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1764B1 - 분뇨탱크 및 그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분뇨탱크 및 그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1764B1
KR100261764B1 KR1019980010816A KR19980010816A KR100261764B1 KR 100261764 B1 KR100261764 B1 KR 100261764B1 KR 1019980010816 A KR1019980010816 A KR 1019980010816A KR 19980010816 A KR19980010816 A KR 19980010816A KR 100261764 B1 KR100261764 B1 KR 100261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outer frame
sheet
wall portion
bottom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9557A (ko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무원 filed Critical 변무원
Priority to KR1019980010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1764B1/ko
Publication of KR19980019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7Corrugated or zig-zag structures; Folded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6Large containers rigid cylindrical
    • B65D88/08Large containers rigid cylindrical with a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2Laminated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65D90/046Flexible liners, e.g. loosely positioned i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02Wall construction
    • B65D2590/023Special coating or treatment of the internal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발명은 그 측벽부를 굴곡이 형성되는 중공패널을 사용함으로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구조적 강도를 증대할 수 있는 분료탱크에 관한 것으로, 전체적인 하중을 지지하여 주며 적적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는 기초부(10)와, 상기 기초부(10)의 상면에 깔려져서 수밀하게 부착되는 방수성 바닥시이트(20)와, 상기 바닥시이트(20)의 테두리 상부에 지지되며 적절한 크기를 가지는 가로부재(31)들이 일정높이마다 세로부재(32)들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외곽틀체부(30)와, 상기 외곽틀체부(30)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고정되며 그 하단부는 상기 바닥시이트(20)에 밀실하게 부착되며 등간격으로 굴곡이 형성된 굴곡판(42)로 이루어지는 측벽부(40)로 구성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적 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외곽틀체부의 시공이 간편하며 시공시간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분뇨탱크 및 그의 시공방법
본발명은 그 측벽부를 굴곡이 형성되는 중공패널을 사용함으로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구조적 강도를 증대할 수 있는 분료탱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분뇨탱크는 그 기초부와 그 기초부의 상면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원통형의 측벽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분뇨탱크는 그 기초부 및 측벽부 모두를 철근콘크리트로 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공이 복잡하고 시공기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철근콘크리트로 시공하기 위해서는 철근조립체를 설치하고 그 내외측에 거푸집패널을 설치하고 그 거푸집 내부에 미경화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그 미경화콘크리트를 경화하고 거푸집을 탈리함으로 완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분뇨탱크는 철근조립체를 설치하고, 거푸집을 운반, 설치 및 해체를 하고, 또한 레미콘을 운반해야 하는 것들로 인하여 시공이 매우 번거로우며, 미경화콘크리트를 양생하는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시공기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철근콘크리트로 시공하는 것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분뇨탱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원통형의 측벽부를 기성형된 단일층 플라스틱시이트를 원통형으로 만들어서 기초부 위에 세우고 그 측벽부의 외주면에 금속재의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로 얽혀지는 외곽틀체부를 설치하여 측압에 저항하도록 만들어졌다.
이러한 종래의 분뇨탱크는 그 측벽부가 단일시이트로 이루어 지므로 구조적으로 매우 약하다. 그래서 측벽부 외주면에 지지되는 금속재의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의 간격이 매우 촘촘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종래의 것은 외곽틀체부를 이루는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의 간격이 매우 촘촘하게 배치되므로 자재들이 많이 소요되어 자재비의 증대를 초래하게 되며, 또한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를 많이 설치하게 됨으로 설치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발명의 목적은 그 측벽부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외곽틀체부의 자재수를 현저하게 줄여 주면서도 구조적 강도를 증대시켜 주는 분뇨탱크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측벽부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외곽틀체부의 자재수를 현저하게 줄여 줌으로써 자재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하여 주는 분뇨탱크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 측벽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외곽틀체부의 자재수를 현저하게 줄여 줌으로써 전반적인 시공기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하여 주는 분뇨탱크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발명 분뇨탱크를 나태내는 일부절결된 정면도
도2a는 본발명 분뇨탱크의 일부를 나타내는 일부절결 평면도
도2b는 본발명 분뇨탱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절결 평면도
도3은 본발명에 따른 외곽틀체부가 기초부에 접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4는 본발명에 따른 가로부재간의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5는 본발명에 따른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본발명에 따른 외곽틀체부와 측벽부간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7은 본발명에 따른 측벽시이트의 다른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기초부 20:바닥시이트 30:외곽틀체부
31:가로부재 32:세로부재 32a:부착편
33:덧댐판 34:앙카볼트 40:측벽부
41:내부판 42:굴곡판 43:배출공
50:측벽시이트 51:바탕부 52:고정수단
53:신축연결띠 53a:신축부 60:사다리
이하, 본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발명의 분뇨탱크는 도1 내지 도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체적인 하중을 지지하여 주며 적적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는 기초부(10)와, 상기 기초부(10)의 상면에 깔려져서 수밀하게 부착되는 방수성 바닥시이트(20)와, 상기 바닥시이트(20)의 테두리 상부에 지지되며 적절한 크기를 가지는 가로부재(31)들이 일정높이마다 세로부재(32)들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외곽틀체부(30)와, 상기 외곽틀체부(30)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고정되며 그 하단부는 상기 바닥시이트(20)에 밀실하게 부착되며 등간격으로 굴곡이 형성된 굴곡판(42)로 이루어지는 측벽부(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본발명은 측벽부(40)가 종래에는 단일시이트로 이루어졌던 것과는 달리, 내부판(41)의 외측에 수직방향으로 굴곡이 형성된 굴곡판(42)이 일체로 부착된 중공패널을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중공패널은 본 출원인이 개발하여 그 제작방법과 함께 특허출원 제95-7887호로 출원하여 공개한 바가 있다.
따라서, 본발명은 그 수직굴곡들이 분뇨의 측압을 상당하게 지지하여 주게 됨으로써 그 외곽틀체부의 세로부재(32)들은 말할 것도 없고 가로부재(31)들도 상당히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자재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하여 주면서도 공사기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하여 줄 수 있다.
상기 기초부(10)는 도1 내지 도3에서와 같이 바닥에 위치되어 상부의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하여 주는 구조부이다. 이러한 구조부는 종래와 같이 콘크리트로 타설된다.
상기 바닥시이트(20)는 도1 및 도3에서와 같이, 기초부(10)의 직상면에 깔려지는 구조부로서 분뇨들이 콘크리트 기초부(10)의 미세한 크랙을 통하여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바닥시이트(20)는 폴리에틸렌을 소재로 하여 만든 폴리에틸렌시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외곽틀체부(30)는 도1 내지 도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찬넬형강의 가로부재(31) 및 세로부재(32)로 이루어져서 측벽부(40)의 외곽둘레에 설치되어 탱크 내부에 저장된 분뇨의 측압을 지지하여 주게 된다.
즉, 도3 및 도5에서와 같이, 찬넬형강의 웨브외면이 측벽부(40)에 밀접되고 플랜지들은 외측으로 향하게 지지된다.
여기에서, 가로부재(31)는 일정길이마다 연결시켜 줄 필요가 있는데 그 연결되는 접합부분(A)은 도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덧댐판(33)을 대어 볼트로 접합된다. 이때 덧댐판(33)은 찬넬형강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브,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에 각기 배치되어 볼트로 고정된다.
또한, 세로부재(32)는 본발명에서 거의 불필요하게 된다. 그 이유는 측벽부(40)에서 굴곡판(42)이 일체로 부착되어 그 굴곡판(42)에서 측압을 대부분 감당하기 때문에 세로부재(32)가 거의 불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본발명에서는 몇 개의 세로부재(32)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구조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시공상 가로부재(31)를 지지시키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이러한 가로부재(31)와 세로부재(32)간의 연결구조는 도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로부재(31) 사이에 세로부재(32)를 끼워서 고정하되 그 세로부재의 상하단부에 용접된 부착편(32a)에 볼트가 끼워져서 고정된다.
한편, 도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최하단부의 가로부재(31)는 바닥시이트에 밀접되어서 기초부(10)에 앙카볼트(34)로 고정된다. 따라서 측벽부(4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벽부(40)는 도1 내지 도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통형으로 만들어지며 그 내부에는 평판형의 내부판과, 그 외부에는 등간격으로 굴곡된 굴곡판(42)으로 이루어져서 외곽틀체부(30)의 내부에 지지되는 구조부이다. 측벽부(40)와 외곽틀체부(30)간의 부착구조는 도6에서와 같이, 굴곡판(42)과 가로부재(31)의 웨브간에 리벳으로 부착된다.
상기한 측벽부(40)의 연결부분(B)은 2가지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첫째는 도2a에서와 같이, 내부판(41)들이 서로 2중으로 겹쳐져지고 굴곡판(42)들은 서로간에 약간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연결된다. 그리고 그 연결부분(B)의 내측면에는 신축연결띠(53)를 용착시켜 줌으로써 신축에 유연하게 대처하여 주면서 완벽한 방수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2중으로 겹쳐지는 내부판(41)들 끼리는 서로 부착되지 아니하며, 굴곡판(42)들 끼리는 약간의 간격을 유지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측벽부(40)가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작용을 유연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는, 도2b에서와 같이, 그 연결부분(B)이 그 내부판(41) 및 굴곡판(42)이 서로 맞대어지게 연결됨을 예시해 보여준다.
이와 같은 측벽부(40)는 종래의 단일평판과는 달리, 좌굴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굴곡판(42)을 사용하게 됨으로 외곽틀체부의 세로부재(32)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세로부재(32)를 줄일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자재를 절감할 수 있는 등의 잇점을 가지게 된다.
한편, 도2b 및 도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밀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측벽부(40)의 내주면 전체에 방수성 측벽시이트(50)를 배치하여 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측벽시이트(50)를 측벽부(40)에 부착하는 방법은 측벽부(40)의 내면에 적절한 폭을 가지는 바탕부(51)들의 일측단부를 고정수단(52)으로 고정하고, 상기 고정수단(52)을 충분히 덮여주면서 상호 연결되는 바탕부(51)의 일,타측단부에 용착하되 그 가운데는 인장력을 받을 때에 신축가능한 신축부(53a)를 가지는 신축연결띠(53)를 용착함으로써 부착된다.
여기에서, 바탕부(51)의 연결부분은 도2b에서는 맞댐이음을 나태는 것이며 도7은 겹침이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측벽시이트(50)는 충분한 강도를 나타내며 방수성이 뛰어난 폴리에틸렌시이트 소재로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그 이음부에 신축연결띠(53)를 용착시켜 주므로써 접착제로 접착하기 곤란한 폴리에칠틸렌시이트를 수밀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음부에 신축부(53a)가 형성되는 신축연결띠(53)를 용착시켜 주므로 시이트의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신축연결띠(53)는 원할하고 견고한 용착을 위하여 연질의 폴리에틸렌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측벽부의 내면에 폴리에틸렌시이트를 소재로하는 측벽시이트(50)를 설치하되, 그 이음부에 신축이 가능한 신축연결띠(53)를 덧대어서 용착하게 됨으로써 탱크 구조물의 내면을 간편하면서 완벽한 방수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신축으로 인한 시이트의 찢어짐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1에서와 같이, 측벽부(40)의 높이가 비교적 높을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사다리(6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발명의 분뇨탱크를 시공하는 방법은;
a) 적절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부(10)를 설치하는 기초부의 설치단계와,
b) 상기 기초부(10)의 상면에 적절한 두께를 가지는 얇은 방수성 바닥시이트(20)를 깔아서 설치하는 바닥시이트의 설치단계와,
c) 상기 바닥시이트(20)의 테두리 상부에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가로부재(31)들을 일정한 높이마다 세로부재(32)에 고정시켜서 설치하되, 그 가로부재(31)들 중 최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은 상기 기초부(10)에 앙카볼트(34)로 고정되도록 하는 외곽틀체부의 설치단계와,
d) 상기 외곽틀체부(30)의 내주면에 그 내부에는 평활하게 형성되는 내부판(41)과, 그 내부판(41)의 외면에 일체로 부착되며 등간격으로 수직하게 굴곡이 형성되어 좌굴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주는 굴곡판(42)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부(40)를 배치하여 고정하는 측벽부의 설치단계와,
e) 상기 측벽부(40)의 내주면에 방수성 측벽시이트(50)를 배치하여 밀봉하는 측벽시이트의 밀봉단계로 시공이 완료된다.
여기에서, 상기 측벽부(40)는 대형의 구조물일 경우에는 하나의 통형으로 만들기가 어렵기 때문에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단위패널들을 외곽틀체부(30)에 하나씩 하나씩 부착시켜서 완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시공되는 본발명은 그 측벽부(40)가 좌굴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굴곡판(42)이 형성되므로 구조적 강도가 증대될 뿐만 아니라 그 측벽부(40)의 외곽에 지지되는 외곽틀체부(30)의 자재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발명은 그 외측면에 좌굴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굴곡판(42)로 이루어지는 측벽부(40)를 가지게 됨으로써,
첫째, 측벽부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외곽틀체부(30)의 자재수를 현저하게 줄여 주면서도 구조적 강도를 증대시켜 주는 효과가 있으며,
둘째, 그 측벽부(40)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외곽틀체부(30)의 자재수를 현저하게 줄이게 되므로 자재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하여 주는 효과가 있으며,
셋째, 그 측벽부(4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외곽틀체부(30)의 자재수를 현저하게 줄이게 되므로 전반적인 시공기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체적인 하중을 지지하여 주며 적적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는 기초부(10)와, 상기 기초부(10)의 상면에 깔려져서 수밀하게 부착되는 방수성 바닥시이트(20)와, 상기 바닥시이트(20)의 테두리 상부에 지지되며 적절한 크기를 가지는 가로부재(31)들이 일정높이마다 세로부재(32)들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외곽틀체부(30)와, 상기 외곽틀체부(30)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고정되며 그 하단부는 상기 바닥시이트(20)에 밀실하게 부착되며 등간격으로 굴곡이 형성된 굴곡판(42)로 이루어지는 측벽부(40)로 구성되어,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구조적인 강도가 증대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40)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밀실하게 부착되는 방수성 측벽시이트(50)를 부가적으로 설치하되, 측벽부(40)의 내면에 적절한 폭을 가지며 그 일측단부를 고정수단(52)으로 고정되는 바탕부(51)와, 상기 고정수단(52)을 충분히 덮여주면서 상호 연결되는 바탕부(51)의 일,타측단부에 용착되며 그 가운데는 인장력을 받을 때에 신축가능한 신축부(53a)를 가지는 신축연결띠(5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탱크.
  3. a) 적절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부(10)를 설치하는 기초부의 설치단계와,
    b) 상기 기초부(10)의 상면에 적절한 두께를 가지는 얇은 방수성 바닥시이트(20)를 깔아서 설치하는 바닥시이트의 설치단계와,
    c) 상기 바닥시이트(20)의 테두리 상부에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가로부재(31)들을 일정한 높이마다 세로부재(32)에 고정시켜서 설치하되, 그 가로부재(31)들 중 최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은 상기 기초부(10)에 앙카볼트(34)로 고정되도록 하는 외곽틀체부의 설치단계와,
    d) 상기 외곽틀체부(30)의 내주면에 그 내부에는 평활하게 형성되는 내부판(41)과, 그 내부판(41)의 외면에 일체로 부착되며 등간격으로 수직하게 굴곡이 형성되어 좌굴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주는 굴곡판(42)로 형성되는 측벽부(40)를 배치하여 고정하는 측벽부의 설치단계와,
    e) 상기 측벽부(40)의 내주면에 방수성 측벽시이트(50)를 배치하여 밀봉하는 측벽시이트의 밀봉단계로 시공이 완료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탱크의 시공방법.
KR1019980010816A 1998-03-27 1998-03-27 분뇨탱크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261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816A KR100261764B1 (ko) 1998-03-27 1998-03-27 분뇨탱크 및 그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816A KR100261764B1 (ko) 1998-03-27 1998-03-27 분뇨탱크 및 그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557A KR19980019557A (ko) 1998-06-05
KR100261764B1 true KR100261764B1 (ko) 2000-07-15

Family

ID=19535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816A KR100261764B1 (ko) 1998-03-27 1998-03-27 분뇨탱크 및 그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17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245B1 (ko) * 2001-08-29 2003-12-18 변무원 분뇨저장고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143195B1 (ko) * 2020-02-07 2020-08-11 주식회사 영성위아 원통형 물탱크의 밑판 및 외벽 보강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906B1 (ko) * 2001-12-14 2004-07-07 김성곤 분뇨 저장 및 발효 탱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245B1 (ko) * 2001-08-29 2003-12-18 변무원 분뇨저장고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143195B1 (ko) * 2020-02-07 2020-08-11 주식회사 영성위아 원통형 물탱크의 밑판 및 외벽 보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557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1764B1 (ko) 분뇨탱크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60079458A (ko) 복합 교각 연결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274219B1 (ko) 축산분뇨탱크
CN111749343A (zh) 一种可拆卸装配式钢结构房屋的安装方法
KR20180009277A (ko) 누수방지가 용이한 암거 및 이의 시공방법
JP2691208B2 (ja) 鋼製壁型枠パネル及び原子力関連施設建屋の鋼製壁型枠
KR200234163Y1 (ko) 건축 구조물용 지주의 시공구조
CN220666460U (zh) 一种装配式沟渠
GB2106976A (en) Storage tanks
KR100394435B1 (ko) 대형수조의 설치구조
US20230227252A1 (en) Concrete Tank
CN216406314U (zh) 一种加肋钢筋混凝土冷却塔
KR102618738B1 (ko) 접이식 배관 내부 보강장치
CN215801054U (zh) 一种y形桥墩组合钢模板支撑体系
JP2001090487A (ja) トンネル覆工工法
CN210217776U (zh) 密封防水管片
KR102118835B1 (ko) 정화조용 구조물
KR20010054439A (ko) 리브형 강판을 갖는 거푸집패널
KR20080076259A (ko) 아치형 판넬로 형성되는 지붕구조의 결합용 조인트
KR200295180Y1 (ko) 파형강판 구조물을 사용한 개착식 공동구
KR20100039606A (ko) 강합성을 이용하여 급속시공이 가능한, 기둥부재와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H10299948A (ja) 管体の吊り構造
CN116181055A (zh) 一种装配式建筑叠合板拼缝吊模结构及其施工方法
JP2000266244A (ja) 用途管構造体及び用途管の施工方法
JP2005232954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部材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