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3666B1 -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 Google Patents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3666B1
KR100273666B1 KR1019990015455A KR19990015455A KR100273666B1 KR 100273666 B1 KR100273666 B1 KR 100273666B1 KR 1019990015455 A KR1019990015455 A KR 1019990015455A KR 19990015455 A KR19990015455 A KR 19990015455A KR 100273666 B1 KR100273666 B1 KR 100273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g
coupled
outer plate
plate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3090A (ko
Inventor
김정한
Original Assignee
김정한
주식회사킹타이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한, 주식회사킹타이거 filed Critical 김정한
Priority to KR1019990015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3666B1/ko
Priority to US09/365,104 priority patent/US6182983B1/en
Publication of KR19990073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3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36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60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50Supports, e.g. with devices for anchoring to the ground
    • A63B55/57Bags with tripod or like set-up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50Supports, e.g. with devices for anchoring to the grou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408Releasably mounted accessories fitted outside the bag, e.g. straps or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0/00Land vehicles
    • Y10S280/06Wheeled golf club carri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에 관한 것으로, 골프백의 내주연에 부착시키는 내부플레이트(100)와, 상기 골프백의 외주연에서 내부플레이트(100)에 체결하는 외부플레이트(200)와, 상기 외부플레이트(20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 다리부(300)와, 상기 외부플레이트(200)의 전면에 결합되어 다리부(300)의 각도를 제어하는 제1축받이부(210)와, 상기 외부플레이트(200)의 전면에 결합시키는 커버(250)와, 상기 다리부(300)의 하측에 결합하여 골프백을 이동시키는 바퀴부(400)로 구성하므로 운반장치를 골프백 본체에 간단하게 결합하여 별도의 카트 없이도 간편하고 편리하게 골프백을 끌고 다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골프백으로부터 분리해 보관하거나 분리상태로 포장할 수 있으며, 골프백을 운반할 때와 지면에 세워 둘 때에 따라 골프백에 대한 운반장치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의 염려가 적으며 바퀴를 분리할 수 있어 조립작업이 용이하며 운반장치의 문제가 발생되면 즉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GOLF BAG EQUIPPED WITH DETACHABLE CARRIER}
(기술분야)
본 발명은 골프백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착탈식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통상의 골프백은 메거나 들어서 운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넓은 필드에서 장거리를 이동하면서 플레이하는 골퍼에게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골퍼들은 카트 등과 같은 별도의 운반장치를 사용하거나 캐디를 동반하면서 플레이하고 있다. 그러나 카트와 같은 운반장치를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카트 자체의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골프백을 운반하는 일은 여전히 번거로운 일이다.
이런 이유로 골프백 자체에 운반장치를 장착한 골프백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골프백에 적용된 운반장치는, 운반장치의 각도조절을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아서, 그 조작이 불편하고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운반장치는 골프백의 좌우 측면 중간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시 골프백 자체의 중량에 의해 골프백이 아래로 처져서 골프백과 운반장치의 연결부위가 쉽게 파손될 뿐만 아니라 고장의 발생시 부품의 교환이 용이하지 못하고 골프백 자체를 애프터서비스 받아야 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골프백에 대한 운반장치의 각도를 임의대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지면 상태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골프백을 운반할 수 있고 안전하게 세워 놓을 수 있는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장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골프백으로부터 운반장치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착탈식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골프백이 아래로 처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고장의 염려가 적은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의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안한 자세로 골프백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적어 중량이 가볍고 고장의 염려가 적은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반장치의 바퀴를 간편하게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체형이나 취향에 따라 바퀴를 교체할 수 있고 조립작업시 바퀴와 운반장치를 별도 조립후 간편하게 결합시키므로 하중이나 물품의 그기에 의한 불편함을 최소화시켜 조립작업의 번거로움을 해소하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골프백 운반장치를 접은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골프백 운반장치를 펼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운반장치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골프백 본체를 일부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내부플레이트를 나타낸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외부플레이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외부플레이트에 커버를 제거하고 작동수단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외부플레이트에 작동수단 설치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외부플레이트에 작동수단 설치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외부플레이트에 결합된 커버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제1다리의 결합부분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제2다리의 결합부분을 나타낸 일부 분해 상태도.
도 13 은 본 발명의 트레일링어셈블리를 나타낸 일부 분해 상태도.
도 14 는 본 발명의 트레일링어셈블리를 나타낸 일부 분해 평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바퀴부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16 은 본 발명의 핸들부를 일부 단면하여 나타낸 구성도.
도 17 은 본 발명의 다른 운반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
도 18 은 본 발명의 다른 운반장치 내부플레이트를 나타낸 정면도.
도 19 는 본 발명의 다른 운반장치 외부플레이트에 커버를 제거하고 작동수단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골프백 2; 본체
10; 운반장치 100; 내부플레이트
110; 지지부 111; 브래킷
112; 걸림바 120; 체결부재
121; 삽입공간 122; 걸림턱
130; 가이드봉 200; 외부플레이트
210; 제1축받이부 211; 돌출블럭
212; 구멍 213; 스프링
214; 지지블럭 215; 제1걸림홈
216; 제2걸림홈 217; 축홈
220; 제2축받이부 221; 브래킷
230; 체결부 231; 체결구
232; 삽입공간 233; 걸림편
234; 스프링 235; 작동부재
236; 보조플레이트 237; 작동버튼
238; 걸림홈 239; 스프링
240; 1차지지부 241; 걸림편
242; 걸림홈 250; 커버
251; 가이드장공 252; 제1가이드홈
253; 제2가이드홈 254; 가이드홈
260; 가이드공 300; 다리부
310; 제1다리 311; 마감부재
312; 삽입공 313; 지지돌기
314; 축핀 315; 협지편
320; 제2다리 321; 마감부재
322; 핀공 323; 핀
330; 트레일링어셈블리 331; 결합편
332; 핀 333; 축공
334; 작동공 335; 버튼
337; 작동홈 338; 핀
339; 스프링 400; 바퀴부
410; 타이어 420; 휠
430; 허브 431; 회전축
432; 걸림홈 433; 베어링
434; 결합부 435; 걸림공
440; 커버 441; 삽입편
442; 걸림돌기 443; 표시면
500; 핸들부 510; 각도조절어셈블리
511; 브래킷 512; 제1각도조절부재
513; 톱니 514; 제2각도조절부재
515; 톱니 516; 축핀
517; 나비너트 518; 체결블럭
519; 고정블럭 520; 가이드관
521; 니플 522; 삽입공
523; 걸림턱 524; 홈
530; 길이조절바 531; 걸림부재
532; 손잡이 540; 길이조절구
541; 삽입공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에 있어서, 상기 골프백의 본체 내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에 각각 회전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 하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바퀴부 및, 상기 골프백 본체의 상측에 결합되는 핸들부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 예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골프백 운반장치를 접은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골프백 운반장치를 펼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운반장치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골프백 본체를 일부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내부플레이트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외부플레이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외부플레이트에 커버를 제거하고 작동수단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외부플레이트에 작동수단 설치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외부플레이트에 작동수단 설치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의 외부플레이트에 결합된 커버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1 은 본 발명의 제1다리의 결합부분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 는 본 발명의 제2다리의 결합부분을 나타낸 일부 분해 상태도이며, 도 13 은 본 발명의 트레일링어셈블리를 나타낸 일부 분해 상태도이고, 도 14 는 본 발명의 트레일링어셈블리를 나타낸 일부 분해 평면도이며, 도 15 는 본 발명의 바퀴부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16 은 본 발명의 핸들부를 일부 단면하여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17 은 본 발명의 다른 운반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8 은 본 발명의 다른 운반장치 내부플레이트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9 는 본 발명의 다른 운반장치 외부플레이트에 커버를 제거하고 작동수단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백(1)의 본체(2)에는 운반장치(1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운반장치(10)는 한 쌍의 내부플레이트(100)와, 한 쌍의 외부플레이트(200)와, 한 쌍의 다리부(300)와, 한 쌍의 바퀴부(400) 및, 핸들부(5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4 과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플레이트(100)는 상기 외부플레이트(200)를 본체(2)에 착탈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만곡된 판상의 부재이며,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원통형으로 된 골프백(1)의 본체(2)에 내주연에 밀착될 수 있도록 만곡시키되, 전면에 지지부(110), 체결부재(120) 및 가이드봉(130)을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골프백(1)의 본체(2)를 관통하여 외주연에 돌출되도록 한다. 또한 내부플레이트(100)는 전면에 지지부(110), 체결부재(120) 및 가이드봉(130)을 전면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므로 좌우 한 쌍으로 분리하여 본체(2)와의 결합이 원활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110)는 내부플레이트(100)의 전면 하측 좌우에 상호 마주하여 한 쌍으로된 브래킷(111)을 각각 부착한다. 또한, 본체(2)의 외주연에 돌출된 브래킷(111)은 돌출된 상태에서 걸림바(112)를 결합시키도록 한다.
상기 체결부재(120)는 내부플레이트(100)의 전면 상측 좌우에 돌출시키되, 저면이 개방된 대략 정방형으로 형성하여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공간(121)을 형성시키고 이로 인하여 삽입공간(121)의 전면에 걸림턱(12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봉(130)은 외부플레이트(200)의 체결을 원활하게 하는 것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플레이트(200)의 전면에는 제1다리(310)의 상단을 지지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제1축받이부(210)와, 제2다리(320)의 상단을 지지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제2축받이부(220)와, 내부플레이트(100)의 체결부재(120)에 착탈시키는 체결부(230)와, 지지부(110)의 걸림바(112)에 걸리도록 하여 하부를 고정시키는 1차지지부(240)와, 외부플레이트(200)의 전면에 결합되어 외부플레이트(200)에 설치된 부품을 보호하고 제1다리(310)를 회전각을 가이드하는 커버(250) 및, 가이드봉(130)을 삽입하는 가이드공(260)으로 구성한다.
상기 제1축받이부(210)는 외부플레이트(200)의 중앙부분에 돌출블럭(211)을 돌출시키고 돌출블럭(211)의 좌우를 관통시키는 구멍(212)을 형성하여 구멍(212)의 내부에 스프링(213)을 삽입한다. 또한 돌출블럭(211)의 좌우에 소정간격을 유지하는 지지블럭(214)을 돌출시키되 지지블럭(214)의 돌출블럭(211)측 면에 제1걸림홈(215)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제1걸림홈(215)과 소정각도로 제2걸림홈(216)을 상호 교차되게 형성하며 교차부분에 축홈(217)을 형성한다. 여기서 축홈(217)은 돌출블럭(211)의 구멍(212)에 대향되게 형성한다.
상기 제2축받이부(220)는 외부플레이트(200)의 하부 중앙에 상호 마주하는 한 쌍의 브래킷(221)을 돌출시킨다.
상기 체결부(230)는 상하로 동작하여 외부플레이트(200)를 착탈시키는 좌우 한 쌍의 체결구(231)와, 상기 체결구(231)를 상하로 동작시키는 한 쌍의 작동부재(235)와, 상기 작동부재(235)의 동작을 제어하는 한 쌍의 작동버튼(237) 및, 상기 체결구(231) 작동부재(235) 작동버튼(237)을 가이드하는 보조플레이트(236)로 구성한다. 여기서, 체결구(231)는 상단부분에 걸림편(233)을 형성하여 내부플레이트(100)의 체결부재(120)에 형성된 삽입공간(121)에 수직으로 대향되게 하고 중앙부분에 작동부재(235)의 일측이 걸리도록 하는 삽입공간(232)을 형성하되, 하단에 스프링(234)을 설치하여 체결구(231)를 상측으로 항상 돌출되도록 탄력설치한다. 또한, 작동부재(235)는 중앙부분을 핀으로 결합하여 전후동하도록 시소(seesaw)형상으로 형성하고 상단을 체결구(231)의 삽입공간(232)에 삽입시켜 작동부재(235)가 정회전 할 때, 체결구(231)를 하측으로 누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작동버튼(237)은 수평으로 설치하여 작동부재(235)의 하단에 대응되게 하되 작동부재(235)의 하단이 삽입되는 걸림홈(238)을 형성하고 걸림홈(238)의 외향측 면을 경사지게 하여 작동버튼(237)이 직진할 때, 작동부재(235)가 걸림홈(238)의 경사면에 가이드되면서 정회전하도록 한다. 여기서 작동버튼(237)의 내측단에는 스프링(239)을 설치하여 항상 작동버튼(237)이 외향으로 돌출되게 한다. 또한 보조플레이트(236)는 작동버튼(237)의 직진성과 작동부재(235)의 가이드 및 체결구(231)의 상하작동시 직진성을 유지하도록 소정위치에 가이드편과 구멍 등을 형성시킨다.
상기 1차지지부(240)는 외부플레이트(200)의 하부에 하향으로 노출되게 좌우 한 쌍의 걸림편(241)을 형성하고 걸림편(241)의 각각에 걸림홈(242)을 형성하여 내부플레이트(100)의 지지부(110)에 형성된 걸림바(112)에 대응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250)는 외부플레이트(200)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하되 좌우에 세로 방향으로 가이드장공(251)을 각각 형성하여 제1다리(310)를 가이드하되, 가이드장공(251)의 하단에 외향으로 제1가이드홈(252)을 형성하고 가이드장공(251)의 상단에 외향으로 제2가이드홈(253)을 형성하여 제1다리(310)가 가이드장공(251)의 상하단에서 좌우로 가이드되도록 한다. 또한 커버(250)의 하측 중앙에는 제2다리(32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254)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공(260)은 가이드봉(130)이 삽입되도록 하여 운반장치(10)의 결합을 정확하게 하고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운반장치(10)가 견고하게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 7, 도 8, 도 11 내지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300)는 제1축받이부(210)의 지지블럭(214) 각각에 상단을 결합시키는 'V'형상으로 분지된 제1다리(310)와, 제2축받이부(220)의 브래킷(221)에 결합시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제2다리(320) 및, 상기 제1,2다리(310,320)의 하단을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트레일링어셈블리(330)로 구성한다.
상기 제1다리(310)는 상단 각각에 마감부재(311)를 부착시키고 마감부재(311)를 제1축받이부(210)의 지지블럭(214) 각각에서 결합하되, 마감부재(311)에 지지블럭(214)의 제1걸림홈(215)과 제2걸림홈(216)에 삽입되는 지지돌기(313)를 제1다리(3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마감부재(311)의 좌우에 축핀(314)을 형성한다. 여기서 지지블럭(214)측의 축핀(314)은 지지블럭(214)의 축홈(217)에 삽입하고, 돌출블럭(211)측에는 삽입공(312)을 형성하여 돌출블럭(211) 내부의 스프링(213)을 삽입한다. 따라서 분지된 제1다리(310)의 상단에 결합된 마감부재(311)의 지지돌기(313)는 축핀(31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걸림홈(215) 또는 제2걸림홈(216)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제1다리(310)의 소정위치에는 'V'형상의 다리를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협지편(315)을 부착한다.
상기 제2다리(320)는 상단에 마감부재(321)를 부착하되, 마감부재(321)의 좌우를 관통하는 핀공(322)을 형성하여 제2축받이부(220)의 브래킷(221)에 핀(323)으로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트레일링어셈블리(330)는 상부에 상호 마주하는 결합편(331)을 상향으로 형성하여 결합편(331) 사이에 제1다리(310)와 제2다리(320)의 하단을 삽입하고 이를 핀(332)으로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트레일링어셈블리(330)의 일측에는 수평으로 바퀴부(400)의 회전축(431)을 결합하는 축공(333)을 형성하고 하부에서 상향으로 작동공(334)을 형성하되, 축공(333)과 작동공(334)은 상호 외주연이 소정두께만큼 교차되게 형성하여 교차부분이 연통되도록 한다. 한편, 작동공(334)에는 스프링(339)과 버튼(335)을 순차로 삽입하여 버튼(335)을 탄력설치하고 버튼(335)의 외주연 소정위치에 작동홈(337)을 형성하여 버튼(335)을 누르면 작동홈(337)이 축공(333)과 작동공(334)의 교차부분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축공(333)에 스톱퍼 역할의 핀(338)을 끼워 작동홈(337) 위치되게 하여 버튼(335)이 완전히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작동홈(337)의 간격만큼 버튼(335)의 작동범위를 제한하도록 한다. 여기서의 트레일링어셈블리(330)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1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퀴부(400)는 휠(420)과, 상기 휠(420)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타이어(410)와, 상기 휠(420)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회전축(431)을 결합하여 타이어(410)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하는 허브(430) 및, 상기 휠(420)의 외측면에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하는 커버(440)로 구성한다.
상기 허브(430)는 회전축(431)을 결합시키되, 허브(430)의 내부 소정위치에 베어링(433)을 설치하여 회전축(431)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한다. 또한 허브(430)의 외측면에 결합부(434)를 형성하고 결합부(434)에 좌우를 관통하는 걸림공(435)을 형성시킨다.
여기서, 회전축(431)은 트레일링어셈블리(330)의 축공(333)에 완전히 삽입하면 트레일링어셈블리(330)의 축공(333)과 작동공(334)의 교차부분에 위치되는 걸림홈(432)을 회전축(431)의 외주연에 형성한다. 따라서, 버튼(335)을 누른 상태에서 회전축(431)을 축공(333)에 완전히 삽입하면 축공(333)과 작동공(334)의 교차부분에 버튼(335)의 작동홈(337)이 위치하게 되므로 회전축(431)이 완전하게 삽입되고, 버튼(335)의 누름상태를 해제하면 스프링(339)의 탄성에 의하여 버튼(335)이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와 동시에 축공(333)과 작동공(334)의 교차부분에 위치한 회전축(431)의 걸림홈(432)에 버튼(335)몸체의 외주연이 끼워지게 되므로 회전축(431)은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분리할 때에도 버튼(335)을 누른상태에서 상기의 역순으로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커버(440)는 외측면에 상표 또는 광고 등의 문자나 도형을 표시하는 표시면(443)을 형성하고 내측면에 허브(430)의 걸림공(435)에 대향되는 삽입편(441)을 형성하되, 삽입편(441)에 걸림돌기(442)를 형성하여 허브(430)의 결합부(434)에 커버(440)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므로 내부로 먼지 등의 이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도 1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부(500)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어셈블리(510)와, 상기 각도조절어셈블리(510)의 일측단에 부착시키는 가이드관(520)과, 상기 가이드관(520)의 타측단에 결합시켜 핸들부(5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바(530) 및, 상기 길이조절바(530)를 가이드관(520)에 고정시키는 길이조절구(540)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핸들부(500)는 골프백(1)의 본체(2) 외주연 상측에 결합시키되 본체(2)의 외주연 좌우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운반장치(10)의 중앙 상측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조절어셈블리(510)는 본체(2)의 내주연과 외주연에 브래킷(511)을 부착하여 리벳팅이나 볼트링으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여기서 외주연의 브래킷(511)에는 방사형으로 톱니(513)를 측면에 형성한 제1각도조절부재(512)를 돌출시키고, 제1각도조절부재(512)의 톱니(513)에 마주하여 치차결합시키는 톱니(515)를 형성시킨 제2각도조절부재(51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제2각도조절부재(512,514)는 방사형으로 형성된 톱니(513,515)를 관통하는 축공을 형성하고 축공에 축핀(516)을 삽입하여 나비너트(517)로 체결한다. 따라서, 나비너트(517)를 일정량 풀어 제1,제2각도조절부재(512,514)의 치차결합상태를 해제하여 제2각도조절부재(514)의 각도를 조절하고 다시 나비너트(517)를 조여 고정시키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다. 또한, 제2각도조절부재(514)에는 체결블럭(518)이 형성되고 체결블럭(518)에 결합하는 고정블럭(519)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관(520)은 일측단을 체결블럭(518)과 고정블럭(519)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볼트링 또는 리벳팅 등으로 체결하여 고정시키고 타측단에 니플(521)을 결합시키되, 니플(521)의 상측 외주연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고 테이퍼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홈(524)을 형성한다. 여기서 니플(521)에는 중앙을 관통하는 삽입공(522)을 형성하되 삽입공(522)의 내경이 가이드관(520)의 내경보다 작게하여 걸림턱(523)이 형성되게 한다.
상기 길이조절바(530)는 니플(521)의 삽입공(522)에 일측단을 통과시켜 가이드관(520) 내부로 삽입하되, 삽입되는 일측단에 니플(521)의 걸림턱(523)과 대향되는 걸림부재(531)를 부착하여 길이조절바(530)가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타측단에 손잡이(532)를 부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길이조절구(540)는 가이드관(520)의 니플(521) 외주연에 결합시키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부 내측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시켜 길이조절구(540)를 정회전시킬 때, 니플(521)의 테이퍼부분이 길이조절구(540)의 테이퍼 형상에 가이드되어 니플(521)의 홈(524)이 좁혀지게 되므로 길이조절바(53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길이조절구(540)를 역회전시키면 상기의 역순으로 길이조절바(530)의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도 17 내지 도 1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운반장치(10)는 골프백(1)의 본체(2) 내부에 체결공이 형성된 내부플레이트(100)와; 상기 내부플레이트(100)에 대응되는 체결공을 형성하여 본체(2) 외주연에 밀착시키되 상술한 제1축받이부(210), 제2축받이부(220) 및 커버(250)로만 형성하고 내부플레이트(100)에 체결하여 본체(2)의 외주연에 고정시키는 외부플레이트(200)와; 상술한 다리부(300)와; 상술한 바퀴부(400) 및; 상술한 핸들부(500)로 구성하여 운반장치(10)의 크기를 최소화시키고 본체(2)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제작할 수 도 있다.
즉, 상술한 본 발명에서 체결부(230)를 제거하고 내부플레이트(100)와 외부플레이트(200)를 통상의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하므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내부플레이트(100)와 외부플레이트(200)의 크기를 최소화하므로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반장치(10)가 접힌 상태에서 골프백(1)의 본체(2)에 설치된 운반장치(10)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V'형상의 제1다리(310)에 부착된 협지편(315)을 안쪽으로 협지한다. 이로 인하여 제1다리(310)의 상단에 부착된 마감부재(311)가 제1축받이부(210)의 지지블럭(214)에 형성된 제1걸림홈(215)을 빠져나와 돌출블럭(211)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마감부재(311)의 삽입공(312)에 삽입된 돌출블럭(211)의 스프링(213)을 압축하면서 돌출블럭(211)의 구멍(212) 내부로 삽입공(312)이 깊이 이동하여 돌출블럭(211)과 지지블럭(214) 사이에 위치하게 됨과 동시에 분지된 제1다리(310)가 커버(250)의 제1가이드홈(252)을 벗어나 수직으로 형성된 가이드장공(251) 하단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제1다리(310)를 상측으로 들어올린다. 제1다리(310)를 가이드장공(251)의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제1다리(310)가 가이드장공(251)의 상단으로 이동하여 위치하게 되고 여기서 협지편(315)은 협지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협지편(315)의 협지력이 해제되면, 돌출블럭(211)의 스프링(213) 탄성으로 인하여 제1다리(310)의 마감부재(311)가 돌출블럭(211)에서 다시 멀어지게 되고 이로써 분지된 제1다리(310)는 다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마감부재(311)의 지지돌기(313)와 축핀(314)이 가이드장공(251)의 상단에 외향으로 형성된 제2가이드홈(253)에 가이드되면서 지지블럭(214)의 제2걸림홈(216)과 축홈(217)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므로 제1다리(310)가 펼친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제2다리(320)는 제2축받이부(220)에 단순히 핀(323)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커버(250)의 가이드홈(254)을 통하여 항상 자유롭게 회전되고 따라서 제1다리(310)가 회전할 때 함께 연동된다. 또한, 제1다리(310)와 제2다리(320)의 하단은 트레일링어셈블리(330)의 결합편(331) 사이에 삽입하여 핀(332)으로 결합시키므로 제1다리(310)와 제2다리(320)가 회전 할 때 연동하여 자유롭게 회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골프백(1)의 본체(2)에 설치된 좌우 운반장치(10)의 제1다리(310)와 제2다리(320)를 모두 펼치게 되면, 본체(2)의 바닥점과 좌우에서 펼쳐진 다리부(300)의 하측에 부착된 바퀴부(400) 좌우점을 기준으로 골프백(1)을 약간 경사지게 세워 사용할 수 있다. 즉, 골프백(1)의 본체(2)가 대략 원통으로 형성되고 운반장치(10)가 본체(2)의 외주연 좌우에 상호 대칭되게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므로 제1,제2다리(310,320)를 접게되면 본체(2)의 외주연에 밀착되고 펼치게 되면 본체(2)의 직경 이상으로 벌어져 고정되므로 안전하게 세울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신에 신체적 조건에 알맞게 핸들부(500)의 길이와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한다.
먼저, 핸들부(500)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각도조절어셈블리(510)의 나비너트(517)를 어느 정도 풀어, 제1각도조절부재(512)와 제2각도조절부재(514)의 톱니(513,515)를 치차결합상태에서 해제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제2각도조절부재(514)를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한 다음 다시 나비너트(517)를 조여 제1각도조절부재(512)와 제2각도조절부재(514)의 톱니(513,515)를 치차결합시켜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따라서, 제2각도조절부재(514)에 결합된 가이드관(520)과 가이드관(520)에 결합된 길이조절바(530)의 각도가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핸들부(500)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이드관(520)의 니플(521)에 체결된 길이조절구(540)를 어느 정도 풀어 니플(521)의 홈(524)에 의한 길이조절바(530)의 조임상태를 해제한다. 따라서, 길이조절바(530)는 조임상태의 해제로 인하여 니플(521)의 삽입공(522)을 통하여 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체형에 알맞게 길이조절바(530)의 길이를 조절한 다음 다시 길이조절구(540)를 조여 고정시킨다. 즉, 길이조절구(540)의 나사부 상측의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나사부가 회전하면 니플(521)의 테이퍼 부분에 형성된 홈(524)이 좁히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길이조절바(530)를 조여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골프백(1) 본체(2)의 좌우에 설치된 운반장치(10)를 사용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제2다리(310,320)를 모두 펼치고 핸들부(500)의 길이 및 각도의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부(500)의 길이조절바(530)에 피복되거나 결합된 손잡이(532)를 잡고 골프백(1) 본체(2)를 비스듬히 눕히면 골프백(1) 본체(2)의 바닥면이 지면에서 떨어지고 이때, 길이조절바(530)를 당기면서 골프백(1)을 원하는 위치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바퀴부(400)는 허브(430)의 회전축(431) 외주연에 트레일링어셈블리(330)의 축공(333)과 작동공(334)의 교차부분에 위치되는 걸림홈(432)을 형성하므로 버튼(335)을 누르면 버튼(335)이 작동공(334)의 내부에 삽입시킨 스프링(339)을 압축시키면서 버튼(335)의 작동홈(337)을 축공(333)과 작동공(334)의 교차부분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회전축(431)의 걸림홈(432)에 걸린 버튼(335)의 몸체가 빠져나오게 되고 이로 인하여 회전축(431) 걸림상태에서 해제된다. 따라서, 회전축(431)이 자유롭게 되고 이로 인하여 바퀴부(40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바퀴부(400)를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버튼(335)을 누른 상태에서 회전축(431)을 축공(333)에 삽입하면, 축공(333)과 작동공(334)의 교차부분으로 버튼(335)의 작동홈(337)이 이동하여 회전축(431)을 완전하게 삽입시킨다. 이때, 축공(333)과 작동공(334)의 교차부분에 회전축(431)의 걸림홈(432)이 위치되게 하게 되면 여기서 버튼(335)의 누름상태를 해제한다. 따라서 스프링(339)의 탄성에 의하여 버튼(335)이 외향으로 다시 돌출되므로 축공(333)과 작동공(334)의 교차부분에 위치한 회전축(431)의 걸림홈(432)에 버튼(335)의 외주연이 끼워지게 되므로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퀴부(400)는 트레일링어셈블리(330)에서 간단하게 분리 결합할 수 있으므로 골프백(1)의 포장이나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운반장치(10)의 조립작업시 바퀴부(400)를 분리하여 하중과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에서 작업하므로 생산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골프백(1) 본체(2)에서 운반장치(1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외부플레이트(200)의 좌우에 돌출된 작동버튼(237)을 누른다. 이때, 작동버튼(237)의 걸림홈(238) 경사면에 작동부재(235)의 일측단이 가이드되면서 작동부재(235)가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체결구(231)의 삽입공간(232)에 삽입된 작동부재(235)의 타측단도 회전하면서 체결구(231)를 하측으로 누르게 되므로 체결구(231)가 스프링(234)을 누르면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체결부재(120)의 삽입공간(121)에 삽입되어 삽입공간(121)의 전면 걸림턱(122)에 걸려 록킹상태를 유지하던 체결구(231)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체결구(231)의 상단이 체결부재(120)의 삽입공간(121)을 완전히 빠져나와 걸림상태를 해제한다. 체결구(231)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면, 외부플레이트(200)를 약간 앞으로 당겨 지지부(110)의 걸림바(112)에 걸린 1차지지부(240)의 걸림편(241)에 형성된 걸림홈(242)을 걸림상태에서 해제하여 내부플레이트(100)로 부터 분리하므로 본체(2)와 외부플레이트(200)가 완전하게 분리된다.
골프백(1) 본체(2)에 운반장치(10)를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지부(110)의 걸림바(112)와 본체(2)의 외주연 사이에 1차지지부(240)의 걸림편(241)을 삽입하여 걸림편(241)의 걸림홈(242)을 걸림바(112)에 일치시킨 다음 작동버튼(237)을 누르면서 외부플레이트(200)의 상측을 본체(2)에 밀착시킨다. 이때, 가이드봉(130)이 가이드공(260)에 삽입되면서 좌우 유동을 방지하고 정확하게 밀착되게 가이드한다. 또한 작동버튼(237)의 누름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홈(238)의 경사면에 작동부재(235)의 일측단이 가이드되면서 작동부재(235)가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체결구(231)의 삽입공간(232)에 삽입된 작동부재(235)의 타측단도 회전하면서 체결구(231)를 하측으로 누르게 되므로 체결구(231)가 스프링(234)을 누르면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플레이트(200)를 골프백(1)의 본체(2)에 완전히 밀착시키고 작동버튼(237)의 누름상태를 해제하면, 체결구(231)가 스프링(234)의 탄성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체결부재(120)의 삽입공간(121)으로 체결구(231)의 상부 걸림편(233)이 삽입되어 걸림턱(122)에 걸리게 되므로 록킹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골프백(1) 본체(2)로 부터 외부플레이트(200)를 분리할 때에는 작동버튼(237)을 누른 상태에서 분리하지만 외부플레이트(200)를 결합할 때에는 지지부(110)의 걸림바(112)와 본체(2)의 외주연 사이에 1차지지부(240)의 걸림편(241)을 삽입하여 걸림편(241)의 걸림홈(242)을 걸림바(112)에 일치시킨 다음 버튼(335)을 누르지 않고 외부플레이트(200)를 본체(2)의 외주연에 밀착시키기만 하여도 상기와 같이 동작하여 결합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골프백은, 운반장치를 골프백 본체에 간단하게 결합하여 별도의 카트 없이도 간편하고 편리하게 골프백을 끌고 다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골프백으로부터 분리해 보관하거나 분리상태로 포장할 수 있으며, 골프백을 운반할 때와 지면에 세워 둘 때에 따라 골프백에 대한 운반장치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의 염려가 적으며 바퀴를 분리할 수 있어 조립작업이 용이하며 운반장치의 문제가 발생되면 즉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골프백의 내주연에 부착시키는 내부플레이트(100)와,
    상기 골프백의 외주연에서 내부플레이트(100)에 체결하는 외부플레이트(200)와,
    상기 외부플레이트(20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 다리부(300)와,
    상기 외부플레이트(200)의 전면에 결합되어 다리부(300)의 각도를 제어하는 제1축받이부(210)와,
    상기 외부플레이트(200)의 전면에 결합시키는 커버(250)와,
    상기 다리부(300)의 하측에 결합하여 골프백을 이동시키는 바퀴부(400) 및,
    상기 골프백의 외주연 상측에 결합시키는 핸들부(50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플레이트(100)는,
    내부플레이트(100)의 전면 하측 좌우에 상호 마주하여 한 쌍으로된 브래킷(111)을 각각 부착하여 대향되는 브래킷(111) 사이에 걸림바(112)를 결합시킨 지지부(110)와,
    상기 내부플레이트(100)의 전면 상측 좌우에 결합시키되, 저면을 개방하여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공간(121)을 형성하고 삽입공간(121)의 전면에 걸림턱(122)을 형성시킨 체결부재(120)와,
    상기 내부플레이트(100)의 소정위치에 외부플레이트(200)의 체결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13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플레이트(200)는,
    외부플레이트(200)의 전면 중앙에 제1다리(310)의 상단을 지지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그 각도를 제어하는 제1축받이부(210)와,
    상기 외부플레이트(200)의 전면 중앙 하측에 제2다리(320)의 상단을 핀결합하여 지지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제2축받이부(220)와,
    상기 외부플레이트(200)의 전면 상측 좌우에 내부플레이트(100)의 체결부재(120)에 착탈시키는 체결구(231)를 구비한 체결부(230)와,
    상기 외부플레이트(200)의 전면 하측 좌우에 지지부(110)의 걸림바(112)에 걸리도록 하는 1차지지부(240)와,
    상기 외부플레이트(200)의 전면에 결합시키고 가이드장공(251)을 형성하여 제1,제2다리(310,320)를 회전을 가이드하는 커버(250) 및,
    상기 외부플레이트(200)의 소정위치에 가이드봉(130)을 삽입하는 가이드공(26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230)는,
    상하로 동작하여 외부플레이트(200)를 착탈시키는 좌우 한 쌍의 체결구(231)와,
    상기 체결구(231)를 상하로 동작시키는 좌우 한 쌍의 작동부재(235) 및,
    상기 작동부재(235)를 동작을 제어하는 좌우 한 쌍의 작동버튼(237)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231)는 상단부분에 걸림편(233)을 형성하여 내부플레이트(100)의 체결부재(120)에 형성된 삽입공간(121)에 대향되게 설치하되, 중앙부분에 삽입공간(232)을 형성하여 작동부재(235)의 일측이 걸리도록 하고, 하단에 스프링(234)을 설치하여 체결구(231)를 상측으로 항상 작용되게 탄력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235)는 수직으로 설치하고 중앙부분을 핀으로 결합하여 전후동하도록 시소(seesaw)형상으로 형성하며 상단을 체결구(231)의 삽입공간(232)에 삽입하고 하단을 작동버튼(237)의 걸림홈(238)에 위치되게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버튼(237)은 수평으로 설치하여 작동부재(235)의 하단에 대응되게 하고 작동부재(235)의 하단이 삽입되는 걸림홈(238)을 형성하되 걸림홈(238)의 외향측 면을 경사지게 하고 작동버튼(237)의 내측에 스프링(239)을 설치하여 항상 작동버튼(237)이 외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1차지지부(240)는 외부플레이트(200)의 하부에 하향으로 노출되게 좌우 한 쌍의 걸림편(241)을 형성하고 걸림편(241) 각각에 걸림홈(242)을 형성하여 내부플레이트(100)의 지지부(110)에 형성된 걸림바(112)에 대응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400)는,
    휠(420)과,
    상기 휠(420)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타이어(410)와,
    상기 휠(420)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회전축(431)을 결합하여 타이어(410)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하는 허브(430) 및,
    상기 휠(420)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먼지의 유입 방지하고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하는 커버(44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430)는 중앙에 회전축(431)을 결합시키되, 트레일링어셈블리(330)의 축공(333)에 삽입하면 트레일링어셈블리(330)의 축공(333)과 작동공(334)의 교차부분에 위치되는 걸림홈(432)을 회전축(431)의 외주연에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500)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어셈블리(510)와,
    상기 각도조절어셈블리(510)의 일측단에 부착시키는 가이드관(520)과,
    상기 가이드관(520)의 타측단에 결합시켜 핸들부(5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바(530) 및,
    상기 길이조절바(530)를 가이드관(520)에 고정시키는 길이조절구(54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어셈블리(510)는 본체(2)의 내주연과 외주연에 사이에 브래킷(511)을 고정시키되, 외주연측 브래킷(511)의 전면에 방사형으로 톱니(513)를 형성한 제1각도조절부재(512)를 부착하며 제1각도조절부재(512)의 톱니(513)에 마주하여 치차결합시키는 방사형의 톱니(515)를 형성시킨 제2각도조절부재(514)를 구비하되, 제1,제2각도조절부재(512,514)에 톱니(513,515)의 중앙을 관통하는 축공을 형성하고 축공에 축핀(516)을 삽입하여 나비너트(517)로 체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520)은 각도조절어셈블리(510)의 일측단에 고정시키고 타측단에 삽입공(522)을 구비한 니플(521)을 부착하되, 니플(521)의 외주연 상부를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고 테이퍼 형상부분에 홈(524)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며 삽입공(522)의 직경이 가이드관(520)의 직경보다 작게하여 걸림턱(523)을 형성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14. 제 11항 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바(530)는 니플(521)의 삽입공(522)에 일측단을 통과시켜 가이드관(520) 내부로 삽입하되, 삽입단부에 니플(521)의 걸림턱(523)에 대향되는 걸림부재(531)를 부착하고 타측단에 손잡이(532)를 부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구(540)는 가이드관(520)의 니플(521) 외주연에 결합시키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부를 형성하고 나사부의 상측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여 니플(521)의 테이퍼 형상에 대응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KR1019990015455A 1998-10-07 1999-04-29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KR100273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455A KR100273666B1 (ko) 1999-04-29 1999-04-29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US09/365,104 US6182983B1 (en) 1998-10-07 1999-07-30 Golf bag equipped with detachable carr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455A KR100273666B1 (ko) 1999-04-29 1999-04-29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090A KR19990073090A (ko) 1999-10-05
KR100273666B1 true KR100273666B1 (ko) 2000-11-15

Family

ID=19582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455A KR100273666B1 (ko) 1998-10-07 1999-04-29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182983B1 (ko)
KR (1) KR1002736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962B1 (ko) * 1999-05-21 2001-07-03 김정한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US20020144874A1 (en) * 2000-11-02 2002-10-10 Nykoluk Cory O. Pivotal handle for towable baggage
US20030102195A1 (en) * 2000-11-02 2003-06-05 Mittleman David D. Pivotal handle for towable baggage
CA2446413C (en) * 2001-05-04 2010-06-22 The Holland Group, Inc. Trailing beam suspension with alignment adjustment
US20050072695A1 (en) * 2003-10-02 2005-04-07 Gad Shaanan Golf club bag
US7240909B2 (en) * 2005-06-03 2007-07-10 Wagner Spray Tech Corporation Telescoping handle for paint cart
US20070252353A1 (en) * 2006-04-27 2007-11-01 Golfquest, Llc Rollable golf bag
EP1905488A1 (en) * 2006-09-28 2008-04-02 King Tiger Corp. Golf bag carrier
US7506781B2 (en) * 2007-05-04 2009-03-24 Roberts John G Golf ball positioning dispenser for putting practice
US8146740B2 (en) * 2007-10-25 2012-04-03 Fu-Hsing Tan Hook handle assembly for golf bag
TWM451161U (zh) * 2012-11-05 2013-04-21 Macauto Ind Co Ltd 高爾夫球袋車
US20150076017A1 (en) * 2013-09-16 2015-03-19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Support for golf bag towel
EP3250406B1 (en) * 2015-01-28 2019-10-30 Cameron, Clark Anthony A wheel assembly, a method of controlling the motion of an object and a golf club storage and transport device
US10456632B1 (en) 2018-06-12 2019-10-29 Russell S. Padgett Mobile system for storing, dispensing, positioning, and retrieving golf balls for putting and chipping practice
KR102034404B1 (ko) * 2019-01-29 2019-10-18 성 호 김 카트 탈부착식 이동형 골프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476A (ko) * 1998-08-13 1999-11-05 김정한 골프백 운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38374A (en) * 1947-09-11 1951-01-16 William J May Golf club carrier
US2770466A (en) * 1955-03-28 1956-11-13 Anthony P Pearson Golf cart with collapsible wheel structure
US2760782A (en) * 1955-06-09 1956-08-28 Hartzell Gunnar Golf cart with wheel and handle mechanism foldable within the bag thereof
US3079166A (en) * 1959-03-31 1963-02-26 United Metal Products Corp Golf cart
JPS6215369U (ko) * 1985-07-10 1987-01-29
US4735425A (en) * 1986-05-05 1988-04-05 Hoff Charles V Golf bag/cart combination
US4911465A (en) * 1988-12-05 1990-03-27 Hauer Harold J Golf club container with extensible wheels
DE9314000U1 (de) * 1993-09-17 1993-12-02 Hartan Kinderwagen Reisesportwagen mit einem zusammenlegbaren Rohrrahmengestell
NL9400645A (nl) * 1994-04-22 1995-12-01 Driessen Beheer Bv Kinderwagen.
US5915723A (en) * 1997-04-04 1999-06-29 Austin; Gloria E. Collapsible utility car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476A (ko) * 1998-08-13 1999-11-05 김정한 골프백 운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82983B1 (en) 2001-02-06
KR19990073090A (ko)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3666B1 (ko)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US5918892A (en) Fastening device for connecting children's strollers
JPH04213638A (ja) 下水管清掃装置
US6793248B1 (en) Adjustable chassis of an electric cart
US9101819B2 (en) Clamp system with clamp
US5464180A (en) Support set of golf club bag
US20130134266A1 (en) Cup holder fastening structure
US20070273125A1 (en) Sectional bicycle
US6158636A (en) Weed trimmer shoulder strap assembly
US20020125667A1 (en) Golf cart
US4259883A (en) Drop-out socket wrench
US6209721B1 (en) Golf bag
CA1266496A (en) Portable exercise device for use in a doorway
JP2001096410A (ja) 工具をパイプ上に装着するための支持装置
US5888182A (en) Rotary torso
CZ20023091A3 (cs) Příslušenství dětského nosiče pro jízdní kola
KR100295962B1 (ko) 운반장치가 구비된 골프백
KR101287131B1 (ko) 복수의 롤러를 이용한 자전거 거치 스탠드
US20110108655A1 (en) Cart type strap dispenser with improved strap brake/payout assembly
JP2000051417A (ja) ゴルフバッグ運搬装置
US8002302B1 (en) Bicycle kickstand having quick release function
KR200389815Y1 (ko) 골프가방 캐리어
US20050092798A1 (en) Clamp and clamp attached article carrier
JP2008080128A (ja) ゴルフバック用運搬装置
WO2024095654A1 (ja) フレーム及びゴルフバ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