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4375B1 - 컬러수상관 - Google Patents

컬러수상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4375B1
KR100264375B1 KR1019980009909A KR19980009909A KR100264375B1 KR 100264375 B1 KR100264375 B1 KR 100264375B1 KR 1019980009909 A KR1019980009909 A KR 1019980009909A KR 19980009909 A KR19980009909 A KR 19980009909A KR 100264375 B1 KR100264375 B1 KR 100264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oint
axis
reg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9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3096A (ko
Inventor
고지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19990023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3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Vessels and containers
    • H01J2229/8613Faceplates
    • H01J2229/8616Faceplates characterised by shape
    • H01J2229/862Parameterised shape, e.g. expression, relationship or equation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컬러수상관에 관한 것으로서, 외관상의 스크린을 평면으로 할 수 있는 컬러수상관을 제공하기 위해, 관축상에 Z축을 배치하고, Z축으로 부터의 반경방향의 거리를 r로 하고, 패널(1)의 내면(1a)상의 화상표시영역(9)의 대각방향D의 가장 외측의 점을 r=Ld인 점으로 하고, 패널(1)의 내면(1a)상의 점의 Z축방향의 위치를 r의 함수인 f(r)로 나타내었을 때, df(r)/dr의 값이 r=0인 점을 포함하는 제1 영역에 있어서 0이고, 제1 영역(11)의 외측에서 r=Ld인 점까지의 제2 영역(12)에 있어서 부이고, d2f(r)/dr2의 값이 r=0인 점에서 r=R2(R2는 제2 영역내의 점)인 점의 내측까지의 제3 영역(13)에 있어서 부이고, r=R2인 점에 있어서 0이고, r=R2인 점보다 외측에서 r=Ld인 점까지의 제4 영역에 있어서 정이고, 패널의 제2 영역(12)에 있어서의 Z축방향의 두께를 패널의 제1 영역(11)에 있어서의 Z축방향의 두께보다 크게 한다.
이것에 의해, 외관상의 스크린을 평면으로 한 고품질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컬러수상관
본 발명은 컬러수상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형광스크린을 구비한 패널의 형상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컬러수상관에 있어서는 경량화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형광스크린을 구비한 유리제의 패널을 구면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근래의 시뮬레이션기술의 발전등에 의해 패널을 플랫(이하, 평면이라 한다)에 가까운 형상으로 한 컬러수상관의 제작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패널을 평면인 평행평판으로 한 컬러수상관을 시험제작해 보면, 화면중앙부근의 화상보다 화면 끝부부근의 화상쪽이 앞쪽으로 부상해 보이고, 예를 들면 대략 타원형인 사람의 얼굴이 약간 초승달형으로 보이는 경향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은 도 9의 패널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청자(viewer)(30)은 패널(31)의 중심부근을 패널(31)과 대략 수직으로 보고 있으므로, 패널(31)의 중심부근에 있어서의 시선방향의 두께는 T0이지만, 패널(31)의 끝부부근을 비스듬하게(Z축에 대해서 각도α로) 보고 있으므로, 패널(31)의 끝부부근에 있어서의 시선방향의 두께는 T0보다 큰 T1로 되고, 화상표시영역(패널(31)의 내면(31a)상의 영역, 즉 형광스크린(32)면)에 표시된 화상의 부상량이 끝부에 가까워질수록 커지게 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고려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패널(31)을 구성하는 유리의 굴절률n이 1.536이고, 패널(31)의 화상표시영역의 대각직경이 260[㎜]이고, 패널(31)의 외면(31b)으로 부터 95[㎜]의 위치에서 화면을 본 경우에는 시청자(30)이 인식하는 형광스크린(실제의 형광스크린(32)의 위치보다 앞쪽에 있는 것처럼 보이므로, [외관상의 스크린(33)]이라 한다)은 패널(31)의 중심에 있어서는 패널(31)의 외면(31b)에서 T0/n(≒2T0/3)의 깊이(즉, 패널(31)의 내면(31a)에서 약 T0/3만큼 부상한 위치)에 있고, 패널(31)의 주변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외관상의 스크린(33)의 부상량(T0/3+△TD)이 커지는 현상이다.
도 10은 Z축에 대한 시선의 각도α〔°〕(패널(31)의 화상표시영역에 있어서의 위치에 대응한다)와 화상의 부상량의 증가분△TD와의 관계를 계산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에 있어서, RP는 패널외면의 곡률반경[㎜]이고, 패널내면이 평면인 것으로 해서 계산되고 있다. 단, 패널외면을 평면으로 하고 패널내면이 곡면인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결과로 된다. 또, 여기에서는 시청자의 눈의 위치는 패널외면으로 부터 95[㎜]의 위치에 있다. 또한, RP=90000[㎜]인 경우에는 패널이 평행평판인 경우에 상당한다. 도 10에서 예를 들면 α=50°의 위치의 화상은 중심부근의 화상보다 △TD= 약 2.4[㎜]앞쪽으로 부상해서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외관상의 스크린을 평면으로 할 수 있는 컬러수상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컬러수상관을 일부 절단해서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패널(1)을 정면에서 본 도면,
도 3은 실시예 1의 컬러수상관의 패널의 대각방향의 단면형상과 패널의 내면의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4는 외관상의 스크린을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컬러수상관의 패널의 대각방향의 단면형상과 패널의 내면의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컬러수상관의 패널의 대각방향의 단면형상과 패널의 내면의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패널의 내면의 중앙부근의 곡률반경RP와 형광스크린의 부상량과의 관계와 패널의 외면의 중앙부근의 곡률반경RP와 형광스크린의 부상량과의 관계를 도시한 특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컬러수상관의 패널의 대각방향의 단면형상과 패널의 내면의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9는 종래의 패널의 개략적인 종단면,
도 10은 Z축에 대한 시선의 각도α〔°〕와 부상량의 증가분△TD와의 관계를 계산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부호의 설명>
1 패널, 1a 패널의 내면, 1b 패널의 외면, 2 퍼넬, 3 형광스크린, 9 반사방지막, 11 제1 영역, 12 제2 영역, 13 제3 영역 14 제4 영역, 15 외관상의 스크린, 21 제1 영역, 22 제2 영역, 23 제3 영역, 24 제4 영역, 25 제5 영역, V 수직축, H 수평축, D 대각축.
본 발명에 의한 컬러수상관은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면상에 구비되고 전자빔의 조사를 받아서 화상을 표시하는 형광스크린을 갖고, 상기 패널의 중심을 통과하고 상기 패널과 수직인 관축상에 Z축을 배치하고, 컬러수상관의 내부에서 시청자측을 향하는 방향을 Z축의 정방향으로 하고, Z축으로 부터의 반경방향의 거리를 r로 하고, 상기 패널의 내면상의 화상표시영역의 Z축상의 점을 r=0인 점으로 하고, 상기 패널의 내면상의 화상표시영역의 대각방향의 가장 외측의 점을 r=Ld인 점으로 하고, 상기 패널의 내면상의 점의 Z축방향의 위치를 r의 함수인 f(r)로 나타내었을 때, 상기 패널의 내면상의 화상표시영역에 있어서의 f(r)의 제1차 도함수(derivative)df(r)/dr의 값이 r=0인 점을 포함하는 제1 영역에 있어서 0이고, 제1 영역의 외측에서 r=Ld인 점까지의 제2 영역에 있어서 부이고, 상기 패널의 내면상의 화상표시영역에 있어서의 f(r)의 제2차 도함수d2f(r)/dr2의 값이 r=0인 점에서 r=R2(R2는 제2 영역내의 점)인 점의 내측까지의 제3 영역에 있어서 부이고, r=R2인 점에 있어서 0이고, r=R2인 점보다 외측에서 r=Ld인 점까지의 제4 영역에 있어서 정이고, 상기 패널의 제2 영역에 있어서의 Z축방향의 두께가 상기 패널의 제1 영역에 있어서의 Z축방향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컬러수상관은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면상에 구비되고 전자빔의 조사를 받아서 화상을 표시하는 형광 스크린을 갖고, 상기 패널의 중심을 통과하고 상기 패널과 수직인 관축상에 Z축을 배치하고, 컬러수상관의 내부에서 시청자측을 향하는 방향을 Z축의 정방향으로 하고, Z축으로 부터의 반경방향의 거리를 r로 하고, 상기 패널의 내면상의 화상표시영역의 Z축상의 점을 r=0인 점으로 하고, 상기 패널의 내면상의 화상표시영역의 대각방향의 가장 외측의 점을 r=Ld인 점으로 하고, 상기 패널의 내면상의 점의 Z축방향의 위치를 r의 함수인 f(r)로 나타내었을 때, 상기 패널의 내면상의 화상표시영역에 있어서의 f(r)의 제1차 도함수df(r)/dr의 값이 r=0인 점을 포함하는 제1 영역에 있어서 0이고, 제1 영역의 외측에서 r=R1(R1<Ld)인 내측까지의 제2 영역에 있어서 부이고, r=R1에 있어서 0이고, r=R1보다 외측에서 r=Ld인 점까지의 제3 영역에 있어서 정이고, 상기 패널의 내면상의 화상표시영역에 있어서의 f(r)의 제2차 도함수d2f(r)/dr2의 값이 r=0인 점에서 r=R2(R2는 제2 영역내의 점)인 점의 내측까지의 제4 영역에 있어서 부이고, r=R2인 점에 있어서 0이고, r=R2인 점보다 외측에서 r=Ld인 점까지의 제5 영역에 있어서 정이고, 상기 패널의 제2 영역에 있어서의 Z축방향의 두께가 상기 패널의 제1 영역에 있어서의 Z축방향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컬러수상관을 일부 절단해서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컬러수상관은 패널(1), 퍼넬(2), 패널(1)의 내면상에 구비되고 전자빔의 조사를 받아서 화상을 표시하는 형광스크린(3)을 갖는다. 또, 이 컬러수상관은 전자빔(5)를 방출하는 전자총(4), 전자빔(5)를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주사시키는 편향요크(6), 수직방향으로 긴 여러개의 개구를 수평방향으로 배열한 섀도우 그릴형의 섀도우 마스크(7), 패널(1)의 외면(1b)상에 구비되고 외광의 정반사광을 억제하는 반사방지막(8)을 갖는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10)은 시청자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패널(1)을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9)는 패널(1)의 내면상(즉, 형광스크린(3))의 화상표시영역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패널(1)의 중심을 통과하고 패널(1)과 수직인 관축상에 Z축을 배치하고, 컬러수상관의 내부에서 시청자(10)측을 향하는 방향을 Z축의 정방향으로 한다. 또, Z축에서 Z축과 수직인 반경방향의 거리를 r로 하면, 패널(1)의 내면상의 화상표시영역(9)의 Z축상의 점은 r=O인 점으로 되고, 화상표시영역(9)의 대각방향(D방향)의 가장 외측의 점은 r=Ld인 점으로 되고, 화상표시영역(9)의 수직방향(V방향)의 가장 외측의 점은 r=Lv인 점으로 되고, 화상표시영역(9)의 수평방향(H방향)의 가장 외측의 점은 r=Lh인 점으로 된다.
도 3은 실시예 1의 컬러수상관의 패널(1)의 대각방향의 단면형상과 패널(1)의 내면의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실시예 1의 컬러수상관의 패널(1)의 형상은 Z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대칭이고 또한 이하의 요건을 만족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패널(1)의 내면(1a)상의 점의 Z축방향의 위치를 r의 함수인 Z=f(r)로 나타냈을 때, 패널(1)의 내면(1a)상의 화상표시영역(9)(도 3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있어서의 f(r)의 제1차 도함수df(r)/dr의 값이 r=0인 점을 포함하는 제1 영역(11)(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r=0인 점뿐이다. 단, 제1 영역은 이것보다 넓게 해도 좋다)에 있어서 0이고, 제1 영역(11)의 외측에서 r=Ld점까지의 제2 영역(12)에 있어서 부이다.
또, 패널(1)의 내면(1a)상의 화상표시영역(9)에 있어서의 f(r)의 제2차 도함수d2f(r)/dr2의 값이 r=0인 점에서 r=R2(R2는 제2 영역(12)내의 점)인 점의 내측까지의 사이의 제3 영역(13)에 있어서 부이고, r=R2인 점에 있어서 0이고, r=R2인 점보다 외측에서 r=Ld인 점까지의 제4 영역(14)에 있어서 정이다.
또, 패널(1)의 제2 영역(12)에 있어서의 Z축방향의 두께를 DR로 하고, 패널(1)의 제1 영역(11)에 있어서의 Z축방향의 두께를 T0으로 했을 때, DR/T0>1을 만족시킨다.
또, 패널(1)의 외면(1b)는 대략 평면이다. 여기에서, 대략 평면이라는 것은 곡률반경이 60000[㎜]이상인 약간 볼록인 면에서 곡률반경이 -60000[㎜]이하인 약간 오목인 면까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d2f(r)/dr2=0을 만족시키는 점 R2의 위치는 0.4Ld≤R2≤0.85Ld를 만족시키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예를 들면 패널(1)의 내면(1a)의 중심을 f(r)=0으로 하면, 패널(1)의 내면(1a)의 형상은 예를 들면 다음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Z=f(r)=r2(ar2+b)
a=1.4787e-9
b=-6.4161e-5
이 식 1에 의한 패널(1)의 내면(1a)의 형상은 Z축에 대해서 회전대칭인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 패널(1)의 중심에 있어서의 패널(1)의 Z축방향의 두께를 T0으로 하고, 대각축의 끝부(r=Ld)에 있어서의 두께를 TD=T0+△TD로 하면, 예를 들면 T0=13.0[㎜], △TD=0.675[㎜]이다. 여기에서, △TD는 패널(1)의 중심에서 거리Ld사이에 있어서의 두께T0에 대한 증가분이고, 웨지(wedge)라고 한다.
또, 실시예 1에 있어서는 패널(1)의 내면(1a)의 형상을 패널(1)의 중앙부근에서는 곡률반경이 약 8500[㎜]으로 되고, 패널(1)의 끝부 부근에서는 곡률반경이 8500[㎜]보다 큰 더욱 평면에 가까워지는 비구면의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한 것에 의해, 패널(1)의 끝부부근에서는 부상량이 낮게 억제되고, 패널(1)의 중앙부근에서는 곡률반경이 약 8500[㎜]의 부상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널(1)의 내면을 비구면으로 하는 것에 의해, 도 4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상의 스크린(15)를 평면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컬러수상관에 의하면 패널(1)의 내면(1a)를 상기한 요건을 만족시키는 형상으로 했으므로, 외관상의 스크린을 평면으로 할 수 있어 더욱 높은 품질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컬러수상관의 패널의 대각방향의 단면형상과 패널의 내면의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컬러수상관의 패널(1)의 형상은 Z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대칭이고 또한 이하의 요건을 만족시키도록 형성된다.
패널(1)의 내면(1a)상의 점의 Z축방향의 위치를 r의 함수인 Z=f(r)로 나타냈을 때, 패널(1)의 내면(1a)상의 화상표시영역(9)(도 5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있어서의 f(r)의 제1차 도함수df(r)/dr의 값이 r=0인 점을 포함하는 제1 영역(21)(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r=O인 점뿐이다. 단, 제1 영역은 이것보다 넓게 해도 좋다)에 있어서 0이고, 제1 영역(21)의 외측에서 r=R1(R1<Ld)인 내측까지의 제2 영역(22)에 있어서 부이고, r=R1에 있어서 0이고, r=R1보다 외측에서 r=Ld인 점까지의 제3 영역(23)에 있어서 정이다.
또, 패널(1)의 내면(1a)상의 화상표시영역(9)에 있어서의 f(r)의 제2차 도함수d2f(r)/dr2의 값이 r=0인 점에서 r=R2(R2는 제2 영역(22)내의 점)인 점의 내측까지의 사이의 제4 영역(24)에 있어서 부이고, r=R2인 점에 있어서 0이고, r=R2인 점보다 외측에서 r=Ld인 점까지의 제5 영역(25)에 있어서 정이다.
또, 패널(1)의 제2 영역(22)에 있어서의 Z축방향의 두께를 DR로 하고, 패널(1)의 제1 영역(21)에 있어서의 Z축방향의 두께를 T0으로 했을 때 DR/T0>1을 만족시킨다.
또, 패널(1)의 외면(1b)는 대략 평면이다. 여기에서, 대략 평면이라는 것은 곡률반경이 60000[㎜]이상인 약간 볼록인 면에서 곡률반경이 -60000[㎜]이하인 약간 오목인 면까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d2f(r)/dr2=0을 만족시키는 점 R2의 위치는 0.2Ld≤R2≤0.65Ld이고, df(r)/dr=0을 만족시키는 점 R1의 위치는 0.6Ld≤R1<1.0Ld(단, R1>R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예를 들면 패널(1)의 내면(1a)의 중심을 f(r)=0으로 하면, 패널(1)의 내면(1a)의 형상은 예를 들면 다음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Z=f(r)=r2(ar2+b)
a=4.626e-9
b=-9.4096e-5
이 식 2에 의한 패널(1)의 내면(1a)의 형상은 Z축에 대해서 회전대칭인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 패널(1)의 중심에 있어서의 패널(1)의 Z축방향의 두께를 T0으로 하고, 대각축의 끝부(r=Ld)에 있어서의 두께를 TD=T0+△TD로 하면, 예를 들면 T0=13.0[㎜], △TD=0.20[㎜]이다. 여기에서, △TD는 패널(1)의 중심에서 거리Ld사이에 있어서의 두께T0에 대한 증가분이고, 웨지라고 한다.
또, 실시예 2에 있어서는 패널(1)의 내면(1a)의 형상을 패널(1)의 중앙부근에서는 곡률반경이 약 8500[㎜]로 되고, 패널(1)의 끝부부근에서는 곡률반경이 8500[㎜]보다 큰 더욱 평면에 가까워지는 비구면의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한 것에 의해, 패널(1)의 끝부부근에서는 부상량이 낮게 억제되고, 패널(1)의 중앙부근에서는 곡률반경이 약 8500[㎜]의 부상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널(1)의 내면을 비구면으로 하는 것에 의해, 외관상의 스크린을 평면으로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컬러수상관에 의하면 패널(1)의 내면을 상기한 요건을 만족시키는 형상으로 했으므로, 외관상의 스크린을 평면으로 할 수 있어 더욱 높은 품질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에 있어서 상기 이외의 점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컬러수상관의 패널의 대각방향의 단면형상과 패널의 내면의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3(실시예 1)과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인다.
실시예 3의 컬러수상관은 패널(1)의 외면(1b)를 곡률반경 20000[㎜]의 볼록형상으로 한 점만이 상기 실시예 1의 컬러수상관과 상이하다. 실시예 3의 컬러수상관에 의하면, 외관상의 스크린을 평면으로 할 수 있으므로, 더욱 높은 품질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 화상의 부상량의 조정을 패널(1)의 내면(1a)뿐만 아니라 패널(1)의 외면(1b)를 이용해서 보정할 수도 있다.
도 7은 패널(1)의 내면의 중앙부근의 곡률반경RP와 형광스크린의 부상량과의 관계(실선 41)와 패널(1)의 외면의 중앙부근의 곡률반경RP와 형광스크린의 부상량과의 관계(점선 42)를 도시한 특성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내면(1a)가 RP=8500[㎜]의 회전대칭인 면으로 되어 있는 경우의 부상량은 Z축방향으로 +0.56[㎜]이다. 또, 예를 들면 외면(1b)가 RP=20000[㎜]의 회전대칭인 면으로 되어 있는 경우의 부상량은 Z축방향으로 -0.24[㎜]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패널(1)의 중앙부에서만 이 +0.56[㎜]과 -0.24[㎜]의 합계값인 +0.32[㎜]의 부상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의 특성도는 외관상의 스크린을 평면화할 때의 설계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에 3에 있어서 상기 이외의 점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4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컬러수상관의 패널의 대각방향의 단면형상과 패널의 내면의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에 있어서, 도 5(실시예 2)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인다.
실시예 4의 컬러수상관은 패널(1)의 외면을 곡률반경20000[㎜]의 볼록형상으로 한 점만이 상기 실시예 2의 컬러수상관과 상이하다. 실시예 4의 컬러수상관에 의하면, 외관상의 스크린을 평면으로 할 수 있으므로, 더욱 높은 품질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 화상의 부상량의 조정을 패널(1)의 내면(1a)뿐만 아니라 패널(1)의 외면(1b)를 이용해서 보정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 4에 있어서 상기 이외의 점은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4에 있어서는 패널(1)의 내면형상이 Z축을 중심으로 회전대칭인 경우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패널(1)의 내면형상을 상기 실시예에서 기술한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수직축 V단면 및 수평축 H단면의 각각에 대해서 다르게 한 회전비대칭으로 구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패널(1)의 내면의 수직축 V단면형상의 곡률을 수평축 H단면의 곡률보다 작게(즉, 보다 평면으로)형성하고, 또 패널(1)의 내면형상이 연속 또는 원활하게 되도록 형성한다. 이 경우, 수직축V와 수평H 사이의 영역(수직축에서 각도θ의 위치)에 있어서의 패널(1)의 내면의 곡률반경R은 예를 들면 다음식
1/R2=(cos2θ)/RV2+(sin2θ)/RH2
를 사용해서 산출하면 좋다. 여기에서, RV는 패널(1)의 내면의 수직축 V단면의 곡률반경이고, RH는 패널(1)의 내면의 수평축 H단면의 곡률반경이다.
이와 같은 회전비대칭의 패널(1)은 수직단면이 직선형상이고 수평단면이 원호형상인 섀도우 그릴형의 섀도우 마스크를 채용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또한, 패널(1)의 내면형상의 설계는 패널(1)의 내면과 섀도우마스크 사이의 거리, 전자빔의 편향중심에서 형광스크린(3)까지의 거리, 섀도우마스크의 개구의 피치등에 따라서 실행한다.
또, 패널(1)의 내면형상을 회전비대칭인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컬러수상관의 정적강도를 증가시키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패널(1)의 내면을 회전비대칭으로 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패널(1)의 외면을 회전비대칭으로 해도 좋다.
또, 실시예 5에 있어서 상기 이외의 점은 상기 실시예 1∼4와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외관상의 스크린을 평면으로 한 고품질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면상에 구비되고 전자빔의 조사를 받아서 화상을 표시하는 형광스크린을 갖는 컬러수상관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중심을 통과하고 상기 패널과 수직인 관축상에 Z축을 배치하고,
    상기 컬러수상관의 내부에서 시청자측을 향하는 방향을 Z축의 정방향으로 하고,
    Z축으로 부터의 반경방향의 거리를 r로 하고,
    상기 패널의 내면상의 화상표시영역의 Z축상의 점을 r=0인 점으로 하고,
    상기 패널의 내면상의 화상표시영역의 대각방향의 가장 외측의 점을 r=Ld인 점으로 하고,
    상기 패널의 내면상의 점의 Z축방향의 위치를 r의 함수인 f(r)로 나타내었을 때,
    상기 패널의 내면상의 화상표시영역에 있어서의 f(r)의 제1차 도함수df(r)/dr의 값이 r=0인 점을 포함하는 제1 영역에 있어서 0이고, 제1 영역의 외측에서 r=Ld인 점까지의 제2 영역에 있어서 부이고,
    상기 패널의 내면상의 화상표시영역에 있어서의 f(r)의 제2차 도함수d2f(r)/dr2의 값이 r=0인 점에서 r=R2(R2는 제2 영역내의 점)인 점의 내측까지의 제3 영역에 있어서 부이고, r=R2인 점에 있어서 0이고, r=R2인 점보다 외측에서 r=Ld인 점까지의 제4 영역에 있어서 정이고,
    상기 패널의 제2 영역에 있어서의 Z축방향의 두께가 상기 패널의 제1 영역에 있어서의 Z축방향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수상관.
  2.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면상에 구비되고 전자빔의 조사를 받아서 화상을 표시하는 형광 스크린을 갖는 컬러수상관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중심을 통과하고 상기 패널과 수직인 관축상에 Z축을 배치하고,
    상기 컬러수상관의 내부에서 시청자측을 향하는 방향을 Z축의 정방향으로 하고,
    Z축으로 부터의 반경방향의 거리를 r로 하고,
    상기 패널의 내면상의 화상표시영역의 Z축상의 점을 r=0인 점으로 하고,
    상기 패널의 내면상의 화상표시영역의 대각방향의 가장 외측의 점을 r=Ld인 점으로 하고,
    상기 패널의 내면상의 점의 Z축방향의 위치를 r의 함수인 f(r)로 나타내었을 때,
    상기 패널의 내면상의 화상표시영역에 있어서의 f(r)의 제1차 도함수df(r)/dr의 값이 r=0인 점을 포함하는 제1 영역에 있어서 0이고, 제1 영역의 외측에서 r=R1(R1<Ld)인 내측까지의 제2 영역에 있어서 부이고, r=R1에 있어서 0이고, r=R1보다 외측에서 r=Ld인 점까지의 제3 영역에 있어서 정이고,
    상기 패널의 내면상의 화상표시영역에 있어서의 f(r)의 제2차 도함수d2f(r)/dr2의 값이 r=0인 점에서 r=R2(R2는 제2 영역내의 점)인 점의 내측까지의 제4 영역에 있어서 부이고, r=R2인 점에 있어서 0이고, r=R2인 점보다 외측에서 r=Ld인 점까지의 제5 영역에 있어서 정이고,
    상기 패널의 제2 영역에 있어서의 Z축방향의 두께가 상기 패널의 제1 영역에 있어서의 Z축방향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수상관.
KR1019980009909A 1997-08-28 1998-03-23 컬러수상관 KR100264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32184 1997-08-28
JP9232184A JPH1173896A (ja) 1997-08-28 1997-08-28 カラー受像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096A KR19990023096A (ko) 1999-03-25
KR100264375B1 true KR100264375B1 (ko) 2000-08-16

Family

ID=16935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9909A KR100264375B1 (ko) 1997-08-28 1998-03-23 컬러수상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46540A (ko)
EP (1) EP0899769B1 (ko)
JP (1) JPH1173896A (ko)
KR (1) KR100264375B1 (ko)
CN (1) CN1139098C (ko)
DE (1) DE69826796T2 (ko)
TW (1) TW4138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93661B (en) * 1997-09-02 2000-06-11 Mitsubishi Electric Corp Color picture tube device with stretched shadow grille
JPH11242940A (ja) 1997-12-26 1999-09-07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
KR100402738B1 (ko) 2000-02-29 2003-10-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의 패널
KR100331820B1 (ko) * 2000-04-12 2002-04-09 구자홍 평면 음극선관
MY135953A (en) * 2000-07-27 2008-07-31 Hitachi Ltd Shadow mask type color cathode ray tube whose panel surface is flat
KR100600892B1 (ko) * 2001-07-23 2006-07-14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음극선관
US7148616B2 (en) * 2004-04-07 2006-12-12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Color picture tub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08728A1 (de) * 1982-03-11 1983-09-22 Cassella Ag, 6000 Frankfurt Mit aminoplastharzdispersionen beschichtete traegermaterialien und deren weiterverarbeitung zu schichtstoffen
US4535907B1 (en) * 1983-03-09 1998-03-10 Shibaura Denki Kk Cathode-ray tube
JP2845908B2 (ja) * 1988-11-30 1999-01-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シャドウマスク型カラー陰極線管
NL9000111A (nl) * 1990-01-17 1991-08-16 Philips Nv Kathodestraalbuis met gekromd beeldvenster en kleurenbeeldweergeefinrichting.
NL9000325A (nl) * 1990-02-12 1991-09-0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Kathodestraalbuis en beeldweergeef-inrichting.
JPH0636710A (ja) * 1992-07-21 1994-02-10 Hitachi Ltd 表示制御回路及び装置
JP3354254B2 (ja) * 1993-02-16 2002-12-09 株式会社東芝 カラー受像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096A (ko) 1999-03-25
TW413829B (en) 2000-12-01
US6046540A (en) 2000-04-04
DE69826796D1 (de) 2004-11-11
JPH1173896A (ja) 1999-03-16
DE69826796T2 (de) 2005-11-03
CN1139098C (zh) 2004-02-18
EP0899769A2 (en) 1999-03-03
EP0899769B1 (en) 2004-10-06
CN1211809A (zh) 1999-03-24
EP0899769A3 (en) 1999-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5507B1 (ko) 배면투사형화상표시장치및배면투과형스크린
EP0077117B1 (en) Rear projection apparatus
US5751387A (en) Fresnel len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09105804A (ja) 光制御シート、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S63132228A (ja)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EP0819973B1 (en) Fresnel lens sheet for rear projection screen
KR100264375B1 (ko) 컬러수상관
US4919515A (en) Screen for a rear projection type television set
US6292295B1 (en) Rear projection screen incorporating a prism
JP2695422B2 (ja) 透過型スクリーン
KR100288030B1 (ko) 인장형섀도우그릴을구비한컬러수상관장치
US6211932B1 (en) Fresnel len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P0798592B1 (en) Lenticular lens sheet
US6208067B1 (en) Color cathode ray tube
JPH11144648A (ja) 展張型シャドウグリルを具備したカラー受像管装置
JPH0644926A (ja) 陰極線管ディスプレイ
US6414425B1 (en) Cathode-ray tube
KR200329637Y1 (ko) 음극선관
KR100217489B1 (ko) 프레넬 렌즈 및 액정 표시장치
MXPA98006994A (en) Cinescope of image of co
KR100396128B1 (ko) 액정표시장치
US5675434A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and projection screen
EP0457280A2 (en) Screen and projector using said screen
JP3137621B2 (ja) 陰極線管
EP1585163A2 (en) Color picture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