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7663B1 -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알콕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알콕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7663B1
KR100257663B1 KR1019980006924A KR19980006924A KR100257663B1 KR 100257663 B1 KR100257663 B1 KR 100257663B1 KR 1019980006924 A KR1019980006924 A KR 1019980006924A KR 19980006924 A KR19980006924 A KR 19980006924A KR 100257663 B1 KR100257663 B1 KR 100257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amino
formula
purine
hydroxy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9830A (ko
Inventor
김대기
이남규
장기영
임광진
김영우
조용백
최원선
정인호
김택수
김기협
Original Assignee
조민호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호,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민호
Priority to KR1019980006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7663B1/ko
Priority to CN98107140A priority patent/CN1192439A/zh
Publication of KR19980079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7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76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C07D473/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an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or 6, but not in both
    • C07D473/32Nitrogen ato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의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알콕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식에서 R은 이소프로필, 프로필 또는 에틸기이다.

Description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알콕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의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알콕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식에서 R은 이소프로필, 프로필 또는 에틸기이다.
상기 화학식 1과 관련된 선행특허들을 살펴보면, 유럽 특허출원 제 141927호에서는 펜시클로비르(penciclovir)로 불리워지는 9-(4-히드록시-3-히드록시메틸부트-1-일)구아닌과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게시되어 있다. 펜시클로비르는 허피스계(herpes family) 바이러스인 단순 포진 타입 1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type 1), 단순포진 타입 2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type 2),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 zoster virus), 및 엡스테인-바르 바이러스(Epstein-Barr virus)등과 B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에 대하여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지만 매우 낮은 경구 생체이용율을 갖고 있다(J. Med. Chem. 1987, 30, 1636; Antimicrob. Agents Chemother. 1988, 32, 358; Antimicrob. Agents Chemother. 1994, 38, 719).
영국 특허출원 제 2130204호에서는 6-데옥시아시클로비르(6-deoxyacyclovir)로 불리워지는 2-아미노-9-(2-히드록시에톡시메틸)퓨린이 게시되어 있다. 상기 6-데옥시아시클로비르는 위장관에서 높은 흡수율을 보일 뿐만아니라 흡수후 생체내에 존재하는 효소인 크산틴 옥시다제(xanthine oxidase)에 의해서 광범위하게 아시클로비르로 불리워지는 9-(2-히드록시에톡시메틸)구아닌으로 전환된다(Proc. Natl. Acad. Sci. U.S.A. 1984, 81, 3209).
유럽 특허출원 제 182024호에는 2-아미노퓨린 유도체가 게시되었으며, 이들중 팜시클로비르(famciclovir)로 불리워지는 2-아미노-9-(4-아세톡시-3-아세톡시메틸부트-1-일)퓨린은 위장관에서 높은 흡수율을 보일 뿐만아니라 흡수후 생체내에 존재하는 효소인 크산틴 옥시다제와 에스테라제에 의해서 신속히 펜시클로비르로 전환된다. 한편, 유럽 특허출원 제 182024호에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중 R이 메틸인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메톡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도 게시되어 있으나, 팜시클로비르와 비교해서 전환된 펜시클로비르의 최고혈중농도가 낮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신규의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알콕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을 합성하였고, 이 화합물들이 경구적 투여방법에 의해서 우수한 생체이용율을 갖고 있어 뇨중 회수되는 펜시클로비르의 농도가 높음을 발견하였고,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알콕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유용한 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알콕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을 약학적으로 유효량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알콕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화학식 1]
상기식에서 R은 이소프로필, 프로필 또는 에틸기이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알콕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 화합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있어서 R은 직쇄 또는 분쇄된 C2∼C5의 알킬기, 예를 들어,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펜틸기, 이소펜틸기, tert-펜틸기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R이 이소프로필기, 프로필 또는 에틸기인 경우로서,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 또는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에톡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과정은 하기 반응식 1과 같다.
하기 반응식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출발물질로 사용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공지화합물로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쉽게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J. Org. Chem. 1981, 46, 3204).
본 발명의 목적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이하 "THF"라 함) 용매에서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과 함께 3∼72시간동안 환류시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고리 화합물로 전환시킨 다음,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에 Pd/C을 촉매로 하여 THF 용매에서 10∼50℃의 온도로 1∼24시간동안 15∼60psi기압으로 수소를 첨가하여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알코올을 얻는다.
그 다음,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CH2Cl2용매에서 Et3N 존재하에 MeSO2Cl와 -20∼50℃의 온도로 1∼24시간동안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메틸설포닐 에스테르 화합물을 얻는다. 다시,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Cs2CO3을 첨가하고, N,N-디메틸포름아미드(이하 "DMF"라 함)용매하에서 2-아미노-6-클로로퓨린과 0∼100℃의 온도로 1∼72시간동안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CH3CN-DMF 혼합용매하에서 Et3N을 첨가하고 Pd/C을 촉매로 하여 10∼50℃의 온도로 1∼72시간 동안 15∼60psi 기압으로 수소를 첨가하여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6-데옥시 화합물을 얻는다.
마지막으로 상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클로로포름 용매하에서 실리카겔을 첨가하고 과량의 알코올과 함께 1∼72 시간동안 환류시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때 알코올은 상기에서 정의한 R기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한다.
[반응식 1]
상기 반응식에서, R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제조과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목적화합물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분리·정제는 통상의 방법 즉, 컬럼크로마토그래피법 및 재결정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알콕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 화합물은 허피스계 바이러스 및 B형 간염바이러스 등의 감염을 방지할 목적으로 또는 이러한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병을 치료할 목적으로 경구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알콕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 화합물의 유효 투입량은 환자의 나이, 신체조건, 몸무게 등에 의해 매우 다양해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1 내지 100mg/kg (몸무게)/1일 범위내에 투입되며,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50mg/kg(몸무게)/1일이다. 그리고 1일 유효투입량 범위내에서 하루에 한 번 또는 하루에 여러번 나누어 투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적당한 담체, 부형제 및 다른 부가제와 함께 항바이러스 조성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담체로는 락토스, 카올린, 슈크로스, 결정성 셀룰로스, 옥수수 전분, 탈크, 펙틴, 아가, 스테아르산,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레시틴, 염화나트륨 등의 고체담체와 글리세린, 땅콩유, 폴리비닐피롤리돈, 올리브유, 에탄올, 벤질알콜, 프로필렌글리콜, 물 등의 액체담체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제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고체담체를 사용할 경우 정제, 캡슐, 분말, 과립제, 좌약, 트로케제 등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액체담체를 사용할 경우 유액, 시럽, 연질 젤라틴 캡슐, 겔, 페이스트 등으로 약제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경구투여 방법에 의해서 생체내의 펜시클로비르의 농도를 극대화시켜, 허피스계 바이러스 및 B형 간염바이러스에 대하여 강력한 활성을 가지므로 항바이러스제의 유효성분으로 매우 유용하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5-(2-벤질옥시에틸)-1,3-디옥산-2-온 (화학식 3의 화합물)
무수 THF (1L)에 용해된 2-(2-벤질옥시에틸)프로판-1,3-디올 (15.30g, 72.9mmol) 교반용액에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14.18g, 87.4mmol)을 첨가한 다음, 이 혼합물을 4시간동안 환류시켰다. 이 반응 혼합물에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3.54g, 21.9mmol)을 더욱 첨가하고 2시간 더 환류시켰다. 다시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0.3 당량(3.54g, 21.9mmol)을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계속 환류시켜 반응을 완결시켰다. 용매는 증발건조시키고 오일상의 잔류물은 EtOAc (600mL)에 용해시켰다. EtOAc 용액을 1N HCl 수용액 (600mL)으로 세척하였다. 분리된 수상은 NaCl로 포화시킨 후 EtOAc (600mL × 3)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EtOAc 용액은 무수 MgSO4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이를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증발건조시켰다. 오일상의 잔류물은 용출액으로서 EtOAc-헥산 (2:1, v/v)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SiO2상에서 MPLC에 의해 정제시킴으로써 백색 고체상의 상기 표제 화합물 13.50g (79%)을 얻었고, 이를 Et2O로부터 결정화하였다.
1H NMR(CDCl3/TMS): 1.60-1,75 (m, 2H, CHCH2CH2), 2.36-2.48(m, 1H, CH), 3.54(t, J=5.7Hz, 2H, CHCH2CH2), 4.12(dd, J=11.1Hz, 9.3Hz, 2H, (C=O)OCHax), 4.41(dd, J=11.1Hz, 4.8Hz, 2H, (C=O)OCHeq), 4.49(S, 2H, OCH2Ph), 7.28-7.35(m, 5H, ArH)
13C NMR (CDCl3): 27.57, 29.41, 66.96, 71.93, 73.16, 127.60, 127.82, 128.45, 137.71, 148.44
제조예 2
5-(2-하이드록시에틸)-1,3-디옥산-2-온 (화학식 4의 화합물)
무수 THF (300mL)에 용해된 5-(2-벤질옥시에틸)-1,3-디옥산-2-온 (12.50g, 53.0mmol)의 교반 용액을 10% Pd/C (1.00g)으로 처리한 후 H2가스로 3회 세척하였다. 이 혼합물을 H2분위기의 상온에서 3시간동안 H2충진-밸룬(balloon)을 이용하여 교반시킨 후 여과하였다. 유기 용매는 감압하에서 증발 건조시켜서 연한 노랑색 오일상으로 거의 순수한 상기 표제 화합물 7.73g (100%)를 얻었고, 다음 단계에서 더욱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1H NMR(CDCl3/TMS): 1.62 (m, 2H, CHCH2CH2), 2.40-2.55(m, 1H, CH), 2.66(brs, 1H, OH), 3.74(t, J=5.7Hz, 2H, CH2OH), 4.19(dd, J=10.8Hz, 9.0Hz, 2H, (C=O)OCHax), 4.51(dd, J=10.8Hz, 4.8Hz, 2H, (C=O)OCHeq)
13C NMR (CDCl3): 28.94, 29.80, 59.45, 72.18, 149.03
제조예 3
5-(2-메탄설포닐옥시에틸)-1,3-디옥산-2-온 (화학식 5의 화합물)
N2분위기하에서 0℃로 냉각된 무수 CH2Cl2(40mL)에 용해된 5-(2-하이드록시에틸)-1,3-디옥산-2-온(4.50g, 30.8mmol) 교반용액에 NEt3(9.36g, 92.5mmol)을 천천히 첨가한 후 주사기로 MsCl (3.88g, 33.9mmol)을 한방울씩 첨가한 다음, 이 혼합물을 30분 동안 0℃에서 교반시켰다. 이 반응 혼합물에 MsCl (1.77g, 15.4mmol)을 0℃에서 더욱 첨가하고 30분동안 더 교반시켰다. 반응혼합물을 여과한 다음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증발건조시켰다. 잔류물은 용출액으로서 EtOAc-헥산(9:1, v/v)의 혼합물에 이어 EtOAc를 이용하여 SiO2상에서 MPLC에 의해 정제시켜 백색 고체상의 상기 표제 화합물 5.77 g (84%)를 얻었고, 이는 가능한 빨리 사용되어야 한다.
1H NMR(CDCl3/TMS): 1.91 (m, 2H, CHCH2CH2), 2.40-2.51(m, 1H, CH), 3.06(s, 3H, CH3), 4.21(dd, J=11.1Hz, 7.8Hz, 2H, (C=O)OCHax, 4.34(t, J=6.3Hz, 2H, CHCH2CH2), 4.52(dd, J=11.1Hz, 3.9Hz, 2H, (C=O)OCHeq)
13C NMR (CDCl3): 27.35, 28.37, 37.62, 66.22, 71.15, 147.89
제조예 4
2-아미노-6-클로로-9-(2-(2-옥소-1,3-디옥산-5-일)에틸)퓨린 (화학식 6의 화합물)
무수 DMF (150mL) 존재하에 2-아미노-6-클로로퓨린 (9.49g, 56.0 mmol), 5-(2-메탄설포닐옥시에틸)-1,3-디옥산-2-온 (12.54g, 56.0 mmol), 및 Cs2CO3(22.8g, 70.0 mmol)의 혼합물을 N2분위기의 상온에서 16시간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상기 여과액을 진공 상태에서 증발시켜 건조시켰다. 용매로서 DMF를 사용하여 SiO2에 흡착시킨 잔존물을 SiO2컬럼의 상단부에 위치시킨후 용출액으로서 EtOAc-CH3CN-NEt3(49:49:2, v/v/v)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MPLC를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흰 고체의 본 발명의 화합물 8.02g (48%)를 제조하였고, 이를 CH3CN-THF-헥산 (1:4:10, v/v/v)의 혼합물로부터 결정화시켰다.
1H NMR (DMSO-d6/TMS): δ 1.86 (m, 2H, CHCH2CH2), 2.07-2.19(m, 1H, CH), 4.13(t, J=7.2Hz, 2H, NCH2), 4.21(dd, J=10.5Hz, 7.8Hz, 2H, (C=0)OCHax), 4.46(dd, J=10.5Hz, 4.2Hz, 2H, (C=0)OCHeq), 6.90(br s, 2H, NH2), 8.17(s, 1H, H-8)
13C NMR(DMSO-d6): δ 26.78, 27.97, 40.27, 71.01, 123.30, 143.04, 147.83, 149.35, 154.06, 159.72
제조예 5
2-아미노-9-(2-(2-옥소-1,3-디옥산-5-일)에틸)퓨린 (화학식 7의 화합물)
무수 CH3CN (25mL) 및 무수 DMF (10mL) 존재하에 2-아미노-6-클로로-9-(2-(2-옥소-1,3-디옥산-5-일)에틸)퓨린 (534㎎, 1.79mmol)의 교반 용액을 NEt3(543㎎, 5.37mmol) 및 10%의 Pd/C (60㎎)으로 처리하였으며, H2가스로 3회 세척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H2분위기의 상온에서 3시간 동안 H2충진-밸룬을 이용하여 교반시킨 후, 여과시켰다. 상기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증발시켜 건조시킨 후, 상기 잔존물을 소량의 순수한 EtOH(2mL)를 첨가하여 분쇄함으로써 흰 고체의 본 발명의 화합물 427mg (90%)를 제조하였고, 이를 CH3CN-THF-헥산 (1:4:10, v/v/v)의 혼합물로부터 결정화시켰다.
1H NMR (DMSO-d6/TMS): δ 1.84(m, 2H, CHCH2CH2), 2.07-2.17(m,1H,CH), 4.14(t, J=7.1Hz, 2H, NCH2), 4.22(dd, J=10.8Hz, 8.1Hz, 2H, (C=0)OCHax), 4.46(dd, J=10.8Hz, 4.5Hz, 2H, (C=0)OCHeq), 6.51(br s, 2H, NH2) 8.11(s, 1H, H-8), 8,57(s, 1H, H-6)
13C NMR(DMSO-d6): δ 26.90, 28.11, 40.05, 71.03, 126.79, 142.57, 147,83, 148.95, 152.98, 160.42
실시예 1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에톡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 (화합물 1)
CHCl3용매 (20mL)에서 2-아미노-9-(2-(2-옥소-1,3-디옥산-5-일)에틸)퓨린(395㎎, 1.50mmol) 및 건조된 SiO2(4.0g)의 혼합물을 EtOH (40mL)로 처리하고, 질소분위기하에서 70℃에서 24시간동안 가열하였다. 냉각한후에, 반응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상기 여과물을 감압하에서 증발시켜 건조시켰다. 잔유물을 용출액으로서 MeOH-CHCl3(1:9 v/v)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SiO2를 거쳐 MPLC로 정제하여 EtOAc-헥산의 혼합물로부터 결정화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수율: 87%
1H NMR (CDCl3/TMS) : δ 1.29(t, J=7.2Hz, 3H, CH2CH3), 1.85-2.02(m, 2H, CHCH2CH2), 1.98-2.06(m, 1H, CH), 3.64-3.76(m, 2H, CHCH2OH), 4.12-4.28(m, 6H, NCH2및 2 OCH2), 5.53(br s, 2H, NH2), 7,79(s, 1H, H-8), 8.64(s, 1H, H-6)
13C NMR (CDCl3): δ 14.15, 28.65, 37.87, 41.09, 61.64, 64.23, 67.66, 127.87, 142.39, 149.70, 152.98, 155.26, 159.79
실시예 2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 (화합물 2)
상기 실시예 1에서 에탄올 대신 1-프로판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여 목적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9%
1H NMR (CDCl3/TMS): δ 0.96(t, J=7.5Hz, 3H, CH2CH3), 1.62-1.76(m, 2H, CH2CH3), 1.84-2.01 (m, 2H, CHCH2CH2), 1.97-2.06(m, 1H, CH), 3.72(m, 2H, CHCH2OH), 4.13(t, J=6.9Hz, 2H, OCH2CH2), 4.18-4.30(m, 4H, NCH2및 OCH2CH), 5.18 (br s, 2H, NH2), 7.81 (s, 1H, H-8), 8.69(s, 1H, H-6)
13C NMR (CDCl3): δ 10.07, 21.90, 28.66, 37.88, 41.09, 61.66, 67.66, 69.83, 127.89, 142.38, 149.72, 152.98, 155.41, 159.80
실시예 3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화합물 3)
상기 실시예 1에서 에탄올 대신 2-프로판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여 목적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64%
1H NMR(CDCl3/TMS): δ 1.29(d, J = 6.3 Hz, 6H, CH(CH3)2), 1.85-2.01(m, 2H, CHCH2CH2), 1.98-2.10(m, 1H, CH), 3.71(m, 2H, CHCH2OH), 4.15-4.28(m, 4H, NCH2and OCH2CH), 4.87(septet, J=6.3Hz, 1H, CH(CH3)2), 5.47(br s, 2H, NH2), 7.79(s, 1H, H-8), 8.66(s, 1H, H-6)
13C NMR(CDCl3): δ 21.67, 28.68, 37.89, 41.09, 61.71, 67.44, 72.30, 127.92, 142.38, 149.73, 152.99, 154.81, 159.78
실시예 4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부톡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 (화합물 4)
상기 실시예 1에서 에탄올 대신 1-부탄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여 목적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69%
1H NMR(CDCl3/TMS): δ 0.94(t, J = 7.4 Hz, 3H, CH2CH3), 1.40(m, 2H, CH2CH3), 1.66(m, 2H, CH2CH2CH3), 1.84-2.02(m, 2H, CHCH2CH2), 1.99-2.06(m, 1H, CH), 3.72(m, 2H, CHCH2OH), 4.15(t, J=6.8 Hz, 2 H, OCH2CH2CH2), 4.18-4.34(m, 4H, NCH2and OCH2CH), 5.19(br s, 2H, NH2), 7.78(s, 1H, H-8), 8.69(s, 1H H-6)13
C NMR(CDCl3): δ 13.55, 18.81, 28.66, 30.54, 37.88, 41.09, 61.65, 67.66, 68.14, 127.88, 142.38, 149.71, 152.97, 155.41, 159.80
실시예 5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이소부톡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 (화합물 5)
상기 실시예 1에서 에탄올 대신 2-메틸-1-프로판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여 목적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7%
1H NMR(CDCl3/TMS): δ 0.95(d, J = 6.6 Hz, 6H, CH(CH3)2), 1.85-2.12(m, 4H, CHCH2CH2및 CH(CH3)2), 3.73(m, 2H, CHCH2OH), 3.92(d, J=6.9 Hz, 2H, OCH2CH), 4.18-4.29(m, 4H, NCH2및 OCH2), 5.25(br s, 2H, NH2), 7.78(s, 1H, H-8), 8.69(s, 1H, H-6)
13C NMR(CDCl3): δ 18.85, 27.74, 28.74, 37.87, 41.04, 62.00, 67.62, 74.34, 128.17, 142.34, 149,86, 153.12, 155.54, 159.78
실시예 6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펜톡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 (화합물 6)
상기 실시예 1에서 에탄올 대신 1-펜탄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여 목적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74%
1H NMR(CDCl3/TMS): δ 0.91(t, J = 7.1 Hz, 3H, CH2CH3), 1.34(m, 4H, CH2CH2CH3), 1.67(m, 2H, CH2CH2CH2CH3), 1.85-2.10(m, 3H, CHCH2CH2), 3.72(m, 2H, CHCH2OH), 4.13(t, J=6.9Hz, 2H, OCH2CH2), 4.18-4.31(m, 4H, NCH2및 OCH2), 5.15(br s, 2H, NH2), 7.78(s, 1H, H-8), 8.69(s, 1H, H-6)
13C NMR(CDCl3): δ 13.88, 22.24, 27.77, 28.30, 28.74, 37.85, 41.01, 62.14, 67.57, 68.52, 128.29, 142.32, 149.97, 153.13, 155.53, 159.74
실시예 7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이소펜톡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 (화합물 7)
상기 실시예 1에서 에탄올 대신 3-메틸-1-부탄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여 목적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4%
1H NMR(CDCl3/TMS): δ 0.93(t, J = 6.9 Hz, 6H, CH(CH3)2), 1.56(m, 2H, CHCH2CH2), 1.71(septet, J=6.9Hz, 1H, CH(CH3)2), 1.88-2.11(m, 3H, CHCH2CH2), 3.73(m, 2H, CHCH2OH), 4.17(t, J=6.9Hz, 2H, OCH2CH2), 4.18-4.28(m, 4H, NCH2및 OCH2), 5.28(br s, 2H, NH2), 7.78(s, 1H, H-8), 8.69 (s, 1H, H-6)
13C NMR(CDCl3): δ 22.36, 24.79, 28.74, 37.25, 37.87, 41.04, 62.02, 67.00, 67.60, 128.17, 142.32, 149.88, 153.10, 155.47, 159.78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있는 약학조성물을 제조한 실시예로서,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또다른 화합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실시예 8
정제의 제조
실시예 3의 유효성분 250mg/정
락토스 145mg/정
전분 50mg/정
폴리비닐피롤리돈 50mg/정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5mg/정
───────────────────
총량 500mg/정
유효성분, 락토스 및 전분을 혼합하고 폴리비닐피롤리돈 용액과 함께 잘게 부수어 습윤 조립상을 제조한 다음, 건조시킨 다음, 체로 잘게 친 후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혼합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3의 유효성분 250mg/정
락토스 225mg/정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 10mg/정
폴리비닐피롤리돈 10mg/정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5mg/정
───────────────────
총량 500mg/정
유효성분, 락토스 및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을 혼합하고 폴리비닐피롤리돈 용액과 함께 잘게 부수어 습윤 조립상을 제조한 다음, 건조시킨 다음, 체로 잘게 친 후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혼합하고 경질 젤라틴캡슐에 넣어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경구투여에 의한 생체이용율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생체 이용율은 HPLC를 사용하여 오줌에 존재하는 펜시클로비르의 총량을 결정함으로써 구하였다. 오줌은 숫컷 1CR 마우스 (25-30g)에 약물을 200umol/kg씩 1회 경구투여한 후 대사케이지를 사용하여 48시간 채취하였다. 5% 소듐아지드(sodium azide) 용액을 오줌 100mL 당 0.4mL 씩 오줌을 채취하기 전에 박테리아가 오줌에서 성장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오줌 회수용기에 넣어주었다. 채취한 오줌은 0.45-㎛ 여과기로 여과하고 펜시클로비르의 농도는 HPLC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C18심메트리(symmetry) 칼럼에 완충용액을 1 mL/분 속도로 다음과 같이 3단계로 흘려주었다. 100% 완충용액 A(0.1% 인산)로 10분간 일정하게 흘려줌(단계 1); 100% 완충용액 A에서 55% 완충용액 A와 45% 완충용액 B(0.1% 인산을 함유한 80% 아세토니트릴)로 25분간 변화해가며 흘려줌(단계 2); 및 55% 완충용액 A와 45% 완충용액 B로 일정하게 4분간 흘려줌(단계 3). 칼럼은 각각의 샘플 투여전 10분동안 100% 완충용액 A로 흘려주어 안정화시켰다. 칼럼을 통과한 완충용액은 248nm 자외선에서 흡수도를 측정하였다. 경구투여 후 생체이용율은 오줌에 존재하는 펜시클로비르의 양으로 비교하였다. 6마리의 마우스로 부터 채취된 오줌에서의 펜시클로비르의 회수율을 하기 표1에 기재하였다.
화합물 번호 48시간 동안오줌에서의 펜시클로비르의 회수율
1 50
2 51
3 53
4 38
5 38
6 47
7 51
팜시클로비르 48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메톡시 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 45
※: (펜시클로비르 회수량/투여량) × 100
상기 표1의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경구투여후 생체내에서 신속히 흡수되고 펜시클로비르로 광범위하게 전환됨을 보여준다. 또한, 화합물 3을 투여한 경우 48시간동안 오줌에서의 펜시클로비르의 회수율이 53%로서 팜시클로비르의 48%,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메톡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 45%보다 높았다.
실시예 11
물에 대한 용해도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과량의 약물을 물에 넣고 1분간 진탕, 1분간 초음파 처리, 3분간 진탕, 1분간 초음파 처리, 5분간 진탕 처리하여 포화된 용액을 얻었다. 포화용액은 0.45㎛ 막 여과기로 통과시킨 뒤 희석하여 자외선 분석기로 측정했다. 물에 대한 용해도는 290nm에서의 자외선 흡수도와 약물 농도사이의 표준곡선을 기준으로하여 결정했다. 물에 대한 각약물의 용해도를 하기 표2에 기재하였다.
화합물 번호 물에서의 용해도(mg/mL, 20℃)
1 20.0
2 68.0
3 138.8
4 15.0
5 1.5
6 4.2
7 5.6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메톡시 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 14.1
상기 표2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화합물 3은 물에 대해 매우 높은 용해도를 보였다.
실시예 12
수용액에서의 안정성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수용액에서의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2.5mM 농도의 각각의 약물을 37℃의 인산나트륨 완충액 (pH 6.0, pH 7.4, pH 8.0)이나 인공위액 (pH 1.2)에 섞어 최종농도 125μM로 한 즉시 37℃에서 반응을 시작하였다. 일정 시간간격으로 100μL씩 샘플을 채취하여 0.1M 인산 완충액 (pH 7.0)에 섞은 뒤 HPLC로 각각의 원물질의 농도를 정량하여 약물의 반감기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화합물 번호 반감기 (일)
pH 1.2 pH 6.0 pH 7.4 pH 8.0
1 35 112 7 3
2 29 89 10 4
3 88 〉200 61 26
4 29 74 11 5
5 28 87 17 8
6 25 17 7 5
7 24 65 11 6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메톡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 23 18 1 0.5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은 pH가 증가함에 따라서 안정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지만 pH 1.2, pH 6.0, pH 7.4, pH 8.0에서 상당히 안정함을 보였다. 특히 화합물 3은 수용액에서 매우 안정하였다.
실시예 13
쥐를 이용한 급성독성 실험 (Single-Dose Toxicity Study in Sprague-Dawley Rats)
6주령된 SD 쥐(수컷: 162-174g, 암컷: 127-139g)를 구입하여 실험 전에 온도 23±3℃, 상대습도 50±20%의 조건에서 고형사료 및 물을 자유롭게 섭취시켰다.
실험군당 숫컷 5마리, 암컷 5마리씩 사용하여 약물을 경구로 또는 정맥으로 투여한 후 14일간 임상 증상들, 생사 여부, 체중, 병리학적 상태를 관찰하였다. 폐사 동물은 즉시 부검하여 외관, 모든 장기 및 조직을 정밀 관찰하여 비정상 상태를 기록하였다. 부검 장기 중 심장, 폐, 간, 신장, 비장은 포르말린액(10%)으로 고정 보관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와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4
개를 이용한 급성독성 실험 (Single-Dose Toxicity Study in Beagle Dogs)
7달 정도의 Beagle Dogs(수컷: 7.8-9.4kg, 암컷: 6.8-7.6kg)를 구입하여 온도 21±3℃, 상대습도 50±20%의 조건에서 사육하였다.
실험군당 숫컷 2마리, 암컷 2마리를 사용하여 약물을 경구로 투여한 후 14일간 임상 증상들, 생사 여부, 체중, 음식 섭취량을 관찰하였다. 폐사 동물은 부검하여 외부 및 내부 관찰을 포함한 병리학적 상태를 기록하였다. 비정상적인 조직과 장기는 10% 포르말린액으로 고정, 보존하였다. 그 실험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경구투여 결과 (개)
성별 투여량(mg/kg) 폐사된 동물의 수 치사율 (%)
숫컷 0 0/2 0
125 0/2 0
500 0/2 0
2000 0/2 0
암컷 0 0/2 0
125 0/2 0
500 0/2 0
2000 0/2 0
따라서 상기 화학식 Ⅰ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적은 투여양으로도 생체내에서 높은 펜시클로비르농도를 유지함으로써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장점을 갖고 있다.

Claims (3)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알콕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
    [화학식 1]
    상기식에서 R은 이소프로필, 프로필 또는 에틸기이다.
  2.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알콕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을 약학적으로 유효량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제.
    [화학식 1]
    상기식에서 R은 이소프로필, 프로필 또는 에틸기이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항바이러스제가 허피스계 바이러스 및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예방 또는 치료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제.
KR1019980006924A 1997-03-05 1998-03-03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알콕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0257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924A KR100257663B1 (ko) 1997-03-05 1998-03-03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알콕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CN98107140A CN1192439A (zh) 1997-03-05 1998-03-05 2-氨基-9-(3-羧甲基-4-烷氧基羰基氧基丁-1-基)嘌呤及其药物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7-007148 1997-03-05
KR19970007148 1997-03-05
KR1019970007148 1997-03-05
KR1019980006924A KR100257663B1 (ko) 1997-03-05 1998-03-03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알콕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830A KR19980079830A (ko) 1998-11-25
KR100257663B1 true KR100257663B1 (ko) 2000-08-01

Family

ID=65949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924A KR100257663B1 (ko) 1997-03-05 1998-03-03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알콕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76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830A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2849B1 (ko) 아사이클로비르의 발린 에스테르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US4225591A (en) 2,6-Diaminonebularines
EP0632048A1 (en) Phosphonate-nucleotide ester derivatives
JPH06293764A (ja) グアニ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有する製薬組成物
WO2021098379A1 (zh) 苯丙氨酸酰胺化的核苷酸衍生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EP0482804B1 (en) Pyrrolo[2,3-d]pyrimidines with cardiovascular activity,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EP3476854A1 (en) Liver delivery-based antiviral precursor drug nucleoside cyclophosphate compound and use thereof
US20080280970A1 (en) Deuterium-enriched atorvastatin
KR100208315B1 (ko) 9-치환-8-비치환-9-데아자구아닌
JPS6310787A (ja) ヌクレオシド類縁体、その製造法および抗ウイルス剤
GB2073752A (en) 2,6-diaminobularines
FI91155C (fi) Menetelmä uuden, terapeuttisesti käyttökelpoisen 9-(2-hydroksietoksimetyyli)guaniiniesterin valmistamiseksi
KR100257663B1 (ko) 2-아미노-9-(3-히드록시메틸-4-알콕시카르보닐옥시부트-1-일)퓨린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JPH02164881A (ja) 治療用ヌクレオシド化合物
CN115925640A (zh) ((3-氨甲酰-5-氟吡嗪-2-基)氧基)甲基异丁酸酯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290533B1 (ko)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2-아미노퓨린
US4452990A (en) 1-Aroyl-5-oxo-2-pyrrolidinepropanoic acids and related esters
EP3939988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novel azolopyrimidine heterocyclic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KR0180566B1 (ko) 2-아미노-6-플루오로-9-(2-하이드록시에톡시메틸)퓨린 에스테르 유도체
US20050143400A1 (en) Process for preparing famciclovir
CN116041349B (zh) 一种黄嘌呤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在制备新冠病毒3cl蛋白酶抑制剂中的应用
US4720497A (en) 6-purinyl N-/2-chloroethyl/carbamate and thiocarbamate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WO2021209425A9 (en) Alkynyl nucleoside analogs for treatment of hepatitis e
US4576945A (en) Hexaalkylmelamine-amino-oxy compounds
JPH06172365A (ja) 10−チアイソアロキサジン誘導体およ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