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9021B1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운전 설비용 가스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운전 설비용 가스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9021B1
KR100259021B1 KR1019980013785A KR19980013785A KR100259021B1 KR 100259021 B1 KR100259021 B1 KR 100259021B1 KR 1019980013785 A KR1019980013785 A KR 1019980013785A KR 19980013785 A KR19980013785 A KR 19980013785A KR 100259021 B1 KR100259021 B1 KR 100259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fuel cell
humidification bottle
main body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0476A (ko
Inventor
이호일
윤중근
백광기
오태영
Original Assignee
김형벽
현대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벽, 현대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형벽
Priority to KR1019980013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9021B1/ko
Publication of KR19990080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0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Fuel Cell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운전 설비용 가스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운전 설비용 가스 공급장치의 가습병 증류수 재보급을 용이하게 하고,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본체로 공급되는 반응 가스의 가습량과 온도를 적정상태로 유지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운전 설비용 가스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료가스와 산화제 가스가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 인입관, 공급된 가스의 역류를 방지해 주는 역류 방지 밸브, 반응 가스의 연료전지 본체로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가스 유량계, 반응 가스를 가습시켜 주는 가습병, 가습 가스를 전지 본체로 공급시켜 주는 본체 공급관, 전력 생산 반응이 일어나는 연료 전지 본체, 연료 전지 본체내에서 반응후의 잔여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관, 연료 전지 본체내의 반응 가스 압력을 조절해 주는 후압 조절계로 이루어진 가스 조절부와; 가습병을 가열하여 공급 가스의 가습을 최적화 시키는 가습병 가열기, 가습병 내의 수온을 감지하여 온도 조절장치와 교신하는 가습부 열전대, 가습병의 온도를 조절하는 가습부 온도 조절기, 연료전지 본체 가열기, 연료 전지 본체 열전대, 연료 전지 본체 온도 조절기로 이루어진 온도 조절부와; 상기 가스조절부와 온도 조절부 장치들을 내장하는 포함용기로 구성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운전 설비용 가스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습병은 가습병 공급관에 의해 가스유량계와 연결되고, 본체 공급관에 의해 연료 전지와 연결되며, 포함용기 외부에 마개를 구비하고 별도 설치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운전 설비용 가스 공급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운전 설비용 가스 공급 장치
본 발명은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운전 설비용 가스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개발 시험 및 실제 운전에 필요한 운전설비 특히, 고분자 전해질 연료 전지의 운전설비중 본체 및 가습병의 온도, 산화제 가스의 압력 및 유량등의 운전변수 조절이 가능한 연료 전지 본체로의 반응 가스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는 기존의 내부 연소 엔진이나 충,방전형 전지와는 달리 고효율, 청정에너지 기관이라는 뚜렷한 장점을 갖고 있는 차세대 에너지 기술이다. 연료가스와 산화제 가스의 전기 화학적인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와 그 부산물인 초순수의 온수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고, 연료 가스와 산화제 가스의 전기 화학적인 반응을 유도하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알칼리형, 고체 고분자형, 인사형, 용융탄산염형, 고체 산화물형으로 구분된다. 각 종류의 연료 전지는 운전 및 출력 특성에 따라 알칼리형, 고체 고분자형은 소형 이동형 전원용으로, 인산형 연료전지는 현지 중용량 발전용으로 용융 탄산염형 및 고체 산화물형은 지상 고정용 대용량 발전 설비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중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는 다른 연료전지 발전 설비와는 달리 전해질이 고체로서 전해질 관리가 용이하고, 단위 전력 밀도가 우수하며, 작동온도가 낮아 기동 시간이 짧고 설비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하다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이온 전도성 전해질막은 양극과 전해질 계면의 촉매 표면에서 생성된 수소 양이온을 음극과 전해질 계면의 촉매 표면으로 이동시켜 음극으로 공급되는 산소와 양극으로부터 외부회로를 따라 이동해 온 전자가 반응하여 물을 생성하도록 해준다. 이때 전해질막은 적절히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야 하며, 반응 온도도 최적의 조건을 유지하여야만 수소 원자의 이온화, 수소 이온의 전도, 물생성 반응이 연속적으로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본체내의 수분 관리 및 열관리는 그 핵심기술이라 할 수 있다.
고분자 전해질 연료 전지 발전 장치의 전력 산출 특성은 단위 전지의 제조 및 초기 운전 기술에 의해 향상될 수 있고 이외에 본 성능 운전시의 공급 연료 가스 및 산화제 가스의 압력 및 유량, 본체의 온도 및 가습병 온도 등의 운전 변수에 의해 크게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운전 변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스 공급장치이다.
종래의 가스공급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가스와 산화제 가스가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 인입관, 공급된 가스의 역류를 방지해 주는 역류 방지 밸브, 반응 가스의 연료전지 본체로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가스 유량계, 반응 가스를 가습시켜 주는 가습병, 가습 가스를 전지 본체로 공급시켜 주는 본체 공급관, 전력 생산 반응이 일어나는 연료 전지 본체, 연료 전지 본체내에서 반응후의 잔여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관, 연료 전지 본체내의 반응 가스의 압력을 조절해 주는 후압 조절계로 이루어진 가스 조절부와 가습병을 가열하여 공급 가스의 가습을 최적화 시키는 가습병 가열기, 가습병 내의 수온을 감지하여 온도 조절장치와 교신하는 가습부 열전대, 가습병의 온도를 조절하는 가습부 온도 조절기, 연료전지 본체 가열기, 연료 전지 본체 열전대, 연료 전지 본체 온도 조절기로 이루어진 온도 조절부, 그리고 이 가스조절부와 온도 조절부 장치들을 내장하는 포함용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가습병은 가습병내로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가습병 공급관, 가습병내의 증류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열전대, 가습된 반응 가스를 연료 전지 본체로 공급하는 본체 공급관, 가습병을 가열하는 가열기, 가열된 가습병을 보온하는 보온재, 가습병 내의 수량을 지시하는 수위 지시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습병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공급 설비의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관계로 가습용 증류수의 재보급시 별도의 보급장치가 필요하였다. 즉, 본체 공급관과 가습병의 체결부위를 해체한 후, 일정한 압력으로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를 압축된 증류수병을 연결·공급하여 증류수를 재보급하였다. 또한, 가습 가스의 온도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본체의 온도보다 5∼10℃ 정도 높게 유지되는 것이 최적의 조건이나 연료 전지 본체와 가습병 사이에 존재하는 본체 공급관의 불필요한 연장으로 인하여 공급 가스의 온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습병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기포가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가습량이 충분하지 못하고 바로 수면으로 떠올라 본체 공급관을 통해 전지 본체에 공급될 뿐만 아니라 가습병 내에 체류하는 시간이 짧아 전지 본체보다 5∼10℃ 높게 설정된 가습 가스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기 어려운 점이 있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운전 설비용 가스 공급장치의 가습병 증류수 재보급을 용이하게 하고,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본체로 공급되는 반응 가스의 가습량과 온도를 적정상태로 유지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운전 설비용 가스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료가스와 산화제 가스가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 인입관, 공급된 가스의 역류를 방지해 주는 역류 방지 밸브, 반응 가스의 연료전지 본체로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가스 유량계, 반응 가스를 가습시켜 주는 가습병, 가습 가스를 전지 본체로 공급시켜 주는 본체 공급관, 전력 생산 반응이 일어나는 연료 전지 본체, 연료 전지 본체내에서 반응후의 잔여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관, 연료 전지 본체내의 반응 가스 압력을 조절해 주는 후압 조절계로 이루어진 가스 조절부와; 가습병을 가열하여 공급 가스의 가습을 최적화 시키는 가습병 가열기, 가습병 내의 수온을 감지하여 온도 조절장치와 교신하는 가습부 열전대, 가습병의 온도를 조절하는 가습부 온도 조절기, 연료전지 본체 가열기, 연료 전지 본체 열전대, 연료 전지 본체 온도 조절기로 이루어진 온도 조절부와; 상기 가스조절부와 온도 조절부 장치들을 내장하는 포함용기로 구성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운전 설비용 가스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습병은 가습병 공급관에 의해 가스유량계와 연결되고, 본체 공급관에 의해 연료 전지와 연결되며, 포함용기 외부에 마개를 구비하고 별도 설치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운전 설비용 가스 공급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고분자 전해질 연료 전지의 운전 설비용 가스 공급 설비 개략도
도 2 는 종래의 가스 공급 설비의 가습병 분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공급 설비 가습부의 부분 개략도
도 4 는 본 발명의 가스 공급 설비 가습병 분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부호의 설명
(1) : 가스 인입관 (2) : 역류방지밸브
(3) : 가스 유량계 (4) : 가습병
(5) : 본체 공급관 (6) : 연료전지 본체
(7) : 가스 배출관 (8) : 후압조절계
(9) : 가습병 가열기 (10) : 가습부 열전대
(11) : 가습부 온도 조절기 (12) : 연료전지 본체 가열기
(13) : 연료전지 본체 열전대 (14) : 연료전지 본체 온도 조절기
(15) : 포함용기 (16) : 가습병 공급관
(17) : 본체 공급관 보온재 (41) : 가열기
(42) : 가습병 보온재 (43) : 수위 지시관
(44) : 가스 분산기 (100): 가스공급장치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공급 설비 가습부의 부분 개략도를 도시한 것으로, 연료가스와 산화제 가스가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 인입관(1), 공급된 가스의 역류를 방지해 주는 역류 방지 밸브(2), 반응 가스의 연료전지 본체로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가스 유량계(3), 반응 가스를 가습시켜 주는 가습병(4), 가습 가스를 전지 본체로 공급시켜 주는 본체 공급관(5), 전력 생산 반응이 일어나는 연료 전지 본체(6), 연료 전지 본체내에서 반응후의 잔여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관(7), 연료 전지 본체내의 반응 가스 압력을 조절해 주는 후압 조절계(8)로 이루어진 가스 조절부와; 가습병(4)을 가열하여 공급 가스의 가습을 최적화 시키는 가습병 가열기(9), 가습병(4) 내의 수온을 감지하여 온도 조절장치(11)와 교신하는 가습부 열전대(10), 가습병(4)의 온도를 조절하는 가습부 온도 조절기(10), 연료전지 본체(6)를 가열하는 연료전지 본체 가열기(12), 연료 전지 본체 열전대(13), 연료 전지 본체 온도 조절기(14)로 이루어진 온도 조절부와; 상기 가스조절부와 온도 조절부 장치들을 내장하는 포함용기(15)로 구성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운전 설비용 가스 공급 장치(100)의 포함용기(15) 외부, 연료전지 본체 근처에 상기 가습병(4)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가습병(4)은 가습병 공급관(16)에 의해 포함용기(15)내에 설치된 가스 유량계(3)와 연결되고, 본체 공급관(5)에 의해 연료전지 본체(6)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본체공급관(5)은 가습병(4)이 연료 전지 본체 근처에 설치되어 있어 길이가 짧고, 외부에 보온재(17)가 설치되어 있다. 즉, 가습병(4)을 연료전지 본체(6) 근처에 설치하여 가습병(4)과 연료전지 본체(6)간의 본체 공급관(5) 거리를 단축하고, 적절한 보온재(17)로 공급관(5)을 보온하여 가습병(4)과 연료전지 본체(6) 사이에서의 공급가스 온도 저하를 최소화하였다.
도 4 는 본 발명의 가스 공급 설비 가습병 분해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가습병(4)은 포함용기(15)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것으로, 가습병(4)내로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가습병 공급관(16)과, 가습병(4)내의 증류수 온도를 감지하는 열전대(11)와, 가습된 반응 가스를 연료 전지 본체(6)로 공급하는 본체 공급관(5)과, 가습병(4)을 가열하는 가열기(41)와, 가열된 가습병(4)을 보온하는 보온재(42) 및 가습병(4) 내의 수량을 지시하는 수위 지시관(4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습병 공급관(16)은 일측이 가습병(4)내로 삽입되어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가습병(4)내로 삽입된 끝단부에 가스 분산기(4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공급관(5)은 가습된 반응 가스를 연료 전지 본체(6)로 공급하는 것으로, 가습병(4)내로 삽입된 끝단부가 'L'자 형상을 구비하며, 가습병(4)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본체 공급관(5)은 가습병(4) 하부에 연결·설치되나, 본체 공급관(5)의 끝단부가 'L'자 형상을 구비하므로 가습병(4)내로 삽입된 본체 공급관(5)의 끝단은 가습병(4)내 상부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습병을 가스 공급 장치 본체와 별도로 외부에 설치하여 증류수의 재보급시, 단순히 가습병 마개를 열고 증류수를 재충전하므로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고, 증류수의 재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연료전지 본체와 가습병의 불필요한 거리를 단축하여 연료전지 본체로 공급되는 공급 가스의 온도 저하를 최소화 하고, 가습병내의 공급관에 가스 분산기를 설치하여 공급 가스의 가습량을 극대화하며, 배출관의 형태를 변경함과 동시에 보온 처리 및 연료전지 본체까지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전지 본체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연료가스와 산화제 가스가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 인입관, 공급된 가스의 역류를 방지해 주는 역류 방지 밸브, 반응 가스의 연료전지 본체로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가스 유량계, 반응 가스를 가습시켜 주는 가습병, 가습 가스를 전지 본체로 공급시켜 주는 본체 공급관, 전력 생산 반응이 일어나는 연료 전지 본체, 연료 전지 본체내에서 반응후의 잔여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관, 연료 전지 본체내의 반응 가스 압력을 조절해 주는 후압 조절계로 이루어진 가스 조절부와; 가습병을 가열하여 공급 가스의 가습을 최적화 시키는 가습병 가열기, 가습병 내의 수온을 감지하여 온도 조절장치와 교신하는 가습부 열전대, 가습병의 온도를 조절하는 가습부 온도 조절기, 연료전지 본체 가열기, 연료 전지 본체 열전대, 연료 전지 본체 온도 조절기로 이루어진 온도 조절부와; 상기 가스조절부와 온도 조절부 장치들을 내장하는 포함용기로 구성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운전 설비용 가스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습병은 가습병 공급관에 의해 가스유량계와 연결되고, 본체 공급관에 의해 연료 전지와 연결되며, 포함용기 외부에 마개를 구비하고 별도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운전 설비용 가스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병내로 일측이 삽입된 가습병 공급관의 끝단부에 가스 분산기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운전 설비용 가스 공급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병 하단부에 일측이 연결·설치된 본체 공급관은 가습된 반응가스가 가습병내에 오래 유지될 수 있도록 가습병 내부로 삽입된 일측단부가 'L'자형을 구비하며 형성되고, 외부에 보온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운전 설비용 가스 공급 장치.
KR1019980013785A 1998-04-17 1998-04-17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운전 설비용 가스 공급 장치 KR100259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785A KR100259021B1 (ko) 1998-04-17 1998-04-17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운전 설비용 가스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785A KR100259021B1 (ko) 1998-04-17 1998-04-17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운전 설비용 가스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476A KR19990080476A (ko) 1999-11-15
KR100259021B1 true KR100259021B1 (ko) 2000-06-15

Family

ID=19536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785A KR100259021B1 (ko) 1998-04-17 1998-04-17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운전 설비용 가스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90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5963A (ko) * 2000-12-29 2002-07-10 박호군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운전용 가습장치
KR100445380B1 (ko) * 2002-02-25 2004-08-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료전지 운전용 가스 공급 장치
CN113571734B (zh) * 2021-06-29 2024-02-23 德力新能源汽车有限公司 一种车用燃料电池供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476A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03125C (en) Solid polymer fuel cell
US7029775B2 (en) Fuel cell system
US9496575B2 (en) Humidification Unit for Providing a Carrier Gas Containing a Fuel, and Fuel Cell with Such a Humidification Unit
CN101682065B (zh) 燃料电池系统及其运行方法
US8642221B2 (en) Solid oxide fuel cell device
JP5391976B2 (ja)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US6844095B2 (en) Humidifier for humidifying reactant gases for a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system
CN102422475B (zh) 固体电解质型燃料电池
KR101610063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CN102414895B (zh) 固体电解质型燃料电池
KR100259021B1 (ko)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운전 설비용 가스 공급 장치
KR100860115B1 (ko) 연료전지용 가습장치
KR101101049B1 (ko) 연료전지의 스택 예열 시스템
JPH02825B2 (ko)
EP1052717B1 (en) Fuel cell system
KR100445380B1 (ko) 연료전지 운전용 가스 공급 장치
JP2005038647A (ja) 加湿ガス供給システム
KR101072486B1 (ko) 연료전지 흡기계 온·습도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70024026A (ko) 연료전지의 난방/온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6576356B1 (en) Preconditioning membranes of a fuel cell stack
JPH0955218A (ja) 燃料電池のガス加湿システム及びガス加湿方法
JP2000048838A (ja) 燃料電池装置の制御方法
KR100539752B1 (ko) 연료전지의 가습량 조절장치
CN112038667B (zh) 一种用于氢氧燃料电池测试的气体循环加湿方法及装置
JP2011076942A (ja)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