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0091B1 - 디바이스 상태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상태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0091B1
KR100260091B1 KR1019970081715A KR19970081715A KR100260091B1 KR 100260091 B1 KR100260091 B1 KR 100260091B1 KR 1019970081715 A KR1019970081715 A KR 1019970081715A KR 19970081715 A KR19970081715 A KR 19970081715A KR 100260091 B1 KR100260091 B1 KR 100260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processor
unit
upper processor
manag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1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1456A (ko
Inventor
한상희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70081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0091B1/ko
Publication of KR19990061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1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04L43/065Generation of reports related to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DX-100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 구조에서 각 서브시스템 단위로 구성된 분산 제어 시스템의 상위 프로세서별로 발생한 모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장애를 검출하여 가시 및 가청 경보를 구동하고 경보의 종류, 발생 위치, 발생 등급, 경보의 내용을 결정하여 경보 메시지를 운용자에게 보내는 디바이스 상태 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교환기 시스템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상위 프로세서에서 종합하여 경보의 종류, 발생 위치, 발생 등급, 경보의 내용을 결정하여야 하므로 상위 프로세서의 하중이 증가하며, 각 디바이스 별 경보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교환기 전체의 상황을 파악하여 교환기에 영향이 있는 경보만을 출력하는 결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해당 상위 프로세서(100)가 비정상이면, 하위의 TP(110∼114) 및 디바이스 경보를 처리 하지 않고, TP(110∼114)가 비정상이면, 하위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를 하지 않으므로써, 불필요한 경보 처리를 하지 않으며, 각각의 디바이스 제어부(120∼124)에서는 해당 디바이스 제어부(120∼124)에서 제어하는 디바이스의 오류 상태를 알아 해당 디바이스의 경보를 검출함으로써, 상술한 결점을 개선시킬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디바이스 상태 출력 장치
본 발명은 디바이스 상태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TDX-100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 구조에서 각 서브시스템 단위로 구성된 분산 제어 시스템의 상위 프로세서별로 발생한 모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장애를 검출하여 가시 및 가청 경보를 구동하고 경보의 종류, 발생 위치, 발생 등급, 경보의 내용을 결정하여 경보 메시지를 운용자에게 보내는 디바이스 상태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전자 교환기의 시스템 구조는 각 서브시스템 단위로 구성된 분산 제어 시스템이므로 각 서브시스템의 상위 프로세서 별로 발생한 모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장애를 검출하여 가시 및 가청 경보를 구동하고 경보의 종류, 발생 위치, 발생 등급, 경보의 내용을 상위 프로세서에서 결정하여 경보 메시지를 터미널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시스템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상위 프로세서에서 종합하여 경보의 종류, 발생 위치, 발생 등급, 경보의 내용을 결정하여야 하므로 상위 프로세서의 하중이 증가하며, 각 디바이스 별 경보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교환기 전체의 상황을 파악하여 교환기에 영향이 있는 경보만을 출력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경보 처리를 구현하는데 있어 각 디바이스 제어부(DSP171/172/173)에서 디바이스 별 상태를 알아내어 운용자가 디바이스 별 경보 출력 경위를 볼 수 있는 출력 기능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디바이스 제어부에서 경보를 종합하여 종합된 정보를 TP를 통하여 상위 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하여 상위 프로세서의 하중을 덜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시지 및 제어 신호 등을 상위로 전송하는 다수의 디바이스로부터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하위 프로세서(Telephony Processor, 이하 TP라 약칭함) 내의 장애 처리 정합부와 연동하여 발생된 장애 정보를 출력하고 오류 정보 출력 및 경보에 관한 MMC 명령어를 처리하여 수집된 경보 처리하는 기 설정된 상위 프로세세 내의 장애 관리부와, 장애 관리부와 연결되어 장애 관리부에 저장된 오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MMC 명령어를 구현한 운용자 터미널과, 장애 관리부와 연결되며, TP에 실장되어 장애 관리부와 운용 체제 간의 정합하는 장애 처리 정합부와, 디바이스 버스 제어기 경보 및 디바이스 제어부의 탈 실장 정보를 검출하여 상위 프로세서로 보고하는 TP의 운용 체제와, 다수의 디바이스 간에 HIT 통신하도록 펌웨어를 가지며 각각의 디바이스 정보 등을 수집하고 이를 상위의 TP로 보고하며, HIT 통신 할 수 있도록 하는 디바이스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상태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디바이스 상태 출력하기에 적합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따라 디바이스 상태 출력하기에 적합한 구성의 일 부분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디바이스 상태 출력하는 단계를 설명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상위 프로세서 110∼116 : 제 1, 제 2, ..., 제 n 하위 프로세서
120∼126 : 제 1, 제 2, ..., 제 n 디바이스 제어기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메시지 및 제어 신호 등을 상위로 전송하는 다수의 디바이스로부터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하위 프로세서(Telephony Processor, 이하 TP라 약칭함)(110∼114)와, 다수의 디바이스 간에 HIT 통신하도록 펌웨어를 가지며 각각의 디바이스 정보 등을 수집하고 이를 상위의 TP로 보고하며, HIT 통신 할 수 있도록 하는 디바이스 제어부(120∼124)와, 다수의 하위 프로세서(110∼114)와 연결되며, 다수의 하위 프로세서(110∼114)를 제어하는 상위 프로세서(100)와, 상위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운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며, 교환기로 부터의 정보를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운용자 터미널(10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디바이스 상태 출력하기에 적합한 블록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위 프로세서(100)는 TP(110∼114)와 프로세서간 통신(Inter-Processor Communication, 이하 IPC라 약칭함)을 통하여 통신하며, 디바이스 제어부에서 취합된 데이터를 TP(110∼114)를 통하여 수신하여 해당 디바이스 별로 해당 디바이스에 발생한 오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운용자 터미널(102)에서는 상위 프로세서에서 TP(110∼114)를 통하여 수신한 오류 정보를 운용자의 MMC 명령어를 통하여 상위 프로세서(100)의 장애 관리부(1002)로 상태 출력을 요구하면 해당 디바이스의 상태를 출력한다.
TP(110∼114)는 다수의 디바이스를 디바이스 제어부(120∼124)와 연결되어 해당 디바이스로 타임 슬롯을 통하여 통신하며, 각각의 디바이스에서 취합된 경보 데이터를 취합하며, 취합된 경보 데이터를 상위 프로세서(100)로 전송하여 통계 데이터, 과금 데이터, 오류 발생에 따른 경보 데이터에 따라 처리하도록 한다.
그리고, 각각의 디바이스 제어부(120∼124)는 다수의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상술한 메시지 및 제어 신호 등을 다수의 디바이스에서 TP(110∼114)로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제어한다.
디바이스 제어부(120∼124)는 TP(110∼114)와 연결되어 TP(110∼114)의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며, TP(110∼114)와의 HIT 버스 통신을 위하여 각각의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TDM(Time Division Multiplexed) 정합을 지원하여 1 개의 물리 채널을 32 개의 논리 채널로 분배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디바이스 제어부(120∼124)는 TP(110∼114)와 DPRAM을 사이에 두고 TP(110∼114)에 탑재된 운영 체제와 통신한다.
디바이스 제어부(120∼124)내에는 1 개의 독립된 펌웨어(firmware)가 ROM으로 탑제되어 각각의 디바이스 제어부(120∼124) 내부의 DPRAM 및 RAM등을 제어하며, TP(110∼114)와 해당 각각의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제어한다.
디바이스 제어부(120∼124)는 SCC(Serial Communication Control)를 통하여 통신하며, 시리얼 채널을 32개의 타임 슬롯으로 분할하여 통신이 가능하다.
HIT 버스 통신의 경우 슬라이딩 윈도우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각각의 슬라이딩 윈도우 프로토콜은 송수신 동기 정보의 관리체계로서, 서로의 슬라이딩 윈도우 정보를 일치시켜 나중에 데이터 및 데이터의 주소 등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모든 정보의 주소가 변경되지 않도록 동기시켜 준다.
도 2를 참조하여 도 1에 따라 디바이스 상태 출력하기에 적합한 구성의 일 부분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임의의 상위 프로세서(100) 내의 장애 관리부(1002)는 소프트웨어 블록으로써, TP(110) 내의 장애 처리 정합부(1102)와 연동하여 발생된 장애 정보를 출력하고 오류 정보 출력 및 경보에 관한 MMC 명령어를 처리한다.
장애 관리부(1002)는 발생된 하드웨어 경보, 소프트웨어 경보, 장애등 각종 장애 메시지를 입력 받아 분석된 장애 및 경보에 대하여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출력 메시지를 구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수록하며 각 경보의 가청 경보, 가시 경보 구동을 위하여 필요 정보를 RS-232C 통신으로 RAPU(Remote Alarm Panel Unit)를 제어, 해당 장비의 장애/복구 메시지를 운용자가 알 수 있도록 출력 메시지를 구성한다.
장애 관리부(1002)에서는 운용자 터미널(102)를 통하여 운용자로부터 경보 관련 MMC, 즉, 경보 억제 출력, 경보 등급 변경, 경보 메스킹(masking), RAPU 상태 출력 및 구동에 관한 요구 등을 받아 처리한 후 결과를 운용자에게 알려준다.
TDX-100에서 경보 처리 구조는 계층 구조는 상위 프로세서(100)<--TP (RTP, SRTP)<--디바이스 순으로 가지고 있어서 이러한 경보 처리를 구현하는데 있어 각 디바이스 별 상태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디바이스 제어부(120∼124)의 펨웨어에 자신이 제어하는있는 디바이스에 대한 경보 검출 기능을 가지는 구조이다.
자신이 제어하는있는 디바이스에 대한 경보 검출 기능은 망 동기부(1202), 시스템 로더(1204), 가입자 정합부(1206), 아날로그 가입자 정합부(1208), 1차 CEPT 정합부(1210), 디지털 중계선 정합부(1212), T1 디지털 중계선 정합부(1214), 기본 속도 가입자 정합부(1216), 1 차군 속도 가입자 정합부(1218), ISDN 가입자 정합부(1220), NO.7 처리부(1222), 타임 스위치 링크(1224), 패킷 처리부(1226), ISDN 보드 시험부(1228), 시험 장치 제어부(1230), 원격 가입자 정합 장치 망동기부(1232), 부품 장착도(1234), 기본 디지털 가입자 다중 정합부(1236), RASM과 ASS간 정합부(1238), SRASM과 ASS간 정합부(1240), 광 가입자 정합부(1242), 원격 가입자 정합부(1244) 등을 두어 해당 블록에서는 각각의 디바이스 보드들을 감시하여 해당 디바이스 보드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오류 발생 하였음을 인지한다.
운용자 터미널(102)에는 디바이스 제어부(120∼124)에 저장된 오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TDX-100 시스템의 각 프로세스별 디바이스 제어부(120∼124), 디바이스 상태, 액티브 사이드 상태, 스탠바이 사이드 상태, HIT 버스 상태, 오류 정보 테이블의 접근 상태, 포트 번호 상태 정보 등을 출력하도록 하는 MMC를 구현하였다.
TDX-100에서 경보 처리 구조는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해당 상위 프로세서가 비정상이면, 하위의 TP(110) 및 디바이스 경보를 처리 하지 않고, TP(110)가 비정상이면, 하위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를 하지 않는다.
장애 관리부(1002)가 상위 프로세서(100)에 실장되고 장애 처리 정합부(1102)가 TP(110)에 실장된다.
상위 프로세서(100)의 장애 관리부(1002)는 상위 프로세서(100) 및 TP(110)와 IPC 통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고, TP(110)는 상위 프로세서(100)와는 IPC 통신, 하며, 디바이스와는 HIT-버스 통신으로 정보를 송수신한다.
TDX-100 전전자 교환기에서 디바이스 경보 처리는 디바이스 버스 제어기 경보 및 디바이스 제어부(120)의 탈 실장 정보는 TP(110)의 운용 체제(1104)인 DAVID에서 검출하여 상위 프로세서(100)로 보고한다.
측정 및 통계 제어부(1302) 및 IPC 관리 정합부(1304)의 경보 처리는 DSPA261 보드(130)의 펌웨어에서 경보를 검출하여 TP(110)을 거치지 않고 상위 프로세서(100)로 경보 전송한다.
그리고, 측정 및 통계 제어부(1302) 및 IPC 관리 정합부(1304)의 디바이스를 제외한 타 디바이스에 대한 경보는 해당 디바이스 제어부(120)의 펌웨어에서 검출하여 TP(110)를 통하여 해당 상위 프로세세(100)로 전달되어 경보 처리를 수행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디바이스 상태 출력하는 단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운용자는 운용자 단말기(102)를 통하여 디바이스 상태 출력을 요청하는 명령어를 입력한다(단계 302).
입력된 MMC 명령의 파라미터가 올바르게 입력되었는가 판단한다(단계 304).
단계 304에서 판단하여 명령어의 오류 또는 파라미터가 미리 정해진 파라미터가 입력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파라미터 오류 처리하여 운용자 단말기에 파라미터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306).
단계 304에서 체크하여 명령어 파라미터가 올바르게 입력된 것으로 판단된면, 해당 상위 프로세서에 오류가 발생하였는가 판단한다(단계 308).
단계 308에서 판단하여 상위 프로세서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태가 오류 상태거나 또는 다운으로 처리하여 운용자 터미널(102)을 통하여 오류 또는 다운 현상이 발생하였음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310).
들어온 파리미터를 통해 각 상위 프로세서에 로딩되어 있는 오류 정보 테이블에 접근 가능한지 판단한다(단계 312).
단계 312에서 판단하여 각 상위 프로세서에 로딩되어 있는 오류 정보 테이블에 접근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운용자 터미널(102)에 오류 정보 테이블에 접근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314).
단계 312에서 판단하여 각 상위 프로세서에 로딩되어 있는 오류 정보 테이블에 접근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수집된 오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316).
특정 장치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원리를 전술하였는데, 이러한 기술된 바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해당 상위 프로세서(100)가 비정상이면, 하위의 TP(110∼114) 및 디바이스 경보를 처리 하지 않고, TP(110∼114)가 비정상이면, 하위의 디바이스 경보 처리를 하지 않으므로써, 불필요한 경보 처리를 하지 않으며, 각각의 디바이스 제어부(120∼124)에서는 해당 디바이스 제어부(120∼124)에서 제어하는 디바이스의 오류 상태를 알아 해당 디바이스의 경보를 검출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메시지 및 제어 신호 등을 상위로 전송하는 다수의 디바이스로부터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하위 프로세서(Telephony Processor, 이하 TP라 약칭함)(110) 내의 장애 처리 정합부(1102)와 연동하여 발생된 장애 정보를 출력하고 오류 정보 출력 및 경보에 관한 MMC 명령어를 처리하여 수집된 경보 처리하는 기 설정된 상위 프로세세(100) 내의 장애 관리부(1002)와,
    상기 장애 관리부(1002)와 연결되어 상기 장애 관리부(1002)에 저장된 오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MMC 명령어를 구현한 운용자 터미널(102)과,
    디바이스 버스 제어기 경보 및 상기 디바이스 제어부(120)의 탈 실장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상위 프로세서(100)로 보고하는 상기 TP(110) 내의 운용 체제(1104)와,
    상기 장애 관리부(1002)와 연결되며, 상기 TP(110)에 실장되어 상기 장애 관리부(1002)와 상기 운용 체제(1104) 간의 정합하는 장애 처리 정합부(1102)와,
    다수의 디바이스 간에 HIT 통신하도록 펌웨어를 가지며 각각의 디바이스 정보 등을 수집하고 이를 상위의 상기 TP(110)로 보고하며, HIT 통신 할 수 있도록 하는 디바이스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상태 출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웨어는
    측정 및 통계 제어부(1302) 및 IPC 관리 정합부(1304)의 경보 처리는 경보를 검출하여 상위 프로세서(100)로 경보 전송하며, 상기 측정 및 통계 제어부(1302) 및 상기 IPC 관리 정합부(1304)의 디바이스를 제외한 타 디바이스에 대한 경보를 검출하여 TP(110)를 통하여 해당 상위 프로세세(100)로 전달되어 경보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상태 출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오류 정보 디스플레이는,
    운용자는 운용자 단말기(102)를 통하여 디바이스 상태 출력을 요청하는 명령어를 입력하는하여 입력된 MMC 명령의 파라미터가 올바르게 입력되면, 상위 프로세서(100)는 각 상위 프로세서에 로딩되어 있는 오류 정보 테이블에 접근하여 상위 프로세서(100)에 해당 수집된 오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상태 출력 장치.
KR1019970081715A 1997-12-31 1997-12-31 디바이스 상태 출력 장치 KR100260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715A KR100260091B1 (ko) 1997-12-31 1997-12-31 디바이스 상태 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715A KR100260091B1 (ko) 1997-12-31 1997-12-31 디바이스 상태 출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456A KR19990061456A (ko) 1999-07-26
KR100260091B1 true KR100260091B1 (ko) 2000-07-01

Family

ID=19530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1715A KR100260091B1 (ko) 1997-12-31 1997-12-31 디바이스 상태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00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068A (ko) * 2001-02-08 2002-08-14 주식회사 리더컴 전송시스템의 가청 메시지를 이용한 작동상태 표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456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105384A (ja) 電子交換機におけるlan管理システム
KR100260091B1 (ko) 디바이스 상태 출력 장치
CN114463957A (zh) 换电柜故障诊断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0175595B1 (ko) 비동기식전송방식(atm) 장치에서 단순망관리규약(snmp)을 사용한 원격지에서의 장애관리방법
Cisco VCO/4K Card Overview
Cisco Troubleshooting
Cisco Troubleshooting
JP3533049B2 (ja) Atm通信装置の監視方法
JPH0648791B2 (ja) 伝送装置における監視情報を収集する装置
KR100236828B1 (ko) 시분할 전전자 교환기 디지틀 중계선 테스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U2207631C2 (ru) Комплект аппаратуры атс системы охранно-пожар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KR100499908B1 (ko) 오류 감시 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JP3379860B2 (ja) ネットワーク監視システム
KR960001084B1 (ko) 교환기의 프로세서간 통신망에서 노드의 경보발생 노드 확인 방법
KR950011481B1 (ko) 교환기의 프로세서간 통신망에서 노드의 경보주소 생성방법 및 경보주소 생성시스템
KR0161153B1 (ko) 중앙제어서브시스템과 연결망 서브시스템의 유지보수처리 기능을 갖는 교환기
KR100645369B1 (ko) Atm신호방식의 메세지 추적 알고리즘에 따른 가입자 및네트워크 상태 관리 방법
KR100328182B1 (ko)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원격 경보 구동 패널 유닛의 링크경보 검출방법
KR0175454B1 (ko) 시스템 경보상태 파악을 위한 경보처리 보고 시스템
KR100308065B1 (ko) 전자교환기 집중운용보전 이중화 방법 및 장치
KR100222414B1 (ko) 가입자 감시/감청 동시 수행방법
KR100630172B1 (ko) 교환 시스템의 통화로계 장비 경보 감사 장치
JPH08335939A (ja) ネットワーク監視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監視システム
KR100202990B1 (ko)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경보 판별 장치
KR950003685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가입자 신호기 및 국간중계 신호기의 상태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