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1012B1 - 복수의 소정 전압으로부터 용량성 소자 및 스위치를 사용하여일정 전압을 발생하는 회로 및 이 회로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소정 전압으로부터 용량성 소자 및 스위치를 사용하여일정 전압을 발생하는 회로 및 이 회로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1012B1
KR100261012B1 KR1019980002445A KR19980002445A KR100261012B1 KR 100261012 B1 KR100261012 B1 KR 100261012B1 KR 1019980002445 A KR1019980002445 A KR 1019980002445A KR 19980002445 A KR19980002445 A KR 19980002445A KR 100261012 B1 KR100261012 B1 KR 100261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ential line
voltage value
voltage
terminal
capacitive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2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0880A (ko
Inventor
요시유끼 고꾸하따
마사히로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마찌다 가쯔히꼬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찌다 가쯔히꼬,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찌다 가쯔히꼬
Publication of KR19980070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0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3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using energy recovery or conserv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7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with a nonlinear element in series with the liquid crystal cell, e.g. a diode, or M.I.M.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압 발생 회로(12)는, 전압값 VA용 전위선(101b)과, 각각 전압값 V1, VM, VS용 전위선(102b, 103b, 104b)으로 이루어지는 전위선군과, 전압값 VB용 전위선(105b)과, 제1 커패시터(106)와, 제1 커패시터(106)와 같은 용량값을 갖는 제2 커패시터(107)와, 제1 커패시터(106)의 제1 단자(106a)를, 전위선(101b)과, 전위선군 중 하나의 전위선(103b)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 스위치(S1)와, 제1 커패시터(106)의 제2 단자(106b)를, 전위선군 중 소정의 하나의 전위선(103b)와 전압값 VM에 대해 대칭이 되는 전위를 공급하는 전위선(103b)과, 제2 커패시터(107)의 제1 단자(107a)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2 스위치(S2)를 포함한다. 제2 커패시터(107)는, 각각 VB용 전위선(105b)과, 전위선군 중 하나의 전위선(103b)에 접속되는 제1 단자(107a) 및 제2 단자(107b)를 갖는다. 제1 및 제2 커패시터(106, 107)의 충방전이 상보적으로 행해지도록 제1 및 제2 스위치(S1, S2)의 접속의 전환이 제어된다.

Description

복수의 소정 전압으로부터 용량성 소자 및 스위치를 사용하여 일정 전압을 발생하는 회로 및 이 회로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의 전압 발생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타 전극에는 점등 표시/비점등 표시에 대응하는 소정의 변조 전압을 인가하고, 주사측 전극에는 소정의 프로그래밍 전압을 선 순차(line sequence)로 인가함으로써 화소를 구동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전압 발생 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표시 장치는 경량인 것, 박형인 것, 소형인 것, 저소비 전력인 것등의 특징으로 인하여, AV(Audio and Visual), OA(Office Automation) 용도를 비롯한 여러가지 분야의 제품에 이용되고 있다.
특히, 휴대 기기 등 전지 구동을 행하는 것에 대해서는 소비 전력을 가능한 한 작게할 필요성이 있다. 그것을 위한 대책으로서, 전력 소비가 비교적 큰 배면광(back light)을 이용하지 않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개발과 함께 액정 표시 장치 자체의 소비 전력을 작게 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701)과, 표시 패널(1701)의 주사 전극선에 선 순차로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주사 전극 신호용 드라이버(1702)와, 데이타 전극선에 표시 정보에 따라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데이타 전극 신호용 드라이버(1703)와, 액정 표시 장치에 인가되는 전압을 발생하는 전압 발생부(1706)와, 입력 신호선(1704)으로부터의 입력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주사 전극 신호용 드라이버(1702)와, 데이타 전극 신호용 드라이버(1703) 및 전압 발생부(1706)에 각각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1705)를 포함한다. 전압 발생부(1706)는 후술하는 DC/DC 컨버터(2101)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701)은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화소를 포함한다. 각 화소는 대응하는 주사 전극선(Y1∼Ym)과 데이타 전극선(X1∼Xn)과의 사이에 접속된 액정 표시 소자(1801)를 포함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주사 전극 신호용 드라이버(1702)는 도시하지 않는 시프트 레지스터와, 아날로그 스위치를 포함한다. 데이타 전극 신호용 드라이버(1703)는, 도시하지 않는 시프트 레지스터와, 래치 회로와, 아날로그 스위치를 포함한다. 주사 전극 신호용 드라이버(1702)는 각 주사 전극선(Y1∼Ym)에, 래치 펄스 LP 및 교류화 신호 M에 기초하여 소정의 전압을 인가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주사 전극 신호용 드라이버(1702)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동작한다. 제어부(1705)로부터 전송된 래치 펄스 LP와 교류화 신호 M에 응답하여, 선택된 라인에 대해 선택 기간(1903, 1904)의 동안에는 전압 발생부(1706)로부터 전송된 전압값 VH의 전압(1907a) 또는 전압값 VL의 전압(1907d)이 인가되고, 비선택 기간의 동안에는 전압값 VM의 전압(1907b)이 인가된다.
Yi라인으로의 인가 파형(1908)에 대해서는, A 프레임(1901)에서는 래치 펄스 LP, 교류화 신호 M에 응답하여, 선택 기간(1903)의 동안 전압값 VH의 전압(1907a)을 Yi라인에 인가한다. 또한 다음의 B 프레임(1902)에서는 래치 펄스 LP, 교류화 신호 M에 응답하여, 선택 기간(1904)의 동안 전압값 VL의 전압(1907d)을 Yi라인에 인가한다. 한편, 비선택 기간 동안에는 전압값 VM의 전압(1907b)을 Yi라인에 인가한다.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직류 성분을 인가하면 액정 재료의 특성 열화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전압값 VM의 전압(1907b)에 대해 대칭 파형을 인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압값 VL은 VH - VM = VM - VL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한편 Yi+1라인의 인가 파형(1909)에 대해서는, A 프레임(1901)의 선택 기간(1905)동안 전압값 VL의 전압(1907d)을 Yi+1라인에 인가하고, B 프레임(1902)의 선택 기간(1906)에서는 전압값 VH의 전압(1907a)을 Yi+1라인에 인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타 전극 신호용 드라이버(1703)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제어부(1705)로부터 전송된 래치 펄스 LP와 교류화 신호 M과 데이타 신호 D에 기초하여, 전압 발생부(1706)로부터 전송된 전압값 V1의 전압(2008a), 및 전압값 VS의 전압(2008b)이 선택된 라인에 인가된다. 이 때, 전압값 V1=2×VM 이다.
Xj라인째의 데이타 전극선으로의 인가 파형(2009) 및 (Xj, Yi)의 위치로의 인가 파형(2001)에 대해 설명한다. 인가 파형(2009)에 대해서는 래치 펄스 LP, 교류화 신호 M 및 데이타 신호 D에 따라 데이타가 점등 표시이면 실선(2009a)으로 도시된 파형이 Xj라인째의 데이타 전극선에 인가된다. 또한 비점등 표시이면 파선(2009b)으로 표시된 파형이 Xj라인째의 데이타 전극선에 인가된다.
예를 들면 (Xj, Yi)의 위치의 액정 표시 소자의 표시가 점등 표시이면, A 프레임(2001)의 Yi라인 선택 기간(2003)동안 전압값 VS의 전압이 Xj라인째의 데이타 전극선에 인가되고, B 프레임(2002)의 Yi라인 선택 기간(2004)에서는 전압값 V1의 전압이 Xj라인째의 데이타 전극선에 인가된다.
Yi라인으로의 인가 파형을 파형(2010)으로 표시하였다. (Xj, Yi)의 액정 표시 소자로의 인가 파형을 파형(2011)으로 표시하였다. 실선(2011a)은 점등 표시시의 파형이고, 파선(2011b)은 비점등 표시시의 파형이다.
(Xj, Yi)의 액정 표시 소자로의 인가 전압의 값은, 점등 표시시에는, A 프레임에서 |VH|, B 프레임에서 |V1 - VL|이다. 또한 비점등 표시시에는, 인가 전압은 A 프레임에서 |VH - V1|, B 프레임에서 |VL|이다. A 프레임(2001)과 B 프레임(2002)에서 액정 표시 소자로의 인가 전압은 같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VL|= |VH - V1|
따라서, - VL = VH - V1로 된다. 또한 전압값 VM의 전압을 고려하면, V1 = 2× VM에 의해,
VH - VM = VM - VL
로 된다.
종래는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관계를 갖는 복수의 전압을 발생하기 위해, 전압 발생부(1706)에 DC/DC 컨버터를 이용하고 있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DC 컨버터(2101)를 이용하는 경우, 전압값 VD의 전압을 DC/DC 컨버터(2101)에 입력하면, 상술한 관계를 갖는 복수의 전압값 VH, V1, VM, VS, 및 VL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DC/DC 컨버터를 이용한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전류 영역에서는 전압의 변환 효율이 매우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출력 전류가 1 내지 2㎃의 경우에는, 15 내지 25%의 변환 효율 밖에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DC/DC 컨버터는 하이브리드 IC화되어 있기 때문에, 일정한 사이즈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탑재 기판의 사이즈를 DC/DC 컨버터의 사이즈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현재와 같은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 휴대 정보 기기의 발전은 놀라울 정도이며, 휴대정보 기기에 이용되는 표시 장치에 대해서도 보다 가볍고, 보다 얇고, 보다 작고, 보다 소비 전력을 작게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DC/DC 컨버터를 이용한 경우에는 전력의 손실이 크고, 또한 외형의 제약이 발생되어, 이러한 요망을 만족시킬 수 없다. 또한, DC/DC 컨버터가 고가이기 때문에, 제품의 비용 절감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저소비 전력화, 공간 절약화 및 저비용화를 꾀할 수 있는, 특히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사용에 알맞는 전압 발생 회로 및 이 전압 발생 회로를 사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염가인 부품에 의한 간단한 구성의 회로로 소정의 복수의 전압으로부터 소정의 전위차를 갖는 전압을 높은 변환 효율로 발생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전압 발생 회로 및 이러한 전압 발생 회로를 사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정 표시 소자에 인가된 전압을 유지하면서 보다 한층 저소비 전력화를 꾀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는 전압값 VA용 제1 전위선과, 전압값 V1용 제2 전위선과, 전압값 VM용 전위선 및 기준 전압값 VS용 전위선으로 이루어지는 전위선군과, 전압값 VB용 제3 전위선과, 각각 제1 및 제2 단자를 갖는 제1 및 제2 의 서로 동일한 용량값의 용량성 소자를 포함한다. 제2 용량성 소자의 제1 단자는 제3 전위선에 접속된다. 제2 단자는 전위선군 중 소정의 하나의 전위선에 접속된다. 전압 발생 회로는 또한, 제1 용량성 소자의 제1 단자를, 제1 전위선과, 전위선군 중 소정의 하나의 전위선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 스위칭 소자와, 제1 용량성 소자의 제2 단자를, 전위선군 중 소정의 하나의 전위선과 전압값 VM에 대해 대칭이 되는 전위를 공급하는 전위선과, 제2 용량성 소자의 제1 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용량성 소자의 충방전이 상보적으로 행해지도록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의 접속의 전환이 제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회로는 제1 동작과 제2 동작을 교대로 행한다. 제1 동작에서는, 제1 스위칭 소자에 의해 제1 용량성 소자의 제1 단자를 제1 전위선에 접속하고, 제2 스위칭 소자에 의해 제1 용량성 소자의 제2 단자를 전위선군 중 소정의 하나의 전위선과 전압값 VM에 대해 대칭이 되는 전위선에 접속하여, 제1 용량성 소자를 충전하도록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를 제어한다. 제2 동작에서는 제어 회로는 제1 스위칭 소자에 의해 제1 용량성 소자의 제1 단자를 전위선군 중 소정의 하나의 전위선에 접속하고, 제2 스위칭 소자에 의해 제1 용량성 소자의 제2 단자를 제2 용량성 소자의 제1 단자에 접속하여, 제1 용량성 소자를 방전시키고 방전된 제1 용량성 소자의 전하로 제2 용량성 소자를 충전하도록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를 제어한다.
제1 전위선으로부터 공급된 제1 용량성 소자를 충전한 전하가 방전되고, 제1 용량성 소자의 용량값과 같은 용량값을 갖는 제2 용량성 소자를 충전하는 제1 및 제2 용량성 소자의 충방전이 상보적으로 행해진다. 이 때문에, 제2 용량성 소자의 제1 단자에 접속된 제3 전위선의 전압값 VB와 제2 용량성 소자의 제2 단자에 접속된 전위선군 중 소정의 하나의 전위선의 전압값과의 전위차는, 제1 용량성 소자의 제1 단자에 접속된 제1 전위선의 전압값 VA와 제1 용량성 소자의 제2 단자에 접속된 전위선군 중 소정의 하나의 전위선의 전위와 전압값 VM에 대해 대칭이 되는 전위를 공급하는 전위선의 전압값과의 전위차와 같게 된다. 즉, 전위선군 중 소정의 하나의 전위선의 전압값을 (VM+h), 전위선군 중 소정의 하나의 전위선의 전위와 전압값 VM에 대해 대칭이 되는 전위를 공급하는 전위선의 전압값을 (VM - h)라고 하면,
(VM+h) - VB=VA - (VM - h)
로 된다. 따라서,
(VA - VM) = (VM - VB)
여기서, VA=VH, VB=VL로 놓으면,
(VH - VM) = (VM - VL)
로 되어, 전압값 VB (=VL)은, 수학식 1을 만족한다. 이 결과, 제2 용량성 소자의 제1 단자에 접속된 제3 전위선에 있어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전압값 VB가 발생된다.
따라서, 스위칭 소자 및 용량성 소자라고 하는 염가의 부품에 의한 간단한 구성의 회로에 의해서, 소정의 복수의 전압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높은 변환 효율로 얻을 수있다. 이 결과, 저소비 전력화, 공간 절약화, 및 저비용화를 꾀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전압 발생 회로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소정의 하나의 전위선은 전압값 VM을 공급하는 전위선, 전압값 V1을 공급하는 제2 전위선, 혹은 전압값 VS를 공급하는 전위선이 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전압값 VA는 기준 전압값 VS에 대해 플러스의 극성을 갖는 전압값 VH이고, 전압 VB는 기준 전압값 VS에 대해 역극성을 갖는 전압값 VL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전압값 VA는 기준 전압값 VS에 대해 역극성을 갖는 전압값 VL이고, 전압 VB는 기준 전압값 VS에 대해 플러스의 극성을 갖는 전압값 VH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스위칭 소자 및 제2 스위칭 소자 중 적어도 하나의 MOSFET이다.
본원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액정 표시 장치는, 상호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주사측 전극과, 주사측 전극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데이타측 전극과, 주사측 전극과 데이타측 전극과의 교차 개소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표시 화소와, 주사측 전극에 접속된 주사 전극용 드라이버와, 데이타측 전극에 접속된 데이타 전극용 드라이버와, 및 주사 전극용 드라이버와 데이타 전극용 드라이버에 소정의 복수 종류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 발생 회로를 포함한다. 표시 화소의 각각은, 대응하는 주사측 전극 및 데이타측 전극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액정 표시 소자 및 2 단자형 비선형 소자를 포함한다. 소정의 복수 종류의 전압은, 기준 전압값 VS와, 소정의 전압값 VA 및 V1과, VM= (V1+VS) /2로 정의되는 전압값 VM과, 및 (VA - VM) = (VM - VB)로 되는 식으로 정의되는 전압값 VB를 포함한다. 전압 발생 회로는, 전압값 VS, VA, V1, 및 VM으로부터 상기 전압값 VB를 발생하기 위한 것으로, 전압값 VA용 제1 전위선과, 전압값 V1용 제2 전위선, 전압값 VM용 전위선 및 기준 전압값 VS용 전위선으로 이루어지는 전위선군과, 전압값 VB용 제3 전위선과, 제1 및 제2 단자를 갖는 제1 용량성 소자와, 제3 전위선에 접속된 제1 단자와, 전위선군 중 소정의 하나의 전위선에 접속된 제2 단자를 갖고, 또한 제1 용량성 소자의 용량값과 같은 용량값을 갖는 제2 용량성 소자와, 제1 용량성 소자의 제1 단자를, 제1 전위선과, 전위선군 중 소정의 하나의 전위선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 스위칭 소자와, 제1 용량성 소자의 제2 단자를, 전위선군 중 소정의 하나의 전위선의 전위와 전압값 VM에 대해 대칭이 되는 전위를 공급하는 전위선과, 제2 용량성 소자의 제1 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2 스위칭 소자와, 제1 및 제2 용량성 소자의 충방전이 상보적으로 행해지도록 제1및 제2 스위칭 소자의 접속의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전압 발생 회로는 발생된 소정의 복수 종류의 전압을 주사 전극 신호용 드라이버와 데이타 전극 신호용 드라이버에 공급한다. 2 단자 비선형 소자는 주사 전극 신호용 드라이버 및 데이타 전극 신호용 드라이버에 의해 공급된 전압이 어떤 소정의 전압을 넘으면 전류를 흘려, 액정 표시 소자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전압이 인가된 액정 표시 소자에는 전하가 축적되지만, 이 축적된 전하가 2 단자 비선형 소자에 의해 액정 표시 소자에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2단자 비선형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어떤 소정의 전압을 넘지 않는 한, 액정 표시 소자에 축적된 전하는 방전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스위칭 소자, 용량성 소자라는 염가의 부품으로 간단한 구성 회로로, 소정의 복수의 전압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높은 변환 효율로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액정 표시 소자에 가해지는 전류가 감소될 수 있다. 이 때문에 공간절약화, 저비용화와 동시에, 보다 한층 더 저소비 전력화를 꾀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압 발생 회로는 전압값 VA용 제1 전위선과, 전압값 VM용 제2 전위선과, 전압값 VB용 제3 전위선과, 제1 및 제2 단자를 갖는 제1 용량성 소자와, 제3 전위선에 접속되는 제1 단자와, 제2 전위선에 접속된 제2 단자를 갖고, 또한 제1 용량성 소자의 용량값과 같은 용량값을 갖는 제2 용량성 소자와, 제1 용량성 소자의 제1 단자를, 제1 전위선과, 제2 전위선과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 스위칭 소자와, 제1 용량성 소자의 제2 단자를, 제2 전위선과, 제2 용량성 소자의 제1 단자와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용량성 소자의 충방전이 상보적으로 행해지도록 제1및 제2 스위칭 소자의 접속의 전환이 제어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압 발생 회로는 전압값 VA용 제1 전위선과, 전압값 V1용 제2 전위선과, 전압값 VB용 제3 전위선과, 기준 전압값 VS용 제4 전위선과, 제1 및 제2 단자를 갖는 제1 용량성 소자와, 제3 전위선에 접속되는 제1 단자와, 제2 전위선에 접속된 제2 단자를 갖고, 또한 제1 용량성 소자의 용량값과 같은 용량값을 갖는 제2 용량성 소자와, 제1 용량성 소자의 제1 단자를, 제1 전위선과, 제2 전위선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 스위칭 소자와, 제1 용량성 소자의 제2 단자를, 제4 전위선과, 제2 용량성 소자의 제1 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용량성 소자의 충방전이 상보적으로 행해지도록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의 접속의 전환이 제어된다.
본원 발명의 추가의 특징에 따르면, 전압 발생 회로는, 전압값 VA용 제1 전위선과, 전압값 V1용 제2 전위선과, 전압값 VB용 제3 전위선과, 기준 전압값 VS용 제4 전위선과, 제1 및 제2 단자를 갖는 제1 용량성 소자와, 제3 전위선에 접속되는 제1 단자와, 제2 전위선에 접속된 제2 단자를 갖고, 또한 제1 용량성 소자의 용량값과 같은 용량값을 갖는 제2 용량성 소자와, 제1 용량성 소자의 제1 단자를, 제1 전위선과, 제4 전위선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 스위칭 소자와, 제1 용량성 소자의 제2 단자를, 제2 전위선과, 제2 용량성 소자의 제1 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용량성 소자의 충방전이 상보적으로 행해지도록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의 접속의 전환이 제어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 및 기타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화소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도 3 및 4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종래의 전압 발생 회로의 설명도.
도 6은 종래의 전압 발생 회로의 저전류 영역에 있어서의 변환 효율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젼체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 구성의 설명도.
도 9 및 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 동작의 설명도.
도 1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 구성의 설명도.
도 13 및 1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 동작의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 구성의 설명도.
도 16 및 1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 동작의 설명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 구성의 설명도.
도 19 및 2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 동작의 설명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 구성의 설명도.
도 22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의 제어 신호 발생 회로의 설명도.
도 23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의 제어 신호의 설명도.
도 24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 동작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전압 발생 회로
101b : VA용 전위선
102b : V1용 전위선
103b : VM용 전위선
104b : VS용 전위선
105b : VB용 전위선
106 : 제1 커패시터
106a : 제1 단자
106b : 제2 단자
107 : 제2 커패시터
1705 : 제어부
1706 : 전압 발생부
1801 : 액정 표시 소자
2101 : DC/DC 컨버터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서 설명한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있다. 이들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와 다른 점은, DC/DC 컨버터(2101)를 포함하는 전압 발생부(1706)대신에, 전압 발생 회로(12)를 포함하는 전압 발생부(1706a)를 갖는 점, 및 액정 표시 소자(1801)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1701)대신에, 후술하는 2단자 비선형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1701a)을 갖는 점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12)는, 기준 전압값 VS를 공급하는 기준 전위선(104b)과, 일단이 기준 전위선(104b)에 접속되어 기준 전압값 VS에 대해 플러스의 극성의 전압값 VE의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101)과, 일단이 기준 전위선(104b)에 접속되어 전압값 V1의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102)과, 일단이 기준 전위선(104b)에 접속되어, VM = (V1+VS)/2로 정의되는 전압값 VM의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103)과, 전원(101)의 타단에 접속되어 전압값 VE를 공급하는 제1 전위선(101b)과, 전원(102)의 타단에 접속되어, 기준 전압값 VS와 전압값 VM에 대해 대칭이 되는 전압값 V1의 전압을 공급하는 제2 전위선(102b)과, 전원(103)에 접속되어 전압값 VM의 전압을 공급하는 전위선(103b)과, 및 전압값 VL의 전압이 제공되는 제3 전위선(105b)을 포함한다.
전압 발생 회로(12)는 또한, 단자(106a, 106b)를 갖는 커패시터(106)와, 단자(107a)와, 전위선(103b)에 접속된 단자(107b)를 갖고 커패시터(106)의 용량값 C와 같은 용량값 C를 갖는 커패시터(107)와, 커패시터(106)의 단자(106a)를, 전위선(101b)과 전위선(103b)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S1)와, 커패시터(106)의 단자(106b)를, 전위선(103b)과 커패시터(107)의 단자(107a)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S2)와, 스위칭 소자(S1, S2)에 접속되어, 커패시터(106) 및 커패시터(107)의 충방전이 상보적으로 행해지도록 스위칭 소자(S1, S2)의 접속의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부(108)와, 및 전위선(101b, 102b, 103b, 104b, 105b)에 각각 접속되는 출력 단자(101a, 102a, 103a, 104a, 105a)를 포함한다.
스위칭 소자(S1)는 커패시터(106)의 단자(106a)에 접속되는 단자(S1a)와, 전위선(101b)에 접속되는 단자(S1b)와, 전위선(103b)에 접속되는 단자(S1c)를 포함한다. 스위칭 소자(S2)는, 커패시터(106)의 단자(106b)에 접속되는 단자(S2a)와, 전위선(103b)에 접속되는 단자(S2b)와, 커패시터(107)의 단자(107a)에 접속되는 단자(S2c)를 포함한다.
이 전압 발생 회로에 있어서의 전류는 이하와 같이 흐른다. 도 9를 참조하면 스위칭 제어부(108)에 의해, 스위칭 소자(S1, S2)가 실선 방향으로 접속(S1a - S1b, S2a - S2b)되면, 화살표(201)로 표시한 방향으로 전류가 흘러, (VE - VM)에 상당하는 전하가 커패시터(106)에 충전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위칭 제어부(108)에 의해, 스위칭 소자 S1 및 S2가 파선 방향으로 접속(S1a - S1c, S2a - S2c)되면 화살표(301)로 표시한 방향으로 전류가 흘러, 커패시터(106)에 충전된 (VE - VM)에 상당하는 전하가 방전하여, 커패시터(107)에 충전된다.
스위칭 제어부(108)는, 10㎑ 정도의 속도로 이 전환 제어를 실시한다. 이 때문에 커패시터(106)는, 10㎑ 정도의 속도로 전원(101)으로부터의 충전과 커패시터(107)로의 방전을 반복한다. 마찬가지로 커패시터(107)는 10㎑ 정도의 속도로 커패시터(106)로부터의 충전과 출력 단자를 통한 외부로의 방전을 반복한다. 즉, 커패시터(106, 107)의 충방전이 상보적으로 행해진다.
커패시터(107)는 전압 VM을 공급하는 전위선(103b)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출력 단자(105a)의 전압값 VL은,
VL=VM - (VE - VM) = - (VE -2 × VM)
로 된다. 여기서, VE=VH로 놓으면,
VH - VM=VM - VL
로 되고, 출력 단자(105a)의 전압값 VL은 상술한 수학식 1을 만족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전압값 VE (=VH), V1, VM, 및 VS로부터, VH - VM=VM - VL이라는 소정의 일정 전위차를 갖는 전압값 VL을, 스위칭 소자와 커패시터를 이용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높은 변환 효율로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DC/DC 컨버터를 이용하여 전압을 발생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저소비 전력화를 꾀할 수 있다. 기판의 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 절약화가 가능해지고, 저비용화를 더욱 실현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위한 전압 발생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701a)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서 설명한 표시 패널(1701)과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있다. 이들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액정 표시 패널(1701a)은, 각 화소에 스위칭 소자로서 2 단자 비선형 소자(1601)를 이용하고 있다. 2단자 비선형 소자(1601)는 주사 전극Y1 ∼ 주사 전극Ym과 데이타 전극 X1 ∼ 데이타 전극 Xn이 각각 교차하는 부분의 각 화소마다 액정 표시 소자(1801)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2단자 비선형 소자(1601)는,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전류를 통과시키므로, 액정 표시 소자(1801)에 인가된 전압은 2단자 비선형 소자(1601)에 의해 유지된다. 이 때문에 2단자 비선형 소자(1601)를 이용하지 않고 액정 표시 소자(1801)에 인가된 전압이 방전하는 종래의 경우에 비해 액정 표시 소자(1801)에 가해지는 전류가 적게 된다. 따라서 전원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DC/DC 컨버터를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전력의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칭 소자와 커패시터를 이용한 간단한 구성에 의한 전압 발생 회로를, 2 단자 비선형 소자를 이용한 액정 표시 패널에 대해 적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한층 저소비 전력화를 꾀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있다.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와 다른 점은, 스위칭 소자(S1)의 단자(S1c)가, 제2 전위선(102b)에 접속되는 점, 및 스위칭 소자(S2)의 단자(S2b)가 기준 전위선(104b)에 접속되는 점이다.
이 전압 발생 회로에 있어서의 전류는 이하와 같이 흐른다. 도 13을 참조하면, 스위칭 제어부(108)에 의해, 스위칭 소자(S1, S2)가 실선 방향으로 접속(S1a - S1b, S2a - S2b)되면 화살표(501)로 표시한 방향으로 전류가 흘러, (VE - VS)에 상당하는 전하가 커패시터(106)에 충전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스위칭 제어부(108)에 의해 스위칭 소자(S1, S2)가 파선 방향으로 접속(S1a - S1c, S2a - S2c)되면, 화살표(601)로 표시한 방향으로 전류가 흘러, 커패시터(106)에 충전된 (VE - VS)에 상당하는 전하는 방전하여, 커패시터(107)에 충전된다.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위칭 제어부(108)는 10㎑ 정도의 속도로 이 전환 제어를 행한다. 이 때문에 커패시터(106)는 10㎑ 정도의 속도로, 전원(101)으로부터의 충전과 커패시터(107)로의 방전을 반복한다. 커패시터(107)는, 마찬가지로 10㎑ 정도의 속도로 커패시터(106)로부터의 충전과 출력 단자를 통한 외부로의 방전을 반복한다. 즉, 커패시터(106, 107)의 충방전이 상보적으로 행해진다. 이하 마찬가지로 동작이 행해진다.
커패시터(107)에 있어서는 전원(102)의 전압값 V1을 공급하는 제2 전위선(102b)이 기준으로 되어 있다. 출력 단자(105a)의 전위 VL은,
VL=V1 - (VE - VS) = (V1+VS) - VE
로 된다. VM= (V1+VS)/2이기 때문에,
VL=2×VM - VE
여기서, VE=VH이기 때문에,
VL=2×VM-VH로 되어,
VH - VM=VM - VL
로 된다. 따라서 출력 단자(105a)의 전위 VL은, 상술한 수학식 1을 만족한다.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와 다른 점은, 스위칭 소자(S1)의 단자(S1c)가, 기준 전위선(104b)에 접속되는 점, 및 스위칭 소자(S2)의 단자(S2b)가 제2 전위선(102b)에 접속되는 점이다.
이 전압 발생 회로에서는 전류는 이하와 같이 흐른다. 도 16을 참조하면, 스위칭 제어부(108)에 의해 스위칭 소자(S1, S2)가 실선 방향으로 접속(S1a - S1b, S2a - S2b)되면, 화살표(801)로 표시한 방향으로 전류가 흘러, (VE - V1)에 상당하는 전하가 커패시터(106)에 충전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스위칭 제어부(108)에 의해 스위칭 소자(S1, S2)가 파선 방향으로 접속(S1a - S1c, S2a - S2c)되면, 화살표(901)로 표시한 방향으로 전류가 흘러, 커패시터(106)에 충전된 (VE - V1)에 상당하는 전하는 방전하여, 커패시터(107)에 충전된다.
커패시터(107)에 있어서는 기준 전위 VS가 기준으로 되어 있다. 출력 단자(105a)의 전압 VL은,
VL=VS - (VE - V1) = (V1+VS) - VE
로 된다. VM= (V1+VS) /2이기 때문에,
VL=2×VM - VE
여기서, VE=VH이기 때문에, VL=2×VM - VH로 되고,
VH - VM=VM - VL
로 된다. 따라서 출력 단자(105a)의 전압 VL은 상술한 수학식 1을 만족한다.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를 설명한다.
본 제4 실시예에 관한 전압 발생 회로는, 앞에서 도 8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관한 전압 발생 회로(12)의 전압 VE를 갖는 전원(101)이 기준 전위 VS에 대해 역극성이 되도록 배치된 예이다.
전압 발생 회로(12c)는 기준 전압값 VS를 공급하는 기준 전위선(104b)과, 일단이 기준 전위선(104b)에 접속되고 기준 전압값 VS에 대해 역극성의 전압값 VE의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101)과, 일단이 기준 전위선(104b)에 접속되어 전압값 V1의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102)과, 일단이 기준 전위선(104b)에 접속되고, VM= (V1+VS) /2로 정의되는 전압값 VM의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103)과, 전원(101)의 타단에 접속되고 전압값 VE를 공급하는 전위선(101b)과, 전원(102)의 타단에 접속되고, 기준 전압값 VS와 전압값 VM에 대해 대칭이 되는 전압값 V1의 전압을 공급하는 전위선(102b)과, 전원(103)에 접속되고 전압값 VM의 전압을 공급하는 전위선(103b)과, 전압값 VH의 전압이 제공되는 전위선(105b)을 포함한다.
전압 발생 회로(12c)는 또한, 단자(106a, 106b)를 갖는 커패시터(106)와, 전위선(105b)에 접속된 단자(107a)와, 단자(107b)를 갖고 커패시터(106)의 용량값 C와 같은 용량값 C를 갖는 커패시터(107)와, 커패시터(106)의 단자(106a)를, 전위선(101b)과 전위선(103b)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S1)와, 커패시터(106)의 단자(106b)를, 전위선(103b)과 커패시터(107)의 단자(107b)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S2)와, 스위칭 소자(S1, S2)에 접속되고, 커패시터(106) 및 커패시터(107)의 충방전이 상보적으로 행해지도록 스위칭 소자(S1, S2)의 접속의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부(108)와, 전위선(101b, 102b, 103b, 104b, 105b)에 각각 접속되는 출력 단자(101a, 102a, 103a, 104a, 105a)를 포함한다.
스위칭 소자(S1)는 커패시터(106)의 단자(106a)에 접속되는 단자(S1a)와, 전위선(101b)에 접속되는 단자(S1b)와, 및 전위선(103b)에 접속되는 단자(S1c)를 포함한다.
스위칭 소자(S2)는 커패시터(106)의 단자(106b)에 접속되는 단자(S2a)와, 전위선(103b)에 접속되는 단자(S2b)와, 커패시터(107)의 단자(107a)에 접속되는 단자(S2c)를 포함한다.
이 전압 발생 회로(12c)에 있어서의 전류는 이하와 같이 흐른다. 도 19를 참조하면, 스위칭 제어부(108)에 의해, 스위칭 소자(S1, S2)가 실선 방향으로 접속(Sla - S1b, S2a - S2b) 되면, 화살표(1101)로 표시한 방향으로 전류가 흘러,
(VM - (- VE)) = (VM+VE)
에 상당하는 전하가 커패시터(106)에 충전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스위칭 제어부(108)에 의해, 스위칭 소자(S1, S2)가 파선 방향으로 접속(S1a - S1c, S2a - S2c)되면, 화살표(1201)로 표시한 방향으로 전류가 흘러, 커패시터(106)에 충전된 (VM+VE)에 상당하는 전하는 방전하고, 커패시터(107)에 충전된다.
커패시터(107)에 있어서는 전압값 VM을 공급하는 전위선(103b)이 기준으로 되어 있다. 출력 단자(101a)의 전압값 VH는,
VH = VM+ (VM+VE) =2×VM+VE
로 된다. 여기서, VE= - VL로 놓으면,
VH = 2×VM - VL
VH - VM=VM - VL
로 된다. 따라서 출력 단자(101a)의 전압값 VH는 상술한 수학식 1을 만족한다.
상술한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를, 기준 전위 VS에 대해, 전압값 VE의 전원(101)이 역극성이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전압값 VL 내지 전압값 VH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12)의 스위칭 소자로서, MOS(Metal Oxide Semic onductor)형 FET(Field Effect Transistor)를 이용한 경우의 예이다.
도 8의 스위칭 소자(S1)에 상당하는 스위칭 소자(S1a)는, P 채널-MOS형FET(1307)와, N 채널-MOS형 FET(1311)와, 다이오드(1306)와, 다이오드(1310)와, 저항(1305)과, 저항(1309)과, 커패시터(1304)와, 커패시터(1308)와, 제어 신호 Sp용 입력 단자(1322)와, 및 제어 신호 Sn용 입력 단자(1323)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도 8의 스위칭 소자(S2)에 상당하는 스위칭 소자(S2a)는, P채널- MOS형 FET(1315)과, N 채널-MOS형 FET(1319)와, 다이오드(1314)와, 다이오드(1318)와, 저항(1313)과, 저항(1317)과, 커패시터(1312)와, 커패시터(1316)와, 제어 신호 Sp용 입력 단자(1322)와, 제어 신호 Sn용 입력 단자(1323)를 포함한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제어 신호 Sp, Sn의 발생 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 신호 형성 회로(1400)는 CR(커패시터·저항) 발진 회로(1401)와, 적분 회로(1410)를 포함한다. CR 발진 회로(1401)는 도 23에 표시한 신호 CLK를 발생한다. 적분회로(1410)는 NOT 회로(1402, 1409)와, NAND(Not AND)회로(1405, 1408)와, 저항(1403, 1406)과, 커패시터(1404, 1407)를 포함한다. 적분 회로(1410)는, 지연 시간 td를 발생하고, 제어 신호 Sp, Sn을 발생시킨다.
제어 신호 Sp는 P 채널- MOS형 FET에 입력되어, 기간 tp동안 P채널-MOS형 FET를 온한다. 제어 신호 Sn은 N채널- MOS형 FET에 입력되어, 기간 tn동안 N 채널- MOS형 FET를 온한다. 지연 시간 td는 P 채널-MOS형 FET와 N 채널- MOS형 FET를 동시에 온시키지 않기 위한 시간이다.
도 24를 참조하여, 전류의 흐름을 설명한다. 스위칭 제어부(108)에 의해, 기간 tp동안 P채널- MOS형 FET(1307, 1315)가 온 상태가 되어, 실선의 화살표(1501)로 표시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커패시터(106)에 (VE - VM)에 상당하는 전하가 충전된다. 다음에 기간 tn에서 N 채널- MOS형 FET(1311, 1319)가 온상태가 되어, 파선의 화살표(1502)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커패시터(106)에 충전된 (VE - VM)에 상당하는 전하가 방전하고, 커패시터(107)에 충전된다.
커패시터(107)에 있어서는 전압값 VM을 공급하는 전위선(103b)이 기준으로 되어 있다. 출력 단자(105a)의 전압값 VL은,
VL=VM - (VE - VM) = - (VE - 2×VM)
으로 된다. 여기서, VE=VH로 놓으면,
VH - VM=VM - VL
로 된다. 따라서 출력 단자(105a)의 전압값 VL은 상술한 수학식 1을 만족한다.
마찬가지로, 상술한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에 대해서도, 스위칭 소자로서 MOS형 FET를 이용하여 전압 발생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압 발생 회로에 의하면, 소정의 전압으로부터 소정의 일정 전위차를 갖는 전압을, 스위칭 소자, MOS형 FET, 커패시터 등을 이용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높은 변환 효율로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DC/DC 컨버터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저소비 전력화를 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판의 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 절약화가 가능해져서, 저비용화를 더욱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전압 발생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소비 전류는 DC/DC 컨버터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약 1/3로 저감할 수 있다. 스페이스는 체적비로 약 1/5로 할 수 있다. 또한 부품 레이아웃이 가능하게되기 때문에, 체적비 이상으로 스페이스의 유효 활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비싼 부품인 DC/DC 컨버터를 사용하지 않고, 염가인 부품으로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단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상기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함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어야 한다.

Claims (18)

  1. 기준 전압값 VS와, 소정의 전압값 VA 및 V1과, 및 VM= (V1+VS)/2로 정의되는 전압값 VM으로부터 (VA - VM) = (VM - VB)로 되는 식으로 정의되는 전압값 VB를 발생하기 위한 전압 발생 회로(12, 12a, 12b, 12c, 12d)에 있어서,
    상기 전압 발생 회로가,
    상기 전압값 VA용 제1 전위선 (101b),
    상기 전압값 V1용 제2 전위선 (102b), 상기 전압값 VM용 전위선 (103b), 상기 기준 전압값 VS용 전위선 (104b)로 이루어지는 전위선군,
    상기 전압값 VB용 제3 전위선 (105b),
    제1 및 제2 단자 (106a, 106b)를 갖는 제1 용량성 소자 (106),
    상기 제3 전위선 (105b)에 접속되는 제1 단자 (107a)와, 상기 전위선군 중 소정의 하나의 전위선(102b, 103b, 104b)에 접속된 제2 단자 (107b)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1 용량성 소자 (106)의 용량값과 같은 용량값을 갖는 제2 용량성 소자 (107),
    상기 제1 용량성 소자 (106)의 상기 제1 단자 (106a)를, 상기 제1 전위선(101b)와, 상기 전위선군 중 상기 소정의 하나의 전위선(102b, 103b, 104b)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 스위칭 소자(S1), 및
    상기 제1 용량성 소자 (106)의 상기 제2 단자 (106b)를, 상기 전위선군 중 상기 소정의 하나의 전위선(102b, 103b, 104b)와 상기 전압값 VM에 대해 대칭이 되는 전위를 공급하는 전위선 (104b, 103b, 102b)과, 상기 제2 용량성 소자 (107)의 상기 제1 단자 (107a)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2 스위칭 소자 (S2)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용량성 소자(106, 107)의 충방전이 상보적으로 행해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S1, S2)의 접속의 전환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발생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하나의 전위선은 상기 전압값 VM을 인가하는 전위선(103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발생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하나의 전위선은 상기 전압값 V1을 인가하는 제2 전위선(102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발생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하나의 전위선은 상기 전압값 VS를 인가하는 전위선(104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발생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값 VA는 상기 기준 전압값 VS에 대해 플러스의 극성을 갖는 전압값 VH이고,
    상기 전압값 VB는, 상기 기준 전압값 VS에 대해 역극성을 갖는 전압값 V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발생 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값 VA는, 상기 기준 전압값 VS에 대해 역극성을 갖는 전압값 VL이고,
    상기 전압값 VB는, 상기 기준 전압값 VS에 대해 플러스의 극성을 갖는 전압값 V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발생 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소자(S1) 및 상기 제2 스위칭 소자(S2) 중 적어도 하나는 MOS형 FET(1307, 1311, 1315, 13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발생 회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용량성 소자(106, 107)의 충방전이 상보적으로 행해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S1, S2)의 접속의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10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발생 회로.
  9.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주사측 전극(Y1 - Ym),
    상기 복수의 주사측 전극(Y1 - Ym)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데이타측 전극(X1 - Xn),
    상기 복수의 주사측 전극(Y1 - Ym)과 상기 복수의 데이타측 전극(X1 - Xn)과의 교차 개소에 각각 설치되고, 대응의 상기 주사측 전극(Y1 - Ym)과 대응의 상기 데이타측 전극(X1 - Xn)에 접속된 복수의 표시 화소(1801, 1601),
    상기 복수의 주사측 전극(Y1 -Ym)에 접속된 주사 전극용 드라이버(1702),
    상기 복수의 데이타측 전극(X1 - Xn)에 접속된 데이타 전극용 드라이버(1703), 및
    상기 주사 전극용 드라이버(1702)와 상기 데이타 전극용 드라이버(1703)에 소정의 복수 종류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 발생 회로(12, 12a, 12b, 12c, 12d)
    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화소(1801, 1901)의 각각은 대응의 주사측 전극(Y1 - Ym) 과 데이타측 전극(X1 - Xn)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액정 표시 소자(1801) 및 2 단자형 비선형 소자(1601)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복수 종류의 전압은 기준 전압값 VS와, 소정의 전압값 VA 및 V1와, VM= (V1+VS)/2로 정의되는 전압값 VM과, 및 (VA - VM) = (VM - VB) 로 되는 식으로 정의되는 전압값 VB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발생 회로(12, 12a, 12b, 12c, 12d)는 상기 전압값 VS, VA, V1, 및 VM으로부터 상기 전압값 VB를 발생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압값 VA용 제1 전위선(101b),
    상기 전압값 V1용 제2 전위선(102b)과, 상기 전압값 VM용 전위선(103b)와, 및 상기 기준 전압값 VS용 전위선(104b)으로 이루어지는 전위선군,
    상기 전압값 VB용 제3 전위선(105b),
    제1 및 제2 단자(106a, 106b)를 갖는 제1 용량성 소자(106),
    상기 제3 전위선(105b)에 접속된 제1 단자(107a)와, 상기 전위선군 중 소정의 하나의 전위선에 접속된 제2 단자(107b)를 갖고, 또한 상기 제1 용량성 소자(106)의 용량값과 같은 용량값을 갖는 제2 용량성 소자(107),
    상기 제1 용량성 소자(106)의 상기 제1 단자(106a)를, 상기 제1 전위선 (101b)와, 상기 전위선군 중 상기 소정의 하나의 전위선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 스위칭 소자(S1),
    상기 제1 용량성 소자(106)의 상기 제2 단자(106b)를, 상기 복수의 전위선군 중 상기 소정의 하나의 전위선(102b, 103b, 104b)와 상기 전압값 VM에 대해 대칭이 되는 전위를 제공하는 전위선(104b, 103b, 102b)과, 상기 제2 용량성 소자(107)의 상기 제1 단자(107a)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2 스위칭 소자(S2), 및
    상기 제1 및 제2 용량성 소자(106, 107)의 충방전이 상보적으로 행해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S1, S2)의 접속의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1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하나의 전위선은 상기 전압값 VM을 인가하는 전위선(103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하나의 전위선은 상기 전압값 V1을 인가하는 제2 전위선(102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하나의 전위선은 상기 전압값 VS를 인가하는 전위선(104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값 VA는, 상기 기준 전압값 VS에 대해 플러스의 극성을 갖는 전압값 VH이고,
    상기 전압값 VB는 상기 기준 전압값 VS에 대해 역극성을 갖는 전압값 V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값 VA는, 상기 기준 전압값 VS에 대해 역극성을 갖는 전압값 VL이고,
    상기 전압값 VB는, 상기 기준 전압값 VS에 대해 플러스의 극성을 갖는 전압값 V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소자(S1) 및 상기 제2 스위칭 소자(S2) 중 적어도 한개는 MOS형 FET(1307, 1309, 1315, 13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6. 소정의 전압값 VA 및 VM으로부터 (VA - VM) = (VM - VB)로 되는 식으로 정의되는 전압값 VB를 발생하기 위한 전압 발생 회로(12, 12c, 12d)에 있어서,
    상기 전압 발생 회로가,
    상기 전압값 VA용 제1 전위선(101b),
    상기 전압값 VM용 제2 전위선(103b),
    상기 전압값 VB용 제3 전위선(105b),
    제1 및 제2 단자(106a, 106b)를 갖는 제1 용량성 소자(106)와,
    상기 제3 전위선(105b)에 접속되는 제1 단자(107a)와, 상기 제2 전위선(103b)에 접속된 제2 단자(107b)를 갖고, 또한 상기 제1 용량성 소자(106)의 용량값과 같은 용량값을 갖는 제2 용량성 소자(107),
    상기 제1 용량성 소자(106)의 상기 제1 단자(106a)를, 상기 제1 전위선(101b)및 상기 제2 전위선(103b)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 스위칭 소자(S1),
    상기 제1 용량성 소자(106)의 상기 제2 단자(106b)를, 상기 제2 전위선(103b)및 상기 제2 용량성 소자(107)의 상기 제1 단자(107a)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2 스위칭 소자(S2)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용량성 소자(106, 107)의 충방전이 상보적으로 행해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S1, S2)의 접속의 전환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발생 회로.
  17. 기준 전압값 VS, 및 소정의 전압값 VA 및 V1로부터, VM= (V1+VS) /2로 정의되는 전압값 VM에 대해 (VA - VM) = (VM - VB)로 되는 식으로 정의되는 전압값 VB를 발생하기 위한 전압 발생 회로(12a)에 있어서,
    상기 전압 발생 회로가,
    상기 전압값 VA용 제1 전위선(101b),
    상기 전압값 V1용 제2 전위선(102b),
    상기 전압값 VB용 제3 전위선(105b),
    상기 기준 전압값 VS용 제4 전위선(104b),
    제1 및 제2 단자(106a, 106b)를 갖는 제1 용량성 소자(106),
    상기 제3 전위선(105b)에 접속되는 제1 단자(107a)와, 상기 제2 전위선(102b)에 접속된 제2 단자(107b)를 갖고, 또한 상기 제1 용량성 소자(106)의 용량값과 같은 용량값을 갖는 제2 용량성 소자(107),
    상기 제1 용량성 소자(106)의 상기 제1 단자(106a)를, 상기 제1 전위선(101b)및 상기 제2 전위선(102b)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 스위칭 소자(S1), 및
    상기 제1 용량성 소자(106)의 상기 제2 단자(106b)를, 상기 제4 전위선(104b)및 상기 제2 용량성 소자(107)의 상기 제1 단자(107a)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2 스위칭 소자(S2)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용량성 소자(106, 107)의 충방전이 상보적으로 행해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S1, S2)의 접속의 전환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발생 회로.
  18. 기준 전압값 VS와, 소정의 전압값 VA 및 V1과, VM= (V1+VS)/2로 정의되는 전압값 VM에 대해 (VA - VM) = (VM - VB)가 되는 식으로 정의되는 전압값 VB를 발생하기 위한 전압 발생 회로(12b)에 있어서,
    상기 전압 발생 회로가,
    상기 전압값 VA용 제1 전위선(101b),
    상기 전압값 V1용 제2 전위선(102b),
    상기 전압값 VB용 제3 전위선(105b),
    상기 기준 전압값 VS용 제4 전위선(104b),
    제1 및 제2 단자(106a, 106b)를 갖는 제1 용량성 소자(106),
    상기 제3 전위선 (105b)에 접속되는 제1 단자(107a)와, 상기 제2 전위선 (102b)에 접속된 제2 단자(107b)를 갖고, 또한 상기 제1 용량성 소자(106)의 용량값과 같은 용량값을 갖는 제2 용량성 소자(107),
    상기 제1 용량성 소자(106)의 상기 제1 단자(106a)를, 상기 제1 전위선 (101b)및 상기 제4 전위선(104b)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 스위칭 소자 (S1), 및
    상기 제1 용량성 소자(106)의 상기 제2 단자(106b)를, 상기 제2 전위선(102b)및 상기 제2 용량성 소자(107)의 상기 제1 단자(107a)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2 스위칭 소자 (S2)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용량성 소자 (106, 107)의 충방전이 상보적으로 행해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 (S1, S2)의 접속의 전환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발생 회로.
KR1019980002445A 1997-01-27 1998-01-26 복수의 소정 전압으로부터 용량성 소자 및 스위치를 사용하여일정 전압을 발생하는 회로 및 이 회로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100261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1268797A JP3217288B2 (ja) 1997-01-27 1997-01-27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電圧作成回路
JP97-012687 1997-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880A KR19980070880A (ko) 1998-10-26
KR100261012B1 true KR100261012B1 (ko) 2000-07-01

Family

ID=1181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2445A KR100261012B1 (ko) 1997-01-27 1998-01-26 복수의 소정 전압으로부터 용량성 소자 및 스위치를 사용하여일정 전압을 발생하는 회로 및 이 회로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75349B1 (ko)
JP (1) JP3217288B2 (ko)
KR (1) KR100261012B1 (ko)
TW (1) TW4736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1475B2 (ja) * 1999-06-01 2011-06-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電源回路、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872571B2 (ja) * 2018-02-20 2021-05-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0718A (ja) 1993-08-31 1995-05-12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の駆動電圧発生装置
DE69532466T2 (de) * 1994-07-14 2004-10-21 Seiko Epson Corp Stromversorgungsschaltung, flüssigkristallanzeigevorrichtung und elektronisches gerät
US5760759A (en) * 1994-11-08 1998-06-02 Sanyo Electric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JP3110648B2 (ja) * 1995-03-22 2000-11-2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5986669A (en) * 1996-09-10 1999-11-16 Intergraph Corporation Graphics processing with efficient clipp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880A (ko) 1998-10-26
JPH10206818A (ja) 1998-08-07
US6175349B1 (en) 2001-01-16
JP3217288B2 (ja) 2001-10-09
TW473632B (en) 2002-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3287B1 (en) Power supply circuit of an electro-optical device, driving circuit of an electro-optical device, method of driving an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0348644B1 (ko) 중간 탭을 구비하는 전압 증배기
KR0140041B1 (ko) 표시 장치용 전압 발생 회로, 공통 전극 구동 회로, 신호선 구동 회로 및 계조 전압 발생 회로
US7030850B2 (en) Signal drive circuit, display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and signal drive method
JP3744818B2 (ja) 信号駆動回路、表示装置、及び電気光学装置
KR0145615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WO1996021880A1 (fr) Circuit d&#39;alimentation, affichage a cristaux liquides et dispositif electronique
KR970022928A (ko) Ac형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구동회로
JPH0549085B2 (ko)
KR19990013788A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제어용 반도체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JP4010124B2 (ja) 電源回路、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CN101783121A (zh) 液晶显示装置和其中使用的驱动方法和集成电路
US20070241952A1 (en) Digital to analog converter having integrated level shifter and method for using same to drive display device
KR20060043821A (ko) 구동전압 제어장치, 표시장치, 및 구동전압 제어방법
US6084580A (en) Voltage generating circu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orporating the voltage generating circuit
JP2831518B2 (ja) 表示装置の駆動回路
JP3317871B2 (ja) 表示装置
KR100468614B1 (ko) 액정 표시 장치를 위한 저전력 컬럼 구동 방법
KR100261012B1 (ko) 복수의 소정 전압으로부터 용량성 소자 및 스위치를 사용하여일정 전압을 발생하는 회로 및 이 회로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EP1063558B1 (en) Liquid-crystal display, electronic device, and power supply circuit for driving liquid-crystal display
JP2849034B2 (ja) 表示駆動装置
KR100732837B1 (ko) Lcd 구동 ic의 네거티브 전압 발생기
JP2006072391A (ja) ソースライン駆動回路
JPH07325556A (ja) 液晶表示装置の階調電圧生成回路
JP3121714B2 (ja) 電圧出力回路並びに表示装置の共通電極駆動回路及び表示装置の階調電圧発生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