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9973B1 - Nor형 마스크 롬 - Google Patents

Nor형 마스크 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9973B1
KR100259973B1 KR1019970010492A KR19970010492A KR100259973B1 KR 100259973 B1 KR100259973 B1 KR 100259973B1 KR 1019970010492 A KR1019970010492 A KR 1019970010492A KR 19970010492 A KR19970010492 A KR 19970010492A KR 100259973 B1 KR100259973 B1 KR 100259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lines
memory cell
numbered
cell blocks
sel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0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4603A (ko
Inventor
장철웅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0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9973B1/ko
Publication of KR19980074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4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7/00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 G11C17/08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bipolar elements
    • G11C17/10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bipolar elements in which contents are determined during manufacturing by a predetermined arrangement of coupling elements, e.g. mask-programmable ROM
    • G11C17/12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bipolar elements in which contents are determined during manufacturing by a predetermined arrangement of coupling elements, e.g. mask-programmable ROM using field-effect devices
    • G11C17/126Virtual ground arra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7/00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 G11C17/14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in which contents are determined by selectively establishing, breaking or modifying connecting links by permanently altering the state of coupling elements, e.g. PROM
    • G11C17/18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Landscapes

  • Read Only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롬(Mask read only memory:ROM)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NOR형 셀 구조를 갖는 마스크 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회로에 의하면, 누설 전류 패스의 형성에 따른 누설 전류의 양을 줄이거나 누설 전류 패스의 형성을 방지함으로써 센싱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한 메인 비트 라인의 로딩이 연결되는 것을 차단하여 프리챠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고속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아울러, 메인 비트 라인 대 서브 메모리 셀 블럭의 비를 높임으로써 공정상의 마진을 향상시킴으로써 수율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NOR형 마스크 롬(NOR type Mask ROM)
본 발명은 마스크 롬(Mask read only memory:ROM)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NOR형 셀 구조를 갖는 마스크 롬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NOR형 마스크 롬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 NOR형 마스크 롬은 행 프리디코더(row pre-decoder) (20), 블럭 선택 디코더(block select decoder) (40), 워드라인 선택 디코더(wordline select decoder) (60), 그라운드 선택 디코더(ground select decoder) (80), 열 방향으로 분리된 복수 개의 메모리 셀 블럭들(BLKi)(i=0, 1, ···, i+1)로 이루어지는 어레이(array) (100), 행 디코더(row decoder) (200), 열 프리디코더(column pre-decoder) (300), 컬럼 선택 스위치 회로(column select swich circuit) (400), 그리고 감지 증폭기(sense amplifier) (500)로 구성된다. 상기 행 프리디코더(20), 상기 블럭 선택 디코더(40), 상기 워드라인 선택 디코더(60), 그리고 상기 그라운드 선택 디코더(80)는 외부로부터 어드레스 신호들(Ai)이 인가될 때 Pi/Qi 신호들, bsi 신호들, si 신호들, 그리고 gsi 신호들을 각각 발생한다. 상기 신호들 (Pi/Qi), (bsi), (si), (gsi)가 인가되는 사기 행 디코더(200)는 상기 어레이(100)의 복수 개의 메모리 셀 블럭들(BLKi)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과 아울러 상기 선택된 메모리 tpf 블럭의 워드 라인들 중 상기 어드레스 신호들(Ai)에 의해서 선택된 워드라인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열 프리디코더(300)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들(Ai)을 입력받아 컬럼 선택 스위치 회로(400)를 활성화시켜 선택된 메모리 셀 블럭과 상기 감지 증폭기(5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로써, 상기 감지 증폭기(500)는 선택된 소정의 메모리 셀에 의해서 유지되는 셀 데이터를 센싱하게 된다.
도 2a 내지 도 2b에는 도 1의 행 디코더 및 열 프리디코더의 상세회로를 보여주는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된 행 디코더(200)는 도 1의 행 프리디코더(20)로부터 발생되는 Pi/Qi 신호들에 의해서 선택된다. 상기 Pi/Qi 신호들이 로우 레벨("L" level)로 인가될 때 도 2a의 NOR형 게이트(201)에 각 게이트 단자가 접속된 NMOS 트랜지스터들 (202), ···, (205), ···, (208), ···, (211)이 모두 턴-온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들 (202), ···, (205), ···, (208), ···, (211)의 드레인 단자로 인가되는 상기 신호들 (Pi/Qi), (bsi), (si), (gsi)의 상태에 따라 대응되는 인버터들 (204), ···, (207), ···, (210), ···, (213)을 통해 신호들 (BSi), (WLi), (GSi)을 발생한다. 블럭 선택 디코더(40)를 통해 상기 bsi 신호들 중 어느 하나가 로우 레벨로 설정될 때 대응되는 블럭 선택 신호들(BSi)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행 디코더(200)는 메모리 셀 블럭들(BLKi) 중 어느 하나의 메모리 셀 블럭을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워드라인 선택 디코더(60)에 의해서 상기 si 신호들 중 어느 하나가 로우 레벨로 설정될 때, 상기 행 디코더(200)는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 블럭의 워드라인들(WLi) 중 어느 하나의 워드라인을 활성화시킨다. 계속해서, 그라운드 선택 디코더(80)에 의해서 상기 gsi 신호들 중 어느 하나가 로우 레벨로 설정될 때, 상기 행 디코더(200)는 그라운드 선택 신호들 (GSO) 및 (GS1) 중 어느 하나의 그라운드 선택 신호를 하이 레벨로 활성화시킨다. 도 2a에서, 디플리숀 MOS 트랜지스터들(depletion metal oxide simiconductor transistors) (203), (206), (212)은 비선택된 블럭 선택 신호들(BSi), 워드라인들(WLi), 그리고 그라운드 선택 신호들(GSi)의 안정된 동작을 위한 것이다. 하나의 행 디코더(200)에는 (i + 1)개의 메모리 셀 블럭들(BLKi)이 연결되고 워드라인들(WLi)과 그라운드 선택 신호들 (GS0) 및 (GS1)은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BLKi)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같이, 열 프리디코더(300)는 복수개의 낸드 게이트들 (301), (303), (305), ···, (307)과 이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인버터들 (302), (304), (306), ···, (308)을 통해 어드레스 신호들(A0), (A0b), (A1), (A1b), ···, (A3), (A3b)을 조합하여 복수 개의 컬럼 선택 신호들 (YA0), ···, (YA7)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되도록 구성되었다.
도 3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NOR형 마스크 룸의 어레이 및 주변 회로의 등가 회로를 보여주는 회로도가 되어 있다. 도 3에서, 열 방향으로 신장하는 복수 개의 서브 비트 라인들 (SBL1), (SBL2), ···, (SBLj)은 N도전형 확산층(N conductive type diffusion layer) 상에 형성되고, 행 방향으로 신장하는 워드 라인들 (WL1), (WL2), ···, (WLi)은 폴리사이드(polyside)로 형성된다. NOR형의 상기 서브 비트 라인들 (SBL1), (SBL2), ···, (SBLj)과 상기 워드 라인들 (WL0), (WL1), ···, (WLi)은 서로 교차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mn)(m=0, 1, 2, ···, i) (n=0, 1, 2, ···, j)은 그것의 소오스 영역(source region)과 드레인 영역(drain region)이 상기 서브 비트 라인들 (SBL1), (SBL2), ···, (SBLj)과 상기 워드 라인들 (WL0), (WL1), ···(WLi)의 교차 영역들(intersection portions)에 형성되어 있고, 그것의 채널들이 교차 영역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mn)은 채널들의 불순물 확산량을 조절하는 기술에 의해 각각 프로그램된다. 구체적으로, 각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mn)의 프로그램은 제조 공정 중에서 포토 마스크(photo mask)에 의해 프로그램된다. 상기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mn)의 프로그램 방법은 주로 이온 주입(Ion Implant)을 통해 이루어지며, 각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mn)의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을 조절하는 방법이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각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mn)는 온-셀 상태(on-cell state) 즉, 높은 문턱 전압(예컨대, 5볼트)을 갖는 상태와 오프--셀 상태(off-cell state) 즉, 낮은 문턱 전압(예컨대, 0.5볼트)을 갖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프로그램된다. 어느 하나의 상태로 프로그램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의 데이터(정보)를 독출하는 방법은 선택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일정 전압을 인가하고 그것의 소오스-드레인 채널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양을 감지하여 이루어진다. 즉,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mn)은 정보 비트가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에 의해 유지되는지의 유무에 따라 소정의 게이트 전압을 기초로하여 턴-온 또는 턴-오프된다. 이때, 감지 증폭기(500)로부터 공급된 후의 전류 양을 감지하여 프로그램 상태를 판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조의 플랫 셀들(flat cells)에 있어서, N 도전형 확산층이 서브 비트 라인(sub-bit line)으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서브 비트 라인들 (SBL1), (SBL2), ···, (SBLj)의 저항과 접합 커패시턴스(junction capacitance)는 불가피하게 크다. 따라서, NOR형 마스크 롬의 블럭 선택 구조는 서브 비트 라인들 (SBL1), (SBL2), ···, (SBLj)의 저항과 커패시턴스를 줄이기 위해 즉, 고속 독출 동작(high reading operation)을 실현하기 위해 채택되고 있다.
도 3에 보여지는 메모리 셀들에 있어서 단지 i번째 메모리 셀 블럭(BLKi)의 등가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각 메모리 셀 블럭(BLKi)의 홀수번(odd-numbered) 서브 비트 라인들 (SBL1), (SBL3), (SBL5), ···, 등의 위쪽 끝(above end)에는 블럭 선택 라인들(BSi)에 의해서 제어되는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들 (BST1), (BST2), (BST3), ···, 등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짝수번(even-numbered) 서브 비트 라인들 (SBL2), (SBL4), (SBL6), ···, 등의 아래쪽 끝(low end)에는 그라운드 선택 라인들 (GSO) 및 (GS1)에 의해서 각각 제어되는, 번갈아 배치된,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들 (GST1), (GST2), ···, 등이 접속되어 있다. 열 방향으로 신장하는 복수 개의 메인 비트 라인들 (MBL1), (MBL2), ···, 등이 복수 개의 메모리 셀 블럭들(BLKi)에 걸쳐 소정 간격을 두고 병렬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메인 비트 라인들 대 서브 비트 라인들의 비는 1대 2의 비율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컬럼 선택 라인들 (YAi) (i=0, 1, ···, 7)에 의해서 제어되는 컬럼 선택 트랜지스들 (CST1), (CST2), ···, (CST7)을 통해 감지 증폭기(500)에 상기 메인 비트 라인들 (MBL1), (MBL2), ···, 등의 아래쪽 끝이 연결되어 있다. 블럭 선택 라인들(BSi)에 의해서 제어되는 상기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들 (BST1), (BST2), ···, 등을 통해 홀수번 서브 비트 라인들 (SBL1), (SBL3), ···, 등의 위쪽 끝이 대응되는 상기 메인 비트 라인들 (BST1), (BST2), ···, 등에 접속되어 있다. 그라운드 선택 라인들 (GS0) 및 (GS1)에 의해서 각각 제어되는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들 (GST1), (GST2), ···, 등을 통해 짝수번 서브 비트 라인들 (SBL2), (SBL4), ···, 등의 아래쪽 끝이 접지 단자(VSS)에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 셀 블럭들 중 i번째 메모리 셀 블럭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 (M12)에 대한 데이터 독출 동작이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될 것이다. 외부로 부터 어드레스 신호들(Ai)이 인가되는 행 프리디코더(20)에 의해서 Pi/Qi 신호들이 로우 레벨(0볼트)로 설정될 때, 도 2a의 NOR형 게이트(201)에 의해서 행 디코더(200)가 선택됨에 따라 NMOS 트랜지스터들 (202), (205), (208), (211)이 모두 턴-온된다. 계속해서, 도 1의 블럭 선택 디코더(40), 워드라인 선택 디코더(60), 그라운드 선택 디코더(80)는 각각 상기 어드레스 신호들(Ai)을 입력받아 bs0, s0, gs0 신호를 선택함과 아울러 각기 로우 레벨의 상태로 상기 행 디코더(200)로 인가된다.
이에따라, 상기 행 디코더(20)에 의해서 블럭 선택 신호 (BS0), 워드라인 선택 신호 (WL0), 그라운드 선택 신호 (GS0)가 각각 활성화된다. 도 3에서, 상기 블럭 선택 신호 (BS0)에 의해서 제어되는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들 (BST1), (BST2), (BST3), ···, 등이 턴-온됨과 아울러, 상기 홀수번 그라운드 선택 신호 (GS0)에 의해서 제어되는 홀수번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들 (GST1), (GST3), ···, 등이 턴-온된다. 이에따라, 짝수번 서브 비트 라인들 (SBL2), (SBL4), (SBL6), ···, 등이 상기 홀수번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 (GST1), (GST3), ···, 등을 통해 접지된다. 그리고, 활성화된 워드라인 선택 신호 (WL0)에 게이트 전극이 접속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1n)(n=0,1, ···,j)이 모두 선택된다. 이때, 상기 어드레스 신호들(Ai)이 인가되는 열 프리디코더(400)에 의해서 컬럼 선택 신호들(YAi) 중 컬럼 선택 신호 (YA1)가 활성화되어 도 3의 컬럼 선택 스위치 회로(400)의 컬럼 선택 트랜지스터 (CST2)가 턴-온되다. 이로써, 제 2 메인 비트 라인(MBL1)이 감지 증폭기(500)에 접속된다. 계속해서, 상기 선택된 제 2 메인 비트 라인(MBL1)과 이에 연결된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BST2)를 통해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 (M12) 및 (M13)의 접속 영역 즉, 제 3 서브 비트 라인(SBL3)의 위쪽 끝으로 상기 감지 증폭기(500)로부터 공급되는 센싱 전류(sensing current)가 공급된다. 이에따라, 상기 감지 증폭기(500)는 상기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 (M12)의 소오스-드레인 채널 즉, 그것의 양단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감지하여 데이터의 상태를 독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 (M12)의 문턱 전압이 낮게 프로그램되어 있으면, 그것의 채널과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 (GST1)를 통해 접지단자(VSS)로 흐르는 전류의 양이 많게 되어 데이터 "1"(온 셀)임을 독출하게 된다. 반면에, 선택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 (M12)의 문턱 전압이 높게(5.0 볼트 이상) 프로그램되어 있으면, 그것의 채널을 통해 전류는 흐르지 못하게 되어 데이터 "0"(오프 셀)임을 독출하게 된다. 나머지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에 저장된 값들은 상술한 바와같은 방법으로 독출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12)가 오프 셀이고, 동일 워드라인(WL0) 상에 게이트 전극이 접속되고 인접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 (M13), (M14), (M15)이 모두 온 셀일 경우,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 (M12)가 오프 셀의 채널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양이 없어야 정상적인 데이터 "0"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같은 NOR형 마스크 롬에 있어서, 인접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13), (M14), (M15)이 온 셀이고 동일한 워드라인(WL0) 상의 제어를 받게됨에 따라 원하지 않은 누설 전류 통로(leakage current path)가 도 3의 굵은 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형성된다. 이로인해, 데이터 센싱시 누설 전류에 의한 센싱 마진(sensing margin)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생겼다. 또한,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들(BST1), (BST2), ···, 등이 동일한 블럭 선택 라인들(BSi)에 의해서 제어됨에 따라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 (M13), (M14), (M15)을 통해 인접한 제 3 메인 비트 라인(MBL2)의 로딩(loading)이 제 2 메인 비트 라인(MBS1)과 함께 연결된다. 이와 같은 조건에 의해서, 비트 라인 프리챠지시 많은 시간이 요구됨에 따라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도 생겼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데이터 센싱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는 NOR형 마스크 롬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고속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NOR형 마스크 롬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NOR형 마스크 롬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종래 NOR형 마스크 롬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행 디코더 및 열 프리디코더의 회로를 보여주는 회로도.
제3도는 종래 NOR형 마스크 롬의 어레이 및 주변 회로를 보여주는 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따른 NOR형 마스크 롬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제5도는 제4도의 행 디코더 및 열 프리디코더의 회로를 보여주는 회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NOR형 마스크 롬의 어레이 및 주변 회로를 보여주는 회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NOR형 마스크 롬의 어레이 및 주변 회로를 보여주는 회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NOR형 마스크 롬의 어레이 및 주변 회로를 보여주는 회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열 프리디코더의 회로를 보여주는 회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NOR형 마스크 롬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NOR형 마스크 롬의 어레이 및 주변 회로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행 프리디코더 40 : 블럭 선택 회로
50 : 스트링 선택 디코더 60 : 워드라인 선택 디코더
80 : 제 1 그라운드 선택 디코더 90 : 제 2 그라운드 선택 디코더
100 : 어레이 200 : 행 디코더
300 : 열 프리디코더 400 : 컬럼 선택 스위치 회로
500 : 감지 증폭기 600 : 그라운드 선택 스위치 회로
상술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특징에 의하면, 복수 개의 제 1 비트 라인(또는, 서브 비트 라인)들과; 복수 개의 워드 라인들과; 복수 개의 그룹들의 메모리 셀들과; 상기 각 그룹 내의 메모리 셀들은 상기 제 1 비트 라인들 중의 2개의 인접한 것들 사이에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복수 개의 제 2 비트 라인(또는, 메인 비트 라인)들과;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은 4 개의 메모리 셀 그룹 당 하나씩 배열되고; 4개의 상기 그룹들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메모리 셀 블럭들로 나눠지는 어레이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1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과 각각 대응되는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제 1 선택 수단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2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의 제 2 그룹과 제 3 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제 2 선택 수단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3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의 제 1 그룹과 제 4 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제 3 선택 수단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4 선택 신호들에 응답하여, 인접한 메모리 셀 블럭들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제 1 비트라인들 중 홀수번과 짝수번의 상기 제 1 비트 라인들을 선택적으로 접지시키기 위한 제 4 선택 수단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택 수단은; 상기 제 1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대응되는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의 상기 제 2 그룹과 상기 제 3 그룹 사이의 제 1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1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택 수단은; 외부로부터 제 1 홀수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 중 홀수번 제 2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 중 홀수번 메모리 셀 블럭들의 상기 제 2 그룹과 상기 제 3 그룹 사이의 제 1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2 선택 트랜지스터들과, 외부로부터 제 1 짝수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 중 짝수번 제 2 비트 라인들에 각각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 중 짝수번 메모리 셀 블럭들의 상기 제 2 그룹과 상기 제 3 그룹 사이의 제 1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개의 제 3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선택 수단은; 상기 제 2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상기 제 1 선택 수단의 상기 선택 트랜지스터들의 소오스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어레이의 제 1 비트 라인들 중 짝수번의 제 1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4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4 선택 수단은;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접지단자와, 상기 제 4 선택 신호들 중 홀수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인접한 메모리 셀 블럭들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제 1 비트 라인들 중 홀수번의 제 1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접지 단자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개의 제 5 선택 트랜지스터들과, 상기 제 4 선택 신호들 중 짝수번 선택 신호가 이가되는 게이트들과, 인접한 메모리 셀 블럭들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제 1 비트 라인들 중 짝수번의 제 1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접지 단자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6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 선택 수단은; 상기 제 3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상기 어레이의 제 2 비트 라인들 중 짝수번의 제 2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소오스들 및, 상기 제 5 및 제 6 선택 트랜지스터들의 드레인들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7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복수 개의 제 1 비트 라인(또는, 서브 비트 라인)들과; 복수 개의 워드 라인들과; 복수 개의 그룹들의 메모리 셀들과; 상기 각 그룹 내의 메모리 셀들은 상기 제 1 비트 라인들 중의 2개의 인접한 것들 사이에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4개의 상기 그룹들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메모리 셀 블럭들로 나눠지는 어레이와; 복수 개의 제 2 비트 라인(또는, 메인 비트 라인)들과;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은 2 개의 메모리 셀 그룹 당 하나씩 배열되고;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 대 상기 제 2의 비트 라인들의 비는 적어도 2대 1이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1 선택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과 이에 대응되는 홀수번과 짝수번의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을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제 1 선택 수단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2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의 제 2 그룹과 제 3 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제 2 선택 수단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3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의 제 1 그룹과 제 4 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제 3 선택 수단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4 선택 신호들에 응답하여, 인접한 메모리 셀 블럭들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제 1 비트 라인들 중 홀수번과 짝수번의 상기 제 1 비트 라인들을 선택적으로 접지시키기 위한 제 4 선택 수단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택 수단은; 하나의 제 2 비트 라인에 대응되는 2개의 메모리 셀 블럭들 중 홀수번 메모리 셀 블럭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제 1 선택 신호들 중 홀수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대응되는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 중 홀수번 메모리 셀 블럭들의 제 2 그룹과 제 3 그룹 사이의 제 1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1 선택 트랜지스터들과, 하나의 제 2 비트 라인에 대응되는 2개의 메모리 셀 블럭들 중 짝수번의 메모리 셀 블럭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제 1 선택 신호들 중 짝수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대응되는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 중 짝수번 메모리 셀 블럭들이 제 2 그룹과 제 3 그룹 사이의 제 1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2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선택 수단은; 상기 제 2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상기 제 1 선택 트랜지스터들의 각 소오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어레이의 제 1 비트 라인들 중 짝수번의 제 1 비트 라인들에 각각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3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4 선택 수단은;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접지단자와, 상기 제 4 선택 신호들 중 홀수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인접한 메모리 셀 블럭들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제 1 비트 라인들 중 홀수번 제 1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접지 단자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개의 제 4 선택 트랜지스터들과, 상기 제 4 선택 신호들 중 짝수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인접한 메모리 셀 블럭들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제 1 비트 라인들 중 짝수번 제 1 비트 라인들에 각각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접지 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5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 선택 수단은; 상기 제 3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상기 어레이의 제 1 비트 라인들 중 짝수번 제 1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제 4 및 제 5 선택 트랜지스터들의 드레인들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6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복수 개의 제 1 비트 라인들과; 복수 개의 워드 라인들과; 복수 개의 그룹들의 메모리 셀들과; 상기 각 그룹 내의 메모리 셀들을 상기 제 1 비트 라인들 중의 2개의 인접한 것들 사이에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4개의 상기 그룹들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메모리 셀 블럭들로 나눠지는 어레이와; 복수 개의 제 2 비트 라인들과;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은 적어도 2 개의 메모리 셀 그룹 당 하나씩 배열되고; 복수 개의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과;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은 상기 각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 당 하나씩 배열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1 선택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과 이에 대응되는 홀수번과 짝수번의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을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제 1 선택 수단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2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의 제 2 그룹과 제 3 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제 2 선택 수단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3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의 제 1 그룹과 제 4 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제 3 선택 수단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4 선택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과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제 4 선택 수단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5 선택 신호들을 응답하여, 상기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 중 홀수번과 짝수번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을 선택적으로 접지시키기 위한 제 5 선택 수단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택 수단은; 하나의 제 2 비트 라인에 대응되는 2개의 메모리 셀 블럭들 중 홀수번의 메모리 셀 블럭을 선택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선택 신호들 중 홀수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대응되는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 중 홀수번 메모리 셀 블럭의 제 2 그룹과 제 3 그룹 사이의 제 1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1 선택 트랜지스터들과, 하나의 제 2 비트 라인에 대응되는 2개의 메모리 셀 블럭들 중 짝수번의 메모리 셀 블럭을 선택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선택 신호들 중 짝수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대응되는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 중 짝수번 메모리 셀 블럭의 제 2 그룹과 제 3 그룹 사이의 제 1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2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선택 수단은; 상기 제 2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상기 제 1 선택 트랜지스터들의 각 소오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어레이의 제 1 비트 라인들 중 짝수번 제 1 비트 라인들에 각각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3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4 선택 수단은; 상기 제 4 선택 신호들 중 홀수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인접한 메모리 셀 블럭들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제 1 비트 라인들 중 홀수번 제 1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 중 홀수번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4 선택 트랜지스터들과, 상기 제 4 선택 신호들 중 짝수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인접한 메모리 셀 블럭들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제 1 비트 라인들 중 짝수번 제 1 비트 라인들에 각각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 중 짝수번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5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 선택 수단은; 상기 제 3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상기 어레이의 제 1 비트 라인들 중 짝수번 제 1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제 4 및 제 5 선택 트랜지스터들의 드레인들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6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5 선택 수단은; 접지 전압이 인가되는 접지 단자와, 상기 제 5 선택 신호들 중 홀수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상기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 중 홀수번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접지 단자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제 7 선택 트랜지스터들과, 상기 제 5 선택 신호들 중 짝수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상기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 중 짝수번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접지 단자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제 8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한다.
이와같은 장치에 의해서, 센싱시 발생할 수 있는 누설 전류를 최소로 줄일 수 있을 뿐만아니라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고속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참조도면 도 4 내지 도 11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1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참조번호를 병기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NOR형 마스크 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NOR형 마스크 롬은 행 프리디코더(row pre-decoder) (20), 블럭 선택 디코더(block select decoder) (40), 스트링 선택 디코더(string select decoder) (50), 워드라인 선택 디코더(wordline select decoder) (60), 그라운드 선택 디코더(ground select decoder) (80), 열 방향으로 분리된 복수 개의 메모리 셀 블럭들(BLKi)(i=0, 1, ···, i+1)로 이루어지는 어레이(array) (100), 행 디코더(row decoder) (200), 열 프리디코더(column pre-decoder) (300), 컬럼 선택 스위치 회로(column select swich circuit) (400), 그리고 감지 증폭기(sense amplifier) (500)로 구성된다.
상기 행 프리디코더(20), 상기 블럭 선택 디코더(40), 상기 스트링 선택 디코더(50), 상기 워드라인 선택 디코더(60), 그리고 상기 그라운드 선택 디코더(80)는 외부로부터 어드레스 신호들(Ai)이 인가될 때 Pi/Qi 신호들, ssi 신호들, bsi 신호들, si 신호들, 그리고 gsi 신호들을 각각 발생한다. 상기 신호들 (Pi/Qi), (ssi), (bsi), (si), (gsi)이 인가되는 상기 행 디코더(200)는 상기 어레이(100)의 복수 개의 메모리 셀 블럭들(BLKi)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된 메모리 셀 블럭의 미도시된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SBLKi)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과 아울러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 블럭의 워드라인들 중 상기 어드레스 신호들(Ai)에 의해서 선택된 워드라인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열 프리디코더(300)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들(Ai)을 입력받아 컬럼 선택 스위치 회로(400)를 활성화시켜 선택된 메모리 셀 블럭과 상기 감지 증폭기(5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로써, 상기 감지 증폭기(500)는 선택된 소정의 메모리 셀에 의해서 유지되는 셀 데이터를 센싱하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b에는 도 4의 행 디코더 및 열 프리디코더의 상세회로를 보여주는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된 행 디코더(200)는 도 4의 행 프리디코더(20)로부터 발생되는 Pi/Qi 신호들에 의해서 선택된다. 상기 Pi/Qi 신호들이 로우 레벨로 인가될 때 도 5a의 NOR 게이트(201)에 각 게이트 단자가 접속된 NMOS 트랜지스터들이 모두 턴-온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들의 드레인 단자로 인가되는 상기 신호들 (Pi/Qi), (bsi), (si), (gsi)의 상태에 따라 대응되는 인버터들을 통해 활성화된 신호들 (BSi), (WLi), (GSi), (SS0) 및 (SS1)을 발생한다. 블럭 선택 디코더(40)를 통해 상기 bsi 신호들 중 어느 하나가 로우 레벨로 설정될 때 대응되는 블럭 선택 신호들(BSi)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행 디코더(200)는 메모리 셀 블럭들(BLKi) 중 어느 하나의 메모리 셀 블럭을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워드라인 선택 디코더(60)에 의해서 상기 si 신호들 중 어느 하나가 로우 레벨로 설정될 때, 상기 행 디코더(200)는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 블럭의 워드라인들(WLi) 중 어느 하나의 워드라인을 활성화시킨다. 계속해서, 그라운드 선택 디코더(80)에 의해서 상기 gsi 신호들 중 어느 하나가 로우 레벨로 설정될 때, 상기 행 디코더(200)는 그라운드 선택 신호들 (GS0) 및 (GS1) 중 어느 하나의 그라운드 선택 신호를 하이 레벨로 활성화시킨다. 아울러, 스트링 선택 디코더(50)에 의해서 ssi 신호들 중 어느 하나가 로우 레벨로 설정될 때, 상기 행 디코더(200)는 스트링 선택 신호들(SS0), (SS1)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킨다. 도 5a에서, 디플리숀 MOS 트랜지스터들(depletion metal oxide simiconductor transistors) (203), (52), (206), (56), (212)은 비선택된 블럭 선택 신호들(BSi), 스트링 선택 신호들(SSi), 워드라인들(WLi), 그리고 그라운드 선택 신호들(GSi) 등의 안정된 동작을 위한 것이다. 하나의 행 디코더(200)에는 (i + 1)개의 메모리 셀 블럭들(BLKi)이 연결되고 워드라인들(WLi)과 스트링 선택 신호들 (SS0) 및 (SS1)과 그라운드 선택 신호들 (GS0) 및 (GS1)은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BLKi)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같이, 열 프리디코더(300)는 복수 개의 낸드 게이트들 (309), (311), (313), (315)과 이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인버터들 (310), (312), (314), (316)을 통해 어드레스 신호들(A0), (A0b), ···, (A1), (A1b)을 조합하여 복수 개의 컬럼 선택 신호들 (YA0), (YA1), (YA2), (YA3)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되도록 구성되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NOR형 마스크 롬의 어레이 및 주변 회로를 보여주는 등가 회로도가 되어있다. 도 6에서, 열 방향으로 신장하는 복수 개의 서브 비트 라인들 (SBL1), (SBL2), ···, (SBLj)은 N도전형 확산층 상에 형성되고, 행 방향으로 신장하는 워드 라인들 (WL1), (WL2), ···, (WLi)은 폴리사이드로 형성된다. NOR형의 상기 서브 비트 라인들 (SBL1), (SBL2), ···, (SBLj)과 상기 워드라인들 (WL0), (WL1), ···, (WLi)은 서로 교차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mn)(m=0, 1, 2, ···, i) (n=0, 1, 2, ···, j)은 그것의 소오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이 상기 서브 비트 라인들 (SBL1), (SBL2), ···, (SBLj)과 상기 워드 라인들 (WL0), (WL1), ···(WLi)의 교차 영역들에 형성되고 있고, 그것의 채널들이 교차 영역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서브 비트 라인들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ij)을 이하 스트링(string)이라 칭한다. 여기서, 상기 스트링으로 명명된 용어는 달리 뱅크(bank) 또는 그룹(group)이라는 용어로도 사용됨을 주의하여야 한다.
상기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mn)은 채널들의 불순물 확산량을 조절하는 기술에 의해 각각 프로그램된다. 구체적으로, 각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mn)의 프로그램은 제조 공정 중에서 포토 마스크(photo mask)에 의해 프로그램된다. 상기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mn)의 프로그램 방법은 주로 이온 주입(Ion Implant)을 통해 이루어지며, 각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mn)의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을 조절하는 방법이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각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mn)는 온-셀 상태(on-cell state) 즉, 높은 문턱 전압(예컨대, 5볼트)을 갖는 상태와 오프--셀 상태(off-cell state) 즉, 낮은 문턱 전압(예컨대, 0.5볼트)을 갖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프로그램된다. 어느 하나의 상태로 프로그램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의 데이터(정보)를 독출하는 방법은 선택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일정 전압을 인가하고 그것의 소오스-드레인 채널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양을 감지하여 이루어진다. 즉,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mn)은 정보 비트가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에 의해 유지되는지의 유무에 따라 소정의 게이트 전압을 기초로하여 턴-온 또는 턴-오프된다. 이때, 감지 증폭기(500)로부터 공급된 후의 전류 양을 감지하여 프로그램 상태를 판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조의 플랫 셀들(flat cells)에 있어서, N 도전형 확산층이 서브 비트 라인(sub-bit line)으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서브 비트 라인들 (SBL1), (SBL2), ···, (SBLj)의 저항과 접합 커패시턴스(junction capacitance)는 불가피하게 크다. 따라서, NOR형 마스크 롬의 블럭 선택 구조는 서브 비트 라인들 (SBL1), (SBL2), ···, (SBLj)의 저항과 커패시턴스를 줄이기 위해 즉, 고속 독출 동작(high reading operation)을 실현하기 위해 채택되고 있다.
각 메모리 셀 블럭(BLKi) (i=0, 1, ‥‥, i + 1)은 4개의 스트링들 (S1), (S2), (S3), (S4)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SBLKi)로 구비된다. 열 방향으로 신장하는 복수 개의 메인 비트 라인들 (MBLi)이 상기 복수 개의 메모리 셀 블럭들(BLKi)에 걸쳐 소정 간격을 두고 병렬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메인 비트 라인들(MBLi) 대 상기 서브 비트 라인들(SBLi)의 비율은 1 대 4이다. 즉, 메인 비트 라인들(MBLi) 대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SBLKi)의 비율은 1 대 1이다.
그리고, 컬럼 선택 라인들(YAi)(여기서, i=0, 1, 2, 3)에 의해서 제어되는 컬럼 선택 트랜지스터들 (CST1), (CST2), ‥‥, (CST3)을 통해 감지 증폭기(500)에 상기 메인 비트 라인들(MBLi)의 각 아래쪽 끝(lower end)이 연결되어 있다. 블럭 선택 수단(120)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블럭 선택 라인(BSi) 상의 블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비트 라인들(MBLi)과 각각 대응되는 선택된 메모리 셀 블럭의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SBLKi)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블럭 선택 수단(120)은 상기 메인 비트 라인들(MBLi)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 개의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들(BSTi)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블럭 선택 라인들(BSi)에 의해서 제어되는 상기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들 (BST1), (BST2), ‥‥, 등을 통해 상기 메인 비트 라인들(MBLi)이 대응되는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SBLKi)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스트링 선택 수단(140)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1 스트링 선택 라인(SS0) 상의 제 1 스트링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SBLKi)의 제 2 스트링 (S2)과 제 3 스트링 (S3)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1 스트링 선택 수단(140)은 각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i) 당 2개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 (SST2) 및 (SST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스트링 선택 라인 (SSO)에 의해서 제어되는 상기 각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i)의 상기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 (SST2) 및 (SST3)은 각 서브 메모리 셀 블럭 (SBLKi)의 짝수번 서브비트 라인들 (SBLi) (i=2, 4, ‥‥,등)의 위쪽 끝과 상기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들 (BST1), (BST2), ‥‥, 등의 각 소오스 사이에 전류 통로를 제공한다.
제 2 스트링 선택 수단(160)은 제 2 스트링 선택 라인(SS1) 상의 제 2 스트링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SBLKi)의 제 1 스트링 (S1)과 제 4 스트링 (S4)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2 스트링 선택 수단(160)은 각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i) 당 2개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 (SS1T) 및 (SST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라운드 선택 수단(180)은 홀수번과 짝수번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 (GS0) 및 (GS1) 상의 홀수번과 짝수번 그라운드 선택 신호들에 응답하여 인접한 서브 메모리 셀 브럭들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서브 비트 라인들 중 홀수번과 짝수번의 서브 비트 라인들을 선택적으로 접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그라운드 선택 수단(180)은 홀수번 그라운드 비트 라인(GS0)에 제어되는 상기 홀수 번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 (GST1), (GST3), ‥‥등과 상기 짝수번 그라운드 비트 라인(GS1)에 제어되는 상기 짝수번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들 (GST2), (GST4), ‥‥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스트링 선택 라인(SS1)에 의해서 제어되는 상기 각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i)의 상기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 (SST1) 및 (SST4)은 번갈아 배치된 상기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들 (GST1), (GST2), (GST3), ‥‥ 등을 통해 상기 짝수번 서브 비트 라인들 (SBL2), (SBL4), ‥‥,등의 아래쪽 끝과 접지단자(VSS) 사이에 전류 통로를 제공한다. 그리고, 각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i) 내의 세 번째 서브 비트 라인 즉, 제 1 스트링 선택 라인(SS0)에 의해서 제어되는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 (SST2) 및 (SST3)의 접속 영역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인접한 각 서브 메모리 블럭 (SBLKi) 역시 좌·우 대칭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에서,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1 스트링(S1)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 (M11)와 제 2 스트링(S2)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 (M12)를 선택할 때의 데이터 독출 동작을 나눠 설명하겠다. 먼저,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1 스트링(S1)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 (M11)를 선택할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블럭 선택 신호들(BSi)이 하이 레벨이 될 때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들 (BST1), (BST2), ‥‥,등이 턴-온됨과 아울러 i번째 메모리 셀 블럭(BLKi)이 선택된다. 상기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1 스트링(S1)과 제 4 스트링(S4)을 선택하기 위한 제 1 스트링 선택 신호(SS0)가 하이 레벨이 될 때,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 (SST2) 및 (SST3)이 턴-온된다. 이때, 제 2 스트링 선택 신호(SS1)가 로우 레벨이기 때문에, 제 2 스트링(S2)과 제 3 스트링(S3)을 선택하기 위한 상기 제 2 스트링 선택 신호(SS1)에 의해서 제어되는 각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i)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 (SST1) 및 (SST4)는 턴-오프 상태이다. 계속해서, 워드라인 (WL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되고 그라운드 선택 신호 (GS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될 때, 홀수번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들 (GST1), (GST3), ‥‥,등이 턴-온되어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1 서브 비트 라인(SBL1)이 접지 단자(VSS)로 연결된다. 계속해서, 열 프리디코더(300)로부터 발생되는 컬럼 선택 신호들(YAi) 중 YAO가 하이 레벨로 설정될 때, 제 1 메인 비트 라인(MBL0)과 감지 증폭기(500)가 연결되어 하나의 전류 통로 (감지증폭기→MBL0→BST1→SST2→M11→GST1→VSS)가 이루어진다. 이로써,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1 스트링(S1)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11)에 의해서 유지되는 데이터의 상태에 따라 온셀의 상태인지 오프 셀의 상태인지를 독출할 수 있다.
다음,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2 스트링(S2)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12)를 선택할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블럭 선택 신호들 (BSi)이 하이 레벨이 될 때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 (BST1), (BST2), ‥‥,등이 턴-온됨과 아울러 i번째 메모리 셀 블럭(BLKi)이 선택된다.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2 스트링(S2)과 제 3 스트링(S3)을 선택하기 위한 제 2 스트링 선택 신호(SS1)가 하이 레벨이 될 때,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 (SST1) 및 (SST4)이 턴-온된다. 이때, 제 1 스트링 선택 신호(SS0)가 로우 레벨이기 때문에, 제 1 스트링(S1)과 제 4 스트링(S4)을 선택하기 위한 상기 제 1 스트링 선택 신호(SS0)에 의해서 제어되는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 (SST2) 및 (SST3)은 턴-오프 상태이다.
계속해서, 워드라인 (WL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되고 그라운드 선택 신호 (GS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될 때, 홀수번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들 (GST1), (GST2), ‥‥,등이 턴-온되어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1 서브 비트 라인(SBL1)이 접지단자(VSS)로 연결된다. 계속해서, 열 프리디코더(300)로부터 발생되는 컬럼 선택 신호들(YAi) 중 YAO가 하이 레벨로 설정될 때, 제 1 메인 비트 라인(MBL0)과 감지 증폭기(500)가 연결되어 하나의 전류 통로 (감지증폭기→MBL0→BST1→M12→SST1→GST1→VSS)가 이루어진다. 이로써,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2 스트링(S2)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12)에 의해서 유지되는 데이터의 상태에 따라 온 셀의 상태인지 오프 셀의 상태인지를 독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스트링들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독출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NOR형 마스크 롬의 어레이 및 주변 회로의 등가 회로를 보여주는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의 구성에 대한 설명 중 제 1 실시예의 어레이 구성에 대한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제 1 실시예를 참조하기 바란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참조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블럭 선택 수단(120)은 홀수번과 짝수번 블럭 선택 라인들 (BS0) 및 (BS1) 상의 홀수번과 짝수번 블럭 선택 신호들에 응답하여, 메인 비트 라인들(MBLi)과 각각 대응되는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SBLKi)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블럭 선택 수단(120)은 홀수번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들 (BST1), (BST3), ‥‥,등과 짝수번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들 (BST2), (BST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홀수번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들 (BST1), (BST3), ‥‥,등은 게이트들이 상기 홀수번 블럭 선택 라인 (BS0)에 접속되고 드레인들이 상기 메인 비트 라인들(MBLi) 중 홀수번 메인 비트 라인들 (MBL1), (MBL3), ‥‥, 등에 접속되며 소오스들이 상기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SBLKi) 중 홀수번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 (SBLK0), (SBLK2), ‥‥,등의 제 2 스트링 (S2)과 제 3 스트링 (S3) 사이의 서브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짝수번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들 (BST2), (BST4), ‥‥,등은 게이트들이 상기 짝수번 블럭 선택 라인 (BS1)에 접속되고 드레인들이 상기 메인 비트 라인들(MBLi) 중 짝수번 메인 비트 라인들 (MBL1), (MBL3), ‥‥,등에 접속되며 소오스들이 상기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SBLKi) 중 짝수번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 (SBLK1), (SBK3), ‥‥,등의 제 2 스트링 (S2)과 제 3 스트링 (3) 사이의 서브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블럭들에 대한 센싱 동작이 참조도면에 의거하여 이하 설명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행 디코더 및 열 프리 디코더는 도 5a 및 도 5b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7에서,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1 스트링(S1)의 메모리 셀 트랜래지스터(M11)와 제 2 스트링(S2)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12)를 선택할 때의 데이터 독출 동작을 나눠 설명하겠다. 먼저,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1 스트링(S1)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 (M11)를 선택할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블럭 선택 신호 (BS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될 때, i번째 메모리 셀 블럭(BLKi)이 선택됨과 아울러 홀수번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BST1)가 턴-온된다.
상기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1 스트링(S1)과 제 4 스트링(S4)을 선택하기 위한 제 1 스트링 선택 신호(SS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될 때,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 (SST2) 및 (SST3)이 턴-온된다. 이때, 제 2 스트링 선택 신호(SS1)가 로우 레벨이기 때문에, 제 2 스트링(S2)과 제 3 스트링(S3)을 선택하기 위한 상기 제 2 스트링 선택 신호(SS1)에 의해서 제어되는 각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i)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 (SST1) 및 (SST4)은 턴-오프 상태이다. 계속 해서, 워드라인 (WL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되고 그라운드 선택 신호 (GS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될 때, 홀수번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GST1)가 턴-온되어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1 서브 비트 라인(SBL1)이 접지단자(VSS)로 연결된다.
계속해서, 열 프리디코더(300)로부터 발생되는 컬럼 선택 신호들(YAi) 중 YA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될 때, 제 1 메인 비트 라인(MBL0)과 감지 증폭기(500)가 연결되어 하나의 전류 통로 (감지증폭기→MBL0→BST1→SST2→M11→GST1→VSS)가 이루어진다. 이로써,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1 스트링(S1)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11)에 의해서 유지되는 데이터의 상태에 따라 온 셀의 상태인지 오프 셀의 상태인지를 독출할 수 있다.
다음,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2 스트링(S2)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 (M12)를 선택할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블럭 선택 신호(BSO)가 하이 레벨로 설정될 때, i번째 메모리 셀 블럭(BLKi)이 선택됨과 아울러 홀수번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BST1)가 턴-온된다.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2 스트링(S2)과 제 3 스트링(S3)을 선택하기 위한 제 2 스트링 선택 신호(SS1)가 하이 레벨이 될 때ㅡ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 (SST1) 및 (SST4)이 턴-온된다. 이때, 제 1 스트링 선택 신호(SS0)이 로우 레벨이기 때문에, 제 1 스트링(S1)과 제 4 스트링(S4)을 선택하기 위한 상기 제 1 스트링 선택 신호(SS0)에 의해서 제어되는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 (SST2) 및 (SST3)은 턴-오프 상태이다. 계속해서, 워드라인 (WL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되고 그라운드 선택 신호 (GS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될 때, 홀수번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GST1)가 턴-온되어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1 서브 비트 라인(SBL1)이 접지단자(VSS)로 연결된다. 계속해서, 열 프리디코더(300)로부터 발생되는 컬럼 선택 신호들(YAi) 중 YA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될 때, 제 1 메인 비트 라인(MBL0)과 감지 증폭기(500)가 연결되어 하나의 전류 통로 (감지증폭기→MBL0→BST1→M12→SST1→GST1→VSS)가 이루어진다. 이로써,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2 스트링(S2)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12)에 의해서 유지되는 데이터의 상태에 따라 온 셀의 상태인지 오프 셀의 상태인지를 독출할 수 있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스트링들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독출될 수 있다.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같은 셀 어레이의 구성 및 동작에 따른 오프 셀 누설 전류 패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선택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 (M12)가 오프 셀 상태이고 인접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 (M13), (M14), (M15), (M16), (M17)이 온 셀 상태일 경우의 누설 전류 패스는 도 6 및 도 7의 굵은 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은 전류 패스가 형성된다. 종류와 비교하여, 이러한 전류 패스에 의해 보다 적은 양의 누설 전류가 발생하게 되어 센싱 마진을 좋게함에 따라 동작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비교하여 2개의 스트링들 마다 하나의 메인 비트 라인이 배치되었던 것을 4개의 스트링들 즉, 각 서브 메모리 셀 블럭 마다 하나의 메인 비트 라인을 배치함으로서 공정 상의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수율이 높게 됨에 따라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NOR형 마스크 롬의 어레이와 주변 회로의 등가 회로를 보여주는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어레이 구성에 대한 설명 중 제 1 실시예의 어레이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참조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2개의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 즉, 8개의 스트링들에 하나의 메인 비트 라인을 배치하였다.
블럭 선택 수단(120)은 홀수번과 짝수번 블럭 선택 라인들 (BS0) 및 (BS1)상의 홀수번과 짝수번 블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비트 라인들(MBLi)과 이에 대응되는 홀수번과 짝수번의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 (BST1), (BST3), ‥‥,등 및 (BST2), (BST4)‥‥,등을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블럭 선택 수단(120)은 하나의 메인 비트 라인에 대응되는 2개의 메모리 셀 블럭들 중 홀수번 서브 메모리 셀 블럭을 선택하기 위한 홀수번 블럭 선택 선택 트랜지스터들 (BST1), (BST3)‥‥,등과 짝수번 서브 메모리 셀 블럭을 선택하기 위한 짝수번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들 (BST2), (BST4)‥‥,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홀수번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들 (BST1), (BST3)‥‥,등은 게이트들이 상기 홀수번 블럭 선택 라인 (BS0)에 접속되고 드레인들이 각각 대응되는 상기 메인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며 소오스들이 상기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SBLKi) 중 홀수번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 (SBLK0), (BSLK2)‥‥,등의 제 2 스트링 (S2)과 제 3 스트링(S3) 사이의 서브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짝수번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들 (BST2), (BST4),‥‥,등은 게이트들이 상기 짝수번 블럭 선택 라인 (BS1)에 접속되고 드레인들이 각각 대응되는 상기 메인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며 소오스들이 상기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SBLKi) 중 짝수번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 (SBLK1), (SBLK3)‥‥,등의 제 2 스트링 (S2)과 제 3 스트링 (S3) 사이의 서브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열 프리디코더의 상세 회로도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행 디코더는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8에서,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1 스트링(S1)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 (M11)와 제 2 스트링(S2)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 (M12)를 선택할 때의 데이터 독출 동작을 나눠 설명하겠다. 먼저,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1 스트링(S1)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 (M11)를 선택할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홀수번 블럭 선택 신호(BS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될 때, i번째 메모리 셀 블럭(BLKi)이 선택됨과 아울러 홀수번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 (BST1)가 턴-온된다. 상기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1 스트링(S1)과 제 4 스트링(S4)을 선택하기 위한 제 1 스트링 선택 신호(SS0)가 하이 레벨이 될 때,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 (SST2) 및 (SST3)이 턴-온된다. 이때, 제 2 스트링 선택 신호(SS1)가 로우 레벨이기 때문에, 제 2 스트링(S2)과 제 3 스트링(S3)을 선택하기 위한 상기 제 2 스트링 선택 신호(SS1)에 의해서 제어되는 각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i)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 (SST1) 및 (SST4)은 턴-오프 상태이다. 계속해서, 워드라인(WL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되고 홀수번 그라운드 선택 신호 (GS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될 때, 홀수번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 (GST1), (GST3), ‥‥, 등이 턴-온되어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1 서브 비트 라인(SBL1)이 접지단자(VSS)로 연결된다. 계속해서, 열 프리디코더(300)로부터 발생되는 컬럼 선택 신호들(YAi) 중 YA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될 때, 제 1 메인 비트 라인(MBL0)과 감지 증폭기(500)가 연결되어 하나의 전류 통로 (감지증폭기→MBL0→BST1→SST2→M11→GST1→VSS)가 이루어진다. 이로써,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1 스트링(S1)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11)에 의해서 유지되는 데이터의 상태에 따라 온 셀의 상태인지 오프 셀의 상태인지를 독출할 수 있다.
다음,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2 스트링(S2)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 (M12)를 선택할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홀수번 블럭 선택 신호(BS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될 때, i번째 메모리 셀 블럭(BLKi)이 선택됨과 아울러 홀수번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 (BST1)가 턴-온된다.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2 스트링(S2)과 제 3 스트링(S3)을 선택하기 위한 제 2 스트링 선택 신호(SS1)가 하이 레벨로 설정될 때,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 (SST1) 및 (SST4)이 턴-온된다. 이때, 제 1 스트링 선택 신호(SS0)가 로우 레벨이기 때문에, 상기 제 1 스트링 선택 신호(SS0)에 의해서 제어되는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 (SST2) 및 (SST3)은 턴-오프 상태이다. 계속해서, 워드라인 (WL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되고 상기 홀수번 그라운드 선택 신호 (GS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될 때, 홀수번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GST1)가 턴-온되어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1 서브 비트 라인(SBL1)이 접지단자(VSS)로 연결된다. 계속해서, 열 프리디코더(300)로부터 발생되는 컬럼 선택 신호들(YAi) 중 YA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될 때, 제 1 메인 비트 라인(MBL0)과 감지 증폭기(500)가 연결되어 하나의 전류 통로 (감지증폭기→MBL0→BST1→M12→SST1→GST1→VSS)가 이루어진다. 이로써,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2 스트링(S2)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12)에 의해서 유지되는 데이터의 상태에 따라 온 셀의 상태인지 오프 셀의 상태인지를 독출 할 수 있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스트링들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독출될 수 있다.
상술한 제 3 실시예와 같은 셀 어레이의 구성 및 동작에 따른 오프 셀 누설 전류 패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선택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 (M12)가 오프 셀 상태이고 인접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 (M13), (M14), (M15), (M16), (M17)이 온 셀 상태일 경우의 누설 전류 패스는 도 8의 굵은 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은 전류 패스가 형성된다. 종래와 비교하여, 이러한 전류 패스에 의해 보다 적은 양의 누설 전류가 발생하게 되어 센싱 마진을 좋게함에 따라 동작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비교하여 2개의 스트링들 마다 하나의 메인 비트 라인이 배치되었던 것을 8개의 스트링들 즉, 2개의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 마다 하나의 메인 비트 라인을 배치함으로써 공정 상의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수율이 높게 됨에 따라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NOR형 마스크 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NOR형 마스크 롬은 행 프리디코더(row pre-decoder) (20), 블럭 선택 디코더(block select decoder) (40), 스트링 선택 디코더(string select decoder) (50), 워드라인 선택 디코더(wordline select decoder) (60), 제 1 그라운드 선택 디코더(first ground select decoder) (80), 제 2 그라운드 선택 디코더 (second ground select decoder) (90), 열 방향으로 분리된 복수 개의 메모리 셀 블럭들(BLKi)(i=0, 1, ···, i+1)로 이루어지는 어레이(array) (100), 행 디코더(row decoder) (200), 열 프리디코더(column pre-decoder) (300), 컬럼 선택 스위치 회로(column select swich circuit) (400), 감지 증폭기(sense amplifier) (500), 그리고 그라운드 선택 스위치 회로 (ground select switch circuit) (600)로 구성된다.
상기 행 프리디코더(20), 상기 블럭 선택 디코더(40), 상기 스트링 선택 디코더(50), 상기 워드라인 선택 디코더(60),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선택 디코더들(80) 및 (90)은 어드레스 신호들(Ai)이 인가될 때 Pi/Qi 신호들, ssi 신호들, bsi 신호들, si 신호들, 그리고 gsi 신호들 및 GBSi 신호들을 발생한다. 상기 신호들 (Pi/Qi), (ssi), (bsi), (si), (gsi)가 인가되는 상기 행 디코더(200)는 상기 어레이(100)의 복수 개의 메모리 셀 블럭들(BLKi)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된 메모리 셀 블럭의 미도시된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SBLKi)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과 아울러 워드라인들 중 상기 어드레스 신호들(Ai)에 의해서 선택된 워드라인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GBSi) 신호들이 인가되는 상기 그라운드 선택 스위치 회로(600)는 상기 복수 개의 메모리 셀 블럭들(BLKi)에 걸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그라운드 라인들(GBLi)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상기 열 프리디코더(300)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들(Ai)을 입력받아 컬럼 선택 스위치 회로(400)를 활성화시켜 선택된 메모리 셀 블럭과 상기 감지 증폭기(5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로써, 상기 감지 증폭기(500)는 선택된 소정의 메모리 셀에 의해서 유지되는 셀 데이터를 센싱하게 된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NOR형 마스크 롬의 어레이와 및 주변 회로의 등가 회로를 보여주는 회로도가 도시 되어 있다. 도 11에서, 열 방향으로 신장하는 복수 개의 서브 비트 라인들 (SBL1), (SBL2), ···, (SBLj)은 N도전형 확산층 상에 형성되고, 행 방향으로 신장하는 워드 라인들 (WL1), (WL2), ···, (WLi)은 폴리사이드로 형성된다. NOR형의 상기 서브 비트 라인들 (SBL1), (SBL2), ···, (SBLj)과 상기 워드 라인들 (WL0), (WL1), ···, (WLi)은 서로 교차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mn)(m=0, 1, 2, ···, i) (n=0, 1, 2, ···, j)은 그것의 소오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이 상기 서브 비트 라인들 (SBL1), (SBL2), ···, (SBLj)과 상기 워드 라인들 (WL0), (WL1), ···(WLi)의 교차 영역들에 형성되어 있고, 그것의 채널들이 교차 영역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서브 비트 라인들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Mij)을 이하 스트링(string)이라 칭한다. 여기서, 상기 스트링을 명명된 용어는 달리 뱅크(bank) 또는 그룹이라는 용어로도 사용됨을 주의하여야 한다.
각 메모리 셀 블럭(BLKi) (i=0, 1, ‥‥, i + 1)은 4개의 스트링들 (S1), (S2), (S3), (S4)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SBLKi)로 구비된다. 열 방향으로 신장하는 복수 개의 메인 비트 라인들 (MBLi)이 상기 복수 개의 메모리 셀 블럭들(BLKi)에 걸쳐 소정 간격을 두고 병렬로 배열되어 있다. 메인 비트 라인들 대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의 비율은 1 대 2 이다. 즉, 하나의 메인 비트 라인에 8개의 스트링들의 비율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컬럼 선택 라인들(YAi)에 의해서 제어되는 컬럼 선택 트랜지스터들 (GST1), (GST2), ‥‥, 등을 통해 감지 증폭기(500)에 상기 메인 비트 라인들(MBLi)의 각 아래쪽 끝(lower end)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하나의 메인 비트 라인은 홀수번과 짝수번 블럭 선택 신호들 (BS0) 및 (BS1)에 의해서 각각 제어되는 홀수번과 짝수번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들 (BST1), (BST3), ‥‥, 등 및 (BST2), (BST4)‥‥, 등을 통해 대응되는 2개의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 (SBLKO) 및 (SBLK1), (SBLK2) 및 (SBLK3), ‥‥, 등에 접속된다. 즉, 8개의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이 존재할 경우 4개의 메인 비트 라인들이 각 메모리 셀 블럭에 걸쳐 병렬로 배치될 것이다. 블럭 선택 수단(120)은 홀수번과 짝수번 블럭 선택 라인들 (BS0) 및 (BS1)상의 홀수번과 짝수번 블럭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비트 라인들(MBLi)과 이에 대응되는 홀수번과 짝수번의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 (BST1), (BST3), ‥‥, 등 및 (BST2), (BST4)‥‥,등을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블럭 선택 수단(120)은 하나의 메인 비트 라인에 대응되는 2개의 메모리 셀 블럭들 중 홀수번 서브 메모리 셀 블럭을 선택하기 위한 홀수번 블럭 선택 선택 트랜지스터들 (BST1), (BST3)‥‥, 등과 짝수번 서브 메모리 셀 블럭을 선택하기 위한 짝수번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들 (BST2), (BST4)‥‥,등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홀수번과 짝수번 블럭 선택 라인들 (BS0) 및 (BS1)에 의해서 각각 제어되는 홀수번과 짝수번 상기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들 (BST1) 및 (BST2)을 통해 상기 메인 비트 라인들(MBLi)이 대응되는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SBLKi)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스트링 선택 수단(140)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1 스트링 선택 라인(SS0) 상의 제 1 스트링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SBLKi)의 제 2 스트링 (S2)과 제 3 스트링 (S3)을 선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1 스트링 선택 수단(140)은 각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i) 당 2개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 (SST2) 및 (SST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스트링 선택 라인(SSO)에 의해서 제어되는 각 서브 메모리 셀 블럭 (SBLKi)의 상기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 (SST2) 및 (SST3)은 각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i)의 짝수번 서브 비트 라인들 (SBLi)(i=2, 4, ‥‥,등)의 위쪽 끝과 상기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들 (BST1), (BST2), ‥‥, 등의 각 소오스 사이에 전류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BLKi)에 걸쳐 열 방향으로 신장하는 복수 개의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GBLi)이 배열되어 있다. 상기 메인 비트 라인들 대 상기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의 비율은 1 대 1이다. 제 2 스트링 선택 수단(160)은 제 2 스트링 선택 라인(SS1) 상의 제 2 스트링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SBLKi)의 제 1 스트링 (S1)과 제 4 스트링 (S4)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2 스트링 선택 수단(160)은 각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i) 당 2개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 (SS1T) 및 (SST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그라운드 선택 수단(180)은 홀수번과 짝수번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 (GS0) 및 (GS1) 상의 홀수번과 짝수번 그라운드 선택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비트 라인들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과 상기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1 그라운드 선택 수단(180)은 제 1 홀수번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들 (GST1), (GST3), ‥‥,등과 제 1 짝수번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들 (BST2), (BST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스트링 선택 라인(SS1)에 의해서 제어되는 상기 각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i)의 상기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 (SST1) 및 (SST4)은 상기 홀수번과 짝수번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들(BST1), (BST3), ‥‥, 들과 (BST2), (BST4),‥‥,등을 통해 대응되는 그라운드 비트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선택 수단(600)은 홀수번과 짝수번 그라운드 선택 라인들 (GBS0) 및 (GBS1) 상의 홀수번과 짝수번 그라운드 선택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 중 홀수번과 짝수번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 (GBL0), (GBL2), ‥‥,등 및 (GBL1), (GBL3), ‥‥,등을 선택적으로 접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2 그라운드 선택 수단(600)은 제 2 홀수번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 짝수번 그라운드들 (GBST 1), (GBST3),‥‥,등과 제 2 선택 트랜지스터들 (GBST2), (GBST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그라운드 비트 라인 (GBL0), (GBL1), ‥‥,등의 위쪽 끝은 상기 제 2 홀수번과 짝수번 그라우드 선택 라인들 (GBS0), (GBS1)에 의해서 제어되는 상기 제 2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들 (GBST1), (GBST2), ‥‥,등을 통해 접지되어 있다. 그리고, 각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i) 내의 세 번째 서브 비트 라인 즉, 제 1 스트링 선택 라인(SS0)에 의해서 제어되는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 (SST2) 및 (SST3)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인접한 각 서브 메모리 블럭(BSLKi) 역시 좌·우 대칭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2개의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 즉, 8개의 스트링들에 하나의 메인 비트 라인을 배치하여 홀수번과 짝수번 블럭 선택 신호들 (BS0) 및 (BS1)에 의해서 제어되는 2개의 홀수번과 짝수번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통해 대응되는 각 서브 메모리 셀 블럭에 메인 비트 라인이 연결되도록 구현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행 디코더 및 열 프리 디코더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 2 그라운드 선택 디코더는 열 프리디코더를 구성하는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 상세한 회로도는 게재하지 않았음을 주의하여야 한다.
도 11에서,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1 스트링(S1)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 (M11)와 제 2 스트링(S2)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 (M12)를 선택할 때의 데이터 독출 동작을 나눠 설명하겠다. 먼저,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1 스트링(S1)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 (M11)를 선택할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홀수번 블럭 선택 신호들(BS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될 때, i번째 메모리 셀 블럭(BLKi)이 선택됨과 아울러 홀수번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BST1)가 턴-온된다. 상기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1 스트링(S1)과 제 4 스트링(S4)을 선택하기 위한 제 1 스트링 선택 신호(SS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될 때,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 (SST2) 및 (SST3)이 턴-온된다. 이때, 제 2 스트링 선택 신호(SS1)가 로우 레벨이기 때문에, 제 2 스트링(S2)과 제 3 스트링(S3)을 선택하기 위한 상기 제 2 스트링 선택 신호(SS1)에 의해서 제어되는 각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i)의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 (SST1) 및 (SST4)는 턴-오프 상태이다. 계속해서, 워드라인 (WL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되고 제 1 그라운드 선택 신호 (GS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될 때, 제 1 홀수번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들 (GST1)가 턴-온되어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1 서브 비트 라인(SBL1)이 제 1 그라운드 비트 라인(GBL0)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 2 그라운드 선택 라인 (GBS0)에 의해서 제어되는 제 2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GBST1)를 통해 상기 제 1 그라운드 비트 라인(GBS0)이 접지된다. 계속해서, 열 프리디코더(300)로부터 발생되는 컬럼 선택 신호들(YAi) 중 YA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될 때, 제 1 메인 비트 라인(MBL0)과 감지 증폭기(500)가 연결되어 하나의 전류 통로 (감지증폭기→MBL0→BST1→SST2→M11→GST1→GBL0→GBST1→VSS)가 이루어진다. 이로써,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1 스트링(S1)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11)에 의해서 유지되는 데이터의 상태에 따라 온 셀의 상태인지 오프 셀의 상태인지를 독출할 수 있다.
다음,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2 스트링(S2)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12)를 선택할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홀수번 블럭 선택 신호들(BS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될 때, i번째 메모리 셀 블럭(BLKi)이 선택됨과 아울러 홀수번 블럭 선택 트랜지스터(BST1)가 턴-온된다.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2 스트링(S2)과 제 3 스트링(S3)을 선택하기 위한 제 2 스트링 선택 신호(SS1)가 하이 레벨이 될 때,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 (SST1) 및 (SST4)이 턴-온된다. 이때, 제 1 스트링 선택 신호(SS0)가 로우 레벨이기 때문에, 제 1 스트링(S1)과 제 4 스트링(S4)을 선택하기 위한 상기 제 1 스트링 선택 신호(SS0)에 의해서 제어되는 스트링 선택 트랜지스터들 (SST2) 및 (SST3)은 턴-오프 상태이다. 계속해서, 워드라인 (WL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되고 제 1 그라운드 선택 신호 (GS0)가 하이 레벨로 설정될 때, 제 1 홀수번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GST1)가 턴-온되어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1 서브 비트 라인(SBL1)이 제 1 그라운드 비트 라인(GBL0)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 2 그라운드 선택 라인 (GBS0)에 의해서 제어되는 제 2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GBST1)를 통해 상기 제 1 그라운드 비트 라인(GBS0)이 접지된다. 계속해서, 열 프리디코더(300)로부터 발생되는 컬럼 선택 신호들(YAi) 중 YAO가 하이 레벨로 설정될 때, 제 1 메인 비트 라인(MBL0)과 감지 증폭기(500)가 연결되어 하나의 전류 통로 (감지증폭기→MBL0→BST1→M12→SST1→GST1→GBL0→GBST1→VSS)가 이루어진다. 이로써, 제 1 서브 메모리 셀 블럭(SBLK0)의 제 2 스트링(S2)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M12)에 의해서 유지되는 데이터의 상태에 따라 온 셀의 상태인지 오프 셀의 상태인지를 독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스트링들의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독출될 수 있다.
선택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 (M12)가 오프 셀 상태이고 인접한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들 (M13), (M14), (M15), (M16), (M17)이 온 셀 상태라 하더라도 인접한 그라운드 비트 라인과 메이 비트 라인은 각각의 선택 트랜지스터인 (GBST2) 및 (CST2)이 턴-오프되어 있기 때문에 누설 전류 패스가 생기지 않게 된다. 이로써, 센싱 마진을 좋게 할 수 있고 인접한 메인 비트 라인들 사이의 로딩을 차단함으로써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고속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와 비교하여 2개의 스트링들 마다 하나의 메인 비트 라인이 배치되었던 것을 8개의 스트링들 즉, 2개의 서브 메모리 셀 블럭들 마다 하나의 메인 비트 라인을 배치함으로써 공정 상의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수율이 높게 됨에 따라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누설 전류 패스의 형성에 따른 누설 전류의 양을 줄이거나 누설 전류 패스의 형성을 방지함으로써 센싱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한 메인 비트 라인의 로딩이 연결되는 것을 차단하여 프리챠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고속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아울러, 메인 비트 라인 대 서브 메모리 셀 블럭의 비를 높임으로써 공정상의 마진을 향상시킴으로써 수율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Claims (17)

  1. 복수 개의 제 1 비트 라인들과; 복수 개의 워드 라인들과; 복수 개의 그룹들의 메모리 셀들과; 상기 각 그룹 내의 메모리 셀들은 상기 제 1 비트 라인들 중의 2개의 인접한 것들 사이에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복수 개의 제 2 비트 라인들과;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은 4개의 메모리 셀 그룹 당 하나씩 배열되고; 4개의 상기 그룹들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메모리 셀 블럭들로 나눠지는 어레이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1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과 각각 대응되는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제 1 선택 수단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2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의 제 2 그룹과 제 3 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제 2 선택 수단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3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의 제 1 그룹과 제 4 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제 3 선택 수단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4 선택 신호들에 응답하여, 인접한 메모리 셀 블럭들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제 1 비트 라인들 중 홀수번과 짝수번의 상기 제 1 비트 라인들을 선택적으로 접지시키기 위한 제 4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NOR형 마스크 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택 수단은; 상기 제 1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대응되는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의 상기 제 2 그룹과 상기 제 3 그룹 사이의 제 1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1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NOR형 마스크 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택 수단은; 외부로부터 제 1 홀수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 중 홀수번 제 2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 중 홀수번 메모리 셀 블럭들의 상기 제 2 그룹과 상기 제 3 그룹 사이의 제 1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2 선택 트랜지스터들과, 외부로부터 제 1 짝수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 중 짝수번 제 2 비트 라인들에 각각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 중 짝수번 메모리 셀 블럭들의 상기 제 2 그룹과 상기 제 3 그룹 사이의 제 1 비트 라인들에 각각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3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NOR형 마스크 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선택 수단은; 상기 제 2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상기 제 1 선택 수단의 상기 선택 트랜지스터들의 소오스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어레이의 제 1 비트 라인들 중 짝수번의 제 1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4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NOR형 마스크 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선택 수단은;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접지단자와, 상기 제 4 선택 신호들 중 홀수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인접한 메모리 셀 블럭들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제 1 비트 라인들 중 홀수번의 제 1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접지 단자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5 선택 트랜지스터들과, 상기 제 4 선택 신호들 중 짝수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인접한 메모리 셀 블럭들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제 1 비트 라인들 중 짝수번의 제 1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접지 단자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6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NOR형 마스크 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선택 수단은; 상기 제 3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상기 어레이의 제 2 비트 라인들 중 짝수번의 제 2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소오스들 및, 상기 제 5 및 제 6 선택 트랜지스터들의 드레인들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7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NOR형 마스크 롬.
  7. 복수 개의 제 1 비트 라인들과; 복수 개의 워드 라인들과; 복수 개의 그룹들의 메모리 셀들과; 상기 각 그룹 내의 메모리 셀들은 상기 제 1 비트 라인들 중의 2개의 인접한 것들 사이에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4개의 상기 그룹들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메모리 셀 블럭들로 나눠지는 어레이와; 복수 개의 제 2 비트 라인들과;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은 2 개의 메모리 셀 그룹 당 하나씩 배열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1 선택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과 에 대응되는 홀수번과 짝수번의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을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제 1 선택 수단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2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의 제 2 그룹과 제 3 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제 2 선택 수단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3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의 제 1 그룹과 제 4 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제 3 선택 수단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4 선택 신호들에 응답하여, 인접한 메모리 셀 블럭들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제 1 비트 라인들 중 홀수번과 짝수번의 상기 제 1 비트 라인들을 선택적으로 접지시키기 위한 제 4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NOR형 마스크 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택 수단은; 하나의 제 2 비트 라인에 대응되는 2개의 메로 셀 블럭들 중 홀수번의 메모리 셀 블럭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제 1 선택 신호들 중 홀수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대응되는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 중 홀수번 메모리 셀 블럭들의 제 2 그룹과 제 3 그룹 사이의 제 1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1 선택 트랜지스터들과, 하나의 제 2 비트 라인에 대응되는 2개의 메모리 셀 블럭들 중 짝수번의 메모리 셀 블럭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제 1 선택 신호들 중 짝수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대응되는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 중 짝수번 메모리 셀 블럭들의 제 2 그룹과 제 3 그룹 사이의 제 1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2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NOR형 마스크 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선택 수단은; 상기 제 2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상기 제 1 선택 트랜지스터들의 각 소오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어레이의 제 1 비트 라인들 중 짝수번의 제 1 비트 라인들에 각각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3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NOR형 마스크 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선택 수단은;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접지단자와, 상기 제 4 선택 신호들 중 홀수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인접한 메모리 셀 블럭들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제 1 비트 라인들 중 홀수번 제 1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접지 단자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4 선택 트랜지스터들과, 상기 제 4 선택 신호들 중 짝수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인접한 메모리 셀 블럭들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제 1 비트 라인들 중 짝수번 제 1 비트 라인들에 각각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접지 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5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NOR형 마스크 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선택 수단은; 상기 제 3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상기 어레이의 제 1 비트 라인들 중 짝수번 제 1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제 4 및 제 5 선택 트랜지스터들의 드레인들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6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NOR형 마스크 롬.
  12. 복수 개의 제 1 비트 라인들과; 복수 개의 워드 라인들과; 복수 개의 그룹들의 메모리 셀들과; 상기 각 그룹 내의 메모리 셀들은 상기 제 1 비트 라인들 중의 2개의 인접한 것들 사이에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4개의 상기 그룹들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메모리 셀 블럭들로 나눠지는 어레이와; 복수 개의 제 2 비트 라인들과;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은 적어도 2개의 메모리 셀 그룹 당 하나씩 배열되고; 복수 개의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과;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은 상기 각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 당 하나씩 배열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1 선택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과 이에 대응되는 홀수번과 짝수번의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을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제 1 선택 수단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2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의 제 2 그룹과 제 3 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제 2 선택 수단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3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의 제 1 그룹과 제 4 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제 3 선택 수단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4 선택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과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제 4 선택 수단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 5 선택 신호들을 응답하여, 상기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 중 홀수번과 짝수번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을 선택적으로 접지시키기 위한 제 5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NOR형 마스크 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택 수단은; 하나의 제 2 비트 라인에 대응되는 2개의 메모리 셀 블럭들 중 홀수번의 메모리 셀 블럭을 선택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선택 신호들 중 홀수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대응되는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 중 홀수번 메모리 셀 블럭의 제 2 그룹과 제 3 그룹 사이의 제 1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1 선택 트랜지스터들과, 하나의 제 2 비트 라인에 대응되는 2개의 메모리 셀 블럭들 중 짝수번의 메모리 셀 블럭을 선택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선택 신호들 중 짝수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대응되는 상기 제 2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메모리 셀 블럭들 중 짝수번 메모리 셀 블럭의 제 2 그룹과 제 3 그룹 사이의 제 1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2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NOR형 마스크 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선택 수단은; 상기 제 2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상기 제 1 선택 트랜지스터들의 각 소오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어레이의 제 1 비트 라인들 중 짝수번 제 1 비트 라인들에 각각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3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NOR형 마스크 롬.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선택 수단은; 상기 제 4 선택 신호들 중 홀수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인접한 메모리 셀 블럭들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제 1 비트 라인들 중 홀수번 제 1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 중 홀수번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4 선택 트랜지스터들과, 상기 제 4 선택 신호들 중 짝수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인접한 메모리 셀 블럭들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제 1 비트 라인들 중 짝수번 제 1 비트 라인들에 각각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 중 짝수번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5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NOR형 마스크 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선택 수단은; 상기 제 3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상기 어레이의 제 1 비트 라인들 중 짝수번 제 1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제 4 및 제 5 선택 트랜지스터들의 드레인들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복수 개의 제 6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NOR형 마스크 롬.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선택 수단은; 접지 전압이 인가되는 접지 단자와, 상기 제 5 선택 신호들 중 홀수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상기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 중 홀수번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접지 단자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제 7 선택 트랜지스터들과, 상기 제 5 선택 신호들 중 짝수번 선택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들과, 상기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 중 짝수번 그라운드 비트 라인들에 접속되는 드레인들 및, 상기 접지 단자에 접속되는 소오스들을 갖는 제 8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NOR형 마스크 롬.
KR1019970010492A 1997-03-26 1997-03-26 Nor형 마스크 롬 KR100259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0492A KR100259973B1 (ko) 1997-03-26 1997-03-26 Nor형 마스크 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0492A KR100259973B1 (ko) 1997-03-26 1997-03-26 Nor형 마스크 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603A KR19980074603A (ko) 1998-11-05
KR100259973B1 true KR100259973B1 (ko) 2000-06-15

Family

ID=19500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0492A KR100259973B1 (ko) 1997-03-26 1997-03-26 Nor형 마스크 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99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603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7117A (en) Segmented non-volatile memory array with multiple sources having improved source line decode circuitry
US5673224A (en) Segmented non-volatile memory array with multiple sources with improved word line control circuitry
US5583808A (en) EPROM array segmented for high perform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5233559A (en) Row redundancy for flash memories
US5023837A (en) Bitline segmentation in logic arrays
US5726929A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EP0055594A2 (en) Electrically programmable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P0880144B1 (en) Read only memory
US5945717A (en) Segmented non-volatile memory array having multiple sources
US6088265A (en) Virtual ground type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US5469397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a reference potential generator
US5793087A (en) Segmented non-volatile memory array having multiple sources
EP0913868B1 (en) Memory redundancy circuit for high density memory
US6480422B1 (en) Contactless flash memory with shared buried diffusion bit line architecture
EP0913773B1 (en) Memory redundancy circuits for high density memory with extra row and column
EP0622806B1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023728B2 (en) Semiconductor memory system including selection transistors
KR100259973B1 (ko) Nor형 마스크 롬
US5631864A (en) Memory array having a reduced number of metal source lines
KR100240875B1 (ko) 노어형 마스크 롬
JP3134762B2 (ja)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この装置からのデータ読み出し方法
KR100199359B1 (ko) 고성능을 위한 세그먼트된 eprom 어레이 및 그를 제어하는 방법
KR100725093B1 (ko) 노아 타입 플랫 셀을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구동방법
KR19980066563A (ko) Nor형 마스크 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