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1213B1 - 밴드 체결구 - Google Patents

밴드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1213B1
KR100271213B1 KR1019970064454A KR19970064454A KR100271213B1 KR 100271213 B1 KR100271213 B1 KR 100271213B1 KR 1019970064454 A KR1019970064454 A KR 1019970064454A KR 19970064454 A KR19970064454 A KR 19970064454A KR 100271213 B1 KR100271213 B1 KR 100271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fastener
main body
insertion hole
opera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4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3449A (ko
Inventor
모리키요시토
Original Assignee
우치다 요이치로
우치다 단코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치다 요이치로, 우치다 단코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치다 요이치로
Priority to KR1019970064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1213B1/ko
Publication of KR19990043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3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용 밴드나 부하작용 밴드 등에 이용되는 밴드 체결구, 특히 체결구 본체(1)에 밴드 체결용의 조작 레버(2)를 기도가능하게 부착, 그 조작 레버(2)의 기부 근방에 밴드 삽입구멍(22)을 형성하고, 체결구 본체(1)에 일단을 연결고정시킨 밴드(B)의 타단을 체결구 본체(1)에 대해 조작 레버(2)를 외측으로 일으킨 상태에서 밴드 삽입구멍(22)을 통하여 조작 레버(2)를 체결구 본체측으로 넘머뜨리므로써 밴드(B)를 체결하는 밴드 체결구로서, 밴드 삽입구멍(22)으로의 밴드 삽입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밴드(B)가 외측으로 크게 인출되지 않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밴드 체결구에 있어서, 조작 레버(2)의 기부 근방의 체결구 본체(1)에 상기 밴드 삽입구멍(22)에 밴드(B)를 삽입할 때의 안내구멍(12)을 설치하고, 조작 레버(2)를 체결구 본체(1)의 외측으로 일으겼을 때 상기 안내구멍(12)에 밴드 삽입구멍(22)이 연속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밴드 체결구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전주(電柱)용 밴드나 짐꾸리기용 밴드 등에 이용되는 밴드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밴드 체결구로는 일본 실용공개 소45-841 호에는 체결구 본체에 밴드 체결용의 조작 레버를 기도(起倒)가능하게 부착하고, 그 조작 레버의 기부 근방에 밴드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구 본체에 일단을 연결고정한 밴드의 타단을 체결구 본체에 대해 조작 레버를 외측으로 일으킨 상태에서 밴드 삽입구멍을 통하여 상기 조작레버를 체결구 본체측으로 이동시키므로써 밴드를 체결하는 기술이 서술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상기 밴드 삽입구멍에 밴드가 통과하지 않은 작업에 손잡이 부착 등의 불합리가 있으며, 또한 밴드 삽입구멍에 밴드를 통과시키고 조작 레버를 체결구 본체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각각 밴드가 외측으로 크게 인출되어 악영향을 끼치게 되며 이에 의해 밴드가 완화될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밴드 삽입구멍으로의 밴드 통과작업 및 밴드의 체결조작이 용이하고, 또한 밴드가 외측으로 크게 인출되지 않고 양호하게 부착될 수 있는 체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밴드 체결구는 하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체결구 본체에 밴드 체결용의 조작 레버를 기도가능하게 부착하고, 그 조작 레버의 기부 근방에 밴드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구 본체에 일단을 연결고정한 밴드의 타단을 체결구 본체에 대해 조작 레버를 외측으로 일으킨 상태에서 밴드 삽입구멍을 통하여 상기 조작레버를 체결구 본체측으로 이동시키므로써 밴드를 체결하는 밴드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의 기부 근방의 체결구 본체에 상기 밴드 삽입구멍에 밴드를 삽입할 때의 안내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조작 레버를 체결구 본체의 외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안내구멍에 밴드 삽입구멍이 연속적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밴드 삽입구멍에 밴드를 삽입할 때 안내구멍을 체결구 본체에 설치하고, 조작 레버를 체결구 본체의 외측으로 일으켰을 때 상기 안내구멍에 밴드 삽입구멍이 연속적으로 연통되도록 구성하므로써 상기 밴드 삽입구멍에 밴드를 통과시킬 때 조작 레버를 일으키면 상기 조작 레버의 밴드 삽입구멍이 안내구멍에 도달되고, 그 안내 구멍에 밴드를 삽입하므로써 상기 밴드 삽입구멍에도 용이하게 밴드를 삽입할 수 있는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구 본체에 형성된 안내구멍을 거쳐 상기 밴드 삽입구멍에 밴드를 통소용(通素用)으로 하였기 때문에 밴드 체결시에 밴드가 외측으로 크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밴드 체결구를 도면을 참조한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하기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체결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 는 상기 밴드 체결구의 횡단평면도.
도 3 은 조작 레버가 열린 상태에서의 횡단평면도.
도 4 는 도 1 에서 A-A 선을 따른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 는 밴드의 체결순서를 도시한 횡단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체결구 본체 2 : 조작 레버
12 : 안내구멍 13 : 결합구멍
22 : 밴드 삽입구멍 23 : 결합 돌기
24 : 돌출부 B : 밴드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체결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 는 상기 밴드 체결구의 횡단평면도이고, 도 3 은 조작 레버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횡단평면도이며, 도 4 는 도 1 에서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부호 1 은 체결구 본체로서, 상기 체결구 본체(1)는 본 실시예에서는 합성수지에 의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면이 거의 コ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본체의 도 1 에서 좌측의 단부와 저면에는 밴드의 일단을 결합하는 밴드 결합구멍(10a, 10b)이 설치된다.
도면부호 2 는 밴드를 체결하기 위한 조작 레버로서, 상기 조작 레버(20)는 본 실시예에서는 합성수지에 의해 거의 혀(舌) 모양으로 형성되며, 레버(2)의 기부(2a)의 양측부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축부(21)가 일체로 설치된다. 상기 축부(21)를 본체(1)의 상하 양측면에 형성한 베어링(11)에 삽입하므로써, 상기 조작 레버(2)는 본체(1)에 대해 기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조작 레버(2)의 기부(2a)에는 밴드 삽입구멍(22)이 형성되며, 그 기부(1a)의 근방의 본체(1)의 우측부에는 상기 밴드 삽입구멍(22)에 밴드를 삽입할 때의 안내구멍(12)이 설치된다. 안내구멍(12)과 밴드 삽입구멍(22)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레버(2)를 본체(1)의 외측으로 일으켰을 때 서로 합치하여 연속적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2)의 자유단측의 양측부에는 결합돌기(23)가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결합돌기(23)를 본체측에 설치한 결합구멍(13)에 결합하므로써 조작레버(2)가 회전정지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전주(P)에 각종 물품을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전주(P)의 원주면에 밴드, 예를 들어 합성수지제의 밴드(B)를 부착고정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5A 처럼 조작 레버(2)를 본체(1)의 외측에 일으킨 상태에서 본체(1)를 전주(P)의 원주면에 배치하고, 전주(P)의 원주면에 권취된 밴드(B)의 일단(B1)을 본체(1)의 밴드 결합구멍(10a,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하여 상기 밴드의 단부(B1)를 본체(1)와 전주(P) 사이에 끼워 고정한다.
이어서, 상기 밴드(B)의 타단(B2)을 조작 레버(2)의 밴드 삽입구멍(22)에 삽입하기 때문에, 이때 체결구 본체(1)에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구멍(12)을 설치하는 동시에 조작 레버(2)를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외측에 일으켰을 때에 상기 안내구멍(12)과 밴드 삽입구멍(22)이 합치되어 연통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안내구멍(12)에 밴드(B)를 통과시키는 것만으로 밴드 삽입구멍(22)에도 동시에 용이하게 밴드(B)를 삽입할 수 있다.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밴드 삽입구멍(22)에 밴드 타단(B2)을 삽입한 상태에서, 조작 레버(2)를 도 5A 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밴드 삽입구멍(22)에 삽입된 밴드 타단(B2)이 도 5B 와 같이 조작 레버(2)의 기부(2a)에 권취되도록 거의 Z 형상으로 굴곡되면서 화살표(b) 방향으로 서서히 인출된다. 이어서 조작 레버를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5C 와 같이 본체(1)내에 삽입하면, 상기 밴드 타단(B2)이 조작 레버(2)의 기부(2a)에 다시 권취되어 인출되고, 이 상태에서 조작 레버(2)의 결합 돌기(23)를 본체(1)의 결합구멍(13)에 결합시키므로써 밴드(B)를 인장상태로 체결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밴드 타단(B2)은 조작 레버(2)의 기부(2a)에 Z 형상으로 굴곡되어 권취되기 때문에, 부주의하게 완화될 위험이 없다. 또한 상기 밴드 타단(B2)을 본체측에 안내구멍(12)을 거쳐 삽입하고 레버(2)의 밴드 삽입구멍(22)에 삽입하기 때문에, 밴드(B)의 인장력에 의한 반력으로 도 5C 에서 본체(1)보다도 도면에서 우측으로 밴드 단부가 좌우로 인장되었을 때, 그 인장력은 상기 안내구멍(12)과의 당접부를 거쳐 상기 Z 형상굴곡부에 작용하고, 상기 굴곡부에는 직접 커다란 힘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합성수지 밴드를 이용한 경우에도 상기 굴곡부가 손상이나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밴드 타단(B2)을 안내구멍(12)을 거쳐 상기 밴드 삽입구멍(22)에 삽입하였으므로 밴드 체결후에 밴드(B)가 외측으로 크게 인출될 염려가 없으며, 또한 외측으로 인출에 의한 밴드의 완화도 없다.
상기 조작 레버(2)의 기부에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4)를 설치하고, 밴드 체결시에 도 5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4)와 コ 형상 본체(1)의 저면과의 사이에 밴드(B)를 끼워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밴드(B)를 보다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24)에는 도시예와 같이 레버(2)의 회전방향(기도방향)과 직각방향의 미끄럼정지용의 요철부(24a)를 형성해도 무방하며, 이와 같이 하면 밴드의 미끄럼이 방지되어 보다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체결구는 조작 레버(2)의 기부 근방의 체결구 본체(1)에 조작 레버(2)에 설치된 밴드 삽입구멍(22)에 밴드(B)를 삽입할 때의 안내구멍(12)을 설치하고, 상기 조작 레버(2)를 체결구 본체(1)의 외측으로 일으켰을 때 상기 안내구멍(12)에 밴드 삽입구멍(22)이 연속적으로 연통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본체(1)에 일단(B1)이 연결된 밴드(B)의 타단(B2)을 조작 레버(2)의 밴드 삽입구멍(22)에 삽입하였을 때, 상기 안내구멍(12)에 밴드를 통과시킨 것만으로 밴드 삽입구멍(22)에도 동시에 용이하게 밴드(B)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 타단(B2)을 본체측의 안내구멍(12)을 거쳐 밴드 삽입구멍(22)에 통과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밴드 체결시의 반력이 밴드 삽입구멍(22)으로의 삽입부 근방에 직접 작용하여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밴드(B)가 외측으로 크게 인출될 염려가 없는 동시에 또한 그 인출에 의한 밴드의 완화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 및 체결성능이 양호한 밴드 체결구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체결구 본체에 밴드 체결용의 조작 레버를 기도가능하게 부착하고, 그 조작 레버의 기부 근방에 밴드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구 본체에 일단을 연결고정한 밴드의 타단을 체결구 본체에 대해 조작 레버를 외측으로 일으킨 상태에서 밴드 삽입구멍을 통하여 상기 조작레버를 체결구 본체측으로 이동시키므로써 밴드를 체결하는 밴드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의 기부 근방의 체결구 본체에 상기 밴드 삽입구멍에 밴드를 삽입할 때의 안내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조작 레버를 체결구 본체의 외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안내구멍에 밴드 삽입구멍이 연속적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체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 본체 및 조작 레버는 각각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체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의 기부 근방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밴드 체결시 상기 돌출부와 체결구 본체 사이에 밴드를 협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체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 미끄럼정지용의 오목부 및 볼록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체결구.
KR1019970064454A 1997-11-29 1997-11-29 밴드 체결구 KR100271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454A KR100271213B1 (ko) 1997-11-29 1997-11-29 밴드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454A KR100271213B1 (ko) 1997-11-29 1997-11-29 밴드 체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449A KR19990043449A (ko) 1999-06-15
KR100271213B1 true KR100271213B1 (ko) 2000-11-01

Family

ID=19526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4454A KR100271213B1 (ko) 1997-11-29 1997-11-29 밴드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12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984B1 (ko) * 2002-05-10 2004-08-25 이치우 케이블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449A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95010B1 (en) Band clip
JP2005211302A (ja) 紐止め具
KR100271213B1 (ko) 밴드 체결구
US5402970A (en) Band-type clamp for wire harness
SE9404328D0 (sv) Buntningsband
JP3880657B2 (ja) バンド締付具
ZA956758B (en) Tolerance-compensating reusable clamp structure.
KR870700240A (ko) 하물 체결장치
KR200173849Y1 (ko) 차량용 클램프
KR100199488B1 (ko) 밴드 케이블
CN213344571U (zh) 一种便于拆装的塑胶扣具
JPH0339593Y2 (ko)
KR19980068315U (ko) 컴팩트 디스크 케이블 고정클립
JPH0438546Y2 (ko)
KR100239663B1 (ko) 진공 청소기의 파워코드 체결구조
JPH0956040A (ja) ワイヤハーネスプロテクタ
KR960004420Y1 (ko) 타이어체인용 체결구
KR950002952Y1 (ko) 클립(clip)
KR200145109Y1 (ko) 시트벨트 트림카바
KR100418747B1 (ko) 차량 적재함의 로프후크
JP2004128018A (ja) 接続コード係止構造
KR200326763Y1 (ko) 자동차의 코로게이트 튜브용 클립
JPH0237219Y2 (ko)
JP2605690Y2 (ja) ケーブルタイ
FI76453B (fi) Anordning foer fastspaenning av en laongstraeckt krop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