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5471B1 - 동기및비동기겸용모드의멀티미디어원격교육방법 - Google Patents

동기및비동기겸용모드의멀티미디어원격교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5471B1
KR100265471B1 KR1019970033167A KR19970033167A KR100265471B1 KR 100265471 B1 KR100265471 B1 KR 100265471B1 KR 1019970033167 A KR1019970033167 A KR 1019970033167A KR 19970033167 A KR19970033167 A KR 19970033167A KR 100265471 B1 KR100265471 B1 KR 100265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ent
application
asynchronous
teacher
synchron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3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0378A (ko
Inventor
황대준
김석수
김상진
Original Assignee
황대준
진교문
주식회사아이빌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대준, 진교문, 주식회사아이빌소프트 filed Critical 황대준
Priority to KR1019970033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5471B1/ko
Publication of KR19990010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동기 및 비동기 겸용 모드의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두레)에서 동기용 및 비동기용 겸용 모드를 조합하여 학습 효과를 더욱 높이고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시킨 동기 및 비동기 겸용 모드의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학생이 비동기 모드로 정해진 호스트(총괄 세션 관리기)에 접속하여 자료를 다운로드받아서 자습하다가 모르는 것이 생겼을 경우에 즉시 상담 선생님을 초청하여 동기 모드로 선생님에게 질문하여 모르는 것을 바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 효과를 높이며, 필요한 경우에만 네트워크에 접속하므로써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동기 및 비동기 겸용 모드의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방법{Multimedia remote education method using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mode}
본 발명은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두레)에서 동기용 및 비동기용 겸용 모드를 조합하여 학습 효과를 더욱 높이고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시킨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나와 있는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시스템으로는 약속된 시간에 수업에 참가하는 학생과 선생님이 동시에 동일한 교육 시스템에 참여하여 교육을 실시하는 동기형 원격 교육 시스템과, 자율학습 모드로 운영되어 학생 혼자서 미리 정해진 시나리오대로 학습을 하면서 모르는 것을 혼자서 해결해야 하는 비동기형 원격 교육 시스템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시스템중 동기형 원격 교육 시스템의 경우에는 정해진 수업시간에 학생과 선생님이 반드시 컴퓨터에 앉아 있어야 했으며, 또한 오디오 및 비디오 등의 여러 자원을 사용함으로써 많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비동기형 원격 교육 시스템의 경우에는 기존의 통상적인 방법과 같이 학생이 정해진 호스트에서 교육 자료를 다운로드 받아서 학생 혼자서 자습 모드로 공부하는 것으로, 학습 자료가 만들어질 때 이미 정해진 시나리오대로 학생이 공부를 하게 되며 모르는 것이 생겼을 경우에 학생이 스스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학생이 비동기 모드로 정해진 호스트(총괄 세션 관리기)에 접속하여 자료를 다운로드 받아서 자습하다가 모르는 것이 생겼을 경우에 즉시 상담 선생님을 초청하여 동기 모드로 선생님에게 질문하여 모르는 것을 바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 효과를 높이며 필요한 경우에만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시킨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네트워크를 통해 비동기 모드로 동작할 경우의 개념도.
도 2 는 본 발명이 네트워크를 통해 동기 모드로 전환되었을 경우의 개념도.
도 3 은 본 발명의 동기 및 비동기 모드의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객체들이 네트워크상의 각 컴퓨터에 위치하는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이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두레)에 적용되는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총괄 세션 관리기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동기형 응용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 및 비동기 겸용 모드의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8 은 동기 모드에서의 세션 형성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71,74 : 동기용 응용 41,72 : 비동기용 응용
42 : 미디어 서버
43 :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
44 : 운영체제 45 : 카메라
46 : 마이크로폰 47 : 비디오 캡쳐보드
48 : 사운드카드 49 : 네트워크 카드
50 : 데이타베이스 51 : 데이타베이스 제어기
52 : 접속 관리기 53,62 : 패킷 해석기
54,61 :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 55 : 로그 기록기
56 : 서비스 제공자 57,68 : 패킷 생성기
63 : 서비스 전달자 64 : 사용자 인터페이스
65 : 응용 실행기 66 : 사용자 요구 분석기
67 : 동기용 응용 인터페이스 73 : 총괄 세션 관리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시스템에 적용되는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방법에 있어서, 비동기용 응용이 총괄 세션 관리기에 접속하여 데이타베이스에 보관된 자료의 목록을 요청하면 상기 총괄 세션 관리기가 자료의 목록을 상기 비동기용 응용으로 전송한 후에 상기 비동기용 응용에 있는 학생이 제공된 목록중 필요한 자료를 선택하여 상기 총괄 세션 관리기로 자료를 요청하면 상기 총괄 세션 관리기가 상기 비동기용 응용을 통해 학생이 선택한 자료를 전송해주어 학생이 자습하도록 하는 제 1 단계; 상기 비동기용 응용에 있는 학생이 자습하다가 의문 사항이 생겼을 경우에, 선생님에 관한 자료를 상기 총괄 세션 관리기로 요청하면 상기 총괄 세션 관리기가 선생님에 관한 자료를 상기 비동기용 응용을 통해 학생에게 전송하는 제 2 단계; 학생이 선생님을 선택하면 상기 비동기 응용이 학생의 동기용 응용을 실행시키고 학생이 선택한 선생님의 인터넷프로토콜(IP) 주소와 학생이 보고 있던 자료에 관한 정보를 상기 학생의 동기용 응용으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학생의 동기용 응용이 다른 동기용 응용에 있는 상담 선생님의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으로 선생님을 초청하면 상기 선생님의 동기용 응용이 학생이 보고있던 자료가 있는지를 검사하여 있을 경우에는 둘 사이에 동기 모드의 세션을 형성하며, 없을 경우에는 상기 총괄 세션 관리기로 학생이 보고있던 자료를 요청하여 자료를 다운로드 받은 후에 둘 사이에 동기 모드의 세션을 형성하여 원격 교육을 하도록 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시스템에 적용되는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방법에 있어서, 학생이 연결되어 있는 비동기용 응용으로부터 자료 목록 또는 자료 내용의 전달을 요청받으면 총괄 세션 관리기가 데이타베이스에 보관된 자료 목록 또는 자료 내용을 상기 비동기 응용으로 전송하여 상기 학생이 비동기 모드로 자습하도록 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비동기 모드에서의 자습중에 상기 학생이 선생님을 필요함에 따라 상기 비동기 응용에 의해 실행된 상기 학생의 동기용 응용이 상기 선생님의 인터넷프로토콜(IP) 주소와 상기 학생이 보고 있던 자료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다른 동기용 응용에 있는 선생님의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으로 선생님을 초청하면, 상기 선생님의 동기용 응용이 상기 학생이 보고있던 자료를 획득한 후에 동기 모드의 세션을 형성하여 동기 모드로 원격 교육을 하도록 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네트워크를 통해 비동기 모드로 동작할 경우의 개념도로서, 사용자(학생)가 비동기용 응용을 통해 총괄 세션 관리기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상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 은 컴퓨터1과 컴퓨터2를 통해 두 학생이 총괄 세션 관리기에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받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이 네트워크를 통해 동기 모드로 전환되었을 경우의 개념도로서, 학생(컴퓨터1, 컴퓨터2, 컴퓨터3)들이 비동기용 응용을 통해 자습을 하다가 질문 사항이 생겨 상담 선생님(컴퓨터4, 컴퓨터5)을 초청하여 동기 모드의 원격 교육을 진행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컴퓨터1과 컴퓨터2의 학생은 컴퓨터4에 있는 상담 선생님을 초청하였으며, 컴퓨터3의 학생은 컴퓨터5에 있는 선생님을 초청하여 동기 모드의 세션을 진행하는 상황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동기 및 비동기 모드의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객체들이 네트워크상의 각 컴퓨터에 위치하는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예시도이다.
도 3 에서 동기용 응용,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 전체 세션 관리기, 세션 모니터, 트래픽 모니터, 세션 관리기 및 참여자 관리기는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두레)을 통한 동기 모드 세션을 위한 것이며, 총괄 세션 관리기, 데이타베이스, 비동기용 응용은 비동기 모드 세션을 위한 것이다.
컴퓨터1의 전체 세션 관리기와 컴퓨터2의 총괄 세션 관리기는 전체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만 존재하며, 동기 모드 교육을 위해서는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이 각 컴퓨터에 존재하여야 하며, 비동기 모드 교육을 위해서는 비동기용 응용이 각 컴퓨터에 존재해야 한다.
도 4 는 본 발명이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두레)에 적용되는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예시도로서, 하나의 컴퓨터에 운영체제(44), 각 미디어 서버(42),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43), 동기용 응용(40) 및 비동기용 응용(41)이 위치하는 관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플랫폼으로는 "IBM" 컴퓨터 호환기종으로 운영체제(44)는 윈32와 윈샥 버전 1.1이상을 지원하는 운영체제(예: 윈도우즈 95, 윈도우즈 엔티)를 사용한다.
도면에서 점선 부분은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두레)을 나타내는 부분으로서,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43)과 미디어 서버(42)가 존재하며, 각각의 미디어들은 윈도우즈 95(Windows 95)나 윈도우즈 엔티(Windows NT)를 지원하는 것이면 어떠한 하드웨어를 사용하여도 상관이 없다. 즉, 카메라(45), 마이크로폰(46), 비디오 캡쳐보드(47), 사운드 카드(48), 네트워크 카드(49)는 "IBM" 호환용 컴퓨터에 장착되어 윈도우즈 95 또는 윈도우즈 엔티에서 지원되는 장비이면 어떠한 하드웨어 장치라도 상관이 없다.
동기용 응용(40)은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여 동기 모드 교육을 진행한다. 그리고, 비동기용 응용은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고 단독으로 비동기 모드 교육을 진행한다. 따라서, 비동기 교육만을 위해서는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과 동기용 응용은 필요하지 않다.
도 5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총괄 세션 관리기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로서, 총괄 세션 관리기의 서비스 객체를 상세히 나타낸다.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25)는 전송제어프로토콜(TCP)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며, 네트워크상으로 패킷을 송수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54)를 통하여 수신된 패킷은 패킷 해석기(53)에서 어떤 용도의 패킷인지 분석된 후에, 접속을 요구하는 패킷인 경우에는 접속 관리기(52)로 전달되어 처리되며, 서비스를 요구하는 패킷인 경우에는 서비스 제공자(56)에게 전달되어 처리된다. 이때, 이러한 접속 및 접속해제 상황은 모두 로그 기록기(55)에 의해 기록되어진다. 이 로그 기록은 과금이나 기타 용도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접속 관리기(52)로 전달된 패킷은 접속 관리기(52)에 의해 접속 요구자의 인터넷프로토콜(IP) 주소와 식별자(ID) 및 패스워드 등의 인증을 받게 된다. 이때, 접속 요구자의 인터넷프로토콜(IP) 주소와 식별자(ID) 및 패스워드는 데이타베이스(50)에 저장되어 있으며, 데이타베이스 제어기(51)를 통해 얻어진다.
서비스 제공자(56)에게 전달된 패킷을 분석한 서비스 제공자(56)는 사용자가 요구한 적당한 서비스를 데이타베이스 제어기(51)와 데이타베이스(50)를 이용하여 제공한다. 제공되는 서비스로는 데이타베이스(50)에 등록된 자료의 목록 보기, 자료 전송, 선생님 자료 전송 및 현재 진행되고 있는 세션 보여주기 등의 기능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요구되어진 자료는 패킷 생성기(57)를 통해 패킷 형태로 가공되어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54)를 통해 네트워크 상으로 전송되어 진다. 이때, 이러한 모든 상황은 로그 기록기(55)에 의해 기록되어진다.
도 6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동기형 응용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로서, 비동기용 응용의 서비스 객체를 상세히 나타낸다.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61)는 전송제어프로토콜(TCP)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며, 네트워크상으로 패킷을 송수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네트워크로부터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61)를 통하여 수신된 패킷은 패킷 해석기(62)에서 해석된 후에 서비스 전달자(63)에게 전달되며, 서비스 전달자(63)에게 전해진 패킷은 서비스 전달자(63)에 의해 분석되어지며, 사용자 인터페이스(64)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진다. 이때, 필요한 경우에 응용 실행기(65)를 통해 적당한 응용이 실행되어지기도 한다. 예를 들면 수신된 화일의 확장자가 "hwp"인 경우에는 한글이, "doc"인 경우에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워드(Word)가, "ppt"인 경우에는 파워포인터가 실행되어진다.
사용자 인터페이스(64)를 통해 사용자 서비스 요청이 들어오면, 사용자 요구 분석기(66)에서 요구하는 서비스가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필요한 경우에 패킷 생성기(68)에서 패킷 형태로 만들어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61)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하면, 이는 총괄 세션 관리기로 전달되어 서비스를 요청하게 된다. 한편, 동기용 응용 인터페이스(67)를 통해 동기용 응용을 실행시키고 상담 선생님의 인터넷프로토콜(IP) 주소와, 사용자가 보고 있던 자료에 대한 정보를 동기용 응용에게 전달해 주어 동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게 한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 및 비동기 겸용 모드의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비동기용 응용(72)이 총괄 세션 관리기(73)에 접속하여 데이타베이스에 보관된 자료의 목록을 요청하면(701), 총괄 세션 관리기(73)는 자료의 목록을 비동기용 응용(72)으로 제공하며(702), 비동기용 응용(72)에 있는 학생이 제공된 목록중 필요한 자료를 선택하여 총괄 세션 관리기(73)로 자료를 요청하면(703), 총괄 세션 관리기(73)는 비동기용 응용을 통해 학생이 선택한 자료를 전송해주며(704), 전송되어 온 자료를 비동기 응용(72)이 학생에게 보여주면 학생 스스로 자습하게 된다(705).
비동기용 응용(72)에 있는 학생이 자습하다가 의문 사항이 생겼을 경우에, 선생님에 관한 자료를 총괄 세션 관리기(73)로 요청하면(706), 총괄 세션 관리기(73)는 선생님에 관한 자료를 비동기용 응용(72)을 통해 학생에게 전송해준다(707). 이때, 총괄 세션 관리기(73)는 데이타베이스에 등록된 선생님의 인터넷프로토콜(IP) 주소를 넘겨주게 된다.
학생이 그중 한 선생님을 선택하면 비동기 응용(72)은 동기용 응용(71)을 실행시키고 학생이 선택한 선생님 인터넷프로토콜(IP) 주소와 학생이 보고 있던 자료에 관한 정보를 동기용 응용(71)에게 넘겨주며(708), 이때 동기용 응용(71)은 다른 동기용 응용(74)에 있는 상담 선생님의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으로 선생님의 초청 가능여부를 문의하며(709), 선생님이 학생의 초청에 응하게 되면(710) 선생님쪽 동기용 응용(74)은 학생이 보고있던 자료가 있는지를 검사하여(711), 있을 경우에는 바로 둘 사이에 동기 모드의 세션을 형성하며(714), 없을 경우에는 총괄 세션 관리기(73)로 학생이 보고있던 자료를 요청하여(712) 자료를 다운로드 받은 후에(713) 둘 사이에 동기 모드의 세션을 형성하게 된다(714). 이러한 동기 모드의 세션 형성 과정(714)은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에서 세션을 형성하는 과정과 동일하며 후술되는 도 8 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8 은 동기 모드에서의 세션 형성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동기용 응용이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이 있는지를 확인하면(801),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은 자기의 핸들로 자기가 살아있음을 동기용 응용으로 알린다(802). 이후, 동기용 응용이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으로 세션 형성을 요청하면(803),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은 전체 세션 관리기로 포트 할당을 요청한다(804). 그러면, 전체 세션 관리기는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에 포트를 할당해주고(805) 세션의 상태를 알 수 있는 세션모니터를 생성한다(806).
한편,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이 세션 관리기를 생성하면(807) 세션 관리기는 미디어 서버로 서버 인스턴스 생성을 요청하고(808), 그러면 미디어 서버는 미디어 서버 인스턴스를 생성한다(809). 생성된 미디어 서버 인스턴스는 자기의 핸들을 세션 관리기로 전해줌으로써 응답한다(810).
이후, 세션 관리기가 동기용 응용으로 자기의 핸들을 전해줌으로써 세션이 형성되었음을 동기용 응용으로 알리면(811) 동기용 응용은 세션 관리기로 초청 서비스를 요청한다(812). 그러면, 세션 관리기는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으로 초청 서비스를 요청하고(813),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은 원격지의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으로 초청 메시지를 전송한다(814).
초청 메시지를 받은 원격지의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은 참여자 관리기를 생성하고(815), 이 참여자 관리기가 세션 관리기로 초청에 응답하면(816) 세션 관리기는 참여자 관리기로 세션 형성을 위한 정보를 전송한다(817).
세션 형성에 필요한 정보를 받은 참여자 관리기가 미디어 서버로 미디어 서버 인스턴스 생성을 요청하면(818), 미디어 서버는 미디어 서버 인스턴스를 생성하며(819), 생성된 미디어 인스턴스는 참여자 관리기로 자기의 핸들을 전해줌으로써 응답하고(820), 참여자 관리기는 동기용 응용을 실행함으로써 세션 형성을 마친다(821).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학생이 정해진 호스트(총괄 세션 관리기)에 접속하여 자료를 다운로드 받아서 자습하다가 모르는 것이 생겼을 경우에 즉시 상담 선생님을 초청하여 동기 모드로 선생님에게 질문하여 바로 해결할 수 있어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만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한정된 공간, 교사중심 및 교재중심의 기존의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사용자 중심(학생중심), 시간과 공간을 벗어난 교육장소 제공 및 다양한 멀티미디어의 자료의 지원에 의한 상호참여형인 동기 원격 교육과 더불어서 비동기적인 자율학습에서 동기 교육 모드로의 전환을 통한 사이버 스페이스상의 새로운 교육체제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교육계뿐만 아니라, 교육 사업체 및 사용자(학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부분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

  1.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시스템에 적용되는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방법에 있어서,
    비동기용 응용이 총괄 세션 관리기에 접속하여 데이타베이스에 보관된 자료의 목록을 요청하면 상기 총괄 세션 관리기가 자료의 목록을 상기 비동기용 응용으로 전송한 후에 상기 비동기용 응용에 있는 학생이 제공된 목록중 필요한 자료를 선택하여 상기 총괄 세션 관리기로 자료를 요청하면 상기 총괄 세션 관리기가 상기 비동기용 응용을 통해 학생이 선택한 자료를 전송해주어 학생이 자습하도록 하는 제 1 단계;
    상기 비동기용 응용에 있는 학생이 자습하다가 의문 사항이 생겼을 경우에, 선생님에 관한 자료를 상기 총괄 세션 관리기로 요청하면 상기 총괄 세션 관리기가 선생님에 관한 자료를 상기 비동기용 응용을 통해 학생에게 전송하는 제 2 단계;
    학생이 선생님을 선택하면 상기 비동기 응용이 학생의 동기용 응용을 실행시키고 학생이 선택한 선생님의 인터넷프로토콜(IP) 주소와 학생이 보고 있던 자료에 관한 정보를 상기 학생의 동기용 응용으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학생의 동기용 응용이 다른 동기용 응용에 있는 상담 선생님의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으로 선생님의 초청을 문의하여 선생님이 초청에 응하면 상기 선생님의 동기용 응용이 학생이 보고있던 자료가 있는지를 검사하여 있을 경우에는 둘 사이에 동기 모드의 세션을 형성하며, 없을 경우에는 상기 총괄 세션 관리기로 학생이 보고있던 자료를 요청하여 자료를 다운로드 받은 후에 둘 사이에 동기 모드의 세션을 형성하여 원격 교육을 하도록 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동기 및 비동기 겸용 모드의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방법.
  2.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시스템에 적용되는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방법에 있어서,
    학생이 연결되어 있는 비동기용 응용으로부터 자료 목록 또는 자료 내용의 전달을 요청받으면 총괄 세션 관리기가 데이타베이스에 보관된 자료 목록 또는 자료 내용을 상기 비동기 응용으로 전송하여 상기 학생이 비동기 모드로 자습하도록 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비동기 모드에서의 자습중에 상기 학생이 선생님을 필요로 함에 따라 상기 비동기 응용에 의해 실행된 상기 학생의 동기용 응용이 상기 선생님의 인터넷프로토콜(IP) 주소와 상기 학생이 보고 있던 자료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다른 동기용 응용에 있는 선생님의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으로 선생님을 초청하면, 상기 선생님의 동기용 응용이 상기 학생이 보고있던 자료를 획득한 후에 동기 모드의 세션을 형성하여 동기 모드로 원격 교육을 하도록 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동기 및 비동기 겸용 모드의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방법
KR1019970033167A 1997-07-16 1997-07-16 동기및비동기겸용모드의멀티미디어원격교육방법 KR100265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167A KR100265471B1 (ko) 1997-07-16 1997-07-16 동기및비동기겸용모드의멀티미디어원격교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167A KR100265471B1 (ko) 1997-07-16 1997-07-16 동기및비동기겸용모드의멀티미디어원격교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378A KR19990010378A (ko) 1999-02-18
KR100265471B1 true KR100265471B1 (ko) 2000-09-15

Family

ID=19514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3167A KR100265471B1 (ko) 1997-07-16 1997-07-16 동기및비동기겸용모드의멀티미디어원격교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54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935A (ko) * 2000-03-27 2001-10-27 고대식 학생-선생간 다수의 실시간 음성 질의응답 채널을지원하는 가상교육 시스템 및 그 가상 교육방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5284A (ko) * 1999-05-31 2000-12-15 김춘호 Ip 주소충돌 사전 방지를 위한 ip 주소 관리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692A (ko) * 1995-06-07 1997-01-28 제프리 엘. 포만 인터넷을 통해 월드 와이드 웹 서버 데이타를 액세스하기 위한 컴퓨터 네트워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692A (ko) * 1995-06-07 1997-01-28 제프리 엘. 포만 인터넷을 통해 월드 와이드 웹 서버 데이타를 액세스하기 위한 컴퓨터 네트워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935A (ko) * 2000-03-27 2001-10-27 고대식 학생-선생간 다수의 실시간 음성 질의응답 채널을지원하는 가상교육 시스템 및 그 가상 교육방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378A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Use of the webinar tool (Elluminate) to support training: The effects of webinar-learning implementation from student-trainers’ perspective
US6356943B2 (en) Distance learning implementation
KR101289870B1 (ko)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 수업 진행시스템
TW201044331A (en) Interactive teaching system
CN104424824A (zh) 一种用于远程多媒体交互教学的教学互动方法和装置
KR100265471B1 (ko) 동기및비동기겸용모드의멀티미디어원격교육방법
Intapong et al. Modular web-based collaboration platform
EP1222649A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puter training relating to devices using a resource control module
Park et al. A collaborative multimedia distance education system running on DooRae
KR20030005684A (ko) 소프트 웨어의 원격 교육및 실습 시스템
KR20130100813A (ko) e-Book 기반 온라인 방송 학습 시스템 및 방법
Quinn et al. Online synchronous audio and video environments for education, training, and human service delivery: A review of three products
KR100198715B1 (ko) 컴퓨터 기반의 통합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58461A (ko) 인터넷을 이용한 영어 교육 시스템
KR20010083828A (ko) 피투피 기반 일대일 교육 시스템 및 방법
Bouras et al. A Platform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ervices of an Educational Network.
Pullen Low Cost Internet Synchronous Distance Education Using Open Source Software
Raymond et al. Distant e-learning using synchronous collaborative environment" Platine"
KR100424664B1 (ko)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과외 제공방법 및시스템
JP4075347B2 (ja) クライアント−サーバ間の通信方法
KR20020021516A (ko) 실시간 원격 공동 강의 시스템
Kamolphiwong et al. A design framework of interactive distance learning in distributed systems
Boyd A platform for distributed learning and teaching of algorithmic concepts
Cha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PL: A virtual programming laboratory for online distance learning
KR20210158513A (ko) 다중화면을 이용한 온라인 인터랙션 영어강의 영상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