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9651B1 -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기구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기구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9651B1
KR100259651B1 KR1019970036150A KR19970036150A KR100259651B1 KR 100259651 B1 KR100259651 B1 KR 100259651B1 KR 1019970036150 A KR1019970036150 A KR 1019970036150A KR 19970036150 A KR19970036150 A KR 19970036150A KR 100259651 B1 KR100259651 B1 KR 100259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valve
valve lifter
oil
lifter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6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2674A (ko
Inventor
정봉화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36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9651B1/ko
Publication of KR19990012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9/00Testing; Calibrating; Fault detection or monitor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fluid-pressure system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9/005Fault detection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6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valves operated simultaneously by same transmitting-gear; peculiar to machines or engines with more than two lift-valves per cylinder
    • F01L1/267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valves operated simultaneously by same transmitting-gear; peculiar to machines or engines with more than two lift-valves per cylinder with means for varying the timing or the lift of th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1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actuators or electrically driven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기구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압식 밸브 리프터 내부에 오일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 회복되는 성능을 측정하여 제품 개발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기구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밑판(50a)과 측판(50b)이 상호 직교되게 형성된 체크 다이(50)와, 상기 체크 다이(50)의 측판(50b)에 고정된 작용구 홀더(60)와, 상기 체크 다이(50)의 밑판(50a) 위에 고정되고 유압식 밸브 리프터(40)가 장착되도록 장착 홀(70a)이 형성된 리프터 홀더(70)와, 상기 작용구 홀더(60)의 상측에 위치되어 구동 모터(74)에 의해 회전되는 캠(75)과, 상기 작용구 홀더의 가이드 홀(60a)에 삽입되고 캠(75)과 유압식 밸브 리프터(40) 사이에 위치되어 상하 이동되는 복수개의 작용구(80)와, 상기 복수개의 작용구(80)에 각각 연결되어 그 수직 변위량을 측정하는 변위 센서(9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기구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기구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압식 밸브 리프터 내부에 오일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 회복되는 성능을 측정하여 제품 개발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기구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 기구의 각 부품은 엔진의 온도 상승에 따라 팽창되므로, 밸브도 팽창되어 밸브 페이스와 밸브 시이트가 밀착하지 않게 되고, 이때 가스 누출을 일으키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밸브 클리어런스를 설치함으로써 엔진이 운전 온도에 달했을 때 일정 정도의 간극을 유지토록 하고 있다.
상기 밸브 클리어런스의 변화는 밸브 개폐시기에 큰 영향을 주며, 틈새가 너무 크면 소음이 발생되고 밸브 기구의 각 부분에 충격적인 힘을 주게 되므로, 엔진의 성능을 유지하고, 이상 마모나 소음 방지를 위해, 항상 적절한 값으로 조정해야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밸브 클리어런스는 소음이나 취급이 복잡해지는 원인이 되므로, 이를 배제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이 밸브 리프터이다.
이와 같은, 밸브 리프터는 기계식 밸브 리프터와 유압식 밸브 리프터로 구분된다. 그 중 유압식 밸브 리프터는 오일의 비압축성을 이용하여 냉간이나 온간에 관계없이 언제나 밸브 클리어런스를 제로로 유지하게 되므로, 밸브 틈새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사라지고 밸브 클리어런스의 크기를 제어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밸브 기구에 충격을 주지 않으므로 마모가 적은 이점이 있다.
상기한 유압식 밸브 리프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바디(4)와, 상기 바디(4)의 내측에 삽입되고 로커암(2)과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상기 로커암(2)을 밀어주는 플런저(5)와, 상기 플런저(5)의 하측에 형성된 오일구멍(6)을 개폐시키는 체크볼(7)과, 상기 플런저(5)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체크볼(7)의 이탈을 방지하는 리테이너(8)와, 상기 플런저(5)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5)를 탄발시키는 리턴 스프링(9)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5)의 내측에는 저압실(L)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5) 하측에는 고압실(H)이 형성되며, 상기 저압실(L)과 고압실(H)은 오일구멍(6)을 통해서 연결된다. 상기 저압실(L)의 측면, 즉 바디(4)와 플런저(5)의 측면에 오일이 공급되는 오일공급구(1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압식 밸브 리프터는 엔진이 정지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유압식 밸브 리프터에 유압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상기 리턴 스프링(9)의 힘으로 상기 플런저(5)를 상측으로 밀어주고, 동시에 상기 로커암(2)을 밀어 올려 로커암(2)과 밸브(3) 사이의 밸브 클리어런스를 제로로 유지한다.
상기 엔진이 가동되어 캠(1)의 작동으로 로커암(2)에 의해 상기 플런저(5)가 눌리게 되면 고압실(H) 안의 오일이 가압되어 상기 체크볼(7)이 상기 플런저(5)의 오일구멍(6)을 막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4)와 상기 플런저(5)는 일체로 되어 상기 로커암(2)을 상기 고압실(H)의 유압으로 지지하며 밸브(3)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작동과 반대로 상기 캠(1)이 회전하며 로커암(2)을 누르는 힘이 없어지면 상기 리턴스프링(9)에 의해 플런저(5)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고 상기 고압실(H)안의 오일 압력이 저하되어 상기 체크볼(7)이 상기 플런저(5)의 오일구멍(6)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플런저(5)는 상기 로커암(2)을 일정한 힘으로 밀기 때문에 상기 로커암(2)과 밸브(1) 사이의 밸브 클리어런스는 제로가 된다.
이와 같이, 유압식 밸브 리프터는 밸브 기구의 틈새를 항상 제로로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캠(1)의 움직임이 밸브(3)에 정확히 전달되고, 조용한 운전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압식 밸브 리프터는 오일공급구(10)를 통해 오일이 공급되어 저압실(L) 및 고압실(H)에 가압되기 때문에 장시간 운전을 정지하게 되면 가압되는 유압이 저하되거나 오일 속에 공기가 섞이게 된다.
이와 같이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저압실(L) 및 고압실(H)의 유압이 저하되거나 공기가 차게 되면 오일에 비해 공기는 압축성이기 때문에 상기 캠(1)의 밸브 구동력이 밸브(3)에 정확히 전달되지 않는 스펀지 현상이 일어나게 되고 정상 작동되기까지는 일정한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유압식 밸브 리프터가 정상 작동하기까지의 시간 및 유압의 크기, 그리고 캠의 회전수 등을 측정하고 점검할 수 있는 체크 기구가 요구된다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한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엔진의 초기 시동시 유압식 밸브 리프터가 정상 작동하기까지의 시간 및 조건을 측정하여 정상 회복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기구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기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유압식 밸브 리프터 45 : 플런저
50 : 체크 다이 50a : 밑판
50b : 측판 60 : 작용구 홀더
60a : 가이드 홀 62 : 돌출부
65 : 볼트 70 : 리프터 홀더
70a : 장착 홀 72 : 오일 공급 홀
73 : 오일 배출 홀 74 : 구동 모터
75 : 캠 76 : 구동 벨트
77 : 오일 펌프 80 : 작용구
82 : 상부 작용구 84 : 하부 작용구
86 : 작용 스프링 90 : 변위 센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기구는, 밑판과 측판이 상호 직교되게 형성된 체크 다이와, 상기 체크 다이의 측판에 고정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가이드 홀이 형성된 작용구 홀더와, 상기 작용구 홀더의 하측인 상기 체크 다이의 밑판 위에 고정되고 밸브 클리어런스를 '0'으로 유지시키는 유압식 밸브 리프터가 장착되도록 장착 홀이 형성되며 이 장착 홀로 연결되는 오일 공급 홀과 오일 배출 홀이 나있는 리프터 홀더와, 상기 작용구 홀더의 가이드 홀 상측에 위치되어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캠과,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고 캠과 유압식 밸브 리프터 사이에 위치되어 상하 이동되는 복수개의 작용구와, 상기 복수개의 작용구에 각각 연결되어 그 수직 변위량을 측정하는 변위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방법은, 내부의 오일을 제거한 유압식 밸브 리프터를 리프터 홀더에 장착하는 단계와, 오일 펌프를 작동하여 상기 유압식 밸브 리프터에 오일을 공급하는 동시에 구동 모터를 작동시켜 캠을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부 작용구 및 하부 작용구의 변위량을 측정하여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상하 행정을 체크하는 단계와, 하부 작용구의 변위량이 '0'일 때의 도달 시간 및 구동 모터의 회전수와 오일 펌프의 유압을 측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기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판(50a)과 측판(50b)이 상호 직교되게 형성된 체크 다이(50)와, 상기 체크 다이(50)의 측판(50b)에 고정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가이드 홀(60a)이 형성된 작용구 홀더(60)와, 상기 작용구 홀더(60)의 하측인 상기 체크 다이(50)의 밑판(50a) 위에 고정되고 시험할 유압식 밸브 리프터(40)가 장착되도록 장착 홀(70a)이 형성되며 이 장착홀(70a)로 연결되는 오일 공급 홀(72)과 오일 배출 홀(73)이 나있는 리프터 홀더(70)와, 상기 작용구 홀더(60)의 가이드 홀(60a) 상측에 위치되어 구동 모터(74)에 의해 회전되는 캠(75)과, 상기 가이드 홀(60a)에 삽입되고 캠(75)과 유압식 밸브 리프터(40) 사이에 위치되어 상하 이동되는 복수개의 작용구(80)와, 상기 복수개의 작용구(80)에 각각 연결되어 그 수직 변위량을 측정하는 변위 센서(9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작용구 홀더(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면의 양측으로 돌출부(62)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62)가 상기 다이(50)의 측판(50b)에 볼트(65) 체결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리프터 홀더(70)는 오일 공급 홀(72)을 통해 유압식 밸브 리프터(40)에 유압이 제공되도록 오일 펌프(77)와 오일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캠(75)은 구동 모터(74)와 구동 벨트(76)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한 작용구(80)는 상기 캠(75)에 접촉되어 상하 이동되는 상부 작용구(82)와, 상기 상부 작용구(82)의 하측에 결합되어 유압식 밸브 리프터(40)의 상하 행정량만큼 이동되는 하부 작용구(84)와, 상기 상부 작용구(82)와 하부 작용구(84) 사이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압축 탄성력을 제공하는 작용 스프링(86)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변위 센서(90)는 상기 상부 작용구(82)와 하부 작용구(84)에 각각 연결되어 그 변위량을 측정하는 다이얼 게이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방법은 내부의 오일을 제거한 유압식 밸브 리프터(40)를 리프터 홀더(70)에 장착하는 단계와, 오일 펌프(77)를 작동하여 상기 유압식 밸브 리프터(40)에 오일을 공급하는 동시에 구동 모터(74)를 작동시켜 캠(75)을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부 작용구(82) 및 하부 작용구(84)의 변위량을 측정하여 유압식 밸브 리프터(40)의 상하 행정을 체크하는 단계와, 하부 작용구(84)의 변위량이 '0'일 때의 도달 시간 및 구동 모터의 회전수와 오일 펌프의 유압을 측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기구 및 그 방법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압식 밸브 리프터(40)의 회복 성능을 체크하기 위해서는 유압식 밸브 리프터(40) 내부의 오일을 완전히 제거한 상태에서 리프터 홀더(70)의 장착 홀(70a)에 삽입하여 장착한다. 이때, 유압식 벨브 리프터(40)는 리프터 홀더(70)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고, 플런저(45)의 상단에는 하부 작용구(84)가 접촉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오일 펌프(77)를 작동하여 리프터 홀더(70)의 오일 공급 홀(72)을 통해 상기 유압식 밸브 리프터(40) 내부에 오일을 공급하는 동시에 구동모터(74)를 작동시켜 캠(75)을 회전시킨다. 이때에는 유압식 밸브 리프터(40)의 저압실 및 고압실에 서서히 오일이 유입되고 동시에 캠(75)이 회전되면서 상부 작용구(82)를 누르면서 작용 스프링(86)을 압축하고 하부 작용구(84)를 통해 플런저(45)를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초기 시험시에는 유압식 밸브 리프터(40) 내부에 공기가 차있으므로 어느 정도 스펀지 현상이 발생되며 상기 캠(75)의 수직압에 의해 상부 작용구(82) 및 하부 작용구(84), 그리고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플런저(45)가 상하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45)가 점차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하부 작용구(84)의 변위량이 점차 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유압식 밸브 리프터(40)의 스펀지 현상이 줄어들면서 정상 상태로 점차 회복되고, 이때 작용 스프링(8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부 작용구(84)와 플런저(45)의 변위량이 거의 '0'에 가깝게 되면서 정상 상태를 회복하게 된다.
여기서, 변위 센서(90)를 통해 상부 작용구(82) 및 하부 작용구(84)의 변위량을 연속하여 측정하고, 상기 유압식 밸브 리프터(40)의 행정이 '0'일 때, 즉 하부 작용구(84)의 변위량이 '0'에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도달 시간 및 구동 모터(74)의 회전수와 오일 펌프(77)의 유압을 측정하여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을 여러 조건으로 측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기구 및 그 방법은 엔진의 초기 시동시에 유압식 밸브 리프터가 정상 작동하기까지의 시간 및 조건을 시험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양질의 제품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그 편의성을 도모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밑판과 측판이 상호 직교되게 형성된 체크 다이와, 상기 체크 다이의 측판에 고정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가이드 홀이 형성된 작용구 홀더와, 상기 작용구 홀더의 하측인 상기 체크 다이의 밑판 위에 고정되고 밸브 클리어런스를 '0'으로 유지시키는 유압식 밸브 리프터가 장착되도록 장착 홀이 형성되며 이 장착홀로 연결되는 오일 공급 홀과 오일 배출 홀이 나있는 리프터 홀더와, 상기 작용구 홀더의 가이드 홀 상측에 위치되어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캠과,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고 캠과 유압식 밸브 리프터 사이에 위치되어 상하 이동되는 복수개의 작용구와, 상기 복수개의 작용구에 각각 연결되어 그 수직 변위량을 측정하는 변위 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구 홀더는 그 일면의 양측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체크 다이의 측판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 홀더는 오일 공급 홀을 통해 유압식 밸브 리프터에 유압이 제공되도록 오일 펌프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구동 모터와 구동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구는 상기 캠에 접촉되어 상하 이동되는 상부 작용구와, 상기 상부 작용구의 하측에 결합되어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상하 행정량만큼 이동되는 하부 작용구와, 상기 상부 작용구와 하부 작용구 사이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압축탄성력을 제공하는 작용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기구.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센서는 상기 상부 작용구와 하부 작용구에 각각 연결되어 그 변위량을 측정하는 다이얼 게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기구.
  7. 내부의 오일을 제거한 유압식 밸브 리프터를 리프터 홀더에 장착하는 단계와, 오일 펌프를 작동하여 상기 유압식 밸브 리프터에 오일을 공급하는 동시에 구동 모터를 작동시켜 캠을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부 작용구 및 하부 작용구의 변위량을 측정하여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상하 행정을 체크하는 단계와, 하부 작용구의 변위량이 '0'일 때의 도달 시간 및 구동 모터의 회전수와 오일 펌프의 유압을 측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방법.
KR1019970036150A 1997-07-30 1997-07-30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기구 및 그 방법 KR100259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6150A KR100259651B1 (ko) 1997-07-30 1997-07-30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기구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6150A KR100259651B1 (ko) 1997-07-30 1997-07-30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기구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674A KR19990012674A (ko) 1999-02-25
KR100259651B1 true KR100259651B1 (ko) 2000-06-15

Family

ID=19516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6150A KR100259651B1 (ko) 1997-07-30 1997-07-30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기구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96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985B1 (ko) * 2012-02-10 2013-09-12 주식회사 인팩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클러치 액추에이터 시험장치
KR101299951B1 (ko) * 2012-02-10 2013-08-26 주식회사 인팩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기어 액추에이터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674A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14924A (en) Turbine blade extractor
EP1595640A1 (en) Spring lock-type clamp device
KR100259651B1 (ko)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기구 및 그 방법
KR100524003B1 (ko) 재봉틀의압력발(pressurefoot)조작장치
EP1677028A1 (en) Balancer mechanism for rotating shaft
EP3505729A1 (en) Valve bridge and engine comprising the valve bridge
KR100224364B1 (ko) 유압식 밸브 리프터의 회복 성능 체크 장치 및 그 방법
US11047271B2 (en) Socket module of compression release type engine brake and operating method of engine brake using thereof
JP3284957B2 (ja) パンチプレス
US6405419B1 (en) Engine valve and seat burnishing system
CN209936341U (zh) 一种导轨锁紧装置及机床
KR20210037901A (ko) 압축 완화형 엔진 브레이크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JP2001041870A (ja) 2軸免震ゴム試験機
EP1302254B1 (en) Equalizing fluid-operated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apparatus
JP2855732B2 (ja) 硝子切断機
US20210102505A1 (en) Compression-release type engine brake
JPS6037445Y2 (ja) ロ−ルフイ−ドのレリ−ス量調整装置
US6422550B1 (en) Extending clamp
KR200203115Y1 (ko) 전자부품 조립용 셀프 얼라이닝 장치
KR20040046374A (ko) 엔진의 피스톤링과 라이너 마모 시험장치
CN116871384A (zh) 一种钣金加工用气动冲床
KR100348078B1 (ko) 자동차용 벨트 텐셔너
SU1181847A1 (ru) Подводима опора
RU2100646C1 (ru) Аксиально-поршневой насос с регулируемым рабочим объемом
SU1641649A1 (ru) Листоштамповочный многопозиционный пресс-автома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