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4794B1 - 화상전화기에 있어서 원격 메세지 청취 및 감시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전화기에 있어서 원격 메세지 청취 및 감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4794B1
KR100264794B1 KR1019930028400A KR930028400A KR100264794B1 KR 100264794 B1 KR100264794 B1 KR 100264794B1 KR 1019930028400 A KR1019930028400 A KR 1019930028400A KR 930028400 A KR930028400 A KR 930028400A KR 100264794 B1 KR100264794 B1 KR 100264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put
password
image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8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019A (ko
Inventor
황효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30028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4794B1/ko
Publication of KR950023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7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38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 H04M3/382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using authorisation code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전화기 화상/음성자동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링신호의 입력과 자동 플랙 세팅여부를 체킹하고, 상기 자동 플랙이 세팅되었을 때 화상과 음성을 통해 서비스 선택번호의 입력을 요구한다. 상기 서비스일 때 시작음을 송출하고 수신되는 화상과 음성을 저장하고, 상기 해당 서비스일 때 입력 패스워드를 확인하여 같을 때 입력되는 화상과 음성을 기록하며, 상기 기록된 화상과 음성을 원격지에서 확인할수 있으며, 외부의 원격지에서 화상 전화를 통해 실시간으로 집안의 내부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화상전화기에 있어서 원격 메세지 청취 및 감시 방법
제1도는 화상전화실현을 위한 시스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선택을 위한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메세지 청취 및 상황 감시를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은 화상전화기에 있어서 원격 메세지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에서 부재중 상태에서 응답된 메세지를 청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집안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화상전화기에 있어서 원격 메세지 청취 및 감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응답 전화기에서는 외출시 사용자가 응답용 메세지를 녹음하고 자동 응답모드로 설정하면 부재중 상대방으로부터 온 전화메세지를 자동으로 기록장치에 남겨둘 수 있고, 사용자는 외출로부터 돌아와서 상기 기록장치에 남겨진 메세지를 들을수 있거나 외부에서도 상기 남겨진 메세지를 들을 수 있도록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응답 전화기에서는 화상처리기능이 없었으며, 부재중 상대방으로부터 남겨진 메세지를 외부 원격지에서 받을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전화기에 자동응답기능을 부여하고 음성과 화상으로 남겨진 메세지를 외부 원격지에서 확인할수 있는 자동응답은 물론 부재중의 집안의 상황을 수시로 감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전화기의 화상/음성 자동 응답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전화기의 키입력으로부터 패스워드 키이면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메세지입력키이면 화상/음성을 저장하며 자동응답모드키이면 자동응답모드 플랙을 세팅하는 키입력처리과정과, 상기 화상전화기의 링신호의 입력으로부터 상기 키입력처리과정의 자동응답모드 플랙의 세팅여부를 체킹하는 자동응답모드세팅확인과정과, 상기 자동응답모드세팅확인과정에서 자동응답모드의 플랙이 세팅되었을 때 부재중 메세지 남김에 대한 제1서비스 또는 원격지에서 상기 화상전화기에 남겨진 메세지의 확인을 위한 제2서비스 또는 부재중 원격지에서 집안 감시를 위한 제3서비스에 대한 선택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서비스선택키입력과정과, 상기 서비스선택키입력과정에서 제1서비스일 때 시작음을 송출하고 수신되는 화상과 음성을 저장하는 제1서비스과정과, 상기 서비스선택키입력과정에서 제2서비스일 때 상대편으로 패스워드의 입력을 요구하여 패스워드의 수신이 있으면 비밀번호의 입력과 확인하여 맞으면 외부에서 수신된 화상과 음성 데이타를 메모리로부터 읽어 전송하는 제2서비스과정과, 상기 서비스선택키입력과정에서 제3서비스일 때 원격지 상대방에게 패스워드 입력을 요구하여 일정시간이내에 패스워드 수신이 있으면 비밀번호와 일치되는지를 확인하여 맞으면 집안의 현재의 상태를 화상과 음성으로 실시간으로 상대가 통화상태를 중단할때까지 호출한 원격지로 전송하는 제3서비스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시스템도로서, 화상전화기의 기본적인 개념은 카메라부(70)에서 화상을 입력하여 A/D변환기(90)에서 디지털데이타로 변환한다.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화상신호는 화상제어회로(30)의 제어에 의해 모니터(110)의 출력용 화상기억장치(40)에 저장된다. 상기 화상기억장치(40)에 저장된 디지털 화상데이타는 D/A변환기(100)에서 아나로그로 변환하여 화상조사부(80)의 제어에 의해 모니터(11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 모드는 카메라부(70)에서 입력된 화상이 직접 모니터(110)의 화면으로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망제어회로(60)는 회선이 ISDN망과 연결되어 통화시 전화기로 통화 서비스 또는 자동응답시 메세지를 보관하여 처리하기 위하여 테이프 레코더를 제어하며, 상기 망제어회로(60)에 연결되는 화상신호에 대해 주제어회로(10)의 제어로 송수신 제어 변.복조회로(50)에서 변복조하여 화상제어회로(30)에 제공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능 및 동작관계는 본건 특허출원인이 출원한 특허출원 번호 제91-4642호에서 더욱 상세히 기재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 설정 처리흐름도로서, 외부의 키입력에 따른 기능을 선택키 위한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패스워드입력과정과, 상기 외부에서 입력되는 메세지 입력에 따라 화상/음성을 기록하는 화상/음성기록과정과, 응답모드선택 키일 때 응답모드를 세팅하는 세팅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서는 주제어회로(10)에서 조작부(20)의 입력을 체킹하여 망제어회로(60)의 송수신 제어 및 변·복조회로(50), 화상제어회로(30)를 제어한다. 따라서 (2a)과정에서 주제어회로(10)에서 조작부(20)의 키입력을 체킹한 후 (2b)과정에서 패스워드 키인지를 확인한다. 상기 (2b)과정에서 패스워드키이면 (2c)과정에서 패스워드 키입력을 받아 주제어회로(10)의 제어에 의해 소정영역에 기록하여 둔다. 그러나 상기 (2b)과정에서 패스워드 키입력이 아니면 (2d)과정에서 메세지 입력키인지를 확인한다. 상기 (2d)과정에서 주제어회로(10)에 의하여 망제어회로(100)를 제어하여 테이프 레코더에 의해 기록할 메세지를 처리하고 화상제어회로(30)를 제어하여 화상기억장치(40)에 남길 화상을 처리토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 (2d)과정에서 메세지 입력키가 아닐때 (2g)과정에서 응답모드키인지를 확인한다. 상기 (2g)과정에서 응답모드 키일 때 (2h)과정에서 응답모드 플랙을 세팅하고, 응답모드키도 아닐 때 처음부터 입력을 다시 체킹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메세지 청취 및 상황표시를 위한 흐름도로서, 상기 화상전화기의 링신호의 입력과 자동응답모드 플랙 세팅여부를 체킹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자동응답모드의 플랙이 세팅되었을 때 화상과 음성서비를 위한 제1-3서비스에 대한 선택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제1서비스일 때 시작음을 송출하고 수신되는 화상과 음성을 저장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제2서비스일 때 상대편으로 패스워드의 입력을 요구하여 패스워드의 수신이 있으면 비밀번호의 입력과 확인하여 맞으면 외부에서 수신된 화상과 음성 데이타를 기록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제3서비스일 때 상대방에게 패스워드 입력을 요구하여 일정시간내에 패스워드 수신이 있으면 비밀번호와 일치되는지를 확인하여 맞으면 화상과 음성을 온 후크상태에서 실시간으로 상대가 통화상태를 중단할때까지 전송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3a)과정에서 ISDN회선을 통해 망제어회로(60)에서 링신호의 도래여부를 체킹하여 있으면 주제어회로(10)에 입력한다. 상기 주제어회로(10)에서는 링신호를 입력한 후 (3b)과정에서 망제어회로(60)에서의 제2도에 의한 자동응답모드에 대해 플랙의 세팅여부를 체킹한다. 상기 (3b)과정에서 자동응답모드의 플랙이 세팅되지 않았으면 (3h)과정에서 기존 통화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3b)과정에서 자동응답모드에 대해 플랙이 세팅되어 있을 때 (3c)과정에서 주제어회로(10)에서 화상제어회로(30)와 망제어회로(60)를 제어하여 화상과 음성을 서비스를 유도한다. 즉, 망제어회로(60)의 제어에 의해 테이프 레코더를 구동하여 아웃 고잉(Out Going) 메세지를 송출하고, 화상제어회로(30)를 제어하여 카메라부(70)로부터 취득된 화상이나 화상기억장치(40)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을 송수신 변복조회로(50)에서 복조하여 망제어회로(60)를 통해 회선(ISDN)으로 송출한다. 예를 들어, 자동응답모드일 때 아웃고잉 메세지로서 “부재중입니다. 수신메모를 남기려면 서비스 번호 1번(부재중 메세지 남김), 수신된 메모들을 원격에서 열어 보려면 서비스 번호 2번(원격지에서 남겨진 메세지 확인), 원격에서 집안의 상태를 화면을 통하여 감시하려면 서비스 번호 3번(부재중 집안 감시)을 누르십시오”라고 메세징을 하게 된다. 상기 (3c)과정에서 메세징을 한후 회선(ISDN)을 통해 망제어회로(60)로 입력되는 상대방으로부터 제1-3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버튼의 입력에 따른 수신여부를 (3d)과정에서 체킹한다. 그러나 (3d)과정에서 서비스 버튼의 수신이 (3i)과정에서 일정시간 없으면 (3j)과정에서 통화로를 절단한다. 그리고 상기 (3d)과정에서 서비스번호의 수신이 있으면 (3e),(3k),(3l)과정에서 “1” 또는 “2” 또는 “3”서비스에 대한 번호의 수신여부를 체킹한다. 상기 (3e)과정에서 서비스 번호가 “1”일때는 주제어회로(10)는 망제어회로(60) 및 화상제어회로(30)를 제어하여 회선(ISDN)을 통해 제1서비스에 대한 기능으로 상대방의 음성과 화상을 남기기 위하여 상대방으로 시작음을 송출하고, (3g)과정에서 테이프 레코더를 구동하여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기록하며, 동시에 화상기억장치(40)에다 수신되는 상대방의 화상 데이타를 기록한다. 그러나 서비스 번호가 제2서비스에 대한 “2”번일때는 원격지에서 부재중에 기록된 화상과 음성을 자동으로 읽어 전송하여 응답토록 하는 것으로 상대에게 제2서비스에 대한 패스워드의 입력을 요구한다. 상기 회선(ISDN)을 통해 망제어회로(60)에서 패스워드 수신을 주제어회로(10)에서 확인되면 (3o)과정에서 수신 패스워드와 비밀번호가 일치되는가를 확인하여 일치되지 않으면 (3g)과정에서 통화를 절단하고, 일치되면 (3p)과정에서 외부에서 수신된 망제어회로(60)와 화상제어회로(30)를 제어한다. 상기 망제어회로(60)의 제어로 테이프 레코더에 기록된 메세지를 재생하여 회선(ISDN)으로 전송함과 동시에 화상기억장치(40)에 기록된 화상을 읽어 송수신 제어 변·복조회로(50)에서 복조하여 전송하므로 부재중에 남겨진 화상 또는 음성 메세지를 전송한다. 한편, 제3서비스에 대한 번호로서, “3”이면 집에 주인이 없을 때 집안 내의 감시를 위한 것으로 주제어회로(10)의 제어에 의해 (3r)과정에서 상대방으로 제3서비스 번호에 대한 패스워드의 입력을 요구하고, (3s)과정에서 패스워드 수신이 일치됨이 확인되면 수신된 패스워드와 비밀번호의 일치여부를 체킹한다. 상기 (3t)과정에서 수신 패스워드와 비밀번호가 같을 때 (3u)과정에서 주제어회로(10)에 의하여 망제어회로(30)와 화상제어회로(30)의 제어로 전화기의 후크 온 상태에서 카메라부(70)가 감시하고 있는 집안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음성과 화상으로 제2서비스의 예와 같이 처리하여 회선(ISDN)으로 전송하여 집안에 아무도 없더라도 원격지에서 상태를 확인할수 있다. 이는 원격지의 통화자가 송수화기를 내려 놓는 통화 절단이 있을때까지 진행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화상전화기가 설치된 무인전화기에 자동응답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화하여 상대방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으므로 각종 위험에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화상전화기의 화상/음성 자동 응답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전화기의 키입력으로부터 패스워드 키이면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메세지입력키이면 화상/음성을 저장하며 자동응답모드키이면 자동응답모드 플랙을 세팅하는 키입력처리과정과, 상기 화상전화기의 링신호의 입력으로부터 상기 키입력처리과정의 자동응답모드 플랙의 세팅여부를 체킹하는 자동응답모드세팅확인과정과, 상기 자동응답모드세팅확인과정에서 자동응답모드의 플랙이 세팅되었을 때 부재중 메세지 남김에 대한 제1서비스 또는 원격지에서 상기 화상전화기에 남겨진 메세지의 확인을 위한 제2서비스 또는 부재중 원격지에서 집안 감시를 위한 제3서비스에 대한 선택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서비스선택키입력과정과, 상기 서비스선택키입력과정에서 제1서비스일 때 시작음을 송출하고 수신되는 화상과 음성을 저장하는 제1서비스과정과, 상기 서비스선택키입력과정에서 제2서비스일 때 상대편으로 패스워드의 입력을 요구하여 패스워드의 수신이 있으면 비밀번호의 입력과의 비교하여 확인하여 맞으면 외부에서 수신된 화상과 음성 데이타를 메모리로부터 읽어 전송하는 제2서비스과정과, 상기 서비스선택키입력과정에서 제3서비스일 때 원격지 상대방에게 패스워드 입력을 요구하여 일정시간이내에 패스워드 수신이 있으면 비밀번호와 일치되는지를 확인하여 맞으면 집안의 현재의 상태를 화상과 음성으로 온 후크상태에서 실시간으로 상대가 통화상태를 중단할때까지 호출한 원격지로 전송하는 제3서비스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화기에 있어서 원격 메세지 청취 및 감시방법.
KR1019930028400A 1993-12-18 1993-12-18 화상전화기에 있어서 원격 메세지 청취 및 감시 방법 KR100264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400A KR100264794B1 (ko) 1993-12-18 1993-12-18 화상전화기에 있어서 원격 메세지 청취 및 감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400A KR100264794B1 (ko) 1993-12-18 1993-12-18 화상전화기에 있어서 원격 메세지 청취 및 감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019A KR950023019A (ko) 1995-07-28
KR100264794B1 true KR100264794B1 (ko) 2000-09-01

Family

ID=1937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8400A KR100264794B1 (ko) 1993-12-18 1993-12-18 화상전화기에 있어서 원격 메세지 청취 및 감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479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019A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15571B2 (ja) 留守番電話装置
KR19980084082A (ko) 이메일을 이용한 전화기 및 도어폰의 정보 전송장치
KR19990088105A (ko) 전화장치
KR100264794B1 (ko) 화상전화기에 있어서 원격 메세지 청취 및 감시 방법
JPH01286671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405591B1 (ko)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진 인터넷폰 교환장치
KR0128239B1 (ko) 발신자 정보를 기록하는 자동 응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730953B2 (ja) 留守番電話機
KR970011412B1 (ko) 자동응답/발신기능을 갖춘 휴대용 전화기
KR19990005829A (ko) 메시지 처리가 가능한 도어폰 장치
JPH0215151B2 (ko)
KR19990041535A (ko) 인터넷을 통한 자동응답 장치 및 그 서비스 구현방법
JPH08130589A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217037B1 (ko) 간이 전자 교환장치의 메시지 예약 전송방법
JP2001053885A (ja) 不在応答システム
JPH05316200A (ja) 留守番電話機
JPH05300359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9980047471A (ko)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음성인식을 통한 원격 제어방법
JPH07327072A (ja) 電話装置
JPH0797790B2 (ja) 通信端末機器を選択して接続する方法とその装置
JPS62195974A (ja) フアクシミリ装置における送信報知方式
JPH0797808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における送信報知方式
JPH07221910A (ja) メール蓄積装置
JPH0490251A (ja) 画像通信装置
JPH03198598A (ja) ボタン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