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950B1 - 위상 동기 루프를 이용한 개인휴대통신 대역 송수신 주파수변환기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위상 동기 루프를 이용한 개인휴대통신 대역 송수신 주파수변환기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950B1
KR100256950B1 KR1019970063342A KR19970063342A KR100256950B1 KR 100256950 B1 KR100256950 B1 KR 100256950B1 KR 1019970063342 A KR1019970063342 A KR 1019970063342A KR 19970063342 A KR19970063342 A KR 19970063342A KR 100256950 B1 KR100256950 B1 KR 100256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hz
pll
frequency
signal
xcv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3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2504A (ko
Inventor
김보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3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6950B1/ko
Publication of KR19990042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2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3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 H04B1/406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with more than one transmission mode, e.g. analog and digital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S 시스템에서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를 동작시키는데 있어 PLL(위상 동기 루프)을 이용하여 PCS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합성 및 변환하기 위한 구동 방법과 알고리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PLL을 이용한 PCS 대역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를 구동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송수신기 보조제어보드, 송신주파수 상승변환보드, 수신주파수 하강변환보드로 구성되는 PCS 버전의 송수신기로 4.95 MHz의 Tx IF 신호를 입력하는 제 1 단계; 65.05 MHz PLL을 위한 해당 PLL칩을 선택하는 제 2 단계; 상기 65.05 MHz PLL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 3 단계; 124.04 MHz PLL을 위한 해당 PLL칩을 선택하는 제 4 단계; 상기 124.04 MHz PLL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 5 단계; 채널번호에 따라 UHF 로컬 주파수를 계산하는 제 6 단계; 상기 UHF PLL을 위한 해당 PLL칩을 선택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UHF 로컬 PLL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상 동기 루프를 이용한 개인 휴대통신 대역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 구동 방법
본 발명은 위상 동기 루프(Phase-Locked Loop: PLL)을 이용한 개인 휴대통신(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CS) 대역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Transceiver Unit: XCVU)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CS 이동전화 기지국 시스템의 PCS 대역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XCVR Unit: XCVU) 상에서 PCS 대역의 주파수를 합성, 변환하기 위해 구동하는 방법 및 알고리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 송신/수신 장치에 대한 종래기술은 미국 특허 제 4,802,235 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825.030 MHz에서 844.980 MHz 범위의 주파수와 870.030 MHz에서 889.980 MHz 범위의 주파수를 포함한다. 그리고, 채널 분리 주파수(채널 간격)는 30 KHz이다. 그리고 종래의 CDMA 셀룰라 이동전화 기지국 시스템의 송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800 MHz대역, 즉 870 ~ 895 MHz이다. 기존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에서는 4.95 MHz의 신호가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로 입력되어 870 ~ 895 MHz의 RF 신호로 상승변환(Up-Convert)되어 안테나단을 통해서 송신되고, 이동단말기에서 안테나단으로 들어오는 825 ~ 850 MHz 대역의 신호가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로 입력되어 4.95 MHz의 신호로 하강변환(Down-Convert)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4.95 MHz의 신호를 870 ~ 895 MHz의 RF 신호로 상승변환시키는 것은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의 송신주파수 상승변환보드(Transmit Up-Convert Board: TUCB)에서 이루어지고, 수신 825 ~ 850 MHz 대역의 신호는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의 수신주파수 하강변환보드(Diversity Cell Receiver Board: DCRB)로 입력되어 4.95 MHz로 하강변환이 이루어진다.
PCS를 위한 이동전화 기지국 시스템의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는 PCS 대역에 적합한 주파수 합성 및 변환을 할 수 있어야 하는데, 종래의 CDMA 셀룰라 이동전화 기지국 시스템에서 이용되던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와 그 구동 방법으로는 800 MHz 대역의 신호를 생성, 변환하므로 1.8 MHz 대역을 송신 대역으로 하는 PCS 시스템에서는 그 이용이 불가능하다.
PCS 이동전화 기지국 시스템의 송신 주파수 대역은 1840 ~ 1870 MHz이고, 수신 주파수 대역은 1750 ~ 1780 MHz이다. 따라서 이상의 송, 수신 주파수 대역을 처리할 수 있는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가 필요하고 이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가 해당 대역의 주파수를 합성, 변환하는 데에 이용되는 각 PLL 주파수 합성장치(Frequency Synthesizer)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SW)적인 구동방법 및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PLL 주파수 합성장치의 동작방법에 대한 종래기술은 미국특허 제 5,448,763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의 일 실시예는 무선 주파수 채널을 포함하는 일부의 무선 주파수 밴드에서 무선 주파수 채널의 채널 간격을 결정하는 과정과 결정된 채널에 응답하는 PLL 주파수 합성 장치의 루프 대역폭을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결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PCS를 위한 해당 대역의 주파수를 합성, 변환 처리할 수 있도록 고안된 PCS 버젼(version)의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 상에서 각 PLL 주파수 합성장치 등 관련 부분을 제어하고 구동함으로써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위상 동기 루프를 이용한 개인 휴대통신 대역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의 구성도.
도 2는 송신주파수 상승변환보드의 주파수 생성 개략도.
도 3은 수신주파수 하강변환보드의 주파수 변환 개략도.
도 4는 MC145170's PLL 합성장치 칩.
도 5는 SA8025A's PLL 합성장치 칩.
도 6은 메세지 흐름 경로.
도 7은 위상 동기 루프 제어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송수신기 보조제어보드(XSCB)
20 ; 송신주파수 상승변환보드(TUCB)
30 ; 수신주파수 하강변환보드(DCRB)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따른 PLL을 이용한 PCS 대역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 구동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송수신기 보조제어보드, 송신주파수 상승변환보드, 수신주파수 하강변환보드로 구성되는 PCS 버전의 송수신기로 4.95 MHz의 Tx IF 신호를 입력하는 제 1 단계;
65.05 MHz PLL을 위한 해당 PLL칩을 선택하는 제 2 단계;
상기 65.05 MHz PLL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 3 단계;
124.04 MHz PLL을 위한 해당 PLL칩을 선택하는 제 4 단계;
상기 124.04 MHz PLL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 5 단계;
채널번호에 따라 UHF 로컬 주파수를 계산하는 제 6 단계;
상기 UHF PLL을 위한 해당 PLL칩을 선택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UHF 로컬 PLL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124.04 MHz 및 1680∼1710 MHz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각각 124.04 MHz 및 1680∼1710 MHz PL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124.04 MHz 및 1680∼1710 MHz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상기 PLL회로의 구동을 통해 얻어지는 주파수는 다음 수학식에 의하며,
Figure 1019970063342_B1_M0001
이때 fref 는 기준주파수, R 은 R레지스터값, N 은 N레지스터값, fpd 는 위상검출 주파수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124.04 MHz PLL을 위해서는 fpd 값을 40KHz, N 값을 3101, 및 1680∼1710 MHz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각각 124.04 MHz 및 1680∼1710 MHz PL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1680∼1710 MHz의 로컬 PLL을 위해서 통신사업자에 의해 요구되는 개인통신 무선접속 규격에 따라 채널 간격을 소정의 주파수로 해서 소정 개수의 채널로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채널 간격이 50 KHz인 경우 0∼599번까지 600개의 채널로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채널수에 따라서 계산되어진 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해 다음 식에 의해 각 레지스터의 값을 지정하며,
freq = init_freq + (Ch_no × Ch_Space)
이때 freq는 UHF PLL을 위해 해당 칩의 특정 레지스터에 지정해주어야 할 값을 계산하는데 필요한 로컬 주파수이고, init_freq는 0번 채널에 해당하는 로컬 주파수이고, Ch_no는 채널번호이고, Ch_Space는 상기 소정의 채널간격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PLL을 위한 기준클럭으로 10MHz가 상기 freq값으로 채용되어 있으면 상기 PLL이 로크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그렇지 않으면 언로크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변환과정에 의해 생성되어진 주파수가 록크인지 언록크인지를 여부를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의 특정번지에 써놓고, 상기 특정번지 값을 읽어서 상기 PLL의 록크 및 언록크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0 ~ 599 사이의 채널 번호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시간과 채널간격, 시작채널번호를 선택하여 자동으로 채널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1840 ~ 1870 MHz 대역으로 송신 주파수 자동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PCS 버전의 XCVU 상에서 4.95 MHz 대역의 Rx IF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송수신기 보조제어보드, 송신주파수 상승변환보드, 수신주파수 하강변환보드로 구성되는 PCS 버전의 송수신기에서 안테나단을 통하여 상기 수신주파수 하강변환보드로 1750∼1780 MHz의 Rx RF 신호를 입력하는 제 1 단계;
상기 입력된 신호를 1680∼1710 MHz의 신호로 변환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변환된 신호를 65.05 MHz 신호와 4.95 MHz의 Rx IF 신호로 변환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원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CS 버젼의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의 구성도로서 송수신기 보조제어보드(XSCB), 송신주파수 상승변환보드(TUCB), 수신주파수 하강변환모드(DCR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송수신기로 입력되는 4.95 MHz의 Tx IF 신호는 송신주파수 상승변환기에서 주파수 상승변환되어 1840 ~ 1870 MHz 대역의 Tx RF 신호로 출력되어야 하고, 안테나단을 통하여 수신주파수 하강변환기로 수신되는 1750 ~ 1780 MHz의 Rx RF신호는 4.95 MHz의 Rx IF신호로 변환되어야 한다. 이에 따른 송신주파수 상승변환기에서 이루어지는 주파수 생성과 변환의 개략도는 도 2와 같고, 수신주파수 하강변환기에서 이루어지는 주파수 변환의 개략도는 도 3과 같다.
이상과 같이 설계된 PCS 버젼의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 상에서 PCS 대역의 적합한 주파수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위해서는 65.05 MHz, 124.04 MHz, 1680 ~ 1710 MHz PLL를 필요로 하므로 이에 대한 PLL 데이타 제어(Data Control)가 필요하다. 이는 각 이용된 PLL 칩의 Spec.을 참조하여 각 레지스터 값을 계산하여 지정해 주도록 처리한다.(참고로, 65.05 MHz, 124.04 MHz PLL에 이용된 칩은 Motorola의 MC145170, 1680~1710 MHz UHF Local PLL에 이용된 칩은 Philips의 SA8024A이다)
먼저, MC145170 PLL 회로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C, R, N 레지스터(Register)값을 지정해주어야 한다. 로크 검출기(lock detector)를 가능하게(enable) 하고 외부로부터 fref(reference frequency: )를 공급받는 것으로 하여 C 레지스터값을 지정해준다. 주파수 계산은 도 4에서와 같이 fout= fref/ R * N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fref/ R은 fpd(phase detector frequency: 위상 검출기 주파수)이다.
이상의 계산방법에 의해 65.05 MHz PLL을 위해서는 fpd를 50 KHz, N 레지스터를 1301, R 레지스터를 200으로 지정하여 준다. 124.04 MHz PLL을 위해서는 fpd를 40 KHz, N 레지스터를 3101, R 레지스터를 250으로 지정하여 준다. 그리고 1680 ~ 1710 MHz의 Local PLL을 위해서 한국통신에서 요구하는 개인통신 무선접속 규격에 따라 채널 간격을 50 KHz로 하여 0 ~ 599번까지 600개의 채널로 나누도록 하였다. 종래의 CDMA 셀룰라용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에서는 하나의 채널 간격(Channel Space)을 30KHz로 하였지만 본 발명의 PCS용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채널 간격을 50KHz으로 하도록 하였다.
다음과 같이 채널 번호(Channel Number)에 따라서 계산되어진 주파수(freq.)를 생성하기 위해 해당 PLL 칩의 Spec.을 참조하여 수학식 1에 의해 각 레지스터에 값을 지정하도록 하였다.
freq.= init_freq.+ (Ch_no * Ch_Space)
상기의 freq.는 UHF PLL을 위해 해당 칩의 특정 레지스터에 지정해주어야 할 값을 계산하는데 필요한 국부 주파수(local Frequency)이다. init_freq.는 0번 채널에 해당하는 국부 주파수이고 Ch_no는 채널번호, Ch_Space는 규격에 의해 50 KHz로 정해진다.(이하부터는 freq.를 pll로 지칭함)
다음, 이상의 계산을 기본으로 SA8025A PLL 회로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D, C, B, A 레지스터값을 지정해 주어야 한다. 여기서 각 레지스터값은 도 5에서와 같이 수학식 2와 수학식 3에 의하여 계산된다.
fvco= fcomp* (N + NF / Q)
fcomp= fref/ M
Fractional-N modulus는 modulo 8을 이용하였고 Prescaer type으로는 2- modulus prescaler(64/65)으로 하였다.
따라서 fcomp= 8 * 50KHz = 400KHz
M = 25
NR = 25
N = int ( pll / 0.4 )
pll = 1680.0 + 0.05 * CH (CH =〉 채널 번호)
NM2 = 64 * FRAC ( N / 64 )
NM1 = int ( N / 64 ) - NM2 - 2
NF = Mod ( CH / 8 )
이상의 계산에 의해서 각 레지스터값을 지정하여 1680 ~ 1710 MHz UHF 국부 PLL이 구동되도록 하였다.
지금까지 PLL을 위해서는 fref로 10MHz의 Reference Clock이 필요하였고 이는 로크(lock)의 조건으로 이것이 공급되지 않으면 언로킹(UnLocking)되어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에서 출력이 나가지 않는다. PCS 기지국 시스템에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로부터 10 MHz의 클럭을 공급받을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변환과정에 의해 생성되어진 주파수가 로크인지 언로크인지 여부를 하드웨어(H/W)적으로 특정번지에 기록하도록(Write) 되어있어 특정번지를 읽음(Read)으로 PLL 로크 또는 언로크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송수신기의 PLL 제어를 위해서는 채널 번호가 필요하고 이상의 방법에 의해 채널 번호에 따라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을 보면, PCS 이동전화 기지국 시스템에서 PCS 버젼의 송수신기(XCVU)가 setup되어 있는 조건에서 PLL을 이용한 PCS 대역 송수신 주파수 변환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에 전력(Power)이 공급되면 송수신기 보조제어보드(XSCB)내 롬(ROM)이 실행되고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를 동작제어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지국 관리 시스템(Base Station Manager System: BSM)로부터 도 6과 같은 메세지 흐름 경로에 따라 송수신기 보조제어보드 내의 램(RAM)으로 로딩을 받고 Configuration 메세지를 받아 그에 따른 채널설정 및 Initial을 하게 된다.
Configuration 메세지를 통해 채널 번호를 받아서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에서 PLL 제어를 하게 되는데 4.95 MHz의 신호는 도 7과 같은 다음의 과정에 의해 1840 ~ 1870 MHz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65.05 MHz PLL을 위한 해당 PLL 칩을 선택하여 65.05 MHz PLL 데이타 제어를 하고, 124.0 4MHz PLL을 위한 해당 PLL 칩을 선택하여 124.04 MHz PLL 데이타 제어를 하고, 채널 번호에 따라 UHF 국부 주파수를 계산해서 UHF PLL을 위한 해당 칩을 선택하여 UHF 국부 PLL 데이타 제어를 한다.
이상의 PLL 제어 과정에서 65.05 MHz PLL, 124.04 MHz PLL, UHF 국부 PLL 데이타 제어는 해당 칩의 Spec.에서 명세한 메뉴얼에 따라 각 레지스터 값을 지정해주도록 한다.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 디버그 포트(Debug Port)를 통하여 command를 통하여 채널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PLL을 제어할 수도 있다.
tchg_ch 이라는 command가 있어 파라미터(parameter)로 시작 채널번호, 채널간격, 시간을 주어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가 시작채널번호부터 설정하여 주어진 시간간격으로 채널간격을 더한 만큼의 채널 번호에 따라 해당 주파수 설정을 할 수 있도록 자동제어가 가능하다.
또 기지국 관리 시스템 상에서 0 ~ 599 사이의 임의의 채널 번호로 변경하는 command가 있어 운용자가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의 송신주파수를 1840 ~ 1870 MHz 사이의 원하는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PCS 시스템에서 PCS 버젼의 송수신기(XCVU)에 대한 1840 ~ 1870 MHz 사이의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PLL 제어를 하는데 있어 0 ~ 599번의 600개 채널중에서 선택하여 자동제어함으로써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송신할 수 있게 되었고 PCS 이동 단말기에서 송신하는 1750 ~ 1780 MHz의 신호에 대한 수신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PCS 이동전화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전파적인 환경이 구축되었으며, 자동채널 변경 command가 있어 1840 ~ 1870 MHz 사이의 원하는 대역의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자동변경하여 송신이 가능하다.

Claims (11)

  1. 송수신기 보조제어보드, 송신주파수 상승변환보드, 수신주파수 하강변환보드로 구성되는 PCS 버전의 송수신기로 4.95 MHz의 Tx IF 신호를 입력하는 제 1 단계;
    65.05 MHz PLL을 위한 해당 PLL칩을 선택하는 제 2 단계;
    상기 65.05 MHz PLL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 3 단계;
    124.04 MHz PLL을 위한 해당 PLL칩을 선택하는 제 4 단계;
    상기 124.04 MHz PLL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 5 단계;
    채널번호에 따라 UHF 로컬 주파수를 계산하는 제 6 단계;
    상기 UHF PLL을 위한 해당 PLL칩을 선택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UHF 로컬 PLL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하는, PCS 버전의 XCVU 상에서 1840∼1870 MHz 대역의 Tx RF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24.04 MHz 및 1680∼1710 MHz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각각 124.04 MHz 및 1680∼1710 MHz PLL을 사용하는, PCS 버전의 XCVU 상에서 1840∼1870 MHz 대역의 Tx RF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24.04 MHz 및 1680∼1710 MHz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상기 PLL회로의 구동을 통해 얻어지는 주파수는 다음 수학식에 의하며,
    Figure 1019970063342_B1_M0001
    이때 fref 는 기준주파수, R 은 R레지스터값, N 은 N레지스터값, fpd 는 위상검출 주파수를 나타내는, PCS 버전의 XCVU 상에서 1840∼1870 MHz 대역의 Tx RF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124.04 MHz PLL을 위해서는 fpd 값을 40KHz, N 값을 3101, 및 1680∼1710 MHz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각각 124.04 MHz 및 1680∼1710 MHz PLL을 사용하는, PCS 버전의 XCVU 상에서 1840∼1870 MHz 대역의 Tx RF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1680∼1710 MHz의 로컬 PLL을 위해서 통신사업자에 의해 요구되는 개인통신 무선접속 규격에 따라 채널 간격을 소정의 주파수로 해서 소정 개수의 채널로 나누는, PCS 버전의 XCVU 상에서 1840∼1870 MHz 대역의 Tx RF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간격이 50 KHz인 경우 0∼599번까지 600개의 채널로 나누는, PCS 버전의 XCVU 상에서 1840∼1870 MHz 대역의 Tx RF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수에 따라서 계산되어진 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해 다음 식에 의해 각 레지스터의 값을 지정하며,
    freq = init_freq + (Ch_no × Ch_Space)
    이때 freq는 UHF PLL을 위해 해당 칩의 특정 레지스터에 지정해주어야 할 값을 계산하는데 필요한 로컬 주파수이고, init_freq는 0번 채널에 해당하는 로컬 주파수이고, Ch_no는 채널번호이고, Ch_Space는 상기 소정의 채널간격을 나타내는, PCS 버전의 XCVU 상에서 1840∼1870 MHz 대역의 Tx RF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PLL을 위한 기준클럭으로 10MHz가 상기 freq값으로 채용되어 있으면 상기 PLL이 로크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그렇지 않으면 언로크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PCS 버전의 XCVU 상에서 1840∼1870 MHz 대역의 Tx RF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과정에 의해 생성되어진 주파수가 록크인지 언록크인지를 여부를 하드웨어적으로 메모리의 특정번지에 써놓고, 상기 특정번지 값을 읽어서 상기 PLL의 록크 및 언록크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PCS 버전의 XCVU 상에서 1840∼1870 MHz 대역의 Tx RF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0 ~ 599 사이의 채널 번호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시간과 채널간격, 시작채널번호를 선택하여 자동으로 채널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1840 ~ 1870 MHz 대역으로 송신 주파수 자동변경이 가능한, PCS 버전의 XCVU 상에서 1840∼1870 MHz 대역의 Tx RF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11. 송수신기 보조제어보드, 송신주파수 상승변환보드, 수신주파수 하강변환보드로 구성되는 PCS 버전의 송수신기에서,
    안테나단을 통하여 상기 수신주파수 하강변환보드로 1750∼1780 MHz의 Rx RF 신호를 입력하는 제 1 단계;
    상기 입력된 신호를 1680∼1710 MHz의 신호로 변환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변환된 신호를 65.05 MHz 신호와 4.95 MHz의 Rx IF 신호로 변환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PCS 버전의 XCVU 상에서 4.95 MHz 대역의 Rx IF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KR1019970063342A 1997-11-27 1997-11-27 위상 동기 루프를 이용한 개인휴대통신 대역 송수신 주파수변환기 구동 방법 KR100256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342A KR100256950B1 (ko) 1997-11-27 1997-11-27 위상 동기 루프를 이용한 개인휴대통신 대역 송수신 주파수변환기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342A KR100256950B1 (ko) 1997-11-27 1997-11-27 위상 동기 루프를 이용한 개인휴대통신 대역 송수신 주파수변환기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504A KR19990042504A (ko) 1999-06-15
KR100256950B1 true KR100256950B1 (ko) 2000-05-15

Family

ID=19525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3342A KR100256950B1 (ko) 1997-11-27 1997-11-27 위상 동기 루프를 이용한 개인휴대통신 대역 송수신 주파수변환기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695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504A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9471B1 (ko) 주파수 계획
JP3311794B2 (ja) デジタル無線電話機において異なる周波数の信号を発生する方法
EP2820765B1 (en) Frequency synthesizer architecture in a time-division duplex mode for a wireless device
JP4499739B2 (ja) マルチモードおよびマルチバンドrf送受信機ならびに関連する通信方法
US6188900B1 (en) Mobile device assisted handoff system fo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and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networks
JP3921086B2 (ja) Gps受信器および共通クロック源を備えた個人用通信装置
EP1374387B1 (en) System for controlling the frequency of an oscillator
US7373113B2 (en) Frequency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US20020054627A1 (en) Synthesizer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generating signals, particularly for a multimode radio telephone device
KR20010031234A (ko) 다중 주파수 계획을 컴플라이언스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484014B1 (en) Reduced component frequency plan architecture for dual band transceiver
EP0958653B1 (en) Transmit signal generation with the aid of a receiver
US6078790A (en) Radio frequency generator for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0256950B1 (ko) 위상 동기 루프를 이용한 개인휴대통신 대역 송수신 주파수변환기 구동 방법
WO2003096561A1 (fr) Appareil de communication mobile
US5715520A (en) Frequency offset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a transceiver
KR100340684B1 (ko) 서비스 채널 간격만큼 이격된 멀티신호를 생성하기 위한장치 및 그 방법
US200301092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radio frequency signals in a tri-mode mobile terminal
JP3756136B2 (ja) 無線基地局
JP4394255B2 (ja) 無線機
KR19980057483A (ko) 셀룰라 휴대폰에서 듀얼 밴드 송수신 장치
KR20000004433U (ko) 다중 주파수 밴드를 적용한 무선통신장치의 송/수신회로
KR20050082227A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시스템 기지국의 기준신호 생성 장치
KR2007004755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 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WO1999060763A2 (en) Telematics device comprising the combination of a cellular telephone and an electronic navig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