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8765B1 - 전용선로부와 고속 데이터부를 수용하는 다중화 장치에서호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전용선로부와 고속 데이터부를 수용하는 다중화 장치에서호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8765B1
KR100258765B1 KR1019980018150A KR19980018150A KR100258765B1 KR 100258765 B1 KR100258765 B1 KR 100258765B1 KR 1019980018150 A KR1019980018150 A KR 1019980018150A KR 19980018150 A KR19980018150 A KR 19980018150A KR 100258765 B1 KR100258765 B1 KR 100258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data
high speed
data unit
multiplexing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5606A (ko
Inventor
이경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8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8765B1/ko
Publication of KR19990085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7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고속 데이터부와 전용선로부를 구비한 다중화 장치의 호처리 방법으로서, 고속 데이터부가 인터페이스 모드인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검사결과 인터페이스 모드인 경우 메모리로부터 다중화장치와 원격지 타입 및 고속 데이터부 링크 스피드를 독취하는 단계와, 채널 카운트 값을 속도로 설정하고 활성화와 비활성화를 검사하는 단계와, 검사결과 활성화인 경우 전용선로가 이원(E1)타입인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검사결과 이원타입인 경우 속도가 15보다 큰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검사결과 속도가 15보다 큰 경우 속도를 하나 증가하여 채널 카운트로 설정하는 단계와, 사용가능한 사용자 하이웨이 및 채널을 계산하고 채널 카운트만큼의 색수를 마킹하는 단계와, 활성화에 따른 고속 데이터부의 맵을 제어하며 호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 진다.

Description

전용선로부와 고속 데이터부를 수용하는 다중화 장치에서 호처리 방법
본 발명은 전용선로(T1/E1)부의 다중화 장치에서 호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용선로부와 고속 데이터부를 구비한 다중화 장치에서 호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근래의 다중화 장치는 한 종류의 신호만을 다중화하지 않고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신호를 수용하여 다중화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다중화 장치는 전용선로(E1/T1:이하‘전용선로’라 칭한다. 또한 E1/T1신호를 처리하는 부분은‘전용선로부’라 칭한다)를 기본으로 하며, 일반 데이터를 수용하고, 고속 디지털 데이터인 HDSL(High_bit_rate Digital Subscriber Line:이하‘고속 데이터’라 칭하며, 상기 고속 데이터를 처리하는 부분은‘고속 데이터 처리부’라 칭한다)등의 신호를 수용하는 다중화 장치가 나오고 있다. 이러한 다중화 장치에서 고속 데이터부는 V.35규약에 의해 서비스 되므로 다중화장치와 사용자 단말간에 각각 모뎀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상기 다중화 장치의 상기 데이터 포트와 연동된 상기 고속 데이터부의 V.35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하기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상기 다중화 장치의 상기 고속 데이터부를 지원하기 위해 상기 다중화 장치내에서 상기 고속 데이터부와 링크(Link)간은 로컬버스(Local Bus)로 스위칭을 수행하며, 교환기와의 물리적 연결은 DS1 인터페이스인 전용회선(T1/E1)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교환기내에서는 상기 링크와 상기 고속 데이터부와 스위칭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고속 데이터부의 뒷단에 모뎀을 연결하고,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시스템 앞단에 또다른 모뎀을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따라서 상기 다중화 장치의 앞단에는 각 서비스 수용자마다 1:1로 모뎀을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다중화 장치가 위치한 전화국등의 장소에서는 모뎀의 전원과 모뎀의 관리를 위해 모뎀전용 랙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다중화 장치에서는 실제 데이터의 송수신이 수행되는 상기 모뎀간의 행위에 대해 제어를 수행할 수 없으며, 또한 상기 모뎀으로부터 정보를 얻을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뎀기능을 구비한 고속 데이터부가 다중화 장치에 실장될 경우 전용선로와 다중화 장치간의 호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르면 고속 데이터부와 전용선로부를 구비한 다중화 장치의 호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고속 데이터부가 트랜스포랜트 모드인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고속 데이터부가 트랜스포랜트 모드인 경우 활성화할 것인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활성화인 경우 메모리로부터 시작을 독취하고, 상기 고속 데이터부의 사용자 카드 버퍼값을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비활성화인 경우 상기 메모리의 사용자 카드 버퍼값을 삭제하는 단계와, 상기 활성화 및 상기 비활성화에 따른 고속 데이터부의 맵을 제어하며 호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고속 데이터부와 전용선로부를 구비한 다중화 장치의 호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고속 데이터부가 인터페이스 모드인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인터페이스 모드인 경우 메모리로부터 다중화장치와 원격지 타입 및 고속 데이터부 링크 스피드를 독취하는 단계와, 채널 카운트 값을 속도로 설정하고 활성화와 비활성화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활성화인 경우 상기 전용선로가 이원(E1)타입인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이원타입인 경우 속도가 15보다 큰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속도가 15보다 큰 경우 상기 속도를 하나 증가하여 채널 카운트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가능한 사용자 하이웨이 및 채널을 계산하고 채널 카운트만큼의 색수를 마킹하는 단계와, 상기 활성화에 따른 고속 데이터부의 맵을 제어하며 호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모뎀기능을 구비한 고속 데이터부가 실장된 다중화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호처리시 수행되는 타스크의 구성도.
도 3a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다중화 장치에서 고속 데이터부의 호처리시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모뎀기능을 구비한 고속 데이터부가 실장된 다중화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제어부 111은 상기 다중화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모뎀기능을 구비한 고속 데이터부와 전용선로간의 호처리를 수행한다. 메모리부 112는 상기 제어부 111의 제어에 필요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어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로 구분된다. 운용자 접속부 113은 상기 다중화 장치와 운용자간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접속부로서 운용자가 워크스테이션과 같은 기기를 통해 입력한 명령을 상기 제어부 111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다중화 장치의 동작상태 및 명령에 대한 결과를 상기 워크스테이션등의 기기로 출력되는 데이터를 중계한다.
제1고속 데이터부(HDSL1) 114와 제2고속 데이터부 (HDSL2) 117은 상기 제어부 111의 제어에 의해 고속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제1고속 데이터부 114와 상기 제2고속 데이터부 117은 모뎀기능을 내장하여 고속 데이터 처리에 필요한 V.35의 데이터로 변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고속 데이터부 114 및 117은 상기 다중화 장치에 실장되는 상태에 따라 크게 두가지로 구분된다. 첫째로 상기 고속 데이터부를 다중화 장치의 내부에 실장하고, 상기 다중화 장치가 위치한 장소(COT)로 DS1급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용회선(T1/E1)과 원격지의 모뎀(RT)으로 직접 전송되는 모드이다. 이하 상기 첫 번째 모드를‘트랜스포랜트(Transparent)모드’라 칭한다. 다음으로 사용자와 데이터 버스인 티버스(T-Bus)등을 통해 연결되는 모드이다. 이하 두 번째 모드를 총칭하여‘인터페이스 모드’라 칭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드는 다시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와 다중화 장치간 T-Bus를 통해 연결되며, 원격지 의 모뎀으로 고속 데이터 라인으로 연결되는 방법으로 상기 다중화 장치의 가입자로부터 수신되는 V.35의 데이터를 원거리 전송에 사용되는 고속모드와 같은 기능이다. 둘째로 가입자와 다중화 장치간은 T-Bus로 연결되며, 원격지의 모뎀과 고속 데이터 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원격지 모뎀은 DS1급 멀티플렉서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다중화 장치의 가입자 데이터를 멀티플렉싱하여 상기 고속 데이터 전송라인으로 전송하고, 원격지측에서 가입자별로 디멀티플렉싱하여 DS1급으로 송신하는 방법이다.
전용선로부 115는 E1 및 T1의 전송장비 또는 교환기와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전용선로부 115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고속 데이터부로 송신할 경우 상기 재1고속 데이터부 114와 상기 제2고속 데이터부 117을 통해 교차접속(Cross Connection)된다. 데이터 처리부 116은 일반 가입자의 연결과 동일하게 연결되며,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스위치부 118은 상기 제어부 111의 제어에 의해 스위칭 및 교차접속의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도 2는 상기 제어부 111에 실장되어 호처리시 수행되는 타스크의 구성도이다.
이하 도 1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유지관리부 210은 운용자가 메뉴로서 요구하거나 또는 상기 다중화 장치의 운용중에 상기 HDSL카드의 탈장 및 신규 실장되었을 때 호처리부로 해당 정보를 알려준다. 또한 상기 유지관리부 210의 명령에 따라 호의 구성 및 해제를 수행한다. 상기 호처리부 211은 상기 고속 데이터부 링크의 하드웨어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호처리부 211은 호와 관련된 스위칭 정보를 스위칭 처리부 212로 알려주며, 상기 고속 데이터부의 탈장 및 실장에 따라 활성화 및 비활성화 정보를 활성 처리부 213으로 알려주며, 상기 고속 데이터부를 통한 교차접속(Cross Connection)이 요구될 경우 교차접속 처리부 214로 알려준다.
상기 스위칭 처리부 212는 상기 호처리부 211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도 1에 도시한 스위치부 118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활성 처리부 213은 상기 호처리부 211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고속 데이터부 114 및 117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교차접속 처리부 214는 상기 호처리부 211로부터 수신된 호처리 데이터에 정보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 118 과 상기 고속 데이터부 114 및 117을 제어하여 교차접속을 수행한다. 상기 스위칭 처리부 212와 상기 활성 처리부 213 및 상기 교차접속 처리부 214는 상기 동작의 수행전에 메모리 관리부 215로 수행 작업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여 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수행한 결과를 메모리 관리부 215에 출력한다. 상기 메모리 관리부 215는 상기 스위칭 처리부 212와 활성 처리부 213과 교차접속 처리부 214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 112를 제어하여 데이터를 기록 및 독취한다.
도 3a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다중화 장치에서 고속 데이터부의 호처리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 111의 호처리부 211은 300단계에서 상기 고속 데이터부 114 및 117의 실장상태가 트랜스포랜트(Transparent)모드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호처리부 211은 상기 검사결과 트랜스포랜트 모드인 경우 302단계로 진행하고, 트랜스포랜트 모드가 아닌 경우 310단계로 진행한다. 먼저 상기 고속 데이터부가 트랜스포랜트 모드인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호처리부 211은 302단계에서 상기 고속 데이터부 114 및 117을 활성화할 것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활성화의 검사는 운용자의 명령을 상기 유지관리부 210을 통해 수신된 정보로부터 알 수 있다. 상기 호처리부 211은 상기 302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고속 데이터부의 활성화인 경우 활성 처리부 213으로 활성화 요구를 정보를 송신하고 306단계로 진행하며, 활성화 요구가 아닌 경우 활성 처리부 213으로 비활성화 정보를 송신하고 3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활성 처리부 213은 상기 302단계에서 306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메모리 관리부 215를 제어하여 메모리부 112의 DB로부터 시작채널을 독취하고, 상기 고속 데이터부 114 및 117의 사용자 카드 버퍼값을 기록의 제어를 수행하고 340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활성 처리부 213은 상기 302단계에서 304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메모리 관리부 215를 제어하여 상기 메모리부 112에 저장된 고속 데이터부의 사용자 카드 버퍼값을 삭제하고 상기 340단계로 진행한다.
또한 상기 호처리부 211은 상기 300단계에서 310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메모리 관리부 215를 제어하여 상기 메모리부 112의 유로부터 COT/RT의 타입을 독취하고, 상기 고속 데이터 링크 스피드(Link Speed)를 독취한다. 상기 호처리부 211은 상기 310단계에서 데이터가 독취되면 312단계로 진행하여 채널 카운트(chcnt)를 상기 독출된 스피드 값으로 설정하고 3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호처리부 211은 314단계에서 상기 유지보수부 210으로부터 활성화가 요구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호처리부 211은 상기 검사결과 활성화가 요구된 경우 316단계로 진행하고, 활성화가 요구되지 않은 경우 330단계로 진행한다.
먼저 상기 314단계에서 316단계로 진행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호처리부 211은 상기 316단계에서 상기 독출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COT와 상기 RT간의 연결이 E1으로 설정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호처리부 211은 상기 검사결과 상기 고속 데이터부 114 및 117과 연결되는 호가 E1으로 설정된 경우 318단계로 진행하고, T1으로 설정된 경우 32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호처리부 211은 상기 316단계에서 318단계로 진행하면, 속도(Speed)가 15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호처리부 211은 상기 검사결과 속도가 15보다 큰 값으로 설정된 경우 320단계로 진행하고, 15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된 경우 32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호처리부 211은 상기 318단계에서 320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스피드 값을 하나 증가하여 상기 채널값으로 하고 32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6단계 내지 320단계는 상기 E1방식을 사용할 경우 16번 채널이 시그널(Signal) 채널로 사용되므로 15보다 큰 값은 하나 증가된 값으로 하여 시그널 채널과 겹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316단계 또는 318단계 또는 320단계에서 322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호처리부 211은 상기 사용가능한 사용자 하이웨이(Highway) 및 채널을 계산하고, 상기 메모리 관리부 215를 제어하여 채널카운트 만큼의 개수를 마킹하고 340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호처리부 211은 상기 314단계에서 330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유지관리부 210으로부터 비활성화가 요구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호처리부 211은 상기 검사결과 비활성화가 요구된 경우 332단계로 진행하고, 비활성화가 요구되지 않은 경우 35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호처리부 211은 상기 330단계에서 332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다중화 장치와 원격지 모뎀의 타임이 E1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호처리부 211은 상기 검사결과 E1타입인 경우 334단계로 진행하고, E1타입이 아닌 경우 33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호처리부 211은 상기 332단계에서 334단계로 진행하면 속도가 15보다 큰 값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호처리부 211은 상기 검사결과 속도가 15보다 큰 경우 336단계로 진행하고, 속도가 15보다 크지 않은 경우 33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호처리부 211은 상기 336단계에서 상기 채널 카운트(chcnt)를 속도를 하나 증가된 값으로 설정하고, 33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호처리부 211은 상기 332단계 또는 상기 334단계 또는 상기 336단계에서 338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메모리 관리부 215를 제어하여 점유했던 사용자 하이웨이 채널과 상기 고속 데이터부의 하이웨이 채널을 삭제한다.
또한 상기 호처리부 211은 330단계에서 350단계로 진행하면 일크알람이 셋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링크알람이 셋된 경우 352단계로 진행하고, 링크알람이 셋되지 않은 경우 35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호처리부 211은 상기 350단계에서 352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고속 데이터부의 링크에 할당된 사용자 포트를 블록킹하고, 상기 교차접속 처리부 214를 제어하여 교차접속을 차단한다.
한편 상기 호처리부 211은 상기 354단계에서 링크알람이 해제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링크알람이 해제인 경우 상기 호처리부 211은 356단계로 진행하고, 링크알람이 해제가 아닌 경우 종료한다. 상기 호처리부 211은 상기 356단계에서 상기 고속 데이터부 링크에 할당된 사용자포트에 설정된 블로킹을 해제하고 상기 교차접속 처리부 214를 제어하여 교차접속 연결을 허여하고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모뎀 기능을 실장한 고속 데이터부를 상기 다중화 장치에 사용함으로써 전화국(COT)등의 상기 다중화 장치가 위치하는 장소에 고속 데이터 처리를 위한 모뎀의 랙을 설치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간적인 소비를 줄일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상기 DS1급 서비스와 고속 데이터 서버스(HDSL)를 동시에 수용하여 호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6)

  1. 고속 데이터부와 전용선로부를 구비한 다중화 장치의 호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속 데이터부가 트랜스포랜트 모드인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고속 데이터부가 트랜스포랜트 모드인 경우 활성화할 것인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활성화인 경우 메모리로부터 시작을 독취하고, 상기 고속 데이터부의 사용자 카드 버퍼값을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비활성화인 경우 상기 메모리의 사용자 카드 버퍼값을 삭제하는 단계와,
    상기 활성화 및 상기 비활성화에 따른 고속 데이터부의 맵을 제어하며 호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선로부와 고속 데이터부를 수용하는 다중화 장치에서 호처리 방법.
  2. 고속 데이터부와 전용선로부를 구비한 다중화 장치의 호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속 데이터부가 인터페이스 모드인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인터페이스 모드인 경우 메모리로부터 다중화장치와 원격지 타입 및 고속 데이터부 링크 스피드를 독취하는 단계와,
    채널 카운트 값을 속도로 설정하고 활성화와 비활성화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활성화인 경우 상기 전용선로가 이원(E1)타입인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이원타입인 경우 속도가 15보다 큰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속도가 15보다 큰 경우 상기 속도를 하나 증가하여 채널 카운트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가능한 사용자 하이웨이 및 채널을 계산하고 채널 카운트만큼의 색수를 마킹하는 단계와,
    상기 활성화에 따른 고속 데이터부의 맵을 제어하며 호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선로부와 고속 데이터부를 수용하는 다중화 장치에서 호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비활성화인 경우 상기 전용선로가 이원(E1)타입인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이원타입인 경우 속도가 15보다 큰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속도가 15보다 큰 경우 상기 속도를 하나 증가하여 채널 카운트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고속 데이터부의 점유했던 사용자 하이웨이와 채널 및 고속 데이터부의 하이웨이 채널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삭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선로부와 고속 데이터부를 수용하는 다중화 장치에서 호처리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선로부가 티원(T1)타입인 경우 속도 검사 및 채널 카운트 값의 변경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선로부와 고속 데이터부를 수용하는 다중화 장치에서 호처리 방법.
  5. 고속 데이터부와 전용선로부를 구비한 다중화 장치의 호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속 데이터부가 인터페이스 모드인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인터페이스 모드인 경우 메모리로부터 다중화장치와 원격지 타입 및 고속 데이터부 링크 스피드를 독취하는 단계와,
    체널 카운트 값을 속도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고속 데이터부의 링크알람이 셋인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링크 알람이 셋인 경우 고속 데이터부의 링크에 할당된 사용자 포트를 블로킹하고 교차접속을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알람에 따라 차단 및 블로킹된 내역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선로부와 고속 데이터부를 수용하는 다중화 장치에서 호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데이터부의 링크알람이 해제인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링크알람이 해제인 경우 고속 데이터부의 링크에 할당된 사용자 포트의 블로킹을 해제하고 교차접속을 허여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선로부를 수용하는 다중화 장치에서 호처리 방법.
KR1019980018150A 1998-05-20 1998-05-20 전용선로부와 고속 데이터부를 수용하는 다중화 장치에서호처리 방법 KR100258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150A KR100258765B1 (ko) 1998-05-20 1998-05-20 전용선로부와 고속 데이터부를 수용하는 다중화 장치에서호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150A KR100258765B1 (ko) 1998-05-20 1998-05-20 전용선로부와 고속 데이터부를 수용하는 다중화 장치에서호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606A KR19990085606A (ko) 1999-12-15
KR100258765B1 true KR100258765B1 (ko) 2000-06-15

Family

ID=19537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150A KR100258765B1 (ko) 1998-05-20 1998-05-20 전용선로부와 고속 데이터부를 수용하는 다중화 장치에서호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87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606A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37188A (en)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control arrangement and method
JPH0573300B2 (ko)
US64492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call services for remote users in the event of a communication failure
US6470028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lating telecommunications signals of span interfaces
KR100258765B1 (ko) 전용선로부와 고속 데이터부를 수용하는 다중화 장치에서호처리 방법
US4553235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digital terminals to a digital exchange
US6240107B1 (en) Self-configuring universal communication device for interfacing communication signals having different properties with repeaterless two-wire telephone link
GB2128850A (en) Time slot assignment facilities
KR100212936B1 (ko) 송수신기 사이에 접속된 회로 스위치
KR19990061460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합 공통선 신호 장치
KR100265954B1 (ko) 이동통신교환기의과금데이터제어방법
KR100342486B1 (ko) 다중화장치에서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의 디지털 루프캐리어서비스방법
KR100366541B1 (ko) 이동통신 교환기 시스템에서의 ass-t 구간별 신호링크경로 테스트 방법
KR100233908B1 (ko) Isdn 교환기의 프레임 릴레이 핸들러
KR100315688B1 (ko) 교환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망 인터페이스의 채널정합방법
KR100241908B1 (ko) 국가별 레지스터 시그널링 제어방법
KR100564240B1 (ko) 전송 장비의 호 시험 방법 및 그 장치
JP3347504B2 (ja) 加入者回線・交換装置接続システム
KR0165080B1 (ko) 교환기 시스템의 가입자 선로 측정방법
KR0154473B1 (ko) 전전자교환기의 녹음안내방송장치를 시험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5311171A (en) Quad channel unit registers for channel pairs
KR100301793B1 (ko)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에서의 자동 리셋 방법
KR100233911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 스위치 연결 방법
KR100264860B1 (ko) 디지털 가입자 회로시험 방법
KR0118855Y1 (ko) 종합 정보 통신망 가입자 공통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