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513B1 - 줌렌즈 시스템 - Google Patents

줌렌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513B1
KR100256513B1 KR1019920011908A KR920011908A KR100256513B1 KR 100256513 B1 KR100256513 B1 KR 100256513B1 KR 1019920011908 A KR1019920011908 A KR 1019920011908A KR 920011908 A KR920011908 A KR 920011908A KR 100256513 B1 KR100256513 B1 KR 100256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ositive
lens member
lens group
magn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1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2871A (ko
Inventor
이도다까유끼
하쓰시다사찌오
유네야마슈지
Original Assignee
마츠모토 도루
아사히 고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모토 도루, 아사히 고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모토 도루
Publication of KR930002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5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나 습도와 같은 환경변화에 의해 약간의 촛점이동만을 광학적으로 경험하고, 망원단에서의 촛점거리보다 망원단에서의 전체렌즈길이가 더 작으며, 대략 2는 3의 줌비율을 갖는 소형 카메라용 줌렌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줌렌즈시스템은 정렌즈 군 및 부렌즈군을 포함한다. 정플라스틱부재는 정렌즈군이나 부렌즈군의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시스템의 배율은 정 및 부렌즈군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절된다. 줌렌즈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한다.
여기서, ft는 망원단에서의 전체시스템의 촛점거리이고, fp는 정플라스틱 렌즈부재의 촛점거리이며, mp는 정플라스틱 렌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정플라스틱 렌즈부재보다 영상면에 더 가깝게 위치되어 있는 렌즈군의 망원단에서의 측배율이며, mp'는 정플라스틱 렌즈부재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정플라스틱 렌즈부재보다 영상면에 더 가깝게 위치되어 있는 렌즈군의 망원단에서의 측배율이며, mMAX는 최대배율을 갖는 렌즈군의 망원단에서의 측배율이다.

Description

줌(zoom)렌즈 시스템
도 1은 광각단(wide-angle end)에서의 실시예 1의 줌렌즈 시스템을 간단하게 도시한 횡단면도.
도 2는 광각단에서의 실시예 1의 줌렌즈 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일련의 그래프.
도 3은 중간각단(intermediate-angle end)에서의 실시예 1의 줌렌즈 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일련의 그래프.
도 4는 망원단에서의 실시예 1의 줌렌즈 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일련의 그래프.
도 5는 광각단에서의 실시예 2의 줌렌즈 시스템을 간단하게 도시한 횡단면도.
도 6은 광각단에서의 실시예 2의 줌렌즈 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일련의 그래프.
도 7은 중간각단에서의 실시예 2의 줌렌즈 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일련의 그래프.
도 8은 망원단에서의 실시예 2의 줌렌즈 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일련의 그래프.
도 9는 광각단에서의 실시예 3의 줌렌즈 시스템을 간단하게 도시한 횡단면도.
도 10은 광각단에서의 실시예 3의 줌렌즈 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일련의 그래프.
도 11은 중간각단에서의 실시예 3의 줌렌즈 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일련의 그래프.
도 12는 망원단에서의 실시예 3의 줌렌즈 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일련의 그래프.
도 13은 광각단에서의 실시예 4의 줌렌즈 시스템을 간단하게 도시한 횡단면도.
도 14는 광각단에서의 실시예 4의 줌렌즈 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일련의 그래프.
도 15는 중간각단에서의 실시예 4의 줌렌즈 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일련의 그래프.
도 16은 망원단에서의 실시예 4의 줌렌즈 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일련의 그래프.
본 발명은 온도 및 습도변화에 아주 민감한 줌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안(single-lens)리플렉스 카메라용 줌 렌즈 시스템보다 더 짧은 배면 촛점거리를 갖는 소형 카메라에 사용되는 두개군 또는 세개군의 망원형 줌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약 2 또는 3의 줌 비율을 갖는 다수의 두개 또는 세개 군의 망원형 줌 렌즈 시스템이 소형 카메라에 사용되어왔다. 종래의 줌 렌즈 시스템은 망원단에서 촛점 거리보다 더 큰 망원단 또는 협각단(narrow-angle end)에서의 전체 렌즈길이(제1면에서 영상면까지의 거리)를 갖는다.
그러나, 전체 길이가 그 촛점거리보다 큰 줌 렌즈 시스템이 카메라내에 조립된다고 해도, 그 장치의 전체크기가 충분히 소형화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크기가 더 작은 줌 렌즈 시스템이 요구된다.
따라서, 사용된 렌즈군의 각각은 큰 배율을 갖도록 설정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각 렌즈군의 배율이 증가되면, 렌즈 배럴이 온도나 습도 변화로 인해 미세하게 변형된다 할지라도 실제로 다수의 촛점이 흐려지는 현상(예를 들면 촛점이동)이 발생한다.
소형 카메라는 전형적으로 영상렌즈 시스템과는 별개의 거리측정 광학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영상렌즈 시스템의 촛점 조절위치는 거리에 관하여 대상물 앞에 놓인다.
따라서, 위의 결과를 서술한 바와 같이 촛점이 흐려지면, 이것은 보정될 수 없고 초점이 맞지 않은 사진이 얻어진다.
본 발명은 종래시스템의 이러한 문제들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망원단에서의 전체 렌즈 길이가 망원단에서의 그 촛점거리보다 작고, 예를들면 온도나 습도와 같은 그러한 환경변화에 반응하여 약간의 촛점이동 예를 들면 촛점이 흐려지는 현상만을 광학적으로 경험하는 소형 줌 렌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줌렌즈 시스템은 정(positive)렌즈군과 부(negative)렌즈군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개의 렌즈군을 포함하며, 정렌즈군이나 부렌즈군의 어느 하나에서 정 플라스틱 렌즈부재를 갖는다. 시스템의 배율은 정 및 부렌즈군 사이의 거리를 변화 시킴으로써 조정된다. 줌 렌즈 시스템은 다음의 조건을 만족시킨다.
여기서, ft는 망원단에서의 전체 시스템의 촛점거리이고, fp는 정 플라스틱 렌즈부재의 촛점 거리이며, mp는 정 플라스틱 렌즈 부재를 포함하고 정 플라스틱 렌즈 부재보다 영상에 더 가깝게 위치되어 있는 렌즈군의 망원단에서의 측배율이며, mp'는 정플라스틱 렌즈 부재를 포함하지 않고 정 플라스틱 렌즈부재보다 영상에 더 가깝게 위치되어 있는 렌즈군의 망원단에서의 측배율이며, mMAX는 최대 배율을 갖는 렌즈군의 망원단에서의 측배율이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관련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료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렌즈시스템에 의해 만족되는 조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되었다. 본 발명의 여러가지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온도나 습도가 증가하면, 렌즈배럴이 팽창하여 렌즈배럴내에 수용된 렌즈들 또는 렌즈군들 사이의 거리가 증가된다. 따라서, 두 개 또는 세개군의 망원형 줌 렌즈시스템에 있어서, 촛점은 마이너스 방향으로 변화될 것이다. 특히 전체 렌즈거리가 짧게 될 경우 각 렌즈군의 배율이 증가하여 촛점이동을 하게된다. 역으로, 정렌즈 부재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면, 촛점은 온도나 습도의 증가에 반응하여 플러스 방향으로 변화될 것이다. 따라서, 렌즈배럴의 수축이나 팽창으로 인한 촛점 이동은 본 발명의 줌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렌즈군의 어느하나에 정 플라스틱 렌즈부재를 가짐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전체 렌즈거리를 짧게 하기 위해 각 렌즈군의 배율이 증가되면, 정 렌즈군내의 정 렌즈부재는 더 큰 배율을 갖기가 쉬우며, 상기 정 렌즈 부재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면, 촛점은 과보정될 것이다. 그러므로, 플라스틱 렌즈부재가 정렌즈군내에 포함될 수 있다면, 환경변화에 대하여 보정하는 기능만을 갖는 정 플라스틱 렌즈 부재가 정 렌즈부재와 함께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후술하는 실시예에 따른 줌렌즈 시스템은 부렌즈군에 제공된 정플라스틱 렌즈부재와 함께 두개의 렌즈군(정 및 부) 또는 세개의 렌즈군(정, 정 및 부)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 렌즈부재는 그 배율이 정 렌즈부재가 정 렌즈군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보다 비교적 작게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부렌즈군에 유익하게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작은 배율의 정 플라스틱 렌즈부재는 환경요소의 보정이 색채 및 다른 수차들을 동시에 수정하는 동안에 성취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부렌즈군에 사용되는 것이 양호하다.
플라스틱 렌즈부재가 부 렌즈군 내의 모든 부재들에 관하여 대상물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어 있다면, 렌즈의 직경은 감소될 수 있고 동시에 수차는 적절하게 보정될 수 있다.
원한다면, 작은 배율을 갖는 정 또는 부 렌즈부재가 부 렌즈군 뒤에 고정되거나 또는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조건(1)은 플라스틱 렌즈 부재의 촛점거리에 대한 전체 시스템의 촛점거리의 비율을 명시한 것이다. 이 조건의 상한선이 초과된다면, 플라스틱 렌즈부재의 배율은 과대해지고 플라스틱 렌즈 부재의 촛점거리 변화로 인한 촛점이동 △p1은 증가한다.
조건(1)의 하한선에 못미친다면 플라스틱 렌즈부재의 배율이 작아져서 부렌즈군내의 수차를 효과적으로 수정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동시에 플라스틱 렌즈부재의 촛점 거리변화로 인한 촛점 이동 △p1은 감소하여, 렌즈배럴의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해 렌즈군들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촛점 이동 △p2를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종래에는, 플라스틱 렌즈는 정 또는 부렌즈군에서 정 렌즈부재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정 플라스틱 렌즈부재는 조건(1)의 하한선 이하인 매우작은 배율을 가지며 각 렌즈군의 배율이 증대하여 전체 렌즈길이를 짧게 한다면, 렌즈배럴의 팽창 또는 수축으로 인해 발생되는 촛점변화를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는, 정 플라스틱 렌즈부재는 플라스틱 렌즈자체의 촛점변화를 제거하기 위해 부플라스틱 렌즈부재와 함께 쌍을 이루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정 플라스틱 렌즈 부재의 촛점변화가 부 플라스틱 렌즈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렌즈배럴의 팽창이 수축에 의해 촛점변화를 소멸시키는 다른 방법을 채택한다.
조건(2)는 환경변화에 반응하여 플라스틱 렌즈부재에서 발생하는 촛점의 흐린 현상을 직접 명시하는 조건(1)과 관련한다. 조건(2)의 상한선이 초과되면, 촛점의 흐린현상이 과대해지며, 조건(2)의 하한선에 못미치면, 촛점이동 △p1이 작게되어 렌즈배럴의 팽창 또는 수축으로 인해 발생하는 촛점 이동 △p2를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조건(3)은 소형의 전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만족되어야 하고 가장 높은 배율을 갖는 렌즈군의 측 배율을 명시한다. 이 조건의 상한선이 초과되면, 제1 및 제2 렌즈군의 배율이 과대해져서 줌 동작시 수차가 크게 변화된다. 조건(3)의 하한선에 못미치면, 각 렌즈군의 배율은 약해져서 전체 렌즈 길이가 증가하게 된다.
후술한 실시예 1-3에 따른 줌 렌즈 시스템의 각각은 제1 정렌즈군과 제2 부렌즈군으로 구성되며, 정 플라스틱 렌즈부재는 제2 렌즈군의 모든 부재에 관하여 그 대상물에 가장 가깝게 위치된다.
줌 렌즈 시스템이 하나는 정이고 다른 하나는 부인 두개의 렌즈군으로 구성된다면, 다음 조건(4)가 양호하게 만족된다:
(4) 2.9〈m2〈3.7
여기서, m2는 망원단에서의 제2렌즈군의 측배율이다.
조건(4)는 특히 전체 시스템이 두개의 렌즈군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제외하고 조건(3)과 동일한 매개변수를 명시한다.
실시예 4에 따른 줌 렌즈 시스템은 처음 두개는 정이고 세번째가 부 인 세개의 렌즈군을 가지며, 시스템의 배율은 제2 및 제3렌즈군 사이의 거리와 제1 및 제2 렌즈군 사이의 거리를 변화함으로써 조절된다.
줌 렌즈 시스템이 세개의 렌즈군을 갖는다면, 다음 조건(5)가 양호하게 만족된다:
(5) 3.0〈m3〈4.0
여기서, m3는 망원단에서의 제3렌즈군의 측 배율이다.
조건(5)는 조건(3)에 상응하며 전체 렌즈길이를 짧게하는 것에 양호하게 만족된다.
이하, 온도변화에 의한 촛점변화를 상세하게 기술한다. 플라스틱 렌즈부재의 온도변화에 의한 촛점거리 변화가 △fp이면, 그 결과인 초점 이동 △p1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두개군의 줌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렌즈군 사이의 거리의 변화에 의한 촛점 이동 △p2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m2는 망원단에서의 제2 렌즈군의 측 배율이며 △dt는 제1 및 제2렌즈군 사이의 거리변화이다.
세개군의 줌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동일한 매개변수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m23은 망원단에서의 제2 및 제3 렌즈군의 합성 측배율이며, m3은 망원단에서의 제3렌즈군의 측배율이며, △dt12는 제1 및 재2렌즈군 사이의 거리변화이고, △dt23는 제2 및 제3렌즈군 사이의 거리변화이다.
플라스틱 렌즈부재의 촛점거리는 온도가 +30℃ 변화할때 대략 +1% 변화한다.
렌즈군 사이의 거리(△dt, △dt12또는 △dt23)를 산정한 바와 같이, 렌즈배럴은 +1℃의 온도변화에 반응하여 대략 +1 내지 1.5㎛까지 팽창 또는 수축한다.
실시예 1-3에 따른 두개군의 줌 렌즈 시스템의 각각에서 플라스틱 렌즈부재는 대략 50mm의 촛점거리(fp)와 m2p(=m2=3.2) 및 m2p'(=4.1)의 측배율을 갖는다. 이 주어진 자료에서, +30℃의 온도변화로 인한 촛점거리 △fp의 변화는 0.5mm이며, 촛점위치 △p1및 △p2의 이동은 다음과 같다:
그러므로, 두개의 촛점 이동의 상호영향은 전체 시스템의 촛점흐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서로 상쇄된다.
실시예 4에 도시한 세개군의 렌즈시스템 자료는 다음과 같다: fp=73.5mm; m3p=m3=3.56;m3p'=4.39;m23=2.09. 그러므로, 촛점위치 △p1및 △p2의 이동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줌 렌즈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 시스템의 상세한 수치 자료가 표 1 및 표 2에 주어져 있다. 고 4는 광각단, 중간각단 및 망원단에서 각각 이 시스템에 의해 얻어진 수차곡선을 표시한 그래프를 도시한다. 표 1 및 표 2에서, r은 개개의 렌즈면의 곡률반경을 정의하며, d는 렌즈면 사이의 공적(air space)이며, N은 굴절율이고, v는 아베(Abbe)수이며, f는 촛점거리, fB는 배면촛점, F No.는 구경률이며, w는 반시계각(half-view angle)이다.
[표 1]
[표 2]
렌즈 시스템의 열번째면은 비구면(非球面)이다. 비구면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X는 광축으로부터의 높이가 Y인 비구면상의 점의 좌표들이 접선면에서 비구면의 정점까지 연장되어 있는 거리이며, C는 비구면의 정점의 곡률(1/r)이고, K는 원추곡선상수이며, A4, A6, A8및 A10은 각각 제4, 제6, 제8 및 제10번째 순서의 비구면 계수들이다.
원추곡선상수와 비구면 계수의 각각의 값은 표 3에 열거되어 있다. 표 1에 도시된 비구면의 곡률반경이 비구면의 정점에서의 곡률반경인 것이 주목된다.
[표 3]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줌 렌즈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 시스템의 상세한 수치자료가 표 4 및 표 5에 주어져 있다. 도 8은 광각단, 중간각단 및 망원단에서 각각 이 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그래프이다.
실시예 2에서, 제4 및 제10번째면은 비구면이며 그 비구면 계수 표 6에 열거되어 있다.
[표 4]
[표 5]
[표 6]
[실시예 3]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줌 렌즈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 시스템의 상세한 수치자료가 표 7 및 표 8에 주어져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광각단, 중간각단 및 망원단에서 각각 이 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그래프이다.
실시예 3에서, 제5 및 제10번째면은 비구면이며 그 비구면 계수들은 표 9에 열거되어 있다.
[표 7]
[표 8]
[표 9]
[실시예 4]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줌 렌즈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 시스템의 수치자료가 표 10 및 표 11에 주어져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광각단, 중간각단 및 망원단에서 각각 이 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하는 그래프이다.
실시예 4에서, 제12 및 제13번째면은 비구면이며 그 비구면 계수들은 표 12에 열거되어 있다.
[표 10]
[표 11]
[표 12]
표 13은 조건(1) 내지 (5)가 실시예 1 내지 4에 어떻게 만족되는가를 도시한다.
[표 13]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라스틱 렌즈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의해 소형 줌 렌즈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글라스 렌즈만을 갖는 시스템과 비교할때, 예를 들면 온도 및 습도와 같은 환경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촛점이동이 실제로 줄어든다.
본 발명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그 실시예에 의해 충분히 기술되었지만,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규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13)

  1. 줌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그 중 하나가 정플라스틱 렌즈 부재를 포함하는 정렌즈군 및 부렌즈군과, 상기 정 및 부렌즈군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줌렌즈 시스템의 배율을 조절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줌렌즈 시스템은,
    인 조건을 만족하고, 여기서, ft는 망원단에서의 전체 시스템의 촛점거리이고, fp는 정플라스틱 렌즈 부재의 촛점거리이며, mp는 정플라스틱 렌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정플라스틱 렌즈 부재보다 영상면에 더 가깝게 위치되어 있는 렌즈군의 망원단에서의 측배율이며, mp'는 정플라스틱 렌즈 부재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정플라스틱 렌즈 부재보다 영상면에 더 가깝게 위치되어 있는 렌즈군의 망원단에서의 측배율이며, mMAX는 최대 배율을 갖는 렌즈군의 망원단에서의 측배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렌즈군은 상기 정플라스틱 렌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시스템.
  3. 줌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대상물측으로 부터 차례로, 제1정렌즈군 및 정플라스틱 렌즈 부재를 갖는 제2부렌즈군과, 제1 및 제2렌즈군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줌렌즈 시스템의 배율을 조절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줌렌즈 시스템은,
    인 조건을 만족하여, 여기서, ft는 망원단에서의 전체 시스템의 촛점거리이며, fp는 정플라스틱 렌즈 부재의 촛점거리이고, mp는 정플라스틱 렌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정플라스틱 렌즈 부재보다 영상면에 더 가깝게 위치되어 있는 렌즈군의 망원단에서의 측배율이며, mp'는 정플라스틱 렌즈 부재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정플라스틱 렌즈 부재보다 영상면에 더 가깝게 위치되어 있는 렌즈군의 망원단에서의 측배율이며, m2는 망원단에서 최대배율을 갖는 제2렌즈군의 측배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플라스틱 렌즈 부재는 상기 제2렌즈군을 형성하는 렌즈 부재에 관하여 그 대상물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시스템.
  5. 줌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대상물측으로 부터 차례로 제1정렌즈군, 제2정렌즈군 및 정플라스틱 렌즈 부재를 갖는 제3부렌즈군과, 상기 제1 및 제2렌즈군 사이의 거리와 상기 제2 및 제3렌즈군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줌렌즈 시스템의 배율을 조절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줌렌즈 시스템은,
    인 조건을 만족하여, 여기서, ft는 망원단에서의 전체 시스템의 촛점거리이며, fp는 정플라스틱 렌즈 부재의 촛점거리이고, mp는 정플라스틱 렌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정플라스틱 렌즈 부재보다 영상면에 더 가깝게 위치되어 있는 렌즈군의 망원단에서의 측배율이며, mp'는 정플라스틱 렌즈 부재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정플라스틱 렌즈 부재보다 영상면에 더 가깝게 위치되어 있는 렌즈군의 망원단에서의 측배율이며, m3는 망원단에서의 제3렌즈군의 측배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플라스틱 렌즈는 상기 제3렌즈군을 형성하는 렌즈 부재에 관하여 그 대상물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정렌즈 부재 및 부렌즈 부재중의 하나가 상기 부렌즈군 뒤에 고정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정렌즈 부재 및 부렌즈 부재중의 하나가 상기 부렌즈군뒤에 고정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정렌즈 부재 및 부렌즈 부재중의 하나가 상기 부렌즈군뒤에 고정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정렌즈 부재 및 부렌즈 부재중의 하나가 상기 부렌즈군뒤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시스템.
  11. 제3항에 있어서, 정렌즈 부재 및 부렌즈 부재중의 하나가 상기 부렌즈군뒤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시스템.
  12. 제5항에 있어서, 정렌즈 부재 및 부렌즈 부재중의 하나가 상기 부렌즈군뒤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시스템.
  13. 줌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그 중 하나가 정플라스틱 렌즈 부재를 포함하는 정렌즈군 및 부렌즈군과, 상기 정 및 부렌즈군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줌렌즈 시스템의 배율을 조절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줌렌즈 시스템은,
    인 조건을 만족하고, 여기서, ft는 망원단에서의 전체 시스템의 촛점거리이고, fp는 정플라스틱 렌즈 부재의 촛점거리이며, mp는 정플라스틱 렌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정플라스틱 렌즈 부재보다 영상면에 더 가깝게 위치되어 있는 렌즈군의 망원단에서의 측배율이며, mp'는 정플라스틱 렌즈 부재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정플라스틱 렌즈 부재보다 영상면에 더 가깝게 위치되어 있는 렌즈군의 망원단에서의 측배율이며, mMAX는 최대 배율을 갖는 렌즈군의 망원단에서의 측배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시스템.
KR1019920011908A 1991-07-04 1992-07-04 줌렌즈 시스템 KR1002565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61482 1991-07-04
JP26148291 1991-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871A KR930002871A (ko) 1993-02-23
KR100256513B1 true KR100256513B1 (ko) 2000-05-15

Family

ID=17362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1908A KR100256513B1 (ko) 1991-07-04 1992-07-04 줌렌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65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3167B1 (en) * 2000-10-16 2001-09-04 Ribbon Webbing Corporation Webbing with simulated stitc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871A (ko) 199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07140B2 (ja) 3群ズームレンズ
EP2112542A2 (en) Optical system, method for focusing, and imaging apparatus equipped therewith
JP3652046B2 (ja) 小型なズーム光学系及びそれを備えたカメラ
JP2000284177A (ja) 3群ズームレンズ
US7046454B2 (en) Two-group zoom lens
JPH05264902A (ja) ズームレンズ
US20240264417A1 (en) Variable magnification optical system, optical equip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variable magnification optical system
CN110058391A (zh) 变倍光学系统以及光学设备
CN114286959B (zh) 变倍光学系统以及光学设备
JPH0642017B2 (ja) コンパクトなズ−ムレンズ
CN109844603B (zh) 变倍光学系统以及光学装置
CN110596873B (zh) 变倍光学系统以及摄像装置
US5644433A (en) Zoom lens system
US20210191112A1 (en) Optical system, optical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system
US20210208374A1 (en) Optical system, opt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optical system
JPH03288813A (ja) ズームレンズ
JP2000019392A (ja) 撮影レンズ
US5764420A (en) Zoom lens
US12072476B2 (en) Optical system, optical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system
JP7254271B2 (ja) 変倍光学系、光学機器
US11971540B2 (en) Optical system, optical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system
US20240201475A1 (en) Zoom optical system, opt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zoom optical system
KR100256513B1 (ko) 줌렌즈 시스템
US11960065B2 (en) Zoom optical system, opt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zoom optical system
JP4580510B2 (ja) ズーム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7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2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207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8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