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4537B1 - 해수유입 방파제 케이슨 - Google Patents

해수유입 방파제 케이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4537B1
KR100264537B1 KR1019980021328A KR19980021328A KR100264537B1 KR 100264537 B1 KR100264537 B1 KR 100264537B1 KR 1019980021328 A KR1019980021328 A KR 1019980021328A KR 19980021328 A KR19980021328 A KR 19980021328A KR 100264537 B1 KR100264537 B1 KR 100264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reservoir
caisson
channel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1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1197A (ko
Inventor
이달수
이창훈
Original Assignee
박병권
한국해양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권, 한국해양연구소 filed Critical 박병권
Priority to KR1019980021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4537B1/ko
Publication of KR20000001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5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유입 방파제 케이슨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해수 유입을 위하여 형성한 입구(3a)와, 상기 입구(3a)와 연속하여 형성한 해수유입수로(3)와, 해수유입수로(3)와 케이슨의 전면벽(2a) 사이에 형성한 중간저수지(4)와, 중간저수지(4)와 소통하게 측부에 형성한 저수지(5)와, 저수지(5)의 하부에서부터 항 내쪽으로 통로를 형성한 수로(8)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해수유입수로를 통해 유입된 해수를 저수지라는 임시 저장시설을 통해 항 내로 다량 그리고 지속적으로 공급하며 항외로 역류시키지 않으므로 항 내의 수질 개선 및 보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수유입 방파제 케이슨
본 발명은 해수 유입용 방파제 케이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슨 내부로 유입된 해수를 케이슨 내에 있는 소형 저수지에 임시 저장하여 파이프형 수로를 통해 항내로 유입하도록 구성한 방파제 케이슨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파제는 외해로 부터의 파도의 힘을 차단하여 항내의 해역을 보호하도록 해저에 고정되어 구축되는 구조물이지만, 상기의 방파제가 설치되면 항의 내/외간에 해수교환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특히 조수 간만의 차가 작은 해역에서는 오염된 항내의 해수가 쉽게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항내가 오염될 뿐만 아니라 항내 해수에 산소가 부족하게 되어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해수 유입기능을 도입한 종래 방파제의 구조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저면에 일정 높이로 된 마운드(1)가 수평되게 구축되고, 상기 마운드(1) 상부엔 상자형으로 된 다수의 케이슨(101)이 방파제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케이슨(101)의 전방부에 외해수가 케이슨(101) 내부로 들어올 수 있도록 원호 형상의 수로(10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원호 형상의 수로(102) 아래에는 외해수가 들어올수 있도록 유입구(102a)가 형성되고, 상기 원호 형상의 수로(102) 위에는 유입수가 항 바깥쪽으로 유출되도록 유출구(102b)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원호 형상의 수로(102)와 케이슨(101)의 후면벽 사이에는 파이프형 수로(103)가 설치되어, 원호 형상의 수로(102) 내로 들어온 외해수의 일부가 정지수위(104) 높이에 설치된 파이프형 수로(103)의 유입구(103a)를 통해 들어와 정지수위(104) 아래에 설치된 파이프형 수로의 유출구(103b)를 통해 항내로 유입되도록 된 구조이다.
상기 구조의 해수 유입용 방파제의 각 케이슨(101)에는 원호 형상의 수로(102)가 나란히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각 원호 형상의 수로(102) 마다 각각 파이프형 수로(103)가 하나씩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조로 된 종래의 해수 유입용 방파제 케이슨(101) 전면에 파도가 들이칠 경우에 해수가 원호 형상의 수로 (102)로 들어와, 원호 형상의 수로(102) 내의 수면(107)이 정지수위(104) 보다 높이 있는 동안 원호 형상의 수로(102) 내로 들어온 해수중 일부가 파이프형 수로(103)를 통해 항내로 유입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해수 유입용 방파제 케이슨(101) 구조에서는 대부분의 해수가 원호 형상의 수로(102)의 유출구(102b)를 통해 외해로 배출되고, 단지 일부 해수만 파이프형 수로(103)를 통해 항내로 유입하게 되므로 파고가 큰 파가 말려 들어오는 경우에도 원호형상의 수로(102) 내로 들어온 해수 중 극히 일부분만이 항내로 유입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케이슨(101)이 설치된 후, 조석 간만의 차에 의해 정지수위(104)가 파이프형 수로의 유입구(103a) 보다 높아진 경우에는, 파이프형 수로(103)를 통해 항내로 유입된 해수중 일부가 오히려 상기 파이프형 수로(103)를 통해 항외로 역류하기 때문에 항내로의 순 유입량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해수를 다량 유입하기 위해, 하나의 케이슨(101)에 파이프형 수로(103)를 여러개 형성하기 때문에, 유입된 해수를 항내의 오염이 심한 구역까지 수송하기 위하여는 각각의 수로의 유출구(103b)에 각각의 해수수송파이프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시설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파이프형 수로(103)를 케이슨(101)의 중간에서부터 경사지게 설치하여야 하므로 그의 제작도 어려운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또한, 케이슨(101)의 제작시, 뚜껑(108)이 없는 상태로 육상에서 제작하여 해상의 설치 위치까지 예인한 후, 속이 빈 케이슨(101) 내에 모래 또는 돌을 위에서부터 쏟아 부어 넣어 케이슨(101)에 속채움을 한 후, 그 위에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하여 뚜껑(108)을 제작하게 된다. 이 경우, 케이슨(101)의 하부에 형성되는 파이프형 수로(103)는 케이슨 (101)의 속채움을 하기 위해 모래 또는 돌을 투하하는 작업시 하중의 부담을 받으므로 파이프형 수로(103)의 단면적을 일정 크기 이상으로 크게 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여러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유입된 해수가 항의 입구를 통하여 다시 항 바깥쪽의 외해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항 내의 해수유입이 매우 원활한 흐름으로 유지되게 하여 항내의 오염을 억제하고, 항 내의 해수에 산소를 풍부하게 공급시킴으로써 항내 해수의 수질 개선 및 보전에 크게 기여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도가 밀려올 경우에, 해수의 임시 저장과 항내 유입이 동시에 진행됨과 아울러, 항외로의 역류가 발생되지 않토록 함으로서, 해수를 항내로 보다 많이 유입시킨다.
또한, 해수의 항내 유입을 위한 파이프형 수로의 제작 및 설치를 보다 쉽게 하며, 그의 설치 개수도 줄일 수 있다.
또한, 해수를 항내의 오염이 심한 구역까지 수송하기 위해 수로의 배출구에 별도의 수송파이프를 연결설치함에도 매우 유리한 방파제 케이슨의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해수유입 방파제 케이슨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해수유입 방파제 케이슨의 설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A - A" 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
도 4 는 도 2 의 "B - B" 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
도 5 는 도 3 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도 6 은 도 4 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마운트 2 ; 케이슨
2a ; 전면벽 3,30 ; 해수 유입수로
3a ; 입구 3b ; 출구
3c ; 경사부 3d ; 경사부
3e ; 플랜지 3f ; 구멍
4 ; 중간저수지 4a; 구멍
4b ; 후벽 5 ; 저수지
5a ; 저면 6 ; 수면
7 ; 정지 수위 8 ; 수로
8a ; 유입구 8b ; 배출구
8c ; 연결부 8d ; 수직수로
8e ; 수평수로 9 ; 수면
10 ; 수면 11 ; 망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해수유입용 방파제 케이슨 앞 부분에 해수 유입용 수로 및 중간저수지와 저수지가 형성되어 있고 해수 유입용 수로를 통해 들어온 해수가 중간저수지로 월류하여 일시 저장되는 동시에 중간저수지의 측벽에 있는 구멍을 통해 저수지로 이동되도록 하며, 저수지로 들어오는 해수는 저수지 하부와 케이슨의 후벽 사이에서 저수지 하부로부터 케이슨의 하부까지는 연직으로 내려가다가 케이슨의 하부에서 케이슨의 후벽까지는 수평으로 설치된 파이프형 수로를 통해 항내로 유입되도록 한 구조에 의하여 중간저수지 및 저수지에 일시 저장된 해수가 항내로 유입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케이슨의 하부에 해수 유입을 위하여 형성한 입구(3a)와, 상기 입구(3a)와 연속하여 형성한 해수유입수로(3)와, 해수유입수로(3)와 케이슨의 전면벽(2a) 사이에 형성한 중간저수지(4)와, 중간저수지(4)와 소통하게 측부에 형성한 저수지(5)와, 저수지(5)의 하부에서부터 항 내쪽으로 통로를 형성한 수로(8)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수로(8)는 수직한 하방으로 내려가다가 케이슨의 하부에서 항 내측 방향으로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해수 유입수로(3)의 상부에는 외해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3c)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저수지(5)의 저면과 수로(8) 사이엔 망(11)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해수유입수로(3)의 입구(3a) 후방의 케이슨 내에 경사부(3d)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중간저수지(4)의 상단부는 전면벽(2a) 방향으로 경사지는 후벽(4b)을 형성하며, 상기한 후벽(4b)은 호형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입구(3a)는 안쪽으로 들어 갈수록 입구의 단면적이 좁아지는 플랜지(3e) 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해수유입수로(3) 및 중간저수지(4)의 형성구조는 그의 측벽으로 나란히 하나 이상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케이슨의 하부에 해수 유입을 위하여 형성한 입구(3a)와, 상기 입구(3a)와 전면벽(2a) 사이에 형성한 해수유입수로(30)와, 해수유입수로(30)의 측벽에 형성한 구멍(3f)을 통하여 상호 소통하게 형성한 저수지(5)와, 저수지(5)의 하부에서부터 항 내쪽으로 통로를 형성한 수로(8)를 구성하였으며, 상기한 해수유입수로(30)와 저수지(5) 사이에 형성한 구멍(3f)은 해수면의 정지수위(7) 보다 높게 형성하고, 상기한 수로(8)는 저수지(5)의 하면 유입구(8a)로부터 케이슨의 하부까지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수로(8d)와, 다시 연속하여 수평으로 항 내 쪽으로 향하도록 형성되는 수평수로(8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저수지(5)의 하면 유입구(8a)로부터 케이슨의 하부까지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수로(8d)는 케이슨의 길이 방향으로 여러개 형성하고, 이들을 연결부(8c)에 의하여 상호 소통하게 연결한후, 항내로 향하는 수평한 수평수로(8e)는 하나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더욱 구체적인 구성과 특징을 첨부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발명의 한 예에 따른 해수유입용 방파제 케이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해저면 위에는 마운드(mound)(1)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마운드(1) 위에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슨(2)이 설치된다.
상기 케이슨(2) 앞부분 전면벽(2a)의 정지수위 (7) 아래에는 해수 유입수로의 입구(3a)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슨(2)의 상부에는 해수유입수로(3)의 출구(3b)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출구(3b)의 사이엔 저수지(5)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은 도 2 의 "A-A"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로, 케이슨(2) 내에 형성되는 해수유입수로(3)와, 그 안쪽 즉 전면벽(2a)과 해수유입로(3)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저수지(4)를 보여 주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해수유입수로(3)의 입구(3a)는, 케이슨 전면벽(2a)의 정지수위 (7) 아래에 있고, 해수유입수로(3)의 후면벽 상부에 형성한 경사부(3c)는 바다쪽으로 경사지게 향해 있다. 따라서, 파도가 쳐 전면수위가 정지수위(7) 보다 높게 되어 입구(3a)를 통해 해수유입수로(3) 내로 들어온 해수가 많을 경우에, 일부는 중간저수지(4)로 들어가고 나머지는 케이슨 전면벽(2a)을 넘어 외해쪽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중간저수지(4)의 후벽(4b) 상부는 정지수위(7) 보다는 높으나 케이슨의 전면벽(2a)의 높이보다는 낮으며 전방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어, 해수가 쉽게 넘어 들어와 넘어 들어온 해수가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게 하었다.
그리고 중간저수지(4)에는, 정지수위(7)를 중심으로 그 위와 아래에 걸쳐 중간저수지 측벽의 구멍(4a)이 뚫려 있어, 중간저수지(4)로 들어온 해수가 나란히 인접한 다른 중간저수지(4) 또는 후술하는 저수지(5)로 쉽게 흘러 들어 갈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중간저수지(4)는 해수 유입수로(3)를 통해 넘어 들어오는 해수를 일시 저장함과 동시에 중간 저수지 측벽의 구멍(4a)을 통해 인접한 다른 중간저수지(4) 또는 인접한 저수지(5)로 해수를 보내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해수 유입수로의 입구(3a)는 해수유입수로(3) 내로 유입되는 해수의 유입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형상을 입구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감에 따라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형태, 즉 도 3 의 단면 형태로 볼 때 경사면을 이루는 플랜지(3e)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 4 는 도 2 의 "B - B" 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로 도 3 의 중간저수지(4)의 옆에 나란히 형성되는 저수지(5)와 그와 연결 형성되는 파이프형 수로(8)의 단면도이다.
저수지 저면(5a)은 정지수위(7) 보다 낮게 설치되어 있으며, 중간저수지 측벽의 구멍(4a)을 통해 해수가 저수지(5) 내로 들어 올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저수지 저면(5a)에 형성된 유입구(8a)와 케이슨(2)의 후면 하부에 설치된 배출구(8b) 사이엔 파이프형 수로(8)가 형성된다. 저수지(5)에서 케이슨(2)의 하부까지는 연직으로 설치되고 이로부터 배출구(8b) 까지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파이프형 수로(8)의 유입구(8a) 에는 굵은 이물질의 유입을 억제하기 위해 망(1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의하면, 케이슨(2) 전면에 파도가 들이쳐 전면의 수위가 정지수위 (7) 보다 높아질 때에는 외해수가 해수 유입수로의 입구(3a)를 통해 해수유입수로(3) 내부로 들어와 해수유입수로의 수면(9)이 중간저수지(4)의 후벽(4b) 상부 보다 높게 유지되는 동안 외해수가 중간저수지(4)로 넘어 들어가게 되고, 상기 중간저수지(4)로 들어온 해수의 일부는, 상기 중간저수지(4)에 일시 저장되는 동시에 일부는 중간저수지 측벽의 구멍(4a)을 통해 그 측면에 있는 저수지(5) 내로 흘러 들어가고, 상기 저수지(5) 로 흘러 들어온 해수는 일부는 상기 저수지(5)에 일시 저장되는 동시에 일부는 파이프형 수로(8)를 통해 항 내로 유입된다. 따라서, 파이프형 수로(8)를 통한 외해수의 항내 유입은, 케이슨 (2) 전면에 파가 들이치고 난후 밀려가서 케이슨(2)의 전면수위가 정지수위 보다 낮은 동안에도 중간저수지(4)의 수면(10)이 정지수위(7) 보다 높게 유지되는 전기간 동안 지속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중간저수지(4) 및 저수지(5)를 이용하여 해수 유입수로의 수면(9)이 중간저수지(4)의 후벽(4b) 상부보다 높은 기간동안 외해수를 항내로 유입시킴은 물론이고, 중간저수지(4)와 저수지(5)가 다량의 해수를 일시 저장하므로 케이슨(2) 으로부터 파도가 밀려 나가서 전면의 수위가 내려감에 따라 해수 유입수로의 수면(9)이 정지수위(7) 보다 낮게 된 동안에도, 중간저수지(4) 및 저수지(5)에 저장된 해수가 파이프형 수로(8)를 통해 지속적으로 항 내로 유입하게 되므로 재래식 기술보다 외해수를 다량 항내로 유입시킬수 있다.
또한, 중간저수지(4)의 수면(10)과 저수지(5)의 수면(6)은 항상 정지수위(7) 보다 높거나 같게 유지되므로, 필요에 따라 중간저수지(4)의 후벽(4b)의 높이를 최고 조위보다 높게 하면 어떠한 조위(潮位) 조건에서도 파이프형 수로(8)를 통해 역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해수의 항 내로의 순유입량이 큰 잇점이 있다.
또한, 저수지(5)에 인접한 근처의 좌우 측벽으로는 상호 연통하게 통공이 뚫려 있어, 케이슨(2) 내에 설치되는 파이프형 수로(8)를 모든 중간저수지(4) 마다 형성시킬 필요가 없어 수로(8)의 설치개수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아울러 파이프형 수로(8)를 연직 및 수평방향으로 설치하므로 종래의 기술 보다 파이프형 수로(8)를 케이슨 내에 형성하기도 용이하고, 케이슨(2) 내의 속채움에도 지장을 적게 주므로 파이프형 수로(8)의 단면적을 소요 유입량에 맞도록 조절하여 제작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파이프형 수로의 설치개수가 종래 보다 적으므로 배출구(8b)의 숫자도 감소하므로 파이프형 수로(8)를 통한 유입수를 항내의 오염이 심한 구역까지 보낼 필요가 있을 경우, 배출구(8b)에 별도의 해수수송파이프를 연결할 때 필요한 해수수송 파이프의 개수도 줄일수 있어 해수수송파이프의 설치 공사비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여기서 해수유입수로(3)의 후면벽 하부에 방향조정 경사부(3d)를 설치하면 파가 밀려 칠 때 입구(3a)를 통해 들어온 해수가 상기 경사부(3d)에 부딪쳐 그 힘의 작용방향이 경사부(3d) 와 직각방향이 되어 케이슨(2)을 아래로 내려 누르는 효과를 가져오므로 파력에 대한 케이슨(2)의 안정성을 증가시킬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수유입수로(3)내에서의 해수의 흐름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간저수지의 후벽(4b)의 단면 형상을 일부 발췌 확대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곡선을 포함한 유선형 또는 호형으로 하면 해수유입수로(3)를 통한 해수의 유입량을 더욱 증가시킬수 있다
또한 방향조정 경사부(3d)의 단면도 곡선형으로 하면 해수유입수로(3)를 통한 해수의 유입량을 증가시킬수 있다.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5 는 도 3에서 도시한 중간저수지(4)가 없이 구성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6 은 도 5 의 측부에 연결 형성되는 도 4 에 대응하는 다른 구성예이다. 도 5 의 해수유입수로(30)는 도 6 의 저수지(5)와 소통되게 형성한다.
도 5 의 해수유입수로(30)에는 그의 측벽에 구멍(3f)이 뚫려 있으며, 이 해수유입수로(30) 내의 수면(9)이 상기 구멍(3f)의 아래부분 보다 높게 유지 되는 동안, 외해수가 상기 해수 유입수로의 구멍(3f)을 통해 도 6 에 도시한 저수지로(5)로 흘러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도 6 에 도시한 저수지(5) 및 수로(8)의 외형은 도 4 에 도시된 저수지(5) 및 수로(8)와 동일하다 그러나 해수유입수로(30)와 저수지(5) 사이의 벽에 있는 해수유입수로 측벽의 구멍(3f)은 도 4 에 도시된 중간저수지 측벽의 구멍(4a)과는 달리 정지수위(7) 위에 있다는 차이가 있다.
도 2 의 케이슨의 앞부분에, 도 5 의 해수유입수로(30)와, 도 6 의 저수지(5)를 케이슨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는 구조에 의하면, 해수유입수로(30)로 들어온 해수는 해수유입수로(30)의 수면(9)이 해수유입수로 측벽의 구멍(3f)의 하부보다 높게 유지되는 동안 저수지(5)로 유입되고, 저수지(5)로 유입된 해수는 수로(8)로 통해 항 내로 유입된다.
한편 도 4 나 도 6 에 도시된 저수지(5) 및 수로(8)가 하나의 케이슨(2) 내에 다수 설치되어 있을 때, 파이프형 수로(8)의 연직부분 하단 부분들을 케이슨(2)의 가로 길이 방향으로 상호 소통 연결하는 연결부(8c)(도 6)를 형성하여, 이를 하나의 수평 파이프형 수로(8)로 모아 하나의 배출구(8b)로 배출하는 구조로 만들 수 있다.
이 구조는 케이슨(2) 내에 설치되는 파이프형 수로(8)의 총 길이를 줄이고 수로 (8)의 설치에 따른 케이슨(2)의 자중을 줄일 수 있고, 또한 파력에 대한 케이슨의 안정성을 증가시킬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형 수로의 출구(8b)를 하나로 줄일 수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 수로(8)의 배출구(8b)에 하나만의 별도의 해수수송파이프만 연결하여도 유입수를 항 내의 오염이 심한 구역까지 수송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해수 수송파이프를 설치하기 위한 공사비도 줄일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유입 방파제 케이슨 구조에 의하면 해수유입수로를 통해 유입된 해수를 저수지라는 임시 저장시설을 통해, 항 외로 역류시키지 않고 항 내로 다량 그리고 지속적으로 공급가능하여 항 내의 수질 개선 및 보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요시 별도의 해상수송파이프를 설치하여 유입수를, 방파제로부터 떨어진 항 내의 오염이 심한 구역까지 수송하기에도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작도 간편한 장점이 있다.

Claims (13)

  1. 케이슨의 하부에 해수 유입을 위하여 형성한 입구(3a)와, 상기 입구(3a)와 연속하여 형성한 해수유입수로(3)와, 해수유입수로(3)와 케이슨의 전면벽(2a) 사이에 형성한 중간저수지(4)와, 중간저수지(4)와 소통하게 측부에 형성한 저수지(5)와, 저수지(5)의 하부에서부터 항 내쪽으로 통로를 형성한 수로(8)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유입 방파제 케이슨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로(8)는 수직한 하방으로 내려가다가 케이슨의 하부에서 항 내측 방향으로 수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유입 방파제 케이슨 구조
  3. 제 1 항 에 있어서, 상기한 해수 유입수로(3)의 상부에는 외해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3c)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유입 방파제 케이슨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저수지(5)의 저면과 수로(8) 사이엔 망(11)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유입 방파제 케이슨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해수유입수로(3)의 입구(3a) 후방의 케이슨 내에 경사부(3d)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유입 방파제 케이슨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중간저수지(4)의 상단부는 전면벽(2a) 방향으로 경사지는 후벽(4b)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유입 방파제 케이슨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한 후벽(4b)은 호형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유입 방파제 케이슨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입구(3a)는 안쪽으로 들어 갈수록 입구의 단면적이 좁아지는 플랜지(3e) 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유입 방파제 케이슨구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해수유입수로(3) 및 중간저수지(4)의 형성구조는 그의 측벽으로 나란히 하나 이상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유입 방파제 케이슨구조
  10. 케이슨의 하부에 해수 유입을 위하여 형성한 입구(3a)와, 상기 입구(3a)와 전면벽(2a) 사이에 형성한 해수유입수로(30)와, 해수유입수로(30)의 측벽에 형성한 구멍(3f)을 통하여 상호 소통하게 형성한 저수지(5)와, 저수지(5)의 하부에서부터 항 내쪽으로 통로를 형성한 수로(8)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유입 방파제 케이슨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한 해수유입수로(30)와 저수지(5) 사이에 형성한 구멍(3f)은 해수면의 정지수위(7) 보다 높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유입 방파제 케이슨 구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로(8)는 저수지(5)의 하면 유입구(8a)로부터 케이슨의 하부까지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수로(8d)와, 다시 연속하여 수평으로 항 내 쪽으로 향하도록 형성되는 수평수로(8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유입 방파제 케이슨 구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저수지(5)의 하면 유입구(8a)로부터 케이슨의 하부까지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수로(8d)는 케이슨의 길이 방향으로 여러개 형성하고, 이들을 연결부(8c)에 의하여 상호 소통하게 연결한후, 항내로 향하는 수평한 수평수로(8e)는 하나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유입 방파제 케이슨구조
KR1019980021328A 1998-06-09 1998-06-09 해수유입 방파제 케이슨 KR100264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1328A KR100264537B1 (ko) 1998-06-09 1998-06-09 해수유입 방파제 케이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1328A KR100264537B1 (ko) 1998-06-09 1998-06-09 해수유입 방파제 케이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197A KR20000001197A (ko) 2000-01-15
KR100264537B1 true KR100264537B1 (ko) 2000-09-01

Family

ID=19538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1328A KR100264537B1 (ko) 1998-06-09 1998-06-09 해수유입 방파제 케이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45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430B1 (ko) * 2009-11-03 2012-04-12 삼성물산 주식회사 분수 형성용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소파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197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6242B2 (en) Catch basin for salt water sand
CN104695390B (zh) 一种组合式超泄消能溢洪单元和方法
KR100264537B1 (ko) 해수유입 방파제 케이슨
CN211368630U (zh) 一种水库输水工程消力池
JP4758882B2 (ja) 魚道付き護岸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魚道付き護岸面の構築方法
CN213823591U (zh) 一种新型沉淀池泥斗
KR100431572B1 (ko) 경사식 해수유입 방파제
KR20030077521A (ko) 가동형 어도
KR100424282B1 (ko) 수중보 내측 침전물 자동배출 시스템
KR100266703B1 (ko) 해수 수송용 파이프 구조
JP3377498B2 (ja) 床固めカスケード方式取水工
JP3185169B2 (ja) 放流構造
KR100280583B1 (ko) 경사제의 해수유입용 수로 구조
CN216385910U (zh) 一种地下水位预警及防涝设施
JP2000027141A (ja) 海底導水設備
CN219327046U (zh) 一种泵站出水池结构
JP3850229B2 (ja) 消波堤
JP2825427B2 (ja) 管状導水構造物および防波堤
CN212534167U (zh) 一种可调式挡水围堰
KR880002486Y1 (ko) 저낙차 대 사이펀
CN217870284U (zh) 一种适用西域砾岩水位变动区边坡排水逆止阀结构
CN214144022U (zh) 一种干式清淤检查井
CN219343080U (zh) 一种闸前防沉沙结构
CN217078823U (zh) 节能型基坑承压水降排水系统
KR200330345Y1 (ko) 해수 교환을 위한 직립식 월유방파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