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5905B1 - 위치 조정 회로 - Google Patents

위치 조정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5905B1
KR100255905B1 KR1019920025743A KR920025743A KR100255905B1 KR 100255905 B1 KR100255905 B1 KR 100255905B1 KR 1019920025743 A KR1019920025743 A KR 1019920025743A KR 920025743 A KR920025743 A KR 920025743A KR 100255905 B1 KR100255905 B1 KR 100255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signal
pulse
phas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5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5655A (ko
Inventor
에드워드 스미스 로렌스
알버트 윌버 제임스
Original Assignee
크리트먼 어윈 엠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트먼 어윈 엠,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크리트먼 어윈 엠
Publication of KR930015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5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5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59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27Cen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12Devices in which the synchronising signals are only operative if a phase difference occurs between synchronising and synchronised scanning devices, e.g. flywheel synchronising
    • H04N5/126Devices in which the synchronising signals are only operative if a phase difference occurs between synchronising and synchronised scanning devices, e.g. flywheel synchronising whereby the synchronisation signal indirectly commands a frequency gen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Abstract

리트레이스 펄스(F)는 램프파 신호(S)를 생성하도록 R-C 네트워크(R1,C3)에 의해 적분된다. R-C 네트워크의 저향부는 적분된 신호의 램프파 부분의 종단에서 신속한 리트레이스를 제공하기 인해 다이오드(CR3)에 의해 바이패스된다. 적분기의 출력시에 전압 분할기(R3,R4)는 R-C 네트워크의 적분상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램프파 신호(S)의 DC 레벨을 조절한다.

Description

위치 조정 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적분 및 위치 조정 회로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평 편향 발생기 20 : 비교기
30 : 제어 가능 오실레이터 CR1,CR2 : 제너 다이오드
CR3 : 다이오드
본 발명은 텔레비전 오실레이터 주파수 제어 회로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평 위치 조정(horizontal centering)을 위해 수평 편향 펄스의 위상을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수상기는 제1속도로 수평 주사되고 일반적으로 보다 느린 제2속도로 수직 주사되는 라스터에 대한 비디오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텔레비전 비디오 정보는 진폭 변조된 동기 펄스를 포함하는데, 이로 인해 라스터 주사는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와 동기화된다. 텔레비전 수상기는 비디오 정보 소스와 수상기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부수적인 노이즈에 대해 면역성을 제공하기 위해 간접적인 방법으로 수평 속도 동기 펄스와 동기화될 수 있다. 이러한 하나의 간접적인 방법으로서는 위상 고정 루프를 들 수 있다. 상기 위상 고정루프에서의 위상 검출기의 하나의 입력단에는 수평 속도 동기 펄스가 인가되고 다른 입력단에는 수평 편향과 관계있는 램프파 신호가 인가된다. 위상 검출기는 이들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데, 상기 제어 신호는 입력 수평 동기 신호의 평균 주파수 및 위상에서, 수평 속도 오실레이터를 제어한다. 수평 오실레이터는 교대로 수평 편향 발생기를 구동시키는데, 상기 수평 편향발생기는 위상 검출기에 입력되는 순환 램프파 또는 톱니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적분되는 순환 리트레이스 펄스를 발생한다.
수평 편향 전류 발생기는 키네스코프 디스플레이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울터 고전압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리트레이스 펄스를 울터 전위를 생성하도록 정류되는 고전위로 변환시키는 승압 또는 플라이백 변압기에 의해 성취된다. 키네스코프의 울터 커패시터 단자가 정류기로부터 충전 전류를 수신하는 동안의 간격은 승압 또는 플라이백 변압기를 리트레이스 주파수의 홀수고조파에 동조시킴으로서 증가될 수 있다. 이는 울터 전압 발생기의 유보 소스임피던스를 감소시키고 리트레이스 전압 펄스의 상부를 톱니 모양으로 만들어 불규칙적인 펄스 파형을 생성한다.
톱니 모양의 펄스를 적분하면 시간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변하는 램프파 전압펄스가 생성된다. 또한, 키네스코프의 빔 전류 변화는 디스플레이 중인 비디오의 변화로부터 초래된 것인데,이는 플라이백 변압기의 로딩에 영향을 미치고 또한 리트레이스 전압 펄스 모양을 변화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위상검출기로의 하나의 입력으로서 사용되는 톱니파 신호의 램프파 부분의 상승속도를 변화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제너 다이오드는 리트레이스 펄스를 직사각형 펄스 형태로 만들며, 직사각형 펄스를 R-C 적분기에서 적분시켜 톱니파 신호의 램프파 부분을 형성한 다음 위상검출기의 하나의 입력단에 공급한다.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수평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R-C 적분기의 저향은 적분 상수를 변화시킬 수 있게끔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어 발생된 톱니파 신호의 램프파 부분이 수평 동기 신호와 교차하는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의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수평 위치 조정은 R-C 네트워크의 저향 소자 값이 예를 들어, 적분 상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적분된 신호의 선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는 조금밖에 변화될 수 없으므로 원하는 만큼 만족스럽게 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제1특징은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선된 위치 조정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회로는 비디오 신호의 수평 타이밍을 표시하는 비디오 신호로부터의 신호를 유도해낸다. 수평 편향 발생기로부터의 플레이백 신호 또는 상기 발생기로부터 유도된 신호는 수평 편향 타이밍을 표시하는 신호를 생성하도록 적분된다. 비디오 표시 신호 및 편향 표시 신호에 대한 비교기는 편향 발생기에 의해 생성된 편향 전류 타이밍을 제어하는 피드백 신호를 생성한다. 비디오 신호에 대한 수평 트레이스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해, 비교기로 입력되는 편향 표시 신호의 DC 바이어스 레벨은 대체로 적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조절된다.
본 발명의 제2특징은 비디오 디스플레이를 위한 편향 회로의 동기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인데, 상기 동기화 시스템에서의 편형 타이밍 신호는 편향 타이밍 펄스를 표시하는 적분 펄스에 의해 발생된다. 상기 편향 타이밍신호와는 무관하게 동작할 수 있는 수단은 상기 편향 회로에 대한 상기 편향 타이밍 신호를 위상 조절한다. 위상 고정 루프는 비디오 신호에서 동기 성분을 표시하는 신호와 상기 위상 조절된 편향 타이밍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위상비교기를 갖는다. 위상 고정 루프는 상기 편향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위상비교기에 응답하는 제어 가능한 오실레이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3특징은 비디오 디스플레이를 위한 편향 회로를 제공하는 것인데, 상기 편향 회로는 대체로 플라이백 펄스에 응답하는 직사각형 펄스를 발생한다. 직사각형 펄스는 그 기울기가 소정의 DC 바이어스 레벨에서 적분상수에 의해 결정되는 램프파 부분을 갖는 톱니파형을 발생하도록 적분된다. 상기 DC 바이어스 레벨은 상기 톱니 파형의 램프파 부분의 기울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조절된다. 위상 비교기는 비디오 신호에서 동기 성분을 표시하는 신호와 상기 DC 바이어스 레벨 조절된 톱니 파형을 수신한다. 상기 위상비교기에 응답하는 제어 가능 오실레이터는 편향 회로를 제어한다.
수평 편향 발생기(10)에서의 플라이백 변압기로부터 유도되는 플라이백 펄스(F)는 커패시터(C1)와 제너 다이오드(CR1)와의 접점에 공급된다. 제너 다이오드(CR1)는 그 캐소드 전압이 제너 다이로드 전압에 도달할 때 전도되기 시작한다. 제너 다이오드(CR2) 또한 그 캐소드 전압이 제너 전압에 도달할 때 전도되기 시작한다. 그 결과로서, 제너 다이오드(CR1)과 (CR2)와의 전점에서는 그 파형이 직사각형파에 가깝고 높이는 제너 다이오드(CR2)의 제너 전압값과 동일한 신호(R)가 생성된다. 제너 다이오드(CR1)가 그 제너 전압에 도달될 때까지는 전도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파형은 직사각형파로 되어 있다.
두 제너 다이오드의 접점에서 생성된 직사각형 신호(R)는 저항(R1)과 커패시터(C3)를 포함하고 있는 적분 네트워크에 공급된다. 적분 네트워크의 출력은 커패시터(C3) 양단에 걸치는 톱니파 신호(S)이다.
직사각형 신호의 끝에서 다이오드(CR3)는 바이패스 저항(R1)으로 전도된다. 그 결과로서, 커패시터(C3)는 빠른 시간에 방전되는데, 이로써 다음 직사각형펄스에 대비하여 톱니파 신호의 수직 부분을 생성한다. 톱니파 신호(S)는 저항(R2)을 통해 도시되지 않은 위상 검출기의 톱니파 신호 입력단에 접속된다.
라스터는 비디오 디스플레이의 위치 조정을 위해 비디오 신호에 대해 동위상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이는 라스터 그 자체의 위상을 변경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일본국 도시바사에 의해 제조된 TA8680 컬러 텔레비전 프로세서 IC에 포함되어 있는 것처럼, 위상 검출기는 전압 제어 수평 오실레이터(30)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램프파 신호를 비디오 신호의 수평 동기 펄스와 비교하는 비교기(20)를 포함하고 있다. 오실레이터(30)지 출력은 수평 편향 발생기(10)에 공급되어 위상 고정 루프를 형성한다. 위상 검출기의 출력 및 수평 오실레이터의 출력 주파수는 램프파 신호의 DC 레벨을 변경함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예컨대, 포지티브 진행 램프파(positive-going ramp)의 DC 레벨이 증가될 경우, 램프파 신호는 보다 높은 레벨에서 동기 펄스와 교차하게 되는데, 이로써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제어 단자에 보다 높은 전압을 발생하게 된다.
저항(R3,R4,R5)으로 전압 분할기를 구성한다. 저항(R3)을 조절하면, 저항(R1)과 커패시터(C3)를 포함하는 적분기의 적분 상수를 변화시키지 않고도 저항(R4)과 저항(R5)과의 접점에서 위상 검출기로의 출력 램프파 신호(S)의 DC레벨이 변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적분 상수가 변화될 때 발생하는 단점들을 해소하면서 라스터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Claims (15)

  1. 비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비디오 신호의 수평 타이밍을 표시하는 신호를 유도해내기 위한 수단과; 적분 수단에 의해 수평 편향 발생기로부터 수평 편향 타이밍을 표시하는 신호를 유도해내기 위한 수단과; 상기 비디오 표시 신호를 상기 편향 표시 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편향 발생기에 의해 생성된 편향 전류의 타이밍을 제어하는 피드백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 디스플레이용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수평 편향 전류의 상대적 위상 및 상기 비디오 신호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비교 수단(20)에 입력되는 편향 표시 신호의 DC 바이어스 레벨을 대체로 상기 적분에 영항을 미치지 않고 조절하기 위한 수단(R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 수단에 의해 상기 신호를 유도해내는 상기 수단은, 상기 수평 편향 발생기(10)로부터의 플라이백 펄스(F)를 적분하기 위한 수단(C3)과; 상기 적분 수단의 일부 양단에 접속된 다이오드(CR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 수단은 저항-커패시터 네트워크(R1,C3)이고, 상기 다이오드(CR3)는 상기 네크워크의 저항부 양단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표시 신호를 유도해내는 상기 수단은, 상기 편향 발생기(10)로부터 리트레이스 펄스(F)를 형성하기 위한 다이오드네트워크(CR1,CR2)와; 상기 형성된 펄스(R)로부터 램프파 신호(S)를 형성하기 위한 적분기(C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 네트워크는 한 쌍의 직렬 접속 제너 다이오드(CR1,CR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기는 저항-커패시터(R1,C3)와 상기 네트워크의 저항 성분(R1) 양단에 접속된 다이오드(CR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7. 수평 편향을 표시하는 플라이백 펄스를 형성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를 위한 편향 회로와; 상기 플라이백 펄스를 표시하는 적분 펄스에 의해 편향 타이밍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동기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편향 타이밍 신호(S)를 발생하기 위한 상기 수단(R1,C3)과는 무관하게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편향 회로(10)에 대한 상기 편향 타이밍 신호를 위상 조절하기 위한 수단(R3)과; 비디오 신호에서 동기 성분을 표시하는 신호와 상기 위상 조절된 편향 타이밍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위상 비교기(20)를 가지며, 상기 위상 비교기(20)에 응답하여 상기 편향 회로(10)를 제어하는 제어 가능한 편향 오실레이터(30)를 갖는 위상 고정 루프(10,20,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조절 수단은 상기 편향 타이밍 신호(S)의 DC 바이어스 레벨을 조절하는 수단(R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백 펄스를 표시하는 적분 펄스에 의해 상기 편향 타이밍 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수단(R1,C3)은 상기 위상 조절 수단(R3)과는 대체로 무관하게 동작하는 타이밍 네트워크에 의해 결정되는 적분 상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타이밍 신호(S)는 상기 위상 조절 동안 그 기울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연속적인 램프파 부분을 갖는 대체로 톱니파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타이밍 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수단은 DC 바이어스 레벨을 갖는 대체로 톱니파형을 위한 적분 시상수를 한정하는 저항-커패시터 네트워크(R1,C3)를 포함하고; 상기 위상 조절 수단은 상기 적분 시상수에 영항을 미치지 않고 상기 DC 바이어스 레벨을 조절하는 수단(R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시스템.
  12. 플라이백 펄스를 형성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를 위한 편향 회로와; 상기 플라이백 펄스에 응답하여 대체로 직사각형 펄스를 발생시키는 수단과; 상기 직사각형 펄스를 적분하여 그 기울기가 소정의 DC 바이어스 레벨에서 적분 상수에 의해 결정되는 램프파 부분을 갖는 톱니파형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동기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톱니파형(S)의 상기 램프파 부분의 기울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상기 DC 바이어스 레벨을 조절하는 수단(R3)과; 비디오 신호에서 동기 성분을 표시하는 신호와 상기 DC 바이어스 레벨 조절된 톱니파형을 수신하는 위상 비교기(20)와; 상기 위상 비교기(20)에 응답하여 상기 편향 회로(10)를 제어하는 제어 가능한 오실레이터(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로 직사각형 펄스를 발생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편향 회로(10)와 기준 전위(접지) 소스 사이에 직렬 접속된 두개의 제너 다이오드(CR1,CR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펄스를 적분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저항-커패시터 네트워크(R1,C3)와; 상기 네트워크의 저항부(R1) 양단에 접속된 다이오드(CR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파형의 상기 DC 바이어스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전위차계(R3)를 갖는 전압 분할기 네트워크(R3,R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시스템.
KR1019920025743A 1991-12-30 1992-12-28 위치 조정 회로 KR100255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814,894 US5179321A (en) 1991-12-30 1991-12-30 Centering circuit
US814,894 1991-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655A KR930015655A (ko) 1993-07-24
KR100255905B1 true KR100255905B1 (ko) 2000-05-01

Family

ID=25216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5743A KR100255905B1 (ko) 1991-12-30 1992-12-28 위치 조정 회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179321A (ko)
EP (1) EP0549959B1 (ko)
JP (1) JP3465715B2 (ko)
KR (1) KR100255905B1 (ko)
CN (1) CN1040166C (ko)
DE (1) DE69221455T2 (ko)
MY (1) MY108929A (ko)
SG (1) SG836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05799D0 (en) * 1994-03-24 1994-05-1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Shaped parabolic correction waveform for curved face plate display tube
US6005634A (en) * 1996-07-24 1999-12-2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a video image
JP3991863B2 (ja) * 2002-12-27 2007-10-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ノコギリ波発生装置
CN104348448B (zh) * 2013-07-29 2017-03-29 英属开曼群岛商恒景科技股份有限公司 斜坡信号产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2013A (en) * 1971-03-16 1980-05-06 U.S. Philips Corporation Line time base in television receiver
US4037137A (en) * 1975-02-26 1977-07-19 Rca Corporation Centering circuit for a television deflection system
US4317133A (en) * 1980-09-29 1982-02-23 Rca Corporation Two-loop horizontal AFPC system
US4591910A (en) * 1984-03-14 1986-05-27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Horizontal picture centering
US4672448A (en) * 1985-10-31 1987-06-09 Motorola, Inc. Phase adjustment circuit for scanning video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21455D1 (de) 1997-09-11
JPH05308537A (ja) 1993-11-19
CN1074791A (zh) 1993-07-28
SG83632A1 (en) 2001-10-16
KR930015655A (ko) 1993-07-24
CN1040166C (zh) 1998-10-07
EP0549959B1 (en) 1997-08-06
MY108929A (en) 1996-11-30
US5179321A (en) 1993-01-12
EP0549959A1 (en) 1993-07-07
DE69221455T2 (de) 1997-12-11
JP3465715B2 (ja) 200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56356A (en) Delay generator
US4063133A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with timing correction
JP3617669B2 (ja) テレビジョン偏向装置
KR100255905B1 (ko) 위치 조정 회로
JPS6111023B2 (ko)
JPS62159980A (ja) 映像表示装置
US5250879A (en) Deflection circuit having a controllable sawtooth generator
RU2131170C1 (ru) Видеодиспле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синхронизированной переключаемой индуктивностью (варианты)
US4795949A (en) Deflection current correction circuit
JPH05176194A (ja) ビデオ表示装置
US4849652A (en) Circuit for producing a periodic, essentially parabolic signal
US5703445A (en) Sawtooth generator with disturbance signal rejection for a deflection apparatus
JPH0632485B2 (ja) 位相測定装置
US5672942A (en) Sawtooth generator controlled in a gain control feedback loop
MXPA97002301A (en) A sierra tooth generator with rejection alteration design for a device apparatus
US4567522A (en) Line synchronizing circuit for a picture display device
BR9101211A (pt) Varredura horizontal sincronizada a frequencias multiplas horizontais
KR900006303Y1 (ko) 모니터화상의 좌.우 수평이동장치
KR0137275B1 (ko) 텔레비젼 편향 장치
KR850001618Y1 (ko) 텔레비젼 수평발진기 위상제어 장치
KR960004005B1 (ko) 텔레비젼 편향장치
JP2841392B2 (ja) 映像信号回路
KR20030019879A (ko) 래스터 왜곡 정정 회로
JPS60103773A (ja) 水平偏向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