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0906B1 - 전화통신 시스템의 후크오프 상태 감지방법 - Google Patents

전화통신 시스템의 후크오프 상태 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0906B1
KR100260906B1 KR1019970079851A KR19970079851A KR100260906B1 KR 100260906 B1 KR100260906 B1 KR 100260906B1 KR 1019970079851 A KR1019970079851 A KR 1019970079851A KR 19970079851 A KR19970079851 A KR 19970079851A KR 100260906 B1 KR100260906 B1 KR 100260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tate
key
flag
hooko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9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9639A (ko
Inventor
유현창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9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0906B1/ko
Publication of KR19990059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9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15Detecting
    • H04N1/32728Detecting an off-hook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8Indicating faults in circuits or apparatus
    • H04M3/14Signalling existence of persistent "off-hook"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전용의 제어부를 통해 전화 라인과 음성 단말 혹은 비음성 단말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라인 인터페이스 회로(LIU; Line Interface Unit)를 채택한 전화통신 시스템에서; 온후크 키(on-hook key; OHD)가 눌려질 때마다 임의로 설정한 후크오프 플래그(hook off flag)를 세트(set; '1') 혹은 리세트(reset; '0') 하여 그의 온/오프(on/off) 상태를 표시해 두었다가, 통신상의 오류로 인해 라인 인터페이스 회로의 제어부가 핸드세트(hand set)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이면서 동시에 온후크 키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인 것으로 알려왔을 때에는 후크오프 플래그의 상태를 검사하여 그 결과를 통해 핸드세트에 의한, 혹은 온후크 키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를 감지하므로, 후크오프 상태의 올바른 감지를 통해 시스템의 오동작을 막아주며 그에 따라 신뢰도가 향상된다.

Description

전화통신 시스템의 후크오프 상태 감지방법
본 발명은 전화통신 시스템의 후크오프(hook off) 상태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용의 제어부를 통해 전화 라인과 음성 단말 혹은 비음성 단말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라인 인터페이스 회로(Line Interface Unit; 이하 'LIU'라 칭함)를 채택한 전화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전화통신 시스템의 제어부가 LIU의 제어부와의 통신을 통해 핸드세트(hand set)에 의한, 혹은 온후크 키(on-hook key; OHD)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팩시밀리는 정지 화상을 전화 회선을 통해 송수신하는 모사전송장치로서, 화상처리 부분과 팩시밀리 송신에 필요한 다이얼링 및 송수신에 관계된 음성 통화를 하기 위한 음성처리 부분으로 크게 구분하여 볼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팩시밀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로서, 이를 참조해보면, 팩시밀리의 제어부(이하 'CPUFAX'라 칭함)(1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팩시밀리의 송신 모드, 수신 모드 및 복사 모드 등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이를 위해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를 내장하거나 또는 참조부호 90과 같이 외부의 메모리와 연결된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팩시밀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조작패널(OPE; Operating Panel)(20)은 키 매트릭스(key matrix)와 표시부 등으로 구성되는데, 키 매트릭스는 사용자가 각 모드의 지정 및 지정된 모드의 동작 실행을 위해 누르는 키-예를 들면,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에 따른 데이터를 발생하여 CPUFAX(10)로 출력하고, 표시부는 CPUFAX(10)에서 각 모드를 수행할 때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센서부(30)는 원고의 입력 유무 및 인쇄 용지의 유무를 감지하여 CPUFAX(10)에 알린다. 스캐너(40)는 입력되는 원고를 이동시키며 원고의 화상을 스캐닝 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 출력하고, 화상처리부(50)는 스캐너(40)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배경(background)과 본문(text)으로 구별하거나 중간조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등의 처리를 함으로써 수신측에서 원본의 화상과 동일한 화상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프린터(60)는 CPUFAX(10)의 제어를 받아 수신 모드 및 복사 모드 수행시 화상처리부(50)에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인쇄 용지에 인쇄한다. 모뎀(70)은 CPUFAX(10)와 함께 전화 라인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비음성 단말로서, CPUFAX(10)의 제어를 받아 송신 모드 시에는 화상처리부(50)에서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를 송신 형태 즉 팩시밀리의 표준 규격에 따라 변조하여 전송하고, 수신 모드 시에는 전화 라인(Tip, Ring)을 통해 입력되는 부호화된 화상 신호를 원래의 형태로 복조한다. LIU(80)는 CPUFAX(10)의 제어를 받아 전화 라인과 모뎀(70) 사이의 송수신 통로를 형성하거나, 전화 라인과 전화기 사이의 송수신 통로를 형성하는 등의 라인 인터페이싱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팩시밀리는, 각 구성 요소들을 설계하는 데 새로운 기술들이 도입되고 있는 바 LIU도 예외는 아니며, 최근에는 전용의 제어부를 통해 전화 라인과 음성 단말 혹은 비음성 단말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식의 LIU가 사용되기도 한다.
도 2는 전용의 제어부를 구비한 LIU 및 그 주변장치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LIU(80)는, 교류 전원을 직류 변환하여 사용하는 주변장치들(모뎀, CPUFAX등)과는 달리 교환기(200)로부터 직류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LIU(80)는 하나의 집적회로(single chip) 형태를 갖기도 한다.
그리고, LIU(80)는 중앙처리장치나 그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디지털 로직(이하 편의상 'CPULIU'이라 칭함)를 구비하는데, CPULIU(82)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와 같은 통신 포트(83)를 통해 CPUFAX(10)와 필요한 명령 및 LIU(80)의 상태 정보(status; LIU와 전화 라인 사이의 상황 및 그 변화를 감지한 데이터)를 주고받음으로써 라인 인터페이스부(86)를 통한 라인 인터페이싱을 수행한다.
또한 CPULIU(82)는, 통신 포트(83)를 통해 CPUFAX(10)로부터 수신된 다이얼 디지트 정보나 키 매트릭스(21)를 통해 입력된 다이얼 디지트 정보를 다이얼러(85)로 전달하여 다이얼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CPULIU(82)는 스위칭부(84)를 제어하여, 다이얼 톤(tone) 혹은 다이얼 펄스(pulse)를 송출하기 위해 다이얼러(85)를 전화 라인에 연결하거나, 음성 단말인 핸드세트(100)를 스피치 네트워크(87)를 통해 전화 라인에 연결하여 음성 경로(VP; voice path)를 형성하거나, 비음성 단말인 모뎀(70)을 모뎀 인터페이스부(81)를 통해 전화 라인에 연결하여 비음성 경로(NVR; non-voice path)를 형성한다.
CPULIU(82)는 통신 포트(83)를 통해 CPUFAX(10)에 전달하는 LIU(80)의 상태 정보 가운데에는 후크오프 상태에 관한 정보도 포함되는데, 현재의 후크오프 상태가 핸드세트(100)에 의해 후크오프된 상태인지 아니면 키 매트릭스(21)에 구비된 온후크 키에 의해 후크오프된 상태인지를 기 약속된 바에 따라 각각을 위해 할당된 비트를 세트(set; '1')하거나 리세트(reset; '0') 하여 전달한다.
그러나 통신상의 오류가 발생하면, CPUFAX(10)는 후크오프 상태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전달받게 되는데, CPULIU(82)와의 통신중 상기한 두 개의 정보 비트 중 임의의 한 비트에 오류가 발생하여 두 비트 모두 세트된 상태가 되면, CPUFAX(10)는 결코 양립할 수 없는 상태인 핸드세트(100)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인 동시에 온후크 키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라는 잘못된 정보를 전달받는다.
이러한 경우는 정의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CPUFAX(10)는 핸드세트(100)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그에 따른 해당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실제로 현재의 상태가 핸드세트(100)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였으면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그와는 반대로 온후크 키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였다면 CPUFAX(10)가 잘못된 작업을 수행한 것이 되는 결과를 낳는다.
결국, 시스템의 오동작으로 인한 신뢰도의 저하라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신상의 오류로 인해 CPULIU가 후크오프 상태를 잘못 알려왔을 때에도 온후크 키의 온/오프(on/off) 상태를 표시해둔 소정의 플래그(flag)를 통해 후크오프 상태를 올바로 감지할 수 있는 전화통신 시스템의 후크오프 상태 감지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팩시밀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서 라인 인터페이스 회로의 상세 구성을 그 주변장치들과 함께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크오프 상태 감지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팩시밀리의 제어부 20 : 조작패널
21 : 키 매트릭스 30 : 센서부
40 : 스캐너 50 : 화상처리부
60 : 프린터 70 : 모뎀
80 : 라인 인터페이스 회로 81 : 모뎀 인터페이스부
82 : 라인 인터페이스 회로의 제어부
83 : 통신 포트 84 : 스위칭부
85 : 다이얼러 86 : 라인 인터페이스부
87 : 스피치 네트워크 100 : 핸드세트
200 : 교환기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용의 제어부를 통해 전화 라인과 음성 단말 혹은 비음성 단말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LIU를 채택한 전화통신 시스템에서, 전화통신 시스템의 제어부가 LIU의 제어부와의 통신을 통해 핸드세트에 의한, 혹은 온후크 키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온후크 키가 눌려질 때마다, 임의로 설정된 후크오프 플래그(hook off flag)를 세트 혹은 리세트 하여 온후크 키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해두고; 통신상의 오류로 인해, LIU의 제어부가 핸드세트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이면서 동시에 온후크 키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인 것으로 알려오면, 후크오프 플래그의 상태를 검사하여 그 결과를 통해 핸드세트에 의한, 혹은 온후크 키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후크오프 플래그가 세트 상태이면 온후크 키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고, 후크오프 플래그가 리세트 상태이면 핸드세트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인 것으로 감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통신 시스템의 후크오프 상태 감지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따라서 도 3a와 도 3b로 나누어 도시하였다.
도 3a는 온후크 키의 상태를 감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부분이며, 도 3b는 도 3a에서 수행한 동작의 결과와 CPULIU로부터 전달된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후크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먼저 도 3a를 살펴보면, 키 스캔을 통해 입력된 키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고(S11, S12), 해당 키에 대한 작업을 처리하되(S13, S14), 입력된 키가 온후크 키이면, 그 상태를 후크오프 플래그에 표시해둔다.
이때, 후크오프 플래그의 상태를 먼저 검사하는데(S15), 후크오프 플래그가 '0'으로 리세트된 상태이면 이를 '1'로 세트하고(S16), 후크오프 플래그가 '1'로 세트된 상태이면 이를 '0'으로 리세트 한다(S17). 즉, 후크오프 플래그의 상태를 토글(toggle) 시키는데, 온후크 키가 눌려짐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토글되기 때문이다. 달리 말해서 온후크 키가 온 상태이면 후크오프 플래그를 '1'로 세트하고, 온후크 키가 오프 상태이면 후크오프 플래그를 '0'으로 리세트한다.
도 3b를 살펴보면, CPULIU로부터 상태 정보가 전달되면 핸드세트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핸드세트 비트와 온후크 키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온후크키 비트를 각각 검사하고(S21, S22, S24) 그에 따른 해당 작업을 처리한다.
물론, 핸드세트 비트가 '1'이고 온후크키 비트가 '0'이면, 핸드세트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고 그에 따른 해당 작업을 처리하지만(S25), 핸드세트 비트가 '0'이고 온후크키 비트가 '1'이면, 온후크키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고 그에 따른 해당 작업을 처리한다(S26).
한편, 핸드세트 비트가 '1'이고 온후크키 비트가 '1'이면, 후크오프 플래그를 검사하여 그 상태에 따라 해당 후크오프 상태에 따른 작업을 처리한다(S23, S25, S26).
이때, 후크오프 플래그가 '1'이면 온후크 키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에 대한 작업을 처리하고, 후크오프 플래그가 '0'이면 핸드세트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에 대한 작업을 처리한다.
이를 도 2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CPUFAX(10)는 수시로 키 매트릭스(21)에 구비된 키들을 스캔하여 입력된 키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S11, S12). 이때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키가 눌려지면 CPUFAX(10)는 그 키가 온후크 키인지의 여부를 검사하고(S13), 그에 따라 내부에 임의로 설정된 후크오프 플래그의 상태를 토글시킨다. 즉, 후크오프 플래그의 상태를 검사하여 그 상태가 '0'이면 '1'로, '1'이면 '0'으로 바꾸어 온후크 키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해둔다(S15, S16, S17).
물론, 눌려진 키가 온후크 키가 아니면, CPUFAX(10)는 해당 키에 대한 작업을 처리한다(S14).
이후, CPULIU(82)에서 통신 포트(83)를 통해 LIU(80)의 상태 정보를 CPUFAX(10)에 전달해오면, CPUFAX(10)는 전달된 정보 비트 중 핸드세트 비트를 검사한다(S21). 이때 핸드세트 비트가 '0'이면 온후크키 비트를 검사하는데, 여기서 온후크키 비트가 '1'이면 온후크 키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여, 그에 따른 해당 작업을 처리한다(S24, S25).
물론 이때의 온후크키 비트가 '0'이라면 후크오프 상태가 아니므로, CPUFAX(10)는 현재의 작업을 종료한다.
그리고, 상기 핸드세트 비트를 검사한 결과 핸드세트의 비트가 '1'이어도, CPUFAX(10)는 역시 온후크키 비트를 검사하는데, 이때 온후크키 비트가 '0'이면 핸드세트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인 것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해당 작업을 처리한다(S22, S26).
그러나, 온후크키 비트가 '1'이면 문제가 달라지는데, 핸드세트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와 온후크 키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는 양립할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이며, 이는 분명히 통신을 통해 CPULIU로부터 CPUFAX로 상태 정보 전달시 오류가 발생한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CPUFAX(10)는 내부의 후크오프 플래그를 검사하여 그 결과에 따라 해당 후크오프 상태에 따른 작업을 처리하는데, 후크오프 플래그가 '1'이면 온후크 키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에 따른 작업을 처리하고, 이와 반대로 후크오프 플래그가 '0'이면, 핸드세트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에 따른 작업을 처리한다(S23, S25, S26).
이처럼, CPUFAX(10)는 통신상의 오류로 인해 CPULIU(82)가 후크오프 상태를 잘못 알려왔을 때에도 정확한 후크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 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상의 오류로 인해 LIU의 제어부가 후크오프 상태를 잘못 알려왔을 때에도 후크오프 플래그에 표시해둔 온후크 키의 온/오프 상태를 통해 후크오프 상태를 올바로 감지함으로써, 시스템의 오동작을 막아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용의 제어부를 통해 전화 라인과 음성 단말 혹은 비음성 단말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라인 인터페이스 회로(LIU; Line Interface Unit)를 채택한 전화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전화통신 시스템의 제어부가 상기 라인 인터페이스 회로의 제어부와의 통신을 통해 핸드세트(hand set)에 의한, 혹은 온후크 키(on-hook key; OHD)에 의한 후크오프(hook off)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온후크 키가 눌려질 때마다, 임의로 설정된 후크오프 플래그(hook off flag)를 세트(set; '1') 혹은 리세트(reset; '0') 하여 상기 온후크 키의 온/오프(on/off) 상태를 표시해두고;
    통신상의 오류로 인해, 상기 라인 인터페이스 회로의 제어부가 상기 핸드세트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이면서 동시에 상기 온후크 키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인 것으로 알려오면, 상기 후크오프 플래그의 상태를 검사하여 그 결과를 통해 상기 핸드세트에 의한, 혹은 상기 온후크 키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통신 시스템의 후크오프 상태 감지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오프 플래그가 세트 상태이면 상기 온후크 키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통신 시스템의 후크오프 상태 감지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오프 플래그가 리세트 상태이면 상기 핸드세트에 의한 후크오프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통신 시스템의 후크오프 상태 감지방법.
KR1019970079851A 1997-12-31 1997-12-31 전화통신 시스템의 후크오프 상태 감지방법 KR100260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851A KR100260906B1 (ko) 1997-12-31 1997-12-31 전화통신 시스템의 후크오프 상태 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851A KR100260906B1 (ko) 1997-12-31 1997-12-31 전화통신 시스템의 후크오프 상태 감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639A KR19990059639A (ko) 1999-07-26
KR100260906B1 true KR100260906B1 (ko) 2000-07-01

Family

ID=19530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9851A KR100260906B1 (ko) 1997-12-31 1997-12-31 전화통신 시스템의 후크오프 상태 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09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639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0906B1 (ko) 전화통신 시스템의 후크오프 상태 감지방법
KR100257265B1 (ko) 사용자간 신호방식 기능을 제공하는 팩시밀리 및 이를 이용한메시지 송수신 방법
KR100238151B1 (ko) 팩시밀리 장치에서 원고 송수신 및 전화통화 동시 수행 방법
KR100265042B1 (ko) 전송결과정보를 수신측 전자우편주소로 전송하는 방법
KR100486511B1 (ko) 교환기의다중링신호발생및검출장치
KR970003418B1 (ko) 수신모드 원격조정을 위한 팩시밀리 인터페이스 장치
KR100277730B1 (ko) 수신측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229027B1 (ko) 음성단말과 비음성 단말 공유형 라인 인터페이스회로 및 방법
GB2313252A (en) FAX interface
KR100338067B1 (ko) 팩시밀리의 송/수신 모드 변경방법
KR100280176B1 (ko) 네트워크작동상태표시장치및방법
KR100318728B1 (ko) 종합정보통신망에연동되는팩시밀리에서의통화요금표시장치및방법
KR19990042734A (ko) 종합정보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팩시밀리의 통화요금 표시방법및 그 장치
JPH06178004A (ja) 通信端末装置
JP2019004239A (ja) 通信装置
JPH0423563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5175529A (ja) 通信装置
KR19990051940A (ko) 라인 인터페이스 유닛의 인터페이싱 방법
GB2311686A (en) Monitoring FAX connection
JP2002164962A (ja) 網制御装置
KR19980072383A (ko) 통신단말기에서 수신 식별코드에 따른 착신 링 수신방법
KR19990069717A (ko) 팩시밀리의 서로 다른 종료음 출력방법
KR19980029914A (ko) 팩시밀리에서 선로접속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
KR19990075201A (ko) 팩시밀리의 설정 모드 변경방법 및 그 회로
KR19980057498A (ko) 팩시밀리 장치에서의 송신 가입자 식별정보를 이용한 선별 프린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