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963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무선 링크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무선 링크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963B1
KR100256963B1 KR1019970079006A KR19970079006A KR100256963B1 KR 100256963 B1 KR100256963 B1 KR 100256963B1 KR 1019970079006 A KR1019970079006 A KR 1019970079006A KR 19970079006 A KR19970079006 A KR 19970079006A KR 100256963 B1 KR100256963 B1 KR 100256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mobile terminal
call request
radio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9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8832A (ko
Inventor
정진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9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6963B1/ko
Publication of KR19990058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8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96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무선 링크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CT-2 기지국과 단말기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무선 링크 설정시 이동 단말기가 무선 링크의 TDD 타이밍에 대해 동기식으로 호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여 무선 링크를 설정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STN)와 연결되어 있으며 무선 링크를 통해 이동 단말기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고주파 변조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와 결합되어 고주파 변조 신호를 다수의 송수신 경로로 연결하는 분배/결합기, 상기 분배/결합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고주파 변조 신호와 디지털 신호간의 변/복조를 수행하는 다수의 고주파 송수신기, 상기 고주파 송수신기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무선 링크와의 물리적 접속을 수행하는 다수의 다중화기, 상기 다수의 다중화기를 원하는 경로로 선택 연결하는 디지털 스위치, 상기 디지털 스위치에서 선택된 디지털 신호와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에서의 아날로그 신호와의 상호 변환을 위한 코덱(CODEC), 상기 디지털 스위치와 연결되어 있으며, 기지국을 구성하는 여러 장치를 제어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상기 CPU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읽기 전용 메모리(ROM) 및 상기 CPU와 연결되어 있으며, 기지국과 기지국 상위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시 신호의 변환을 위해 사용되는 모뎀(MODEM)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의 실시예는 기지국이 사용 가능한 모든 채널 중에서 간섭이 가장 적은 유휴 채널을 선택하여 기지국의 상태 정보를 TDD 다중화 모드로 자신의 영역내에 있는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전원이 인가된 상태의 이동 단말기가 모든 사용 가능한 무선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를 조사하여 일정 레벨 이상으로 나타나는 채널을 찾는 단계, 이동 단말기는 수신 전계 강도가 일정 레벨 이상인 유휴 채널이 검출되면 유휴 채널 정보를 자신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이동 단말기는 검출된 유휴 채널에서 기지국의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기지국의 동기 신호를 검출한 이동 단말기는 기지국의 버스트에 TDD 타이밍을 동기시키고 TDD 타이밍을 유지하는 단계, 가입자가 호를 요구하는 경우 무선 단말기가 메모리에 저장된 유휴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전계 강도를 조사하여 일정 레벨 이하이면 유휴 채널로 선택하는 단계, 이동 단말기는 기지국의 TDD 타이밍에서 송신 윈도우 상에서 호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기지국은 자신의 TDD 타이밍의 수신 윈도우에서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무선 채널 및 이전에 무선 링크된 무선 채널들을 제외한 모든 트래픽 채널들의 수신 전계 강도를 조사하는 단계, 기지국은 수신 전계 강도가 일정 레벨 이상으로 검출되면 이동 단말기로부터 호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를 조사하는 단계, 호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이 이동 단말기로 호 요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이동 단말기가 호 요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지국과 무선 링크를 설정하고 호 요구를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무선 링크 설정 방법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Radio Telecommunication System)에서 동기식 무선 링크 설정(Synchronous Link Establishment)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CT(Codeless Telephone)-2 기지국과 단말기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무선 링크 설정시 이동 단말기가 무선 링크의 TDD(Telecommunication Device for the Deaf) 타이밍에 대해 동기식으로 호 요구 메시지(Call Request Message)를 전송하여 무선 링크를 설정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통상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ublish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130)와 연결된 다수의 기지국(110a)(110b)(110c)과; 상기 기지국(110a)(110b)(110c)과 무선 링크로 연결된 다수의 이동 단말기(100a)(100b)(100c); 및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에 연결된 일반 전화기가 포함된다.
각 기지국(110a)(110b)(110c)은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130)와 일반 전화 회선을 사용하여 연결된다.
기지국(110a)(110b)(110c)은 이동 단말기와 같은 많은 이동 가입자 단말기(100a)(100b)(100c)와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 간에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형성하여 음성 서비스등을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110a)(110b)(110c)은 주로 사무실, 백화점, 공항, 전철역 등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공공 장소에 설치된다.
또한 기지국(110a)(110b)(110c)은 고주파 송수신기를 내장하고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가 무선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기지국(110a)(110b)(110c)과 이동 단말기(100a)(100b)(100c)간의 무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하여 무선 링크의 TDD 타이밍에 대해 비동기식으로 호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였다.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간의 무선 링크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2 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간의 무선 링크 설정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 가입자는 이동 단말기(100a)(100b)(100c)를 사용하여 자신의 위치에서 발신호를 요구한다. 이동 단말기는 간섭이 가장 작은 트래픽 채널을 선택하여(200), 호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215).
기지국은 모든 사용 가능한 트래픽 채널을 조사(Scan)하면서, 수신 전계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가 일정 레벨 이상으로 검출되는지를 확인한다(205). 수신 전계 강도가 일정 레벨 이상으로 검출되면, 기지국은 해당 트래픽 채널로 채널을 고정한 후, 수신된 고주파 신호에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호 요구가 있는지 확인한다(220).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호 요구가 없으면 기지국은 사용 가능한 모든 트래픽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를 계속 조사한다. 이동 단말기로부터 호 요구가 있으면, 기지국은 호 요구 응답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230).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호 요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이동 단말기는 간섭이 작은 트래픽 채널을 재 선택하여(210), 호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다시 전송한다(215).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호 요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는 기지국과 무선 링크를 설정한다. 설정된 무선 링크를 통해 트래픽 채널을 고정하고 핸드쉐이크(Handshake)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235).
기지국이 이동 단말기로부터 핸드쉐이크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240), 기지국은 무선 링크가 설정된 것으로 트래픽 채널을 고정시키고, 기지국의 핸드쉐이크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250).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쉐이크 메시지를 수신하면(245),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은 상호 핸드쉐이크 메시지를 주고 받으면서 무선 링크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무선 링크를 사용하여 호 진행을 계속하게 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기지국 자신이 서비스중인 트래픽 채널이외의 모든 사용한 트래픽 채널들의 수신 전계 강도를 조사한다. 조사결과 일정 레벨 이상으로 검출되는 트래픽 채널에 대해서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호 요구가 있는지 확인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 링크 설정 방법은 호 요구 메시지를 비동기식으로 전송하게 되므로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은 상대방으로부터의 메시지 수신여부를 항상 검사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발 신호시 간섭에 의한 영향이 발생하게 되며, 링크의 설정에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지국에서 이동 단말기로 동기 신호를 계속 보내주고 이동 단말기에서는 동기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의 버스트에 TDD 타이밍을 동기시켜 이동 단말기의 발신호 요구시 동기식 다중화 모드로 호 요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무선 링크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통상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간의 무선 링크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 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기지국의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간의 무선 링크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안테나 305 : 분배/결합기
310,315 : 고주파 송수신기 320,325 : 다중화기
330 : 디지털 스위치 340 : CPU
350 : 프로그램 ROM 360 : 음성 ROM
370 : 모뎀 380,385 : 코덱
390 :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STN)와 연결되어 있으며 무선 링크를 통해 이동 단말기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고주파 변조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와 결합되어 고주파 변조 신호를 다수의 송수신 경로로 연결하는 분배/결합기;
상기 분배/결합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고주파 변조 신호와 디지털 신호간의 변/복조를 수행하는 다수의 고주파 송수신기;
상기 고주파 송수신기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무선 링크와의 물리적 접속을 수행하는 다수의 다중화기;
상기 다수의 다중화기를 원하는 경로로 선택 연결하는 디지털 스위치;
상기 디지털 스위치에서 선택된 디지털 신호와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에서의 아날로그 신호와의 상호 변환을 위한 코덱(CODEC);
상기 디지털 스위치와 연결되어 있으며, 기지국을 구성하는 여러 장치를 제어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상기 CPU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읽기 전용 메모리(ROM) 및
상기 CPU와 연결되어 있으며, 기지국과 기지국 상위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시 신호의 변환을 위해 사용되는 모뎀(MODEM)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송수신기는 최대 6개가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다중화기는 공중 무선 인터페이스(CAI) 프로토콜에서 1계층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코덱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와 펄스 부호 변조(PCM) 신호간의 변환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CPU는 상기 다수의 고주파 송수신기를 순차적으로 이네이블하여 기지국의 현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트래픽 채널들의 수신 전계 강도(RSSI)를 조사하여 간섭이 작은 트래픽 채널을 목록화 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트래픽 채널의 목록은 정적 램(SRAM)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CPU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호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간섭이 가장 작은 트래픽 채널을 선정하여 호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의 실시예는,
기지국이 사용 가능한 모든 채널 중에서 간섭이 가장 적은 유휴 채널을 선택하여 기지국의 상태 정보를 TDD(Telecommunication Device for the Deaf) 다중화 모드로 자신의 영역내에 있는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전원이 인가된 상태의 이동 단말기가 모든 사용 가능한 무선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를 조사하여 일정 레벨 이상으로 나타나는 채널을 찾는 제 2 단계;
이동 단말기는 수신 전계 강도가 일정 레벨 이상인 유휴 채널이 검출되면 유휴 채널 정보를 자신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3 단계;
이동 단말기는 검출된 유휴 채널에서 기지국의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제 4 단계;
기지국의 동기 신호를 검출한 이동 단말기는 기지국의 버스트에 TDD 타이밍을 동기시키고 TDD 타이밍을 유지하는 제 5 단계;
가입자가 호를 요구하는 경우 무선 단말기가 메모리에 저장된 유휴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전계 강도를 조사하여 일정 레벨 이하이면 유휴 채널로 선택하는 제 6 단계;
이동 단말기는 기지국의 TDD 타이밍에서 송신 윈도우 상에서 호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7 단계;
기지국은 자신의 TDD 타이밍의 수신 윈도우에서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무선 채널 및 이전에 무선 링크된 무선 채널들을 제외한 모든 트래픽 채널들의 수신 전계 강도를 조사하는 제 8 단계;
기지국은 수신 전계 강도가 일정 레벨 이상으로 검출되면 이동 단말기로부터 호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를 조사하는 제 9 단계;
호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이 이동 단말기로 호 요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10 단계; 및
이동 단말기가 호 요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지국과 무선 링크를 설정하고 호 요구를 중단하는 제 11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의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호 요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간섭이 작은 트래픽 채널을 재선택하여 호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TDD 타이밍을 동기시킨 후 TDD 타이밍의 수신 윈도우에서 기지국의 수신 전계 강도를 검출하고, 동기 신호가 검출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무선 단말기의 수신 윈도우에서 기지국의 동기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송/수신 윈도우의 구분이 없는 연속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연속 모드에서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기지국의 TDD 타이밍에 다시 동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무선 링크가 설정된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은 핸드쉐이크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주고 받으면서 무선 링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5 단계는, 무선 단말기는 동기시킨 TDD 타이밍의 수신 윈도우에서 수신 전계 강도를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0 단계는, 기지국은 TDD 타이밍의 송신 윈도우에서 무선 단말기로 호 요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발신호시 간섭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좀더 빠른 링크의 설정을 위하여, 기지국에서 동기 신호를 주기적으로 계속 보내주고 이동 단말기에서는 동기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의 버스트(Burst)에 TDD 타이밍을 동기시켜 이동 단말기 가입자의 발신호 요구시 비동기식 다중화(Multiplex) 모드가 아닌 동기식 다중화 모드로 호 요구를 전송한다.
도 3 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기지국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300)와, 송수신 신호의 경로를 분배 및 결합하는 분배/결합기(305); 고주파 신호를 받아들이는 고주파 송수신기(Radio Transceiver)(310)(315); 송수신 신호를 다중화하는 다중화기(320)(325); 디지털 변조를 수행하는 디지털 스위치(Digital Switch)(330); 상기 디지털 스위치의 변조 정보를 저장하는 음성 읽기 전용 메모리(Voice Read Only Memory: Voice ROM)(360); 상기 디지털 스위치를 제어하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340); 상기 CPU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로그램 ROM(350); CPU의 디지털 데이터와 전송을 위한 아날로그간의 변환을 수행하는 모뎀(MOdulation and DEModulation: MODEM)(370); 디지털 스위치의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로 변조하는 코덱(COding and DECoding: CODEC)(380)(385); 및 상기 모뎀과 코덱의 데이터를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STN) 인터페이스(390)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300)는 변조된 고주파(RF) 신호를 송/수신하는 포트로서 분배/결합기(305)에 연결되어 있다. 분배/결합기(305)는 최대 6개의 고주파 송수신기(310)(315)의 변조된 고주파 출력 신호를 결합하여 안테나(300)를 통해 가입자 이동 단말기로 송출한다. 또한 가입자 이동 단말기에서 송신된 고주파 변조 신호를 안테나(300)에서 수신하여 6개의 신호로 분배한 다음 최대 6개의 고주파 송수신기(310)(315)에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위해서 고주파 송수신기(310)(315)는 다중화기(320)(325)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받아 무선 신호로 변조하여 분배/결합기(305)로 보내준다. 또한 분배/결합기(305)에서 보내온 고주파 변조 신호를 복조하여 다중화기(320)(325)로 보내준다.
다중화기(320)(325)는 기지국과 가입자 이동 단말기가 서로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해 공용 무선 인터페이스(Common Air Interface: CAI) 프로토콜에서 물리적 연결을 위한 1계층(Layer)의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과 연결되어 있는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는 일반 전화 가입자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연결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지국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로 변조하기 위한 코덱(380)(385)을 내장한다.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90)를 경유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코덱(380)(385)에서 펄스 코드 변조(Pulse Code Modulation: PCM) 신호로 부호화 되고, 디지털 스위치(330)에서 해당 다중화기(320)(325)로 스위칭된다.
상기의 여러 장치들은 CPU(340)에 의하여 제어되며, 기지국의 동작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ROM(350)에 저장되어 있다. CPU(340)는 프로그램 ROM(35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기지국 내에 있는 고주파 송수신기를 순차적으로 이네이블하고, 기지국의 현 위치에 사용 가능한 모든 트래픽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를 조사한다. 조사된 수신 전계 강도중 간섭이 작은 트래픽 채널은 기지국 내부의 정적 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에 목록화하여 저장된다. 그리고 나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호 요구가 수신되면 무선 링크 설정 방법에 따라 트래픽 채널을 선정하여 호를 진행한다.
기지국이 이동 가입자와 통화를 하는 경우, 기지국은 이동 가입자 정보 및 통화 정보를 정적 램에 저장한다. 이러한 정보는 기지국 상위 장치에 의해 요구될 때, 모뎀(370)을 경유하여 기지국 상위 장치에 보내진다.
상기 모뎀(370)은 기지국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90)를 경유하여 기지국 상위 장치로 보내준다. 또한 기지국 상위 장치가 보내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기지국에 공급한다. 즉, 모뎀(370)은 기지국과 기지국 상위 장치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 링크 설정을 처리하는 곳은 도 3 에 나타낸 고주파 송수신기(310)(315)이다. 상기 송수신기(310)을 고주파부1(Radio Frequency Part: RFP1)이라 하고, 송수신기(315)를 고주파부2(RFP2)라고 하자. 상기 고주파부1 및 2는 CPU(340)에 의하여 제어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간의 무선 링크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무선 링크 설정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RFP1은 간섭이 적은 유휴 채널을 선택하여(400), 기지국의 상태 정보를 TDD 다중화 모드로 자신의 영역내에 있는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402).
전원이 인가된 상태인 이동 단말기는 무선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바꾸면서 수신 전계 강도(RSSI)가 일정 레벨 이상으로 나타나는지 조사한다(404). 이때 이동 단말기는 간섭이 적은 유휴 채널이 검출되면 유휴 채널 정보를 자신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일정 레벨 이상으로 수신 전계 강도가 검출된 무선 채널에서 동기 신호가 검출되면, 이동 단말기는 기지국의 버스트에 TDD 타이밍을 동기시키고 TDD 타이밍을 유지시키게 된다(408).
가입자가 호를 요구하게 되면(411), 이동 단말기는 상기의 단계(408)에서 동기시킨 TDD 타이밍의 수신 윈도우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유휴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다시 한번 수신 전계 강도를 조사한다. 조사된 수신 전계 강도가 일정 레벨 이하이면 유휴 채널을 선택하고(410), TDD 타이밍의 송신 윈도우에서 기지국으로 호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412).
기지국의 RFP2는 자신의 TDD 타이밍 수신 윈도우 상에서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무선 채널 및 이전에 무선 링크 중인 무선 채널들을 제외한 무선 채널들의 수신 전계 강도를 조사한다(414). 수신 전계 강도가 일정 레벨 이상으로 검출되면, 이동 단말기로부터 호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416).
호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TDD 타이밍의 송신 윈도우에서 이동 단말기로 호 요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418). 이동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호 요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간섭이 작은 트래픽 채널을 재선택하여(421), 호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다시 보낸다(410).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호 요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지국과 무선 링크를 설정하고 호 요구를 중단한다(420). 또한 이동 단말기는 트래픽 채널을 고정하고 핸드쉐이크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424).
기지국이 이동 단말기로부터 핸드쉐이크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426), 기지국은 무선 링크가 설정된 것으로 판단하고 트래픽 채널을 고정시킨 다음, 기지국의 핸드쉐이크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428). 만일 이동 단말기로부터 핸드쉐이크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기지국은 다시 무선 채널들의 수신 전계 강도를 조사한다(414).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쉐이크 메시지를 수신하면(436),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은 상호 핸드쉐이크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주고 받으며 무선 링크를 유지하게 되고, 호 진행을 계속한다.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TDD 타이밍을 동기시킨 경우, TDD 타이밍의 수신 윈도우에서 기지국의 수신 전계 강도를 검출하고, 동기 신호가 검출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수신 윈도우에서 기지국의 동기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이동 단말기는 송/수신 윈도우 구분이 없는 연속 모드에서 동기 신호를 검출한다. 수신 윈도우에서 기지국의 동기 신호를 검출하면, TDD 타이밍 정보를 수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기지국에서 동기 신호를 주기적으로 계속 보내주고 이동 단말기에서는 동기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의 버스트에 TDD 타이밍을 동기시켜, 이동 단말기 가입자의 발신호 요구시 비동기식 다중화 모드가 아닌 동기식 다중화 모드로 호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발신호시의 간섭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좀더 빠른 링크의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13)

  1.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STN)와 연결되어 있으며 무선 링크를 통해 이동 단말기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고주파 변조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와 결합되어 고주파 변조 신호를 다수의 송수신 경로로 연결하는 분배/결합기;
    상기 분배/결합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고주파 변조 신호와 디지털 신호간의 변/복조를 수행하는 다수의 고주파 송수신기;
    상기 고주파 송수신기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무선 링크와의 물리적 접속을 수행하는 다수의 다중화기;
    상기 다수의 다중화기를 원하는 경로로 선택 연결하는 디지털 스위치;
    상기 디지털 스위치에서 선택된 디지털 신호와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에서의 아날로그 신호와의 상호 변환을 위한 코덱(CODEC);
    상기 디지털 스위치와 연결되어 있으며, 기지국을 구성하는 여러 장치를 제어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상기 CPU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읽기 전용 메모리(ROM); 및
    상기 CPU와 연결되어 있으며, 기지국과 기지국 상위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시 신호의 변환을 위해 사용되는 모뎀(MODEM)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무선 링크 설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송수신기는 최대 6개가 실장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무선 링크 설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기는 공중 무선 인터페이스(CAI) 프로토콜에서 1계층의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무선 링크 설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덱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와 펄스 부호 변조(PCM) 신호간의 변환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무선 링크 설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PU는 상기 다수의 고주파 송수신기를 순차적으로 이네이블하여 기지국의 현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트래픽 채널들의 수신 전계 강도(RSSI)를 조사하여 간섭이 작은 트래픽 채널을 목록화 하여 저장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무선 링크 설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채널의 목록은 정적 램(SRAM)에 저장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무선 링크 설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PU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호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간섭이 가장 작은 트래픽 채널을 선정하여 호를 진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무선 링크 설정 장치.
  8. 기지국이 사용 가능한 모든 채널 중에서 간섭이 가장 적은 유휴 채널을 선택하여 기지국의 상태 정보를 TDD(Telecommunication Device for the Deaf) 다중화 모드로 자신의 영역내에 있는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전원이 인가된 상태의 이동 단말기가 모든 사용 가능한 무선 채널의 수신 전계 강도를 조사하여 일정 레벨 이상으로 나타나는 채널을 찾는 제 2 단계;
    이동 단말기는 수신 전계 강도가 일정 레벨 이상인 유휴 채널이 검출되면 유휴 채널 정보를 자신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3 단계;
    이동 단말기는 검출된 유휴 채널에서 기지국의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제 4 단계;
    기지국의 동기 신호를 검출한 이동 단말기는 기지국의 버스트에 TDD 타이밍을 동기시키고 TDD 타이밍을 유지하는 제 5 단계;
    가입자가 호를 요구하는 경우 무선 단말기가 메모리에 저장된 유휴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전계 강도를 조사하여 일정 레벨 이하이면 유휴 채널로 선택하는 제 6 단계;
    이동 단말기는 기지국의 TDD 타이밍에서 송신 윈도우 상에서 호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7 단계;
    기지국은 자신의 TDD 타이밍의 수신 윈도우에서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무선 채널 및 이전에 무선 링크된 무선 채널들을 제외한 모든 트래픽 채널들의 수신 전계 강도를 조사하는 제 8 단계;
    기지국은 수신 전계 강도가 일정 레벨 이상으로 검출되면 이동 단말기로부터 호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를 조사하는 제 9 단계;
    호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이 이동 단말기로 호 요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10 단계; 및
    이동 단말기가 호 요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지국과 무선 링크를 설정하고 호 요구를 중단하는 제 11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무선 링크 설정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호 요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간섭이 작은 트래픽 채널을 재선택하여 호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무선 링크 설정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TDD 타이밍을 동기시킨 후 TDD 타이밍의 수신 윈도우에서 기지국의 수신 전계 강도를 검출하고, 동기 신호가 검출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무선 단말기의 수신 윈도우에서 기지국의 동기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송/수신 윈도우의 구분이 없는 연속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연속 모드에서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기지국의 TDD 타이밍에 다시 동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무선 링크 설정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무선 링크가 설정된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은 핸드쉐이크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주고 받으면서 무선 링크를 유지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무선 링크 설정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무선 단말기는 동기시킨 TDD 타이밍의 수신 윈도우에서 수신 전계 강도를 조사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무선 링크 설정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0 단계는, 기지국은 TDD 타이밍의 송신 윈도우에서 무선 단말기로 호 요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무선 링크 설정 방법.
KR1019970079006A 1997-12-30 1997-12-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무선 링크 설정 방법 KR100256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006A KR100256963B1 (ko) 1997-12-30 1997-12-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무선 링크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006A KR100256963B1 (ko) 1997-12-30 1997-12-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무선 링크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832A KR19990058832A (ko) 1999-07-26
KR100256963B1 true KR100256963B1 (ko) 2000-05-15

Family

ID=19529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9006A KR100256963B1 (ko) 1997-12-30 1997-12-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무선 링크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69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174B1 (ko) * 1998-11-24 2005-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럽형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네트워크와의 채널 접속 방법
JP3369513B2 (ja) * 1999-07-02 2003-01-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受信方法
KR100431288B1 (ko) * 2000-12-28 2004-05-12 주식회사 아미텔레콤 무선망을 이용한 송ㆍ수신 화상정보를 무인원격제어하는시스템
KR100427576B1 (ko) * 2001-12-11 2004-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식 imt-2000 시스템에서의 회선 교환 서비스용이동 단말기의 코덱 제어 방법
KR100758354B1 (ko) * 2006-09-01 2007-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의 핸드오프 시 수행되는억세스 포인트 스캐닝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이동국과, 상기 방법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상기 방법이 채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832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4646B2 (ja) 高速の制御トラフィック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FI100084B (fi) Radiopuhelinliikenteen solukkojärjestelmä, joka on varustettu suojauks ella puhelunmenetystä vastaan
JP2785789B2 (ja) ディジタル移動通信システム
US6236860B1 (en)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and roaming in a radio communication environment
KR970000572B1 (ko) 원격 기지국과 중앙 사이트간의 통신 신호 교환 방법 및 장치
CA226406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ng non-cellular private radio systems to be compatible with cellular mobile phones
ES2331584T3 (es) Sincronizacion de estacion base para el traspaso en una red de gsm/cdma hibrida.
JP2679442B2 (ja) ディジタル移動通信方式
RU219508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дновременного проведения многочисленных вызовов
US20030008632A1 (en) Wireless local loop with intelligent base station
JP2001509988A (ja) ワイヤレス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多重チャネル上で通信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移動通信ユニット
JP2002521912A5 (ko)
KR920005521A (ko) 셀 이동 무선 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신호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H0494228A (ja) ダイナミックチャネル割当方法
BG62465B1 (bg) Метод за пренасяне на пакети от данни в мобилна радиомрежа
JPH11502087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接続の同期方法
RU99104503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дновременного проведения многочисленных вызовов
GB2322522A (en) Call set-up method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53848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in a wireless telephone system
KR20010082256A (ko) 다중 브로드케스팅 설비
KR10025696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무선 링크 설정 방법
KR100291613B1 (ko) 전기통신시스템및이전기통신시스템에사용하기위한주국및종국
JP2001169345A (ja) 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
JPH0916343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292557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채널할당메시지재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