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369B1 - 육성용접용 내마모합금 - Google Patents

육성용접용 내마모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369B1
KR100256369B1 KR1019950048672A KR19950048672A KR100256369B1 KR 100256369 B1 KR100256369 B1 KR 100256369B1 KR 1019950048672 A KR1019950048672 A KR 1019950048672A KR 19950048672 A KR19950048672 A KR 19950048672A KR 100256369 B1 KR100256369 B1 KR 100256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oy
wear
present
less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8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3230A (ko
Inventor
송진화
백응률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50048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6369B1/ko
Publication of KR970043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3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3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모입자에 의해 연삭마모 또는 충돌마모를 일으키는 원료 분말 처리 설비나 집진설비의 구조용 부재로 사용되는 육성용접용 내마모 합금에 관한 것으로, 내마모재료의 합금계 성분 및 그 함량을 적절히 제어하므로서 내마모성이 우수한 육성용접용 내마모 합금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량 %로, C:1.5-3.5%, B:0.5-2.0%, Si:2.0%이하, Mn:2.5%이하, Cr:8-25%, W:5-20%, 나머지 단독 또는 복합의 Fe 및 Co로 조성되는 육성용접용 내마모 합금에 관한 것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육성용접용 내마모 합금
본 발명은 마모입자에 의해 연삭마모 또는 충돌마모를 일으키는 원료분말 처리설비나 집진설비의 구조용 부재로 사용되는 육성용접용 내마모 합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육성용접용 합금에 관한 것이다.
통상 원료분말 처리설비나 집진설비의 구조용 부재로 사용되는 내마모 합금은 육성용접법으로 제조되는 Fe-Cr계 합금을 하드훼이싱(Hard Facing)해서 사용되어 왔다. 이들 합금은 오스테나이트 기지에 다량의 CrxCy탄화물을 석출시키고, 이들의 석출량, 형상, 분포 등을 조절해서 내마모성을 부여한 것이다. (J, L, Henderson and J. H. Bulloch: Int. J. Pres. Ves. & Piping, 47(1991)127)
상기와 같은 기존의 Fe-Cr계 하드훼이싱 합금은 그 기지가 오스테나이트로 되어 있어 인성은 우수하지만, 기지의 경도가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내마모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기존의 Fe-Cr계 하드훼이싱 합금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험을 행한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하고, 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즉, 종래의 Fe-Cr계 하드훼이싱 합금의 오스테나이트 기지를 강화하는데는 텅스텐(w)과 보론(B)을 합금원소로 동시에 첨가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이들을 적당한 양으로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 내마모합금 경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마모재료의 합금계 성분 및 그 함량을 적절히 제어하므로서 내마모성이 우수한 육성용접용 내마모합금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중량%로, C:1.5-3.5%, B:0.5-2.0%, Si:2.0%이하, Mn:2.5%이하, Cr:8-25%, W:5-20%, 나머지 단독 또는 복합의 Fe 및 Co로 조성되는 육성용접용 내마모 합금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Fe-Cr계 하드훼이싱 합금에 탄화물 형성원소로써 C대신 B만을 단독으로 복합첨가할 경우에는 탄화물의 경도가 높아지는 효과는 있지만, 탄화물 형상이 조대하게 석출될 뿐만아니라 기지금속의 강화효과가 적은 단점이 있다. 또한 Fe-Cr계 하드훼이싱 합금에 W만을 단독으로 첨가한 경우에는 기지강화 효과는 얻어지지만 탄화물의 강화 효과가 작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장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Fe-Cr계 하드훼이싱 합금에 W과 B을 동시에 합금원소로 첨가하여 상기와 같이 강을 조성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C는 기지 중에 탄화물을 석출시켜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서, 그 함유량이 1.5중량%(이하, '%'라 한다)미만일 경우에는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탄화물 형성이 불충분하게 되며, 3.5%를 초과할 경우에는 취화해서 균열이 발생되기 쉽기 때문에 내마모용 부재로 부적합하다. 따라서 C농도는 1.5-3.5%범위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B는 Cr농도가 낮은 합금에 있어서도 경도가 높은 보라이드(Borides)를 형성시키거나 탄화물 중의 C와 치환해서 탄화물 형성에 기여하기 때문에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성분이고 그 함유량이 0.5%미만일 때는 전술한 바와 같은 내마모성 향상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으며, 2.0%를 초과하면 취화되기 쉬워지게 되어 내마모용 부재로 적합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그 함량은 0.5-2.0%범위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Si 및 Mn은 합금용해시 다른 합금원소의 원료로부터 유입되는 피할 수 없는 불순물 원소로서, 강중에 지나치게 많이 잔류되는 경우 비정상적으로 낮은 경화도를 초래하기 때문에 각각 2.0%와 2.5%이하로 억제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Cr은 기지를 형성하는 원소로 기지를 고용강화하는 효과가 있으며,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는 성분이다. 그 함유량이 8%미만일 경우에는 탄화물 및 보라이드의 형성이 불충분해서 내마모성 향상효과가 저하되며, 함유량이 25%를 초과하면 취화되어 균열이 쉽게 발생되기 때문에 내마모용 부재로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Cr성분의 함량은 8-25%범위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W은 기지를 형성하는 원소로 기지를 고용강화하는 효과가 있으며,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는 성분으로서, 그 함유량이 5% 미만일때는 탄화물 및 보라이드의 형성이 불충분해서 내마모성 향상 효과가 저하되며, 함유량이 20%를 초과할 경우에는 취화되어 균열이 발생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내마모용 부재로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W성분의 함량은 5-20% 범위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합금성분외에 나머지는 Fe 또는 Co로서, 이들은 동일한 천이금속 원소로 유사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Fe의 전량 또는 일부분을 Co로 대체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범위를 만족하는 강의 합금을 분말 육성용접을 이용해서 시공한 후, 상온에서 육성용접된 표면의 경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합금조성 범위를 만족하는 발명예(1-3)의 경우 본 발명의 합금성분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는 종래예(1, 2)인 Fe-Cr계 합금에 비해 우수한 경도를 가지며, 종래예(1, 2)에 있어서 문제로 되어왔던 취약한 경도의 향상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합금조성 범위를 만족하는 발명예와 그렇지 못한 종래예를 실제 내마모용 부재로 사용했을 경우 내마모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발명예(1-3) 및 종래예(1, 2)의 합금을 실제 원료처리 설비의 내마모용 부재로 1개월간 사용한 후 두께 감소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발명예(1-3) 및 종래예(1, 2)합금의 설치장소는 소결광 입자와 분진이 계속해서 충돌되어 마모를 일으키는 원료처리 설비의 입자안내판이었다.
[표 2]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는 발명예(1-3)의 경우, 이를 만족하지 못하는 종래예(1, 2)의 경우에 비해 마모량이 현저히 작으며, 내마모성 향상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합금성분계 및 그 함량을 적절히 제어하여 내마모 합금을 조성하므로서, 본 발명에 의한 내마모 합금의 육성용접층은 종래의 Fe-Cr계 합금으로 된 것 보다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지게 되어 내마모용 부재로 사용하는 경우 설비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설비 정비비를 절감하는 경제적인 효과도 기대된다.

Claims (1)

  1. 중량%로, C:1.5-3.5%, B:0.5-2.0%, Si:2.0%이하, Mn:2.5%이하, Cr:8-25%, W:5-20%, 나머지:단독 또는 복합의 Fe 및 Co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성 용접용 내마모 합금.
KR1019950048672A 1995-12-12 1995-12-12 육성용접용 내마모합금 KR100256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8672A KR100256369B1 (ko) 1995-12-12 1995-12-12 육성용접용 내마모합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8672A KR100256369B1 (ko) 1995-12-12 1995-12-12 육성용접용 내마모합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230A KR970043230A (ko) 1997-07-26
KR100256369B1 true KR100256369B1 (ko) 2000-05-15

Family

ID=19439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8672A KR100256369B1 (ko) 1995-12-12 1995-12-12 육성용접용 내마모합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63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246A (ko) 2014-09-03 2016-03-11 주식회사 포스코 육성용접용 내마모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육성용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9947A (ja) * 1992-12-15 1994-06-28 Kawasaki Steel Corp 遠心鋳造製複合ロール
KR950018588A (ko) * 1993-12-28 1995-07-22 조말수 내마모성이 우수한 크롬탄화물형 합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9947A (ja) * 1992-12-15 1994-06-28 Kawasaki Steel Corp 遠心鋳造製複合ロール
KR950018588A (ko) * 1993-12-28 1995-07-22 조말수 내마모성이 우수한 크롬탄화물형 합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246A (ko) 2014-09-03 2016-03-11 주식회사 포스코 육성용접용 내마모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육성용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230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elibaev et al. Technology of Repair of Parts of Agricultural Machines, Equipment with Composite Materials
CA2720307C (en) Hard-facing alloys having improved crack resistance
KR100935816B1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무크롬 철계 경면처리 합금
CN101695713B (zh) Wc复合导辊及其制造方法
EP1825013B1 (en) Improved wear resistant alloy
CN108817730B (zh) 一种基于超低碳高硼的高温耐磨堆焊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20035407A (ko) 내마모성 및 내부식성을 위해 설계된 철 기반 합금
US20040214030A1 (en) Casting material for indefinite rollers with a sleeve par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3814543B1 (en) Copper-based hardfacing alloy
JPH05239591A (ja) 耐摩耗性に優れた鋼
CN111203670B (zh) Cmt电弧增材制造用复合颗粒强化金属粉芯焊丝及其制备方法、应用
KR100256369B1 (ko) 육성용접용 내마모합금
CN109161888B (zh) 一种提高轧管工器具表面高温耐磨性且抗粘钢的激光熔敷用粉末
JP2516645B2 (ja) 硬化肉盛溶接用複合ワイヤ
CN114393346B (zh) 一种Fe2B-VB联合增强高硼铁基耐磨堆焊合金层及其制备方法
JP2019127633A (ja) クラッ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552194A4 (en) Nickel or cobalt based cermet with dispersed niobium carbide
JPS6086243A (ja) 耐摩耗性ロ−ル
KR100256367B1 (ko) 긁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위한 고크롬탄화물계 육성용접합금의 제조방법
JPH05239590A (ja) 耐摩耗性に優れた鋼
JPH0639656B2 (ja) 加工性および溶接性に優れた耐摩耗複合鋼板
CN115815868B (zh) 一种Fe基高温堆焊药芯焊丝
KR102187655B1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미분기 분쇄롤 및 회전판
AU658371B2 (en) Nickel or cobalt based cermet with dispersed niobium carbide
JP3217427B2 (ja) 耐塊鉱物摩耗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