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4096B1 - 이동통신망 송수신기 및 송신기 회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 송수신기 및 송신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4096B1
KR100264096B1 KR1019940005838A KR19940005838A KR100264096B1 KR 100264096 B1 KR100264096 B1 KR 100264096B1 KR 1019940005838 A KR1019940005838 A KR 1019940005838A KR 19940005838 A KR19940005838 A KR 19940005838A KR 100264096 B1 KR100264096 B1 KR 100264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ulse
bus
transceiver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5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날드 에프 호멜
프레드릭 오. 미에스터펠드
Original Assignee
홀리 엘리자베스 리이즈
다임러크라이슬러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홀리 엘리자베스 리이즈, 다임러크라이슬러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홀리 엘리자베스 리이즈
Priority to KR1019940005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4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096B1/ko

Links

Landscapes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이동 통신망용 송수신기 및 그 송신기 회로에 있어서, 송수신기가 마이크로콘트롤러, 통신 버스를 지나는 기호 메시지를 포함하는 가변 펄스폭변조된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고 받기 위해 통신망에 노드를 형성한 기호 부호기/해독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용 송수신기 및 그 송신기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 송수신기는 마이크로콘트롤러에 의해 발생된 기호 부호기/해독기로부터의 디지틀 가변 펄스 진폭변조된 신호들을 받아서 가변 펄스 진폭변조된 아날로그 신호로 바꾼 후 버스를 통하여 다른 노드들에 이 아날로그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이 송수신기는 통신망의 다른 노드들에 의해 버스상에 위치한 가변 펄스폭변조된 아날로그 신호를 받아서 이 신호들을 해독된 메시지를 마이크로콘트롤러로 교대로 통신하는 기호 부호기/해독기에 디지틀 형태로 전송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망 송수신기 및 송신기 회로
제1도는 송수신기에서 이 발명에 따른 송신기 회로를 채용하는 통신망의 구성도.
제2도는 이 발명에 따른 송신기 회로의 개략도.
제3(a)도 내지 제3(f)도는 제2도의 송신기 회로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파형도이다.
이 발명은 이동통신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망 송수신기 및 송신기 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에 더욱 더 많은 전자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전체 자동차 산업에서는 표준 데이타 회선, 바람직하기로는 중간 속도(class B)의 다중 억세스 직렬 통신 회선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미, 미국 자동차 공업자 협회(SAE)는 J1850이라는 기술적 요건 및 인자를 정하고, 통신 버스(bus)를 통하여 일련의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기호들을 명세화했다.
이 발명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처럼, 가변 펄스폭변조(Variable Pulse Width Modulation, 이하 VPWM이라 한다) 부호화에서 하나의 기호는, 일정 시간 동안 연장된 후 전압 천이(transition)나 엣지(edge)가 발생하는 전압 논리 값(voltage logic level)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전의 전압 엣지와 전류 엣지의 트립점들(trip points) 사이의 시간은 그 기호의 의미를 정의한다. 예를들면, 짧고 낮은 64㎲ 또는 길고 높은 128㎲의 어느 값을 가질 수 있는 논리 제로 비트(logic zero bit)는 VPWM 신호의 엣지들이나 천이들 사이의 시간을 나타낸다. J1850은 명목상의 수신기 트립점 전압 인자로서 3.875 볼트를 조건으로 정하고 있다.
기호 정보를 포함하는 파형의 각각의 천이 동안 전자장 적합성(Electromagnetic Compatability, EMC) 문제를 최소화 하기 위해, VPWM 엣지의 파형 정형이 이루어져야 한다. 버스에 도달되는 신호의 무선 주파수 장해(Radio Frequency Interference, RFI) 요건을 만족하기 위해, 각각의 엣지는 일정 기울기와 코너(corner) 형태를 가져야 한다.
송수신기 내에서 일관된 송신된 트립 점들을 유지하려고 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이전의 엣지의 트립 점은 전류 엣지에 대한 기준점을 제공하기 때문에, 천이들의 트립점이 다른 시간에 발생하면 문제가 발생한다.
J1850은 통신 버스들이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는 두 개의 와이어들(wire) 또는 통신망(network)에 분산되어 꼬여 있는 와이어 쌍들이어야 한다고 조건을 정하고 있다.
종래의 시스템에서 무선 주파수 장해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VPWM 펄스들의 형태를 수정(reshaping)하지만, 보통 송신된 펄스 트립점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고려하지 않았다. 이는 종래의 시스템 설계자들이 송신하는 펄스의 순수함 보다는 노드들 사이의 전압 오프셋(offset) 문제에 더욱 주의를 기울였기 때문일 것이다.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기호 시간 간격의 왜곡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 통신 데이터 선로에 위치하는 펄스 신호들의 엣지를 따라서 일정한 트립점들을 만듦으로써 J1850 VPWM 기호 통신망에서 신규한 기호 시간 전송 장치 및 그 송신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장치는 가변 펄스폭변조된(VPWM) 기호 정보를 펄스 엣지의 전압 트립점들 사이에서 일정한 기호 정보를 유지하는 대칭 이등변 사다리꼴 파형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통신 버스로 작용하는 꼬인 여러 쌍의 와이어를 갖추고 있어서, 노이즈(noise) 문제는 상당히 줄어들고 수신 장치에서 신호 그라운드 피드백에 기준하여 노드들 사이에서 기호 정보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송수신기 및 그 송신기 회로의 특징은, 노드들을 차량 산업 표준 데이타 회선에서 사용하기 위해 규정된 통신 버스를 갖는 다중 노드 차량 통신망의 노드들 내에 있는 송수신기에 있어서, (1) 상기 각각의 노드들이 선택된 측정치를 디지틀 펄스로 바꾸고 기호 정보를 포함하는 가변 펄스 진폭변조된 대칭의 사다리꼴 파형 신호들로 변환하는 수단을 제공하고, 차량 축전지에 연결된 정격 전원을 갖추어 신호 그라운드 피드백에 대하여 정격화된 논리 전압을 제공하는 노드들과; (2) 측정치의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들을 받아 디지틀 메시지로 포맷하고, 기호 부호기/해독기에 연결된 입출력 단자를 폴링하고 기호 부호기/해독기를 경유하여 버스를 지나는 전송을 개시시키기 위해 출력 장치와 기호 부호기/해독기 사이에 연결된 마이크로콘트롤러; (3)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로부터 오는 디지틸 메시지를 버스에 연결된 다른 송수신기에 보내는 가변 펄스 진폭변조된 구형파 암호로 바꾸고, 회로망과 관련된 다른 주변장치를 제어하거나 갱신하기 위해, 다른 송수신기로부터 받은 구형파의 디지틸 신호를 마이크로콘트롤러에 의해 사용되는 디지틀 메시지로 바꾸기 위해 상기 송수신기와 상기 송수신기 사이에 연결된 기호 부호기/해독기를 구비하는 점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송수신기 및 그 송신기 회로의 다른 특징은, (1) 기호 부호기/해독기로부터 가변 펄스폭변조된 구형파 신호를 유한 고정 전압 수준에 대해 기준으로 설정된 구형파 펄스에 대해 감소된 파장을 갖고 180도 위상차가 나는 사다리꼴 파형 신호로 바꾸고, 상기 사다리꼴 파형 신호가 원래의 구형 펄스에 있는 기호 정보를 계속해서 정의하는 선택된 트리거점들에서 일정한 펄스 폭을 갖는 적분 수단과; (2) 상기 적분 수단에 인터셉트하여 상기 사다리꼴 파형 신호의 펄스의 각각의 엣지의 말단에서 양쪽 코너를 재형성한 후, 이득과 제어된 이득 감소 인자들을 제공하고 상기 펄스의 트리거 점들에서 일정한 펄스 폭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적분 수단과 결합된 파형 정형 수단과; (3) 상기 재형성된 사다리꼴 파형 펄스 신호들의 진폭과 시간의 변화에 응하여 신호 그라운드 피드백에 대해 제어 전원 신호들을 변화시키기 위해, 재형성된 사디리꼴 파형 신호들을 이용하기 위한 전류/전압 변환 수단과; (4) 차량에서 전자파 장해를 최소화하는 버스 상의 기호 메시지를 제공하는 버스를 지나는 증폭된 재형성 펄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 전원 신호의 변화에 응답하는 버스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점에 있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송수신기 및 그 수신기 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에 따른 송수신기를 구비한 협역망의 블록 다이아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축전지의 음극 단자는 이동수단의 샤시(chassis)에 그라운드되고, 축전지(2)는 통신망 노드(node)들에 축전지 전력(+VBATT)을 공급한다.
각각의 노드 4-4의 5볼트 직류전원은 VBATT를 받고, 출력단자에서는 적당히 조절된 5볼트 직류 전원을 다수의 신호조정 회로에 제공한다. 정격전원(3) 외에도 각각의 노드(4)는 마이크로콘트롤러(이하 MCU라 한다)(5), 바람직하기로는 종래의 8비트 단일 칩 마이크로콘트롤러, 적합한 기호 부호기(encoder)/해독기(decoder)(이하 SED라 한다)(7), 송수신기(10) 및 단자망(11)을 구비하고 있다.
MCU(5)는 센서 또는 스위치 신호를 받고, 이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SED(7)을 조종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서 상기 SED(7)로 하여금 적절한 가변 펄스폭변조된 파형으로 다수의 메시지 기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단자망(11)에 걸쳐서 버스(18)을 통하여 인터페이스된 상기 송수신기(10)는 SED(7)에서 메시지 기호를 받고, 버스(18)를 통하여 기호들을 가변 펄스폭변조된 파형으로 다른 노드(4)로 전송한다.
꼬인 와이어 버스(18)는 노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수의 꼬인 와이어로 이루어져 있다. 버스(18)는 꼬인 와이어가 각각의 노드에 매달린 꼬인 와이어의 확장선에 연결되도록 협역망에 걸쳐서 지나간다. 또한 제1도를 참조하면, 송수신기(10)를 이용하는 다수의 노드(4-4)를 구비한 통신망(1)이 도시되었다. 꼬인 와이어 버스(18)는 노드(4-4)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송수신기(10)는 송신기(16) 회로와 수신기(20) 회로로 구성된다.
제2도는 이 발명에 따른 송신기 회로의 개략도이다.
제2도를 참조하면, 송신기(16)는 버스 구동회로(80)를 구비하고 있으며, 송수신기(10)의 수신기(100)는 버스 구동회로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다.
이하 제2도의 유한 적분기(24)에 대해서 설명한다.
SED(7)에서 가변 펄스폭변조된 신호는 단자 A에서 상기 송신기(16)로 입력되고, 통상의 버퍼(22)를 지나 단자 B를 통하여 유한 적분기(24)로 입력된다. 적분기(24)는 출력단 C에서 승강시간이 길어지고, 진폭이 줄어들고, 트리거점 전압을 이루는 엣지를 갖는 기호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들 인자는 구형 입력파형으로 표현된 기호의 펄스 폭과 각각의 기호 길이가 같은 거리를 같도록 유지시킨다. 적분기(24)는 출력단 C에서 연산증폭기(26)의 반전 입력단자에서 구형파 신호에 응답하여 펄스 엣지의 트리거 전압 수준에 대하여 대칭인, 반전된 직선의 유한 펄스를 발생시킨다. 2.5볼트(Vdc) 정도의 기준 전압이 선택된 전압 이득을 갖는 연산증폭기(26)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이 기준 전압은 트리거점 전압을 설정하는 데, 각각의 라이싱 펄스 엣지(rising pulse edge)는 유한 전압 수준을 이루는 트리거점 전압보다 0.5볼트 높고, 폴링 엣지(falling edge)는 트리거점 전압보다 0.5볼트 정도 낮다. 다이오드(32, 34)는 상기 증폭기(26)의 귀환 루프(feedback loop)에 연결되어 유한함수를 달성한다. 트리거점을 고정 전압으로 고정하고 펄스들의 파장을 한정함으로써 트립점 상하에서 실제적으로 전압 진폭이 똑같아진다. 이 연산은 구형 펄스를 사다리꼴 펄스로 바꾼다.
이하 제2도의 파형 정형기(36)에 대하여 설명한다.
C점에서 파형의 펄스 코너의 곡률이 증가함으로써 버스(18)상의 전자파 장해(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를 더욱 감소시킨다. C점에서 상기 유한 적분기(24)에서 나오는 출력신호는 유한 파형 정형기(38)의 통상의 오피 엠프(op-amp) 반전 회로(42)의 출력 저항(38)과 만난다. 통상의 오피 엠프 반전기와 마찬가지로 입력 신호와 궤환신호는 오피 엠프(42)의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오피 엠프의 제한 때문에 반전 입력(Vn)에서의 전압은 오피 엠프(42)의 비반전 입력(Vp)에서의 전압과 같아야 한다. 이러한 형태에서 비반전 입력 전압(Vp)은 2.5 볼트이므로 반전 입력 전압(Vn)이 변하면 그라운드 오프셋 전압보다는 비반전 출력 전압(Vp)에 대하여 변한다. 따라서, 만약 저항(38)이 상기 적분기(24)로부터 마이너스의 램프 전압을 감지하면, 오피 엠프 반전기(42)는 트립점 전압인 2.5볼트 정도를 기준으로 폐쇄 루프의 플러스 램프 전압 이득(K)을 낳는다. 만약 저항(38)이 상기 적분기(24)로부터 플러스의 램프 전압을 감지하면, 오피 엠프 반전기(42)는 트립점 전압을 기준으로 폐쇄 루프의 마이너스 램프 전압 이득(-K)을 낳는다.
또한 파형 정형기(38)는 오피 엠프 반전기(42)를 따라서 전압 이득 감소 회로를 설치함으로써 파형 형성 공정 중 파형의 펄스 코너의 곡률을 더욱 증가시킨다. 저항(44)과 다이오드회로(46, 48)는 피드백 저항(40)을 우회하는 전압 이득 감소 회로를 형성한다. 오피 엠프 반전기(42)의 출력에 나타나는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의 램프 전압이 최초의 소정의 전압 수준에 도달할 때, 상기 전압 이득 감소 회로는 폐쇄 회로 이득을 감소시킨다.
전압 이득 감소와 함께, 재 형성된 펄스 코너의 진폭이 한정된다. 마이너스 또는 플러스의 램프 전압이 제2의 소정의 수준에 도달할 때, 순 바이어스의 유한 다이오드(50, 52)는 램프 전압을 상기 유한 다이오드(50, 52)와 상기 보충 다이오드회로(46, 48)에 의해 설정된 클램핑 전압(clamping voltage) 수준까지 낮춘다. 그러므로, 재형성된 출력 파형 신호는 파형의 코너의 곡률이 증가하고 트립점 전압에 대한 펄스의 진폭이 증가하여 D점에서 나타난다.
이하 제2도의 전압/전류 변환기(54)에 대해서 설명한다.
D점에서 재형성된 출력 펄스 신호는 전류/전압 변환기(54)로 들어가서 적외선을 논하는 관련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된 전류 싱크(current sink)로서 나온다. 도시된 기호 펄스에 대해, D점에서 펄스 신호는 1.6 볼트 직류 오프셋이고, 진폭은 1.8Vp-p이고, 트립점 전압은 2.5 볼트이고, 펄스 폭은 64㎲를 유지하고 있다.
저항(56, 57)으로 구성된 분압기 회로는 D점으로부터 진폭 0.9Vp-p, 오프셋 전압 0.8VDC, 트립점 전압 1.25 볼트로 반감되며, 펄스 폭이 64㎲인 펄스를 입력 받아 비반전 오피 엠프(58)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낮아진 신호를 인가시킨다.
출력 전류의 피드백 제어를 위해 사용된 감지 저항(64)은 신호 그라운드(12)에 대해 약 1.6볼트(Vp-p)의 엔피엔(NPN)형 버퍼 트랜지스터(60)의 에미터(emitter) 회로 내에서 펄스에 반응한다.
저항(70, 72)과 다이오드(74, 76, 78)로 구성된 오프셋 전압 회로는 다이오드(76)의 캐소드에서 약 1.60 볼트인 고정 오프셋 전압을 제공한다. 궤환 저항(66)과 함께 궤환 회로의 일부분을 구성한 저항(68)은 오피 엠프(58)의 반전 입력 단자에서 0.8 VDC오프셋된 거의 1.6 Vp-p에 해당하는 펄스를 일으킨다.
오피 엠프(58)는 비반전/반전 입력 단자 입력 펄스들 사이의 전압 차에 응답하여 약 2.5 볼트(Vp-p)의 펄스를 발생시키는 바, 그 펄스는 비반전 입력 단자에서의 펄스와 동상이다. 이 반응은 D점의 신호에서 1.6 볼트를 감하여 트립점이 상기 트랜지스터(60)의 에미터에서 0.9 볼트에서 발생하도록 한다. 오피 엠프(58)의 출력 전압은 베이스 저항(62)을 통하여 NPN형 버퍼 트랜지스터(60)에 베이스 전류를 공급한다. 트랜지스터(60)의 에미터 전압은 선택된 값과 시스템 그라운드 전압을 갖는 전류 샘플링 저항(64)을 지나서 궤환 전압을 발생시킨다.
회로의 출력 전류는 상기 샘플링 저항(64)을 통하여 흐르고, 궤환 전류는 궤환 저항(66)을 통하여 흐른다. 출력 전류가 변화하는 경향은 상기 트랜지스터(60)의 에미터 전압의 변화로 나타난다. 이 변화는 궤환 저항(66)을 통하여 상기 오피 엠프(58)의 반전 입력단자로 궤환되어, 에미터 전압과 출력 전류를 폐쇄 루프 값과 동일하도록 복귀시키는 보정이 수행된다.
다음은 버스 구동 회로(80)에 대해 설명한다.
버스 구동 회로(80)는 전압 가변 전류원 회로로서 작동한다. 전압/전류 변환 회로(54)의 전류 감지 저항(64) 양단에 나타나는 가변 전압은 차동 증폭기(81)의 비반전 단자로 들어간다. 상기 차동 증폭기(81)는 가변 전압을 버스 구동 트랜지스터(90)의 배분 강하된 에미터 전압과 비교한다. 저항(82, 84)은 분압회로를 형성한다. 차동 증폭기의 반전 단자의 전압은 상기 트랜지스터(90)의 입력 루프의 전류를 변화시키는 오피 엠프(81)로부터 생기는 출력 전류로부터 발생된다. 입력 루프는 저항(82, 84, 86)으로 구성된다.
트랜지스터(90)의 출력 루프는 저항(88)을 통해 흐르는 전압(VBATT)으로부터의 전류와 콜렉터로부터 에미터로를 통하여 버스(18)로 흐르는 전류를 포함한다. 저항(92)과 커패시터(94)는 버스(18)의 단자망(11)을 구성한다.
만약 오피 엠프(81)로부터의 전류가 트랜지스터(90)의 콜렉터/에미터 전압(Vce)을 거의 영(0)에 가깝게 만든다면, 트랜지스터(90)는 포화되고 출력 루프에서 흐를 수 있는 최대 전류가 버스(18)로 흐르게 된다. 그렇지 않으면, 만약 증폭 인자(β)와 베이스 전류(IB)를 곱한 값이 최대 포화 전류(Ic, sat)보다 작으면, 상기 트랜지스터(90)는 액티브 모드(active mode) 또는 증폭 모드로 작동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트랜지스터(90)의 베이스/에미터 전압(Vbe)이 턴온(turn ON) 전압(Vt)보다 낮으면, 출력 루프에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상기 트랜지스터(90)가 차단 모드로 작동하게 한다. 그 결과 생기는 파형은 상기 버스(18)에서 약 3.875 볼트에서 일어나는 트립점을 가지고, 기호 시한이 64㎲로 유지되는 증폭된 펄스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하 제1도의 수신기(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꼬인 와이어 버스(18)상의 전류는 펄스 엣지들 사이의 트립점들에서 실제적으로 원래의 기호 정보를 보존하는 사다리꼴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수신기(100)는 펄스들의 트립점에서 트리거하기 위해 저항(102, 106)에 의해 바이어스된 비교기(101)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사다리꼴 신호들을 받는다. 상기 비교기(101)는 상기의 사다리꼴 신호를 제1도의 SED에 의해 사용된 디지틀 펄스로 변환하기 위해 트리거하여 각각의 노드(4) 내에서 마이크로콘트롤러(5)로 흐르는 디지틀 메시지를 발생시킨다.
제3도는 제2도의 송신 회로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파형도이다.
시스템(10)의 작동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3(a)-(f)도에 파형의 개략도를 나타내었다. 제3(a)도는 SED(7)로부터 제1도의 송신기(16)로 입력되는 가변 펄스폭변조(VPWM)된 기호 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송신기(16)로 입력되는 구형파에서 기호 데이타는 펄스 폭은 16㎲에서 1024㎲까지 변한다. 제3(a)도에서 펄스는 64㎲의 퍽스폭을 갖는 주된 단기호를 나타낸다.
제3(b)도는 제2도의 버퍼(22)의 출력단자와 B점에서의 제3(a)도에 나타난 것과 똑같은 기호 메시지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제3(c)도는 제2도의 유한 적분 회로(24)의 출력 단자에서의 사다리꼴 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제3(d)도는 제2도의 유한 파형 정형기 회로(36)를 통과한 후의 약간의 이득을 갖는, 펄스 엣지의 말단에서 그 엣지의 형태를 재형성한 사다리꼴 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반면에 제3(e)도는 전압/전류 변환기(54)의 궤환 회로에서 나타나는 펄스를 나타낸 것이며, 이 펄스는 감지 저항(64)의 양 단자(terminal)에 나타난다.
제3(f)도는 버스 구동기(90)의 출력단자에서의 펄스를 나타낸 것이다. 이 펄스들의 진폭은 상기 전압/전류 변환기(54)내의 상기 감지 저항(64)에 나타나는 파형의 진폭보다 약 4배 정도 크다.
이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망 송수신기 및 송신기 회로는 비록 불연속 소자와 집적회로의 구체적 표현의 조합이 개시되었지만, 집적회로와 펌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등가회로 조합도 개발될 수 있으므로, 이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변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노드들을 상호 연결하고 자동차 산업 표준 데이타 회선에서 사용하기 위해 규정된 통신 버스를 갖고; 상기 각각의 노드들이 선택된 측정치를 여러 가지 속도로 나타나는 디지틀 신호로 바꾸고 측정치의 크기를 나타내는 기호 정보를 포함하는 가변 펄스폭변조된 대칭의 사다리꼴 파형 신호들로 변환하는 수단을 제공함과 동시에, 차량 축전지에 연결된 정격 전원을 갖추어 신호 그라운드 피드백에 대하여 정격화된 논리 전압을 제공하고, 또한 측정치의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디지틀 메시지로 포맷하고, 기호 부호기/해독기에 연결된 입출력 단자를 폴링하고, 기호 부호기/해독기를 경유하여 버스를 지나는 전송을 개시시키기 위해 입력 장치와 기호 부호기/해독기 사이에 연결된 마이크로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기호 부호기/해독기는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로부터 오는 디지틀 메시지를 버스에 연결된 다른 송수신기에 보내는 가변 펄스 진폭변조된 구형파 암호로 바꾸고, 회로망과 관련된 다른 주변장치를 제어하거나 업데이팅하기 위해, 다른 송수신기로부터 받은 구형 파의 디지틸 신호를 마이크로콘트롤러에 의해 사용되는 디지틀 메시지로 바꾸기 위해 상기 송수신기와 마이크로콘트롤러 사이에 연결시켜서 된, 다중 노드 차량 통신망의 노드들 내에 있는 이동 통신망용 송수신기에 있어서; 시간과 논리 레벨에 대한 기호 정보를 정의하는 펄스 폭을 갖는 가변 펄스폭 변조된 구형파 펄스를 기호 부호기/해독기로부터 송신하고, 출력 단자에서 고정된 전압 레벨을 기준으로 하여 구형파 펄스와 180도의 위상차를 갖는 사다리꼴 파형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적분기; 상기 적분기로부터 사다리꼴 파형 신호를 수신하고, 선택된 주기에 걸쳐 펄스의 각각의 엣지의 말단에서 양쪽 코너를 재형성한 후 원래의 구형파 신호들에 포함되어 있는 기호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출력단자에서 트립점 전압에서의 입력 사다리꼴 신호와 동일한 펄스폭을 갖는 입력 파형 신호와 동일한 위상을 갖는 다른 사다리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입력을 구비하되, 상기 재형성한 사다리꼴 신호가 다른 고정 전압에 대해 기준으로 존재토록 한 파형 정형기; 상기 파형 정형기로부터 재형성된 사다리꼴 파형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전류원 신호로서 상기 재형성된 사다리꼴 파형 신호의 복원신호를 출력 단자에서 제공하기 위한 입력을 구비하되, 상기 제어 전류원 신호는 상기 전류/전압 변환기 내의 전류 감지 회로로 들어와 전류 센서 양단의 전압에 비례하는 크기의 신호 그라운드 피드백에 대해 펄스 전위를 제공토록 한 전류/전압 변환기; 차량의 축전지와 신호 대지 귀로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압/전류 변환기로부터 펄스 전위를 수신하고, 비평형 종단 출력에서 버스를 지나서 다른 청취 노드들로 가는 신호 그라운드 피드백을 기준으로 재형성된 사다리꼴 파형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입력을 구비하되, 상기 증폭된 신호가 원래의 구형파 펄스 신호에 포함된 신호 정보를 유지토록 한 버스 구동기; 및 상기 버스와 SED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버스로부터 재형성된 사다리꼴 파형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파형 신호들에 포함된 기호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기호 정보를 상기 기호 정보와 같은 펄스 시간을 갖는 디지틀 펄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수신기 회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용 송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버스가 한 쌍의 꼬인 와이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용 송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정보는, 상기 재형성된 사다리꼴 펄스에서 상기 신호 정보가 각각의 노드내의 신호 그라운드 피드백들과 관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송수신기내의 각각의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재형성된 사다리꼴 파형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용 송수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기는, 상기 입력 구형파 펄스들의 엣지의 상승/하강 시간을 늘려주기 위한 회로를 구비하여 선택된 최대 펄스폭 위치에 대해 대칭된 상승/하강 시간 기울기를 발생시키고, 상기 파의 진폭이 선택된 전압 수준에 한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용 송수신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정형기는, 상기 재형성된 사다리꼴 펄스의 형성시 각각의 엣지의 말단에서 펄스의 코너들을 더욱 둥글게 하기 위해 이득과 제어된 이득 감소 동작을 제공하고, 상기 이득은 선택된 전압 진폭에서 상기 적분기로부터 발생되는 한정된 펄스의 진폭보다 더 큰 펄스의 한계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용 송수신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구동기의 출력 펄스는 상기 전류/전압 변환기의 센서를 지나는 펄스의 진폭의 선택된 배수의 진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용 송수신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의 출력 펄스의 진폭의 선택된 배수가 상기 전류/전압 변환기로부터 나오는 출력 펄스의 진폭의 약 4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용 송수신기.
  8. 스위치와 센서 같은 입력장치로부터 회로로 정보를 제공하는 노드들 사이에 비동기 통신을 위해 노드들을 상호 연결하는 통신 버스를 갖고, 상기 각각의 노드는 신호 그라운드 피드백에 대해 기준을 갖는 정격 논리 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고정 전압에 연결된 정력 전류원과, 노드와 관련된 입력 장치와 기호 부호기/해독기 및 정격 전원 사이에 연결되어 측정치의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지틀 메시지로 바꾸고 상기 기호 부호기/해독기에 연결된 입출력 단자를 폴링하고 상기 기호 부호기/해독기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버스를 지나서 전송을 개시시키기 위한 마이크로콘트롤러(MCU),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와 상기 송수신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로부터의 디지틀 메시지를 버스에 연결된 다른 송수신기들에 보내는 가변 펄스폭 변조된 구형파 신호들로 변환시키고, 회로에 연결된 다른 주변장치들을 업데이팅하고 제어하기 위해 상기 다른 송수신기들로부터 수신한 구형파 신호들을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에 의해 사용되는 디지틀 메시지로 변환시키기 위해 기호 부호기/해독기를 구비한 노드 이동 통신망용 송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기호 부호기/해독기로부터 가변 펄스폭변조된 구형파 신호를 유한 고정 전압 레벨에 대해 기준으로 진폭이 감소되고, 180도의 위상차를 갖는 사다리꼴 파형 신호로 변환하되, 상기 사디리꼴 파형 신호가 원래의 구형파 펄스에 있는 기호 정보를 계속해서 정의하는 선택된 트리거 점들에서 일정한 펄스 폭을 갖도록 한 적분 수단; 상기 적분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사다리꼴 파형 신호의 펄스의 각각의 엣지의 말단에서 양쪽 코너를 인터셉트한 후 이를 재형성하고, 이득과 제어된 이득 감소 인자들을 제공하며, 상기 펄스의 트리거 점들에서 일정한 펄스 폭을 유지하기 위한 파형 정형 수단; 상기 재형성된 사다리꼴 파형 펄스 신호들의 진폭과 주기의 변화에 응하여 신호 그라운드 피드백에 대해 제어 전류원 신호들을 변화시키기 위해, 재형성된 사다리꼴 파형 신호들을 이용하기 위한 전류/전압 변환 수단; 및 차량에서 전자파 장해를 최소화하는 버스 상의 기호 메시지를 제공하는 버스를 지나는 증폭된 재형성 펄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 전류원 신호의 변화에 응답하는 버스 구동 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이동 통신망용 송수신기.
KR1019940005838A 1994-03-22 1994-03-22 이동통신망 송수신기 및 송신기 회로 KR100264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5838A KR100264096B1 (ko) 1994-03-22 1994-03-22 이동통신망 송수신기 및 송신기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5838A KR100264096B1 (ko) 1994-03-22 1994-03-22 이동통신망 송수신기 및 송신기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4096B1 true KR100264096B1 (ko) 2000-08-16

Family

ID=19379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5838A KR100264096B1 (ko) 1994-03-22 1994-03-22 이동통신망 송수신기 및 송신기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40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2158A (zh) * 2018-12-25 2019-03-29 西安航天民芯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高频头供电电源的梯形电流产生电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2158A (zh) * 2018-12-25 2019-03-29 西安航天民芯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高频头供电电源的梯形电流产生电路
CN109542158B (zh) * 2018-12-25 2024-01-12 西安航天民芯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高频头供电电源的梯形电流产生电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2817A (en) Vehicle communications network transceiver, ground translation circuit therefor
US5363405A (en) Vehicle communications network transceiver, bus driver therefor
US5337042A (en) Vehicle communications network transceiver, transmitter circuit therefor
US5748675A (en) Vehicle communications network with improved current sourcing
US6484223B1 (en) Transmitting device and bus system for data transfer
JPH0775356B2 (ja) 光受信器
JP3464449B2 (ja) 車両におけるデータ伝送システム
US5355390A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mmunication signals through common transmission line
GB2291769A (en)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using volatage and current signals
KR100264096B1 (ko) 이동통신망 송수신기 및 송신기 회로
EP0076545A1 (en)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 FSK-modulated signal
JP3506761B2 (ja) トランシーバ
EP0518625A2 (en) Waveform synthesizing circuit
JPS5873251A (ja) 光受信回路
JPH11261482A (ja) バースト光受信回路
US3980970A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circuit
JP2536178B2 (ja) 光送受信器
JP3514642B2 (ja) 光受信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伝送システム
KR910002355B1 (ko) 주장치와 키폰전화기간의 직렬 데이타 송수신 전달회로
JP2858885B2 (ja) 情報受信装置
JP3612147B2 (ja) 光受信回路及び光伝送システム
JP3168625B2 (ja) 通信装置
Koyuncu et al. A PWM modulator for wireless infrared communication
JP3183325B2 (ja) バスシステムの電源装置
JPH09219679A (ja) 光信号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