시스템 및 화상 축소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16144B1 (ko)
EP (1) EP0521556B1 (ko)
JP (1) JPH05232936A (ko)
KR (1) KR100275056B1 (ko)
DE (1) DE6922584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3086B1 (en) * 2000-08-29 2004-11-23 Analogic Corporation Adaptive spatial filter
WO2002023469A1 (en) * 2000-09-13 2002-03-21 Newstakes, Inc. A robust and fast method for colour image size reduction with fine structure preservation
EP1377023A1 (en) * 2002-06-28 2004-01-02 Océ-Technologies B.V. Image scanning and processing system, method of scanning and processing image and method of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master files comprising data encoding a scanned image
US7555171B2 (en) * 2004-03-15 2009-06-3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own scaling a bitmap
JP4370355B2 (ja) 2005-02-02 2009-11-25 ウチヤ・サーモスタット株式会社 サーモスタ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81546A (en) * 1976-07-08 1980-12-17 Xenotron Ltd Compression and expansion of scanned images
US4445137A (en) * 1981-09-11 1984-04-24 Machine Intelligence Corporation Data modifier apparatus and method for machine vision systems
US4528693A (en) * 1982-09-30 1985-07-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caling facsimile image data
GB2141607A (en) * 1983-06-15 1984-12-19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Video display system with index pages
US4885786A (en) * 1984-10-24 1989-1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enlarging an image stored in run representation form
WO1986003610A1 (en) * 1984-12-06 1986-06-19 Dainippon Screen Mf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image data
US5781175A (en) * 1986-04-21 1998-07-1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arch apparatus
JP2870911B2 (ja) 1988-05-27 1999-03-17 コダック・リミテッド データ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ディスプレー用の文書フォルダー・アイコン
JP2975621B2 (ja) 1988-05-27 1999-11-10 コダック・リミテッド データ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文書操作
JPH02195480A (ja) * 1989-01-25 1990-08-02 Hitachi Ltd 画像データの検索方式
US5029107A (en) * 1989-03-31 1991-07-02 International Business Corporation Apparatus and accompanying method for converting a bit mapped monochromatic image to a grey scale image using table look up operations
US4970604A (en) * 1989-04-14 1990-11-13 Coueignoux Philippe J Screen display enhancing system
US5274759A (en) * 1989-07-11 1993-12-28 Kabushiki Kaisha Toshiba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capable of multi-frame representation
JPH03223966A (ja) * 1989-12-26 1991-10-02 Fuji Xerox Co Ltd ファイリング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ァイル検索方法
US5097518A (en) * 1990-02-27 1992-03-17 Eastman Kodak Company Technique for performing digital image scaling by logically combining or replicating pixels in blocks of differing groupsiz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21556A2 (en) 1993-01-07
KR930003744A (ko) 1993-02-24
US6216144B1 (en) 2001-04-10
DE69225843D1 (de) 1998-07-16
EP0521556B1 (en) 1998-06-10
JPH05232936A (ja) 1993-09-10
DE69225843T2 (de) 1998-12-24
EP0521556A3 (en) 1993-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1558B2 (ja) 画像処理方法
Pavlidis Algorithms for graphics and image processing
US516471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ithering of antialiased vectors
EP0320755B1 (e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employing combined black and white and gray scale image data
JP3737177B2 (ja) 文書生成方法及び装置
US5034806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3185900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用画像編集装置及び方法
US671512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diting controls based on features of a raster image
US52648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ctor aligned dithering
JP2979485B2 (ja) デジタル画像をデイザーさせて表示する方法及び装置
US7075681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he data volume of images
US6055336A (en) Image processing system which converts multi-value image data into binary image data
US5990864A (en) Converting color images to an arbitrary palette
KR100275056B1 (ko) 데이타 처리 시스템 및 화상 축소 방법
US5083210A (en) Elimination of contouring on displayed gray level images
US5485563A (en) System for scaling computerized images
JPH07322074A (ja) ディザリングされた2レベル・イメージ・ファイルを処理するための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H1093810A (ja) 画像を効率的に補間する方法及び装置
EP059779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fficient generation of high quality images in a computer system
US55175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speed implementation of scaling, dithering, and data remapping operations with a single processor
US5778105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moving artifacts from a reproduction
CA2060995A1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interchangeable image objects for documents having a plurality of sizes
EP0486090A2 (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Somerville Use of images in commercial and office systems
Anderson et al. Binary-image-manipulation algorithms in the Image View Fac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