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8000B1 - 전화기의 자동 전용선 이용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자동 전용선 이용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8000B1
KR100268000B1 KR1019970053427A KR19970053427A KR100268000B1 KR 100268000 B1 KR100268000 B1 KR 100268000B1 KR 1019970053427 A KR1019970053427 A KR 1019970053427A KR 19970053427 A KR19970053427 A KR 19970053427A KR 100268000 B1 KR100268000 B1 KR 100268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telephone
international
data
lea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393A (ko
Inventor
구영희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53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8000B1/ko
Publication of KR19990032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8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8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2Calling substations, e.g. by rin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5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network data storage and management
    • H04M2203/558Datab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42Least cost routing, i.e. provision for selecting the lowest cost tari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전화기의 자동 전용선 이용장치 및 그 방법은 각 지역에 대한 전용선, 국선 및 해외 라인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여 국선 전화 번호만 다이얼링함으로써 전용선 및 해외 라인을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선 연결수단, 전용선 연결수단 및 국선 연결수단을 구비한 전화기에 있어서, 국선 데이터에 상응하는 전용선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싱수단과, 상기 내선 연결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국선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베이싱수단내의 전용선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국선에 상응하는 전용선의 유무를 판별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국선과 전용선을 스위칭하는 교환수단으로 구성되고, 그에 상응하는 전화기의 자동 전용선 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전화기의 자동 전용선 이용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전화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기의 자동 전용선 이용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용선 이용장치는 먼저, 유저가 전용선을 사용하여 상대방과 통화를 하려고 할 경우 전용선에 해당하는 국번과 번호를 누른다.
그러면 교환부는 상기 전용선의 사용 유무를 검색하여 미사용시 유저에게 통화 라인을 연결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유저는 상기 전용선이 사용중일 경우 국선을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어 국선 미사용시 통화를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과정을 LG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LG는 845는 청주 공장, 800은 본사, 875는 런던 등의 전용선을 사용한다.
상기 청주 공장의 시험반은 전용선 이용시에는 845-1274이고, 국선을 이용할 경우에는 0431-279-1274이다.
상기 런던(1234)은 전용선 이용시에는 875-1234이고, 국선을 이용할 경우에는 001-44-171-1234이다.
상기 베를린(1234)의 경우 런던을 경유하는 전용선 이용시에는 875-3-49-30-1234이고, 국선을 이용할 경우에는 011-49-30-1234이다.
"" LG에 근무하고 있는 유저가 전용선을 이용하여 청주 공장으로 전화를 할 경우 유저는 해당 지역의 전용선 국번인 845를 누른 다음 해당 번호(1274)를 누른 후 해당 전용선이 미사용중일 경우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전용선을 이용하여 런던에 전화를 할 경우에는 875를 누른 다음 해당 번호(1234)를 누른 후 해당 전용선이 미사용중일 경우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베를린의 경우에는 875, 3, 49, 30, 1234를 순차적으로 누른 후 해당 전용선이 미사용중일 경우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전용선이 사용중일 경우 또는 전용선이 아닌 국선을 이용하여 청주 공장에 전화를 할 경우 유저는 해당 지역 번호인 0431을 누른 다음 국번인 279를 누른 후 해당 번호인 1234를 눌러 해당 국선이 미사용중일 경우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런던의 경우 유저는 001, 44, 171, 1234를, 베를린의 경우에는 001, 49, 30, 1234를 순차적으로 누른 후 해당 국선이 미사용중일 경우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전용선 이용장치는 전용선이 설치되어 있는 사업장에서 전용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 사업장의 전용 라인을 일일이 다이얼링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한 지역에 대한 국선 및 전용선 번호를 복수로 갖추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각 지역에 대한 전용선, 국선 및 해외 라인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여 국선 전화 번호만 다이얼링함으로써 전용선 및 해외 라인을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전화기의 자동 전용선 이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장치에 상응하는 전화기의 자동 전용선 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자동 전용선 이용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내선 연결부 120 : 데이터베이싱부
130 : 제어부 140 : 교환부
150 : 전용선 연결부 160 : 국선 연결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자동 전용선 이용장치의 특징은, 내선 연결수단, 전용선 연결수단 및 국선 연결수단을 구비한 전화기에 있어서, 국선 데이터에 상응하는 전용선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싱수단과, 상기 내선 연결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국선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베이싱수단내의 전용선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국선에 상응하는 전용선의 유무를 판별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국선과 전용선을 스위칭하는 교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자동 전용선 이용방법의 특징은, 국선 다이얼을 누른 후 입력되는 전화 번호의 첫 번째 번호를 검색하여 시내 전화인지 또는 시외 및 국제 전화인지를 판단하여 시외 또는 국제 전화라면 상기 전화 번호의 두 번째 번호를 검색하여 시외 전화인지 국제 전화인지를 판단하여 시외 전화라면 전용선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전용선이 있다면 상기 전용선 사용 유무를 검색하여 상기 전용선이 비어 있다면 데이터베이싱수단의 전용선으로 연결하고, 상기 시외 전화인지 국제 전화인지의 판단 결과 국제 전화라면 국제 전용선의 사용 유무를 검색하여 국제 전용선이 비어 있으면 데이터베이싱수단에 기 저장된 전용선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자동 전용선 이용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자동 전용선 이용장치의 구성도로서, 다수개의 전화기간 내선을 연결하거나 국선 또는 전용선을 연결하는 내선 연결부(110)와, 상기 국선 데이터에 상응하는 전용선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싱부(120)와, 상기 내선 연결부(110)로부터 입력되는 국선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베이싱부(120)내의 전용선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국선에 상응하는 전용선의 유무를 판별하는 제어부(130)와,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국선과 전용선을 스위칭하는 교환부(140)와, 상기 교환부(140)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국선에 해당하는 전용선을 연결하는 전용선 연결부(150)와, 상기 교환부(140)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국선을 연결하는 국선 연결부(160)로 구성된다.
도 2 는 도 1 의 플로우 챠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자동 전용선 이용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저는 내선 시스템에 연결된 전화기를 이용하여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해 다이얼 "9"를 누른다.
그러면 다수개의 전화기간 내선이 연결된 내선 연결부(110)는 상기 눌려진 다이얼 "9"에 따라 국선을 사용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상기 내선 연결부(110)의 신호에 따라 교환부(140)를 스위칭하여 국선 연결부(160)를 통해 국선을 연결한다.
이후 유저가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누르면 제어부(130)는 이를 데이터베이싱부(120)에 기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싱부(120)는 각 사업장 또는 지역에 해당하는 전화 번호 및 그에 상응하는 전용선 전화 번호가 하기한 표 1 및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저장되는데 여기서는 LG의 각 사업장을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상기한 표 2에서 런던의 경우 국선을 이용할 경우는 "001-44-171-1XXX"이고 전용선을 이용할 경우는 "875-1XXX"이며, 베를린의 경우 국선을 이용할 경우 "011-49-30-1XXX"이고 전용선을 이용할 경우는 "875-3-49-30-1XXX"로 런던을 경유할 경우를 예를 든 것이다.
즉 제어부(130)는 상기 내선 연결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전화 번호의 첫 번째 자리를 검색하여 "0"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1).
상기 검색 결과 "0"이 아니라면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되는 전화 번호로 시내 전화를 연결하고(S2), "0"이라면 시외 또는 국제 전화 번호로 판단하여 다음 입력되는 두 번째 자리를 검색하여 "0"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3).
상기 판단 결과 "0"이 아니라면 제어부(130)는 시외 전화로 판단하고 해당 전화 번호에 상응하는 전용선이 있는가를 검색한다(S4).
즉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된 해당 전화 번호의 국번과 전화 번호의 첫 번째 자리와 데이터베이싱부(120)에 기 저장된 국내 전용선 데이터를 검색하여 국내 전용선 데이터가 없다면 시외 전화료가 싼 통신회사를 통해 상기 입력된 전화 번호로 연결한다(S5).
예를 들면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된 전화 번호가 "0431-279-1XXX"라면 제어부(130)는 상기 "279-1"에 상응하는 전용선이 데이터베이싱부(120)에 기 저정된 국내 전용선 데이터내에 존재하는지를 검색한다.
상기 검색 결과 전용선이 있다면 제어부(130)는 다음으로 상기 전용선의 사용 유무를 검색(S6)하여 사용중이라면 통화료가 싼 통신회사를 통해 상기 전화 번호로 연결하고, 비어 있다면 상기 데이터베이싱부(120)에 기 저장된 국내 전용선으로 연결한다(S7).
여기서 시외 전화료가 싼 통신회사의 식별번호는 일례로 데이콤이다.
즉 제어부(130)는 상기 전용선이 비어 있다면 상기 교환부(140)와 국선 연결부(160)를 통해 연결된 국선을 끊은 후 상기 교환부(140)를 스위칭하여 전용선 연결부(150)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싱부(120)에 기 저장된 국내 전용선으로 연결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상기 전용선이 사용중이라면 상기 교환부(140)와 국선 연결부(160)를 연결하여 시외 전화료가 싼 통신회사인 데이콤을 통해 "0431-279-1XXX"로 연결하고, 비어 있다면 상기 교환부(140)를 스위칭하여 국선 연결부(160)를 통해 연결된 국선을 끊은 후 상기 교환부(140)를 스위칭하여 전용선 연결부(150)를 통해 상기 "0431-279-1XXX"에 상응하는 "845-1XXX"로 연결한다.
이후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된 전화 번호의 두 번째 자리의 검색 결과 "0"이라면 국제 전화 번호라고 인식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다음 입력되는 전화 번호의 세 번째 자리의 검색하여 통신 회사를 인식하는데 여기서는 일례로 "1"이면 한국통신, "2"면 데이콤이다(S8).
여기서 "1"이면 한국통신, "2"면 데이콤이라는 것은 상기 데이터베이싱부(120)에 기 저장되는데 상기 기 저장되는 통신회사의 수는 국제 전화 사업자의 수에 따라 다수개를 기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이후 입력되는 지역 번호, 전화 번호의 국번 및 전화 번호의 첫 번째 자리와 상기 데이터베이싱부(120)에 기 저장된 국제 전용선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전화 번호에 상응하는 국제 전용선의 유무를 검색한다(S9).
상기 검색 결과 국제 전용선이 없다면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국제 전화료가 싼 통신회사의 식별번호를 부가하여 먼저 연결을 시도한다(S10).
여기서 국제 전화일 경우 상기 국제 전화료가 싼 통신회사로 먼저 연결하는 것은 데이콤인데 이보다 더 싼 통화료를 받는 통신회사가 생길 경우 프로그램을 조절하여 이 통신회사부터 연결을 시도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되는 전화번호가 데이콤의 식별번호인 "002"라면 이 전화번호가 사용중인지를 검색하여 사용중이라면 다음으로 통화료가 싼 한국통신의 식별번호인 "001"을 부가하여 연결하고, 비어 있다면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로 바로 연결한다(S11, S12).
예를 들면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된 전화 번호가 "통신회사의 식별번호-44-171-1XXX"라면 제어부(130)는 상기 "44-171-1"에 상응하는 전용선이 데이터베이싱부(120)에 기 저정된 국내 전용선 데이터내에 존재하는지를 검색한다.
상기 검색 결과 "44-171-1"에 상응하는 전용선이 없다면 상기 "통신회사의 식별번호-44-171-1XXX"의 식별번호를 검색하여"002"로 시작되는 전화번호라면 바로 연결을 시도하고, "001"로 시작되는 전화번호였다면 이를 전화료가 싼 데이콤의 식별번호인 "002"를 부가하여 "002-44-171-1XXX"로 먼저 연결을 시도한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상기 "002"가 사용중이라면 다음으로 통화료가 싼 한국통신의 식별번호인 "001"을 부가하여 "001-44-171-1XXX"로 연결하고, 비어 있다면 입력된 전화번호로 바로 연결한다.
상기 전용선의 유무 판단 결과 전용선이 있다면 제어부(130)는 상기 전용선이 사용중인지를 검색한다(S13).
상기 검색 결과 전용선이 사용중이라면 제어부(130)는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되는 전화번호가 "001"로 시작되는 전화번호였다면 이를 전화료가 싼 데이콤의 식별번호인 "002"로 먼저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입력되는 전화번호가 "002"로 시작되는 전화번호라면 바로 연결을 시도한다(S10).
여기서 제어부(130)는 상기 "002"가 사용중이라면 다음으로 통화료가 싼 한국통신의 식별번호인 "001"을 부가하여 연결하고, 비어 있다면 입력된 전화번호로 바로 연결한다(S11, S12).
예를 들면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된 전화 번호가 "통신회사의 식별번호-44-171-1XXX"라면 제어부(130)는 상기 "44-171-1"에 상응하는 전용선이 데이터베이싱부(120)에 기 저장된 국내 전용선 데이터내에 존재하는지를 검색한다.
상기 검색 결과 "44-171-1"에 상응하는 전용선이 없다면 상기 "통신회사의 식별번호-44-171-1XXX"의 식별번호를 검색하여 "002"로 시작되는 전화번호라면 바로 연결을 시도하고, "001"로 시작되는 전화번호였다면 이를 전화료가 싼 데이콤의 식별번호인 "002"를 부가하여 "002-44-171-1XXX"로 먼저 연결을 시도한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상기 "002"가 사용중이라면 다음으로 통화료가 싼 한국통신의 식별번호인 "001"을 부가하여 "001-44-171-1XXX"로 연결하고, 비어 있다면 입력된 전화번호로 바로 연결한다.
아울러 제어부(130)는 상기 검색 결과 전용선이 비어 있다면 상기 데이터베이싱부(120)에 기 저장된 국제 전용선으로 상기 입력되는 전화 번호를 연결한다(S14).
즉 제어부(130)는 상기 교환부(140)를 스위칭하여 전용선 연결부(150)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싱부(120)에 기 저장된 국제 전용선으로 연결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상기 전용선이 비어 있다면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인 "001-44-1171-1XXX"의 전용선 전화번호인 "875-1XXX"로 연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자동 전용선 이용장치 및 그 방법은 각 지역에 대한 전용선, 국선 및 해외 라인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여 국선 전화 번호만 다이얼링함으로써 전용선 및 해외 라인을 모두 이용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용선 및 해외 라인 또는 시내외 국선을 이용할 경우 가장 요금이 싼 통신 회사의 라인에 연결함으로써 전화 요금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Claims (5)

  1. 내선 연결수단, 전용선 연결수단 및 국선 연결수단을 구비한 전화기에 있어서, 국선 데이터에 상응하는 전용선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싱수단과; 상기 내선 연결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국선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베이싱수단내의 전용선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국선에 상응하는 전용선의 유무를 판별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국선과 전용선을 스위칭하는 교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자동 전용선 이용장치.
  2. 국선 다이얼을 누른 후 입력되는 전화 번호의 첫 번째 번호를 검색하여 시내 전화인지 또는 시외 및 국제 전화인지를 판단하여 시외 또는 국제 전화라면 상기 전화 번호의 두 번째 번호를 검색하여 시외 전화인지 국제 전화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의 판단 결과 시외 전화라면 전용선 유무를 판단하여 전용선이 있다면 상기 전용선 사용 유무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단계의 검색 결과 전용선이 비어 있다면 데이터베이싱수단의 전용선으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의 판단 결과 국제 전화라면 국제 전용선의 사용 유무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국제 전용선의 사용 유무를 검색하는 단계의 검색 결과 국제 전용선이 비어 있으면 데이터베이싱수단에 기 저장된 전용선으로 연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자동 전용선 이용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의 판단 결과 시내 전화라면 시내 전화를 바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자동 전용선 이용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외 또는 국제 전화 판단단계의 판단 결과 시외 전화라면 전용선 유무를 판단하여 전용선이 없으면 시외 전화료가 싼 통신회사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시외 전화료가 싼 통신회사의 식별 번호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자동 전용선 이용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외 또는 국제 전화 판단단계의 판단결과 국제전화라면 국제 전용선 유무를 판단하여 전용선이 없으면 국제전화료가 싼 통신회사의 식별 번호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국제 전용선이 있으면 사용유무를 판단하여 서용중이라면 전화료가 싼 통신회사의 식별 번호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자동 전용선 이용방법.
KR1019970053427A 1997-10-17 1997-10-17 전화기의 자동 전용선 이용 장치 및 그 방법 KR100268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427A KR100268000B1 (ko) 1997-10-17 1997-10-17 전화기의 자동 전용선 이용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427A KR100268000B1 (ko) 1997-10-17 1997-10-17 전화기의 자동 전용선 이용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393A KR19990032393A (ko) 1999-05-15
KR100268000B1 true KR100268000B1 (ko) 2000-10-16

Family

ID=19522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427A KR100268000B1 (ko) 1997-10-17 1997-10-17 전화기의 자동 전용선 이용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80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086A (ko) * 1996-02-07 1997-09-12 윤원영 전화기의 다이얼링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086A (ko) * 1996-02-07 1997-09-12 윤원영 전화기의 다이얼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393A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5295A (en) Caller directed routing of a telephone call based on a dialed suffix
KR100268000B1 (ko) 전화기의 자동 전용선 이용 장치 및 그 방법
KR100360226B1 (ko) 사설간이전자교환장치를이용한발신자전화번호의저장,조회및호출방법
KR930011205B1 (ko) 전화교환 시스템에서의 자동 다이얼링방법
JP2625460B2 (ja) 電話交換システムにおける通話ルート指定方法
KR20030056994A (ko) 사설교환기에서 pri를 이용한 중계선 콜백 기능을 위한방법 및 장치
US6526132B2 (en) Bi-directional CID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KR970004825B1 (ko) 국제통신 콜링(calling) 제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299140B1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발신호경로를지정하는방법
KR19980013936A (ko) 전자식 간이 교환장치의 호 서비스방법
KR100539909B1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디사 라인을 통한 음성 다이얼링 방법
KR100200339B1 (ko) 페이저 호출시 수신 전화번호 원터치 다이얼링 방법
KR100469743B1 (ko) 사설교환기에서 디사를 통한 단축다이얼링 방법
KR100397343B1 (ko) 간이교환기시스템의 발신자 자동 리다이얼링방법
KR19980014742A (ko) 간이교환 장치의 수신링 자동분배 방법
KR19980031596A (ko) 전화기의 자동 재 다이얼방법
KR100464362B1 (ko) 키폰시스템에서 호 픽업 방법
JP2002094648A (ja) 010を自動的にダイヤルする電気通信端末
KR20010077747A (ko) 통신시스템에서의 자동 호연결장치
KR20010077748A (ko) 통신시스템에서의 자동 호연결장치
JPH04196857A (ja) 発信番号検索方法および自動発信方法並びに自動発信端末
JPH07297917A (ja) 異常呼識別装置および異常呼規制方式
JPH05236117A (ja) 電話回線発信方式
KR20020065058A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 과금코드 자동 다이얼 방법
KR20000046551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