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7244B1 - 셔틀방식스캐너의기울기편차보정방법 - Google Patents

셔틀방식스캐너의기울기편차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7244B1
KR100267244B1 KR1019970064479A KR19970064479A KR100267244B1 KR 100267244 B1 KR100267244 B1 KR 100267244B1 KR 1019970064479 A KR1019970064479 A KR 1019970064479A KR 19970064479 A KR19970064479 A KR 19970064479A KR 100267244 B1 KR100267244 B1 KR 100267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ner
pattern data
shading correction
pixel
shu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4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중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4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7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24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화이트시트를 스캐닝하여 각 픽셀당 쉐이딩보정계수를 구하고, 소정형태의 패턴이 기록된 기준시트를 스캐닝하여 스캐닝된 패턴데이터의 각 픽셀당 전압값을 검출하고 위의 쉐이딩보정계수를 곱하여 쉐이딩보정처리한다. 이후, 쉐이딩보정처리된 디지털데이터의 전압파형을 오실로스코프 등과 같은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표시된 전압파형이 직선화될 때까지 노브조정장치를 조작하여 스캐너헤드의 기울기편차를 보정한다.

Description

셔틀방식 스캐너의 기울기편차 보정방법{Method for revision slope error in shuttle type scanner}
본 발명은 셔틀방식 스캐너의 기울기편차(Slope) 보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셔틀방식 스캐너에 의해 스캐닝된 화상의 파형을 쉐이딩(Shading)보정한 후 보정된 파형으로 기울기편차를 보정하도록 함으로써, 기울기편차를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한 셔틀방식 스캐너의 기울기편차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셔틀방식 스캐너는 스캐닝영역에 이송된 원고를 원고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좌우 왕복 운동하면서 원고상에 기록된 화상을 스캐닝하도록 한 장치로서, 원고의 데이터면(화상이 기록된 면)에 광을 주사하는 램프(Lamp)를 포함하는 램프 어셈블리(Assembly)와, 원고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집광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렌즈에 의해 집광된 반사광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는 전하결합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를 포함하는 전하결합소자 어셈블리를 갖는다. 또한, 렌즈 어셈블리는 필터와 렌즈 및 렌즈 홀더로 구성되어 있으며, 렌즈 홀더는 전하결합소자 어셈블리와 램프 어셈블리 사이에서 유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렌즈 어셈블리와 전하결합소자 어셈블리는 일체화되어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전하결합소자 어셈블리를 회전시키기 위한 노브조정장치의 스크류(Screw)와 전하결합소자 어셈블리의 프레임의 접촉부위에는 각각 나사산이 가공되어 있으며, 이 나사산에 치합되어 노브조정장치가 회전함에 따라 프레임이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한편, 일반적인 셔틀방식 스캐너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슬라이스(Slice)당 다수개의 픽셀(Pixel)을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스캐닝할 수 있으며, 만약 한 슬라이스당 픽셀수가 160개라고 가정하면, 300DPI(Dot per Inch)를 기준으로 13.547㎜(4.67㎛×160개)를 얻을 수 있다. 즉, 하나의 슬라이스는 160개의 화소로 구성되고, 하나의 밴드(스캐너헤드가 한 번의 셔틀운동으로 스캐닝할 수 있는 스캐닝영역)는 A4크기의 원고를 기준으로 160 도트(Dot)×2400 슬라이스로 구성되며, 22 밴드(297÷13.547)로 구성된다.
즉, 스캐닝작업이 시작되면, 스캐닝된 데이터는 슬라이스 순서대로 메모리에 저장되므로, 한 밴드의 스캐닝작업이 완료되면 160×2400 바이트(Byte)의 이미지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런데, 스캐너모듈의 조립공정상의 오차 혹은 기구적인 조립공차 등으로 인하여 스캐너헤드의 라인방향(슬라이스의 길이방향)이 원고의 이송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스캐닝작업을 통해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밴드사이가 단절되고 기울어진 형태가 된다. 이러한 기울기편차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노브조정장치를 조정하여 스캐너헤드의 라인방향을 원고의 이송방향에 정확하게 일치시켜야 한다.
종래의 경우, 스캐너모듈에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 등의 표시장치를 접속하고, 스캐너헤드에 의해 스캐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압파형을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전압파형(도 2a 내지 도 2c 참조)의 형태에 따라 노브조정장치를 회전시켜 기울기편차를 보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예컨대, 스캐너헤드에 기울기편차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도 2a 및 도 2b)인 경우 오실로스코프에는 스캐닝된 데이터의 화이트레벨에 대응하는 전압레벨을 갖는 완만한 물결파가 검출된다. 그러나, 스캐너헤드에 기울기편차가 발생한 상태(도 2c)인 경우 오실로스코프에는 스캐닝된 데이터의 화이트레벨에 대응하여 급격한 물결파가 검출된다. 이와 같이, 급격한 물결파가 발생하는 이유는 스캐너헤드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턴을 스캐닝할 때 기울기편차로 인하여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화이트와 데이터가 기록된 블랙(혹은 기타 색상)을 몇 개의 슬라이스를 걸쳐 스캐닝하기 때문이다. 즉, 스캐너헤드가 화이트성분을 스캐닝하면 전압레벨이 최상위의 레벨로 검출되며, 블랙성분을 스캐닝하면 전압레벨이 최하위의 레벨로 검출된다. 따라서, 기울기편차가 발생한 스캐너헤드를 통하여 블랙성분과 화이트성분이 교번되어 배열된 패턴형태의 데이터를 독취하는 경우 블랙데이터와 화이트데이터가 번갈아서 스캐닝되므로, 검출되는 전압파형은 급격한 물결파가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기울기편차 보정작업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즉, 기울기편차를 조정할 때, 이 물결파를 직선형태에 거의 가까운 상태로 조정하여야 하는데, 오실로스코프에 의해 검출된 전압파형은 스캐너헤드의 기울기편차가 보정된 상태에서도 완만한 물결파의 형태를 가지므로 이 물결파를 보면서 기울기편차를 보정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캐너헤드에 의해 스캐닝된 데이터의 전압파형을 쉐이딩 보정처리하여 직선형태의 파형으로 변환한 후 이를 표시함으로써, 셔틀방식 스캐너의 기울기편차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한 셔틀방식 스캐너의 기울기편차 보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a는 일반적인 스캐너헤드의 규격을 도시한 도면,
도 1b는 기울기편차가 발생한 종래의 스캐너헤드와 그에 따라 스캐닝된 데이터의 상태도,
도 2a 내지 도 2c는 스캐닝된 패턴데이터와 그에 따른 전압파형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셔틀방식 스캐너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4a는 셔틀방식 스캐너모듈의 기울기편차를 보정하기 위한 테스트 지그에 스캐너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테스트 지그의 요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화상처리장치의 전체 블럭도,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셔틀방식 스캐너의 기울기편차 보정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
도 7은 기준시트에 기록된 패턴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8a는 기준시트의 패턴과 스캐너헤드의 각 픽셀당 스캐닝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8b는 스캐닝된 패턴데이터를 쉐이딩보정처리하기 이전의 전압파형도,
도 8c는 스캐닝된 패턴데이터를 쉐이딩보정처리한 후의 전압파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 노브조정장치 34: 스캐너모듈
35: 테스트 지그 36: 기준시트
43: 중앙처리장치 44: 메모리
45: 입력부 46: 화상처리부
47: 스캐너헤드 48: 출력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화이트시트를 스캐닝하여 스캐너헤드의 각 픽셀당 쉐이딩보정계수를 구하고, 소정형태의 패턴이 기록된 기준시트를 스캐닝하여 스캐닝된 각 픽셀당 패턴데이터에 각 픽셀당 쉐이딩보정계수를 곱하여 쉐이딩보정하며, 쉐이딩보정된 패턴데이터의 전압파형을 표시하고, 표시된 전압파형이 기 설정된 소정형태가 될 때까지 노브조정장치를 조정하여 스캐너헤드의 기울기편차를 보정하도록 한 점에 있다.
이때, 쉐이딩보정계수는
Figure pat00001
의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그리고, 쉐이딩보정단계를 통하여 보정된 패턴데이터의 디지털전압값은
Figure pat00002
의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그리고, 기 설정된 소정형태는 직선형태로 설정한다.
또한, 각 픽셀단위의 패턴데이터 중 픽셀단위의 소정배수를 주기로 하여 패턴데이터를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패턴데이터를 쉐이딩보정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셔틀방식 스캐너의 기울기편차 보정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적용된 셔틀방식 스캐너모듈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셔틀방식 스캐너모듈의 조립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렌즈홀더(1)에 필터(2)를 삽입한 후 렌즈(3)를 끼움 결합하고 이들을 열 융착방식으로 고정하여 렌즈 어셈블리(4)에 조립한다. 또한, 프레임(5)에 전하결합소자 보드(6)를 체결부재(7)로 체결하여 전하결합소자 어셈블리(8)를 조립하고, 렌즈홀더(1)의 외부에 스프링(9)을 끼운 후 조립된 전하결합소자 어셈블리(8) 중 프레임(5)의 일측(10)에 결합하고 캡렌즈(11)를 프레임(5)의 일측(10)에 대고 회전시켜 결합 고정한다. 여기서, 렌즈홀더(1)의 일측에는 단턱부(12)가 형성되어 렌즈홀더(1)의 외면에 끼움 결합된 스프링(9)이 단턱부(12)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프레임(5)의 일측(10) 외면과 캡렌즈(11)의 내면에는 각각 나사홈(13, 14)이 가공되어 캡렌즈(11)를 회전함에 따라 캡렌즈(11)와 프레임(5)의 일측(10)은 체결 고정된다.
위의 과정을 통하여 결합된 렌즈 어셈블리(4)와 전하결합소자 어셈블리(8)의 결합체를 프레임 베이스(15)에 결합한 후, 프레임(5)의 일측에 형성된 클립홈(16)에 스프링클립(17)을 끼움 결합하고, 노브조정장치(18)의 스크류(19) 중 일측은 프레임 베이스(15)의 좌우측 지지대 중 어느 하나의 지지대(20)에 형성된 관통공(21)에 끼움 결합하며, 노브조정장치(18)의 스크류(19) 중 타측은 프레임 베이스(15)의 다른 하나의 지지대(22)에 형성된 결합홈(23)에 억지 끼움 결합한다. 여기서, 결합홈(23)에는 스크류(19)의 외경보다 크기가 작은 내경을 갖는 단턱(24)이 형성되어 결합홈(23)에 끼움 결합된 스크류(19)가 외부로 이탈됨이 방지된다.
한편, 반사경(25)에 램프보드(26)를 끼우고 반사경(25)의 관통공(27)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28)를 끼운 후 납땜하여 램프 어셈블리(29)를 조립한다. 이후, 조립된 램프 어셈블리(29)를 커버로워(Cover Lower)(30)의 하단에 끼움 결합하고, 프레임 베이스(15) 조립품(렌즈 어셈블리(4)와 전하결합소자 어셈블리(8))을 램프 어셈블리(29)의 상단에 결합한 후 체결부재(31)로 체결 고정한다.
이와 같은 조립과정이 완료되면 스캐너모듈의 기울기편차 보정작업을 수행한 후, 커버어퍼(Cover Upper)(32)를 커버로워(30)에 결합하고, 라벨(33)을 정해진 위치에 부착하면 조립과정이 완료된다.
한편, 도 4a에는 셔틀방식 스캐너모듈의 기울기편차를 보정하기 위한 테스트 지그(Test Jig)에 스캐너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는 도 4a에 도시된 테스트 지그의 요부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와 같은 조립과정을 거쳐 조립된 스캐너모듈(34)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지그(Test Jig)(35)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테스트 지그(35)의 상부에 설치된 스캐너모듈(34)의 하단부 즉, 스캐너헤드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지점에는 소정형태의 패턴이 기록된 기준시트(36)가 수납되도록 수납홈(37)이 가공되어 있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홈(37)의 하단에는 기준시트(36)가 스캐너헤드로부터 소정거리를 유지하도록 기준시트(36)를 스캐너헤드측으로 가압하는 다수개의 가압핀(38)이 장착되어 있고, 이 가압핀(38)은 그 하단의 스프링(39)에 의해 탄지되어 스프링(39)의 탄성력에 의해 기준시트(36)를 가압하는 구조를 갖는다.
수납홈(37)의 일측부에는 수납된 기준시트(36)가 좌우측으로 유동됨이 없도록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스프링(40)에 의해 탄지되는 가압핀(41)이 장착되어 있고, 수납홈(37)의 타측부에는 기준시트(36)의 크기에 대응하여 기준시트(36)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정 스크류(42)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화상처리장치의 전체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보면, 중앙처리장치(43)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메모리(44)는 중앙처리장치(43)가 수행할 각종 프로그램데이터를 저장하고 화상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화상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입력부(45)는 사용자가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중앙처리장치(43)로 전송한다.
화상처리부(46)는 스캐너헤드(여기서는 전하결합소자 어셈블리(8)와 램프 어셈블리(29)와 렌즈 어셈블리(4)를 포함한 것으로 정의함)(47)에 의해 스캐닝된 화상데이터를 쉐이딩보정하고 기타 각종 화상처리작업을 수행한다. 출력부(48)는 화상처리부(46)에서 쉐이딩보정된 화상데이터를 오실로스코프에 출력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셔틀방식 스캐너의 기울기편차 보정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스캐너모듈(34)을 테스트 지그(35)에 설치한 후 수납홈(37)에 화이트 시트를 수납한다. 이후, 사용자가 스캐닝기능을 선택하면 선택된 조작신호는 입력부(45)를 통하여 중앙처리장치(43)에 전달되고, 중앙처리장치(43)는 메모리(44)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소정의 스캐너헤드(47)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스캐너헤드(47)는 화이트시트를 스캐닝한다(S1). 여기서, 화이트시트를 스캐닝한 경우, 스캐너헤드(47)의 각 픽셀들에 의해 스캐닝된 데이터의 전압값은 모두 동일한 값이 검출되어야 한다. 그러나, 각 픽셀들의 특성이 서로 상이한 점과 광원으로부터 원고의 데이터면까지의 거리가 상이한 점으로 인하여 스캐닝된 데이터의 전압값은 서로 상이하게 나타난다. 이 전압값을 8비트의 디지털화한 디지털전압값으로 표현할 경우 디지털전압값은 단계 0에서부터 단계 255까지로 분류되며, 화이트성분의 디지털전압값은 '단계 255'로 검출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앞서 언급한 픽셀들의 특성오차와 광원의 도달거리오차로 인하여 단계 255가 검출되지 못한다. 따라서, 화이트시트를 스캐닝함에 따라 각 픽셀들에 의해 검출된 화이트성분의 전압값 공차를 검출하고, 이에 대하여 각 픽셀들에 대한 쉐이딩보정계수를 산출하여 메모리(44)에 저장한다(S2).
여기서, 쉐이딩보정계수를 산출하는 공식은 아래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pat00003
여기서,는 각 픽셀에 대한 화이트성분의 8비트 디지털전압값이고,
Figure pat00005
는 스캐너헤드에 의해 검출되는 아날로그전압의 최대전압값이며,
Figure pat00006
는 스캐너헤드에 의해 검출되는 아날로그전압의 최소전압값이고,
Figure pat00007
는 화이트시트를 스캐닝하였을 때 스캐너헤드에 의해 검출된 아날로그전압값이며,
Figure pat00008
는 쉐이딩보정계수이다.
이후, 사용자는 테스트 지그(35)에 수납된 화이트시트를 제거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패턴이 기록된 기준시트(36)를 수납한 후 스캐닝명령을 입력하면, 스캐너헤드(47)는 기준시트(36)의 패턴데이터를 한 슬라이스단위로 스캐닝한다(S3).
이때, 스캐닝된 데이터를 오실로스코프에 인가하여 그에 따른 파형을 보면, 도 8a 및 도 8b와 같은 물결파로 표시된다. 이렇게 스캐닝된 패턴데이터는 메모리(44)에 저장되고, 화상처리부(46)는 메모리(44)로부터 패턴데이터를 인가받아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은 공식에 따라 쉐이딩보정과정을 수행한다(S4).
Figure pat00009
여기서,
Figure pat00010
는 스캐닝된 패턴데이터에 대하여 쉐이딩보정을 수행하기 이전의 디지털전압값이고,
Figure pat00011
는 스캐닝된 패턴데이터의 아날로그전압값이며,
Figure pat00012
는 스캐닝된 패턴데이터에 대하여 쉐이딩보정을 수행한 후의 디지털전압값이다.
위와 같은 수학식 2에 의해 쉐이딩보정작업이 완료되면, 쉐이딩보정된 패턴데이터에 대한 디지털전압값은 출력부(48)를 통하여 오실로스코프로 전송된다(S5). 이에 따라, 오실로스코프에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형화된 직선형태의 파형 혹은 물결파가 더욱 강조된 형상의 물결파가 표시된다. 즉, 스캐너모듈에 기울기편차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캐닝된 패턴데이터는 화이트성분 혹은 블랙성분 중 어느 하나로 모든 픽셀에 대하여 동일한 형태로 검출되지만, 기울기편차가 발생한 경우에는 스캐닝된 패턴데이터는 화이트성분과 블랙성분이 교번되어 검출되므로 이 패턴데이터에 대하여 쉐이딩보정작업을 수행하면 화이트성분은 화이트성분대로, 블랙성분은 블랙성분대로 전압값이 더욱 강조되어 도 8c의 우측파형처럼 강조된 물결파로 표시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는 오실로스코프에 표시된 파형을 보면서 노브조정장치(18)를 임의의 위치로 회전시키고(S6), 이에 따라 오실로스코프에 표시된 파형이 직선형태로 변화되면 기울기편차가 완전히 보정된 것으로 판단하고 스캐너모듈을 세트에 장착하면 된다.
따라서, 기울기편차의 보정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울기편차를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기울기편차 보정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패턴데이터를 각 픽셀단위로 검출하지 않고, 짝수번째 혹은 홀수번째 픽셀만 검출하도록 함으로써, 쉐이딩보정에 소요되는 연산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쉐이딩보정작업이 수행된 후 오실로스코프에 표시되는 디지털전압값의 출력파형에는 미세한 왜곡이 발생할 수도 있으나, 각 픽셀의 크기를 고려할 때 육안으로는 판단되지 않는 정도의 왜곡이므로, 본 발명의 효과는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셔틀방식 스캐너의 기울기편차 보정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발생한다.
(1) 스캐너헤드를 통해 검출된 패턴데이터의 파형을 쉐이딩보정한 후 쉐이딩보정된 파형을 오실로스코프 등과 같은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표시된 파형이 직선화될 때까지 노브조정장치를 회전시켜 기울기편차를 보정하도록 함으로써, 기울기편차 보정작업의 정확도가 향상되고, 보정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2) 스캐너헤드를 통하여 검출된 각 픽셀단위의 패턴데이터 중 픽셀단위의 소정배수를 주기로 하여 패턴데이터를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패턴데이터의 파형을 쉐이딩보정한 후 쉐이딩보정된 파형을 오실로스코프 등과 같은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표시된 파형이 직선화될 때까지 노브조정장치를 회전시켜 기울기편차를 보정하도록 함으로써, 기울기편차 보정작업의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다.

Claims (6)

  1. 다수개의 픽셀을 포함하고, 노브조정장치를 조작함에 따라 스캐너헤드가 상기 노브조정장치에 연동되어 좌우측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셔틀방식 스캐너의 기울기편차 보정방법에 있어서:
    화이트시트를 스캐닝하여 스캐너헤드의 각 픽셀당 쉐이딩보정계수를 구하는 단계;
    소정형태의 패턴이 기록된 기준시트를 스캐닝하고, 스캐닝된 각 픽셀당 패턴데이터에 상기 각 픽셀당 쉐이딩보정계수를 곱하여 쉐이딩보정하는 단계;
    쉐이딩보정된 상기 패턴데이터의 전압파형을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상기 전압파형이 기 설정된 소정형태가 될 때까지 상기 노브조정장치를 조정하여 상기 스캐너헤드의 기울기편차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기울기편차 보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쉐이딩보정계수는,
    Figure pat00013
    의 공식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기울기편차 보정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쉐이딩보정단계를 통하여 보정된 상기 패턴데이터의 디지털전압값은,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의 공식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기울기편차 보정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쉐이딩보정된 상기 각 픽셀당 디지털전압값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기울기편차 보정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소정형태는,
    직선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기울기편차 보정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쉐이딩보정단계는,
    각 픽셀단위의 상기 패턴데이터 중 픽셀단위의 소정배수를 주기로 하여 상기 패턴데이터를 샘플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샘플링된 패턴데이터를 쉐이딩보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기울기편차 보정방법.
KR1019970064479A 1997-11-29 1997-11-29 셔틀방식스캐너의기울기편차보정방법 KR100267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479A KR100267244B1 (ko) 1997-11-29 1997-11-29 셔틀방식스캐너의기울기편차보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479A KR100267244B1 (ko) 1997-11-29 1997-11-29 셔틀방식스캐너의기울기편차보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7244B1 true KR100267244B1 (ko) 2000-11-01

Family

ID=1952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4479A KR100267244B1 (ko) 1997-11-29 1997-11-29 셔틀방식스캐너의기울기편차보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724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54182A (ja) 画像走査装置
US6339483B1 (en) Image reading apparatus
US57194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the horizontal starting point of a document on a flatbed scanner
EP0866353B1 (en) Document reader and method for adjusting its focus
KR100267244B1 (ko) 셔틀방식스캐너의기울기편차보정방법
US6134027A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scanning dimension
EP0296806B1 (en) An image sensing apparatus with shading compensation
EP1011260B1 (en) Correcting scanning errors in a shuttle scanner
US5950053A (en) Illumination compensation device of scanner
EP0680191A2 (en) Digital imaging system using two-dimensional input sensor array and output light valve
US7889404B2 (en) Image read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ading-unit install method
EP0814421A2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2006340232A (ja) カラー画像読取装置
CN112136307B (zh) 光接收单元
JP2738411B2 (ja) ディジタル読み取り装置におけるイメージセンサの取り付け位置調整方法
KR100267243B1 (ko) 셔틀방식 스캐너의 기울기편차 보정용 노브조정장치 결합구조
JP3178718B2 (ja) カラー画像読取装置
KR100306765B1 (ko) 캐리지 스캐너 시스템의 스캔 정렬 누적 오차 보상 장치및 방법
JP5000574B2 (ja) カラー原稿読取装置の調整方法
EP1215874B1 (en) Four-Direction adjustable optical module
US6721073B1 (en) Image input device and method
WO1992009167A1 (en) Scanning speed compensation
JP2003075938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H01225278A (ja) イメージセンサの画素間感度補正方式
US6282331B1 (en) Apparatus of alignment for scanner and a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