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2746B1 - 재활용이 가능한 에어크리너 앨레먼트 - Google Patents

재활용이 가능한 에어크리너 앨레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2746B1
KR100272746B1 KR1019980009558A KR19980009558A KR100272746B1 KR 100272746 B1 KR100272746 B1 KR 100272746B1 KR 1019980009558 A KR1019980009558 A KR 1019980009558A KR 19980009558 A KR19980009558 A KR 19980009558A KR 100272746 B1 KR100272746 B1 KR 100272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leaner
cleaner element
perforated tube
cap
filtra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9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5386A (ko
Inventor
허수일
Original Assignee
허수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수일 filed Critical 허수일
Priority to KR1019980009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2746B1/ko
Publication of KR19990075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5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41Materials or structure of filter elements, e.g. foams
    • F02M35/0245Pleated, folded, corrugated filter elements, e.g. made of pa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41Materials or structure of filter elements, e.g. foams
    • F02M35/02458Materials or structure of filter elements, e.g. foams consisting of multiple layers, e.g. coarse and fine filters; Coatings; Impregnations; Wet or moistened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41Materials or structure of filter elements, e.g. foams
    • F02M35/02466Meshes; Grids; Perforated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등에 주로 사용되는 에어크리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에어크리너의 내부에 설치되는 에어크리너 엘레먼트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재활용이 가능한 에어크리너 엘레먼트에 관한 것이다.
즉, 에어크리너 엘레먼트의 타공관과 캡을 합성수지로 형성한 다음, 상기 타공관의 외주부에 여과부재를 설치하므로서 에어크리너 엘레먼트의 작업공정을 단순화하여 이의 생산효율을 극대화시키는 동시에 이의 생산단가를 절감시킨 에어크리너 엘레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나의 타공관이 소정길이 형성되고, 상기 타공관의 양단부에 상부캡과 하부캡을 설치하되, 상기 캡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타공관의 외주부에 여과부재가 설치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재활용이 가능한 에어크리너 엘레먼트
본 발명은 차량 등에 주로 사용되는 재활용이 가능한 에어크리너 엘레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에어크리너의 내부에 설치되는 에어크리너 엘레먼트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재활용이 가능한 에어크리너 엘레먼트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에어크리너는 차량에 설치되는 기화기(카브레터)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되어 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먼지, 모래등과 같은 이물질을 여과시키게 되며, 이렇게 여과된 공기는 연료와 혼합되어 엔진내부로 공급됨과 동시에 연소된다.
즉, 상기 에어크리너는 공기내의 이물질을 여과시켜주므로서 엔진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고 엔진수명의 연장에 중요한 작용을 하게 되는데, 상기 에어크리너를 장시간 사용할 시에는 구성부품인 여과부재에 이물질이 흡착되어 이의 여과기능이 극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에는 여과부재에 흡착된 이물질이 엔진으로의 공기의 유입을 간섭하므로서 연소가 효과적으로 진행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에어크리너의 구성을 보면, 제1도와 같이 원통형상의 하우징(1) 일측에 공기흡입구(1a)가 형성되고, 하우징(1)의 중앙에 공기배출구(1b)가 형성되며, 개구된 상부에는 밀폐캡(1c)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는 에어크리너 엘레먼트(2)가 설치되는데, 상기 에어크리너 엘레먼트(2)는 제2도와 같이 직경이 서로 다른 금속재질의 제1타공관(2a)과 제2타공관(2b) 사이에 여과부재(2c)가 삽입되며, 상기 두 타공관(2a)(2b)의 양단부에 도시되지 않은 가스켓이 밀폐된 다음, 상부캡(2d)과 하부캡(2e)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크리너 엘레먼트(2)의 제작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아연도금판을 타공한 판재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다음 이를 원통형상으로 스폿용접을 하는 타공관(2a)(2b) 제작공정과, 아연도금판을 원판형태로 절단한 다음 이 원판을 프레스가공을 하는 캡(2d)(2e) 제작공정과, 상기 타공관(2a)(2b)의 길이와 동일하게 여과지를 절단한 다음 이를 소정의 폭으로 반복되게 절첩하는 여과부재(2c) 제작공정과, 상기 여과부재(2c)를 두 타공관(2a)(2b)의 사이에 삽입한 다음 이들의 상.하단에 가스켓과 캡(2d)(2e)을 접착시키는 접착공정과, 이렇게 접착된 에어크리너 엘레먼트(2)를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건조공정을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에어크리너 엘레먼트(2)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복잡한 제작과정을 거쳐야 할 뿐만 아니라 에어크리너 엘레먼트(2)의 제작과정을 거의 수작업에 의존하기 때문에 에어크리너 엘레먼트(2)의 생산효율이 극히 저조함은 물론이고 생산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소정의 시간동안 엔진을 운용한 후에는 여과부재(2c)의 여과능력이 급격하게 저하되므로 에어크리너 엘레먼트(2)를 교체하여야 하는데, 상기 에어크리너 엘레먼트(2)가 금속재질과 종이재질로 혼합 구성된 상태에서 이들이 상호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의 재활용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에어크리너 엘레먼트(2)의 전체를 교체, 폐기하여야 하기 때문에 원자재의 낭비는 물론이고 이의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이 극심해진다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어크리너 엘레먼트의 타공관과 캡을 합성수지로 형성한 다음, 상기 타공관의 외주부에 여과부재를 설치하므로서 에어크리너 엘레먼트의 작업공정을 단순화하여 이의 생산효율을 극대화시키는 동시에 이의 생산단가를 절감시킨 재활용이 가능한 에어크리너 엘레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어크리너 엘레먼트의 타공관과 캡, 그리고 여과부재를 조립가능하게 형성하여 이물질이 흡착된 여과부재만을 교체하므로서 소비자의 지출부담을 최소화하는 한편, 교체된 여과부재를 재활용하므로서 자원의 낭비는 물론 환경오염을 없앤 재활용이 가능한 에어크리너 엘레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 에어크리너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에어크리너 엘레먼트의 개요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크리너 엘레먼트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에어크리너 엘레먼트가 설치된 에어크리너의 측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크리너 엘레먼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요부 측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크리너 엘레먼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20 : 에어크리너 엘레먼트
21 : 타공관 22 : 하부캡
23 : 상부캡 24 : 결합수단
24a : 고정공 24b : 걸림턱
24c,24d : 나사부 24e : 결합홈
24f : 안내홈 25 : 여과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에어크리너 엘레먼트를 형성함에 있어서, 하나의 타공관이 소정길이 형성되고, 상기 타공관의 양단부에 상부캡과 하부캡을 설치하되, 상기 캡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타공관의 외주부에 여과부재가 설치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또, 상기 타공관과, 이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상부캡 및 하부캡이 합성수재재질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타공관과 상부캡에 결합수단을 형성하되, 타공관의 상단부에 고정공을 다수 형성하고, 상기 상부캡의 하방으로 고정공과 대응되는 걸림턱을 다수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상기 타공관과 상부캡에 결합수단을 형성하되, 타공관의 상단부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캡의 하방으로 나사부와 대응되는 나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타공관과 상부캡, 그리고 하부캡을 일체로 형성한 다음, 상기 상부캡과 하부캡의 대향되는 각 면에 여과부재의 양단부가 소정 삽입되는 결합홈을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상기 상부캡과 하부캡에 여과부재의 양단부가 소정 삽입되는 결합홈을 각각 형성하되, 이들 결합홈의 일측에 여과부재의 일단을 밀어 넣어 타공관의 외주부를 감쌀 수 있게 안내홈을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크리너 엘레먼트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에어크리너 엘레먼트가 설치된 에어크리너의 측단면도이다.
먼저, 에어크리너는 크게 나누어 공기흡입구(11)가 일측으로 형성되고, 공기배출구(12)가 상방으로 형성되며, 밀폐캡(13)이 개구된 상부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하우징(10)과; 공기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 오염된 공기를 여과하여 공기배출구(12)로 배출하는 에어크리너 엘레먼트(20);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에어크리너 엘레먼트(20)는 소정길이의 타공관(21)이 형성되고, 상기 타공관(21)의 하단부에 원판형상의 하부캡(22)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타공관(21)의 상단에 상부캡(23)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타공관(21)과 상부캡(23)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수단(24)은 제3도와 같이 타공관(21)의 상단부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고정공(24a)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캡(23)의 하방에 고정공(24a)과 대응되는 걸림턱(24b)이 다수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캡(23)을 타공관(21)의 상단에 대고 힘을 가하게 되면 상부캡(23)의 걸림턱(24b)이 타공관(21)의 내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슬라이드됨과 동시에 걸림턱(24b)이 고정공(24a)에 각각 결합된다.
제5도는 타공관(21)과 상부캡(23)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수단(24)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타공관(21)의 상단 외주부에 나사부(24c)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캡(23)의 하방으로 나사부(24c)와 대응되는 나사부(24d)가 형성된다.
제7도는 타공관(21)과 상부캡(23)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수단(24)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타공관(21)의 상단에 상부캡(23)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캡(23)과 하부캡(22)의 대향되는 각 면에 여과부재(25)의 양단부가 소정 삽입되게 링형상의 결합홈(24e)이 각각 형성된다. 즉, 사각형태로 펴진 여과부재(25)의 중간부분을 약간 굽힌 상태에서 상부캡(23)과 하부캡(22)의 결합홈(24e)에 끼움설치하여 여과부재(25)가 타공관(21)의 외주부에서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한 다음, 상호 접근된 여과부재(25)의 양 단부를 접착시킨다.
또한, 상기 상부캡(23)과 하부캡(22)에 여과부재(25)의 양단부가 소정 삽입되는 결합홈(24e)을 각각 형성하되, 이들 결합홈(24f)의 동일한 방향에 안내홈(24f)이 각각 형성된다. 즉, 안내홈(24f)으로 여과부재(25)의 상,하 일단을 밀어 넣어 여과부재(25)를 상부캡(23)과 하부캡(22)의 결합홈(24e)을 따라 슬라이드시킨 다음 여과부재(25)의 양단부를 접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에어크리너 엘레먼트(20)의 결합구조를 제3도 및 제4도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하부캡(22)의 상방으로 돌설된 타공관(21)의 외주부에 여과부재(25)를 결합시킨 다음, 상기 상부캡(23)을 타공관(21)의 상단에 대고 힘을 가하여 상부캡(23)의 걸림턱(24b)을 타공관(21)의 고정공(24a)에 각각 결합시킨다.
한편, 사용중인 여과부재(25)에 먼지나 모래와 같은 이물질이 흡착되면, 타공관(21)의 고정공(24a)으로부터 상부캡(23)의 걸림턱(24b)을 분리시켜 상부캡(23)을 타공관(21)으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타공관(21)의 외주부로 설치된 여과부재(25)를 분리시킴과 동시에 새로운 여과부재(25)를 타공관(21)의 외주부에 설치하고, 상부캡(23)의 걸림턱(24b)을 타공관(21)의 고정공(24a)에 결합시킨다. 즉, 종이재질인 여과부재(25)만을 분리 폐기하므로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여과부재(25)를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제5도는 타공관(21)과 상부캡(23)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수단(24)의 다른 실시예로서, 하부캡(22)의 상방으로 돌설된 타공관(21)의 외주부에 여과부재(25)를 결합시킨 다음, 상기 타공관(21)의 상단 외주부로 형성되어진 나사부(24c)에 상부캡(23)의 나사부(24d)을 체결시켜 타공관(21)과 상부캡(23)을 상호 결합시킨다.
제7도는 타공관(21)과 상부캡(23)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수단(24)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하부캡(22)의 상방으로 돌설된 타공관(21)의 외주부에 여과부재(25)를 결합시키는 한편, 사각형태로 펴진 여과부재(25)의 중간부분을 약간 굽힌 상태에서 상부캡(23)과 하부캡(22)의 결합홈(24e)에 끼움설치하여 여과부재(25)가 타공관(21)의 외주부에서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한 다음, 상호 접근된 여과부재(25)의 양 단부를 접착시킨다.
또한, 상기 결합홈(24e)에 형성된 안내홈(24f)으로 여과부재(25)의 상,하 일단을 밀어 넣어 여과부재(25)를 상부캡(23)과 하부캡(22)의 결합홈(24e)을 따라 슬라이드시킨 다음 여과부재(25)의 양단부를 접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에어크리너 엘레먼트(20)가 조합되면, 제4도와 같이 하우징(10) 상단의 밀폐캡(13)을 개방시켜 하우징(10)의 내부에 에어크리너 엘레먼트(20)를 안착시킨 다음, 하우징(10) 상단을 밀폐캡(13)으로 밀폐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크리너 엘레먼트의 타공관(21)과 캡(22)(23)을 합성수지로 형성한 다음, 상기 타공관(21)의 외주부에 여과부재(25)를 설치하므로서 에어크리너 엘레먼트(20)의 작업공정을 단순화하여 이의 생산효율을 극대화시키는 동시에 이의 생산단가를 절감시킨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어크리너 엘레먼트(20)의 타공관(21)과 캡(22)(23), 그리고 여과부재(25)를 조립가능하게 형성하여 이물질이 흡착된 여과부재(25)만을 교체하므로서 소비자의 지출부담을 최소화하는 한편, 교체된 여과부재(25)를 재활용하므로서 자원의 낭비는 물론 환경오염을 없앤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에어크리너 엘레먼트를 형성함에 있어서 하나의 타공관(21)이 소정길이 형성되고 상기 타공관(21)의 양단부에 상부캡(23)과 하부캡(22)을 형성한 다음 상기 상부캡(23)과 하부캡(22)의 대향되는 각 면에 여과부재(25)의 양단부가 소정 삽입되는 결합홈(24e)을 각각 형성하되 이들 결합홈(24e)의 일측에 여과부재(25)의 일단을 밀어넣어 타공관(21)의 외측부를 감쌀 수 있게 안내홈(24f)을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에어크리너 엘레먼트.
KR1019980009558A 1998-03-20 1998-03-20 재활용이 가능한 에어크리너 앨레먼트 KR100272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558A KR100272746B1 (ko) 1998-03-20 1998-03-20 재활용이 가능한 에어크리너 앨레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558A KR100272746B1 (ko) 1998-03-20 1998-03-20 재활용이 가능한 에어크리너 앨레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386A KR19990075386A (ko) 1999-10-15
KR100272746B1 true KR100272746B1 (ko) 2000-11-15

Family

ID=19535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9558A KR100272746B1 (ko) 1998-03-20 1998-03-20 재활용이 가능한 에어크리너 앨레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274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386A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84544B (zh) 具有开口流入口的离心式过滤器
US7413588B2 (en) High efficiency, low restriction, cost effective filter
EP0711196B1 (en) Fluid filter cartridge with replaceable filter element
EP3461548B1 (en) Spin-on filter with external threads and methods
US6823996B2 (en) Spin-on filter including improved seal arrangement and methods
US7458468B2 (en) Fuel filter diverter
DE19923093A1 (de) Flüssigkeitsabscheider, insbesondere für die Reinigung von Kurbelgehäusegasen mit Abscheidepatrone
US20050103701A1 (en) Liquid filter arrangement with secondary filter and bypass flow
US2933192A (en) Oil filter
MXPA04011434A (es) Ensamble de filtro de fluido.
US20040025485A1 (en) Air filter with molded end caps
US5817232A (en) Rebuildable spin-on filters
KR100272746B1 (ko) 재활용이 가능한 에어크리너 앨레먼트
US20040060439A1 (en) Replaceable filter element assembly
US20090200221A1 (en) Liquid filter arrangement and method
US6070740A (en) Protector for holding filter medium
US6726030B1 (en) Standpipe element support for liquid filter
KR200191314Y1 (ko) 차량용 및 산업용 필터
KR100325004B1 (ko)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 여과재
KR200223571Y1 (ko) 자동차용에어크리너
WO2001068217A1 (en) Oil filter
JPH11197411A (ja) フィルタ装置及びエレメント交換用組立体
KR950007956Y1 (ko) 2단 분리형 공기청정기용 필터
KR950005076Y1 (ko) 자동차용 오일클리너
KR200195455Y1 (ko) 에어크리너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3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3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8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8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