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3874B1 - 전자레인지 도어의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 도어의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3874B1
KR100273874B1 KR1019970060238A KR19970060238A KR100273874B1 KR 100273874 B1 KR100273874 B1 KR 100273874B1 KR 1019970060238 A KR1019970060238 A KR 1019970060238A KR 19970060238 A KR19970060238 A KR 19970060238A KR 100273874 B1 KR100273874 B1 KR 100273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microwave oven
open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0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968A (ko
Inventor
서동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60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3874B1/ko
Publication of KR19990039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3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3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7Door interlock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and rel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할로겐램프를 같이 사용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D)는, 이중의 래치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에 의하여 제1래치기구의 체결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제2래치기구의 체결상태를 해제하여야 도어가 열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기구의 체결 및 해제에 따라, 온오프되면서 전자레인지 내부로의 전류의 공급을 차단하는 도어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전자레인지의 구조에 의하면, 도어를 여는 경우, 제1래치기구 및 제2래치기구를 전부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도어를 여는 과정에서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고, 따라서 할로겐램프에 잔류하는 빛이 완전히 소거된 후에 도어가 열리게 된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도어의 개폐구조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의 도어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할로겐램프를 같이 내장하는 전자레인지에서 전자레인지의 안전성과 할로겐램프의 잔여광량을 고려한 이중래치구조를 구비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식품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로서 현재까지 여러 종류의 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가장 원초적인 가열기구로써는, 열원과 직접 접촉하는 소정 형상의 용기를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용기내에 조리하고자 하는 내용물을 넣고, 열을 가함으로써 원하고자 하는 조리를 수행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전기에너지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이용하는 많은 종류의 조리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일례로서 마이크로웨이브를 가열원으로 이용하는 전자레인지를 들 수 있다. 전자레인지는, 전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시키고, 이러한 마이크로웨이브가 조리 대상물에 침투하면서, 대상물 내부에서 분자운동을 일으키고, 이에 의하여 가열되는 방식의 조리장치이다. 이러한 전자레인지는 간단하게 가열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 예를 들어 언 상태의 식품을 녹이는 해동과정이나, 우유와 같은 식품을 소정 온도까지 가열하는 장치로써는 간단한 구성 및 사용상의 편리함으로 인하여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자레인지는 가열방식에 기인하는 사용상의 단점과 자체의 출력의 제한성 등에 의하여, 여러가지 대상물의 가열에 전부 적합하다고 할 수는 없다. 즉, 마이크로웨이브만을 가열원으로 사용하는 종래의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가열방식의 단일성과, 그 출력에 일정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신속하면서도 양질의 조리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지적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가열시, 대상물은 내외부가 같이 가열되는 잇점이 있지만, 이러한 잇점은 조리 대상물에 따라서 상당한 단점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은 피자 조리시에는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가열은 대상물의 성질상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전자레인지에 의한 가열시에는, 대상물의 수분을 너무 많이 빼았아 버리는 단점도 지적된다.
이러한 현재의 전자레인지에 대하여, 다른 열원을 같이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레인지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기에 이르렀다. 예를 들면 전자레인지의 내부에, 마이크로웨이브와는 별도로, 또 하나의 열원이라고 할 수 있는 발열 히터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조리 대상물에 대하여 적합한 가열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히터가 내장된 전자레인지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은 히터는 단순한 다른 하나의 열원으로만 작용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는 못한 것이 사실이다. 예를 들어, 피자와은 식품을 적절하게 조리하기 위해서는, 그 표면은 적절하게 가열되어 바삭바삭한 조리상태를 가져야 하며, 그 내부는 충분히 익으면서도 수분이 많이 빼았기지 않는 가열정도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전자레인지로서는 이와 같은 조리 특성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결론적으로, 종래의 마이크로웨이브에만 의한 가열시에는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단일방식의 가열이라는 가열방식의 제한성과, 출력상의 단점, 그리고 수분 증발에 의한 여러가지 단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별도의 발열히터를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충분히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전자레인지와는 달리, 다른 하나의 가열장치로써, 광파만을 단일의 가열원으로 사용하는 가열장치가 제안되었다. 즉, 미합중국 특허 5,036,179호에 의하며, 가시광선과 적외선을 방출하는 램프를 이용하여 원하는 특정 요리에 적절하게 사용하는 대량 조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합중국 특허에 의하면, 방사에너지의 적어도 90%가 1㎛이하의 파장을 가지는 램프를 가열원으로 사용하되, 이러한 램프에서 방사되는 가시광선과 적외선을 적절하게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피자와 같은 특정 요리를 대량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적외선과 가시광선의 파장의 차이는, 대상물에 가해지는 상이한 파장에 의한 가열방식의 차이점으로 나타나게 되고, 이러한 차이점에 의하여 대상물의 외부와 내부는 다른 형태로 가열되고 있다. 이러한 광파 가열장치에 의하면, 피자의 경우를 예로 들면, 외부는 바삭바삭한 가열정도를 가지면서도, 내부는 충분하게 가열되고 소정의 습기를 함유한 상태로 부드럽게 가열되어 있는 조리상태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기 미합중국특허에 의한 가열장치는, 피자를 신속하게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업소용 또는 산업용으로 밖에 이용할 수 없고, 특히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기존의 전자레인지의 장점을 이용할 수 없는 사용상의 제한이 뒤따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파, 구체적으로는 가시광선과 적외선을 동시에 방사하는 램프를 조리대상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으로써 이용하기 위해서는, 적외선과 같이 가시광선을 충분히 강하게 제공할 수 있는 램프이어야만 하고, 이러한 램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램프에서 발생하는 광량은 상당하기 때문에, 전류를 차단한 후에도 약 2초간은 빛이 잔류하게 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도어의 개폐구조를 보이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도어(2)의 개폐구조는, 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가열원으로 이용하는 종래의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구조이다. 구성을 살펴보면, 도어(2)의 내부에는 상하에 성형된 래치(3a,3b)를 구비하는 래치부재(3)가 스프링(7)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3a,3b)에 각각 걸리는 걸림부(5a,5b)을 구비하는 래치보드(5)가, 전자레인지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5a,5b)의 주위에서 상기 래치(3a,3b)에 의하여 온/오프되는 도어스위치(4a,4b)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상태는 도어(2)가 닫힌 상태이고, 이 때 상기 래치(3a,3b)는, 걸림부(5a,5b)에 걸린 상태이며, 상기 래치(3a,3b)에 의하여 상하부의 도어스위치(4a,4b)는 온상태로 되어 있다. 이렇게 도어(2)가 닫힌 상태에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론 및 고압트랜스에는 전원이 인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내부에는 마이크로웨이브의 공급에 의하여 가열이 진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핸들(1)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상기 래치(3a,3b)가 걸림부(5a,5b)에서 해제되면서, 래치(3a,3b)는 도어스위치(4a,4b)를 오프시키게 된다. 이렇게 도어스위치(4a,4b)가 오프되면 마이크로웨이브 발생을 위한 전류의 공급이 중단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래치(3a,3b)가 해제되면 바로 도어(2)가 열리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도어(2)가 열리는 순간에는 전자레인지 내부에 공급되는 전류가 오프되어, 마이크로웨이브는 발생하지 않게 되어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할로겐램프를 전자레인지의 내부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도어의 개폐구조는 바람직하지 못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할로겐램프에서 발생하는 광량은 상대적으로 매우 많으며,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비록 짧은 시간이지만(약 2초) 캐비티의 내부에는 빛이 잔류하고 있기 때문에, 즉시 도어가 열리게 되면,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상당히 불편하게 된다. 즉 잔여 빛에 의하여 사용자는 눈이 부시게 되는 등 원하는 동작의 수행에 불편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열림을 빛의 잔류 시간 정도만큼 지연시킬 수 있는 전자레인지의 도어개폐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열림시 내부로 공급되는 전자레인지의 전류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안전한 도어의 개폐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전자레인지의 도어개폐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는 예시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는 예시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핸들레버 12a : 제1상부래치
12b : 제1하부래치 14 : 스프링
16a, 16b, 16c : 도어스위치 20 : 개폐버튼
22 : 제2래치 24 : 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대상물을 가열하는 공간인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도록 본체에 힌지 연결되는 도어와; 도어의 핸들과 연동하는 핸들레버와, 체결상태로 탄성지지되고 핸들레버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1래치와, 상기 제1래치의 회전에 의하여, 제1래치와 체결 또는 해제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도어를 본체에 체결/해제하기 위한 제1래치수단; 그리고,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는 개폐버튼과, 상기 개폐버튼에 의하여 회전하며, 체결상태로 탄성지지되는 제2래치, 상기 제2래치의 회전에 의하여, 제2래치와 체결 또는 해제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도어를 본체에 체결/해제하기 위한 제2래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래치수단 및 제2래치수단과 연동하고, 전자레인지 내부의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며,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도어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개폐장치.
상기 캐비티의 내부에는 별도의 가열원인 발광램프가 설치된다.
상기 제1래치는 핸들레버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한쌍으로 형성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할로겐램프라는 별도의 가열원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 도어(D)는, 핸들레버(10)와 연동하는 제1체결부와, 상기 핸들레버(10)와는 별도의 개폐버튼(20)에 의한 제2체결부를 구비하여, 제1체결부와 제1체결부가 2단계 동작에 의하여 같이 해제상태로 되었을 때, 열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어(D) 자체가, 2단계의 해제 조작을 행하여야만 열릴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어(D)를 여는 시간을 일정시간 지연시킴과 동시에 내부로의 전류 공급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도 2는 핸들레버(10)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1체결부만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이고, 도 3은 개폐버튼(20)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2체결부도 같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핸들레버(10)와 연동하는 제1체결부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핸들레버(10)는, 도어핸들(11)의 이면에 설치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도어(D)를 개폐하고자 하는 경우 잡아 당기게 되어 있는 부분이다. 상기 핸들레버(1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체결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핸들레버(10)의 조작에 의하여 제1체결부의 체결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핸들레버(10)는, ㄷ자형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내측 단부(10a,10b)에는, 제1상부래치(12a)와 제1하부래치(12b)가 핀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래치(12a,12b)의 단부는, 후술하는 걸림부(15a,15b)에 각각 걸리게 되어, 도어(D)의 닫힌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래치(12a,12b)는 각각 그 중심부분에서 핀(Pa,Pc)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레버(10)을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당겨서 그 단부(10a,10b)가 도면상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 제1상부래치(12a) 및 제1하부래치(12b)는 각각 상기 핀(Pa,Pc)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걸림부(15a,15b)의 걸림상태가 헤제된다.
그리고 상기 제1상부래치(12a)와 제2상부래치(12b)는, 연결레버(13)와 각각 핀(Pb,Pd)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레버(13)는 스프링(14)에 의하여 항상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연결레버(13)는 하방으로 지지되고 있고, 연결레버(13)는 제1상부래치(12a)와 제1하부래치(12b)를 상기 핀(Pa,Pc)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래치(12a,12b)는 상기 스프링(14)에 의한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부(15a,15b)에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걸림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레버(10)를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상술한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1차적으로 제1체결부의 체결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도 2는 이렇게 제1체결부의 체결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가 밀착되는 전자레인지의 전면에는 상기 제1래치(12a,12b)가 각각 걸리는 걸림부(15a,1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15a,15b)는 래치 보드(15)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15a,15b)의 부근에는, 상기 제1래치(12a,12b)에 의하여 온/오프되는 한쌍의 도어스위치(16a,16b)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래치(12a,12b)가 상기 걸림부(15a,15b)에 걸리면, 제1래치(12a,12b)의 일측부분이 도어스위치(16a,16b)를 온동작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래치(12a,12b)가 걸림부(15a,15b)에서 해제되면, 상기 도어스위치(16a,16b)는 오프상태로 되어, 전자레인지의 내부로의 전류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핸들레버(1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1차적으로 제1체결부의 체결상태가 해제되더라도 도어(D)는 열리지 않는다. 그러나 제1체결부가 해제되면, 즉 제1래치(12a,12b)가 해제되면, 전자레인지의 내부로의 전류의 공급은 차단되어 마이크로웨이브의 발생은 중단되고 할로겐램프도 발광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할로겐램프에 있어서는 전류의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잔여 빛이 약 2초간 남아 있기 때문에, 즉시 도어를 여는 것은 사용자에게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래치(12a,12b)가 해제되더라도 도어(D)는 열리지 않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폐버튼(20)의 조작에 의한 제2체결부가 해제되어야 열리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도 3을 같이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제2체결부의 구성, 즉 제2래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체결부는, 도어(D)의 전면에 누름 버튼의 구조를 가지고 설치되는 개폐버튼(20)과, 상기 개폐버튼(20)에 의하여 동작되는 제2래치(22)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버튼(20)은, 도어(d)의 전면에 누름버튼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프링(24)에 의하여 항상 전방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버튼(20)의 후단부는, 제2래치(22)와 연동할 수 있도록 접촉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 제2래치(22)는, 중심부에서 핀(Pe)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그 내측 단부는 걸림부(15c)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래치(22)는, 스프링(25)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이 없으면, 내측단부가 상기 걸림부(15c)에 걸리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개폐버튼(20)을 누르면, 개폐버튼(20)의 내측단부(20a)가, 제2래치(22)의 전방단부(22a)를 누르게 되고, 따라서 제2래치(22)는 상기 핀(Pe)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에 의하여 제2래치(22)의 내측단부(22b)는 걸림부(15c)와의 체결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제2래치(22)가 체결되는 걸림부(15c)의 부근에는 또 하나의 도어스위치(16c)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스위치(16c)는, 제2래치(22)가 체결상태로 되는 경우에 온상태로 되어 전자레인지 내부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상태로 되고, 체결상태가 해제되면 오프상태로 되어 전자레인지 내부의 전류의 공급이 차단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들레버(10)에 의하여 동작되는 두개의 도어스위치(16a,16b)와 개폐버튼(20)에 의하여 동작하는 도어스위치(16c)는,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도어스위치(16a,16b,16c)가 오프 상태로 되면, 전자레인지 내부에 전류의 공급이 차단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D)는, 이와 같이 제1래치(12a,12b)와, 제2래치(22)가 동시에 해제되어야만 도어(D)가 열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핸들레버(10)를 조작한 후에, 개폐버튼(20)을 조작하는 순서로 설명하고 있지만, 그 조작순서를 달리 하여도 도어(D)가 열리는 것은 같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두개의 래치기구, 즉 제1래치(12a,12b)와 제2래치(22)를 동시에 해제하지 않으면, 도어(D)가 열리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즉, 도어(D)를 개폐하기 위하여, 제1체결부(제1래치)와 제2체결부(제2래치)의 체결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1래치와 제2래치의 구성은 이와 같이 소정의 체결구조를 가지는 범위 내에서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할로겐램프를 또 하나의 가열원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할로겐램프의 잔류 빛에 의하여 사용자의 시각적 장애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도어(D)를 열기 위해서는 두개의 래치기구를 같이 해제하지 않으면 안되고, 두개의 래치기구를 해제하는 조작과정은, 한개의 래치기구를 사용하는 종래의 것에 비하여, 지연시간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지연시간을 가지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전원의 차단시 할로겐램프에서 잔류하는 빛으로 부터 사용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어서, 사용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래치 및 제2래치에는 각각 병열로 연결되는 도어스위치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도어(D)의 개폐시 더욱 정확하게 내부의 공급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되는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Claims (4)

  1. 대상물을 가열하는 공간인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도록 본체에 힌지 연결되는 도어와; 도어의 핸들과 연동하는 핸들레버와, 체결상태로 탄성지지되고 핸들레버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1래치와, 상기 제1래치의 회전에 의하여, 제1래치와 체결 또는 해제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도어를 본체에 체결/해제하기 위한 제1래치수단; 그리고,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는 개폐버튼과, 상기 개폐버튼에 의하여 회전하며, 체결상태로 탄성지지되는 제2래치, 상기 제2래치의 회전에 의하여, 제2래치와 체결 또는 해제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도어를 본체에 체결/해제하기 위한 제2래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래치수단 및 제2래치수단과 연동하고, 전자레인지 내부의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며,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도어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개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내부에는 별도의 가열원인 발광램프가 설치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래치는 핸들레버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한쌍으로 형성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개폐장치.
KR1019970060238A 1997-11-15 1997-11-15 전자레인지 도어의 개폐구조 KR100273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238A KR100273874B1 (ko) 1997-11-15 1997-11-15 전자레인지 도어의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238A KR100273874B1 (ko) 1997-11-15 1997-11-15 전자레인지 도어의 개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968A KR19990039968A (ko) 1999-06-05
KR100273874B1 true KR100273874B1 (ko) 2000-12-15

Family

ID=19524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0238A KR100273874B1 (ko) 1997-11-15 1997-11-15 전자레인지 도어의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38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4258A1 (ko) * 2022-05-18 2023-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200U (ko) * 1987-08-21 1989-04-18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도어개폐장치
KR900006959Y1 (ko) * 1984-06-27 1990-08-02 니혼 세끼유 가부시끼가이샤 중유의 안정성 시험장치
KR960013116B1 (ko) * 1994-05-27 1996-09-30 대우전자 주식회사 전자렌지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959Y1 (ko) * 1984-06-27 1990-08-02 니혼 세끼유 가부시끼가이샤 중유의 안정성 시험장치
KR890005200U (ko) * 1987-08-21 1989-04-18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도어개폐장치
KR960013116B1 (ko) * 1994-05-27 1996-09-30 대우전자 주식회사 전자렌지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968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2367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구조
KR870000020B1 (ko) 조리기의 스위치기구
EP0075309B1 (en) Locking device for door of cooking apparatus
FR2694892A1 (fr) Cuisinière - Jouet.
KR100273874B1 (ko) 전자레인지 도어의 개폐구조
KR100288936B1 (ko) 광파를 사용하는 조리기의 도어개폐장치
TWI802546B (zh) 微波爐及用於微波爐的控制面板組
KR19990030842A (ko) 전자 렌지용 안전 장치
KR100593060B1 (ko) 전자 레인지 도어의 안전 개폐 구조
KR20000042602A (ko) 전자레인지의 도어개폐장치
JP3695034B2 (ja) 複合加熱炊飯器
AU2004282484A1 (en) Microwave oven and latch board in the microwave oven
JPH0587347A (ja) 加熱調理器
KR100516660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도어 인터락 시스템
KR200162052Y1 (ko) 전자렌지의 도어 잠금장치
JPS58221331A (ja) 加熱調理器
KR970004677B1 (ko) 전자렌지의도어안전회로
KR100487323B1 (ko) 토스터 겸용 전자 레인지
JPH0347123Y2 (ko)
KR100730947B1 (ko) 피자 오븐 겸용 전자레인지의 피자 팬 구조
JPS602484Y2 (ja) 電子レンジ
JPS602488Y2 (ja) 電子レンジ
JPS6349608Y2 (ko)
JPS602485Y2 (ja) 電子レンジ
JPH11191342A (ja) 回路開閉装置および高周波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