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4258B1 - 리드 프레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드 프레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258B1
KR100254258B1 KR1019960015448A KR19960015448A KR100254258B1 KR 100254258 B1 KR100254258 B1 KR 100254258B1 KR 1019960015448 A KR1019960015448 A KR 1019960015448A KR 19960015448 A KR19960015448 A KR 19960015448A KR 100254258 B1 KR100254258 B1 KR 100254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film
lead frame
substrate
film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5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7588A (ko
Inventor
류욱열
이상균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riority to KR1019960015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4258B1/ko
Publication of KR970077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7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2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48Manufacture or treatment of parts, e.g. containers, prior to assembly of the devices, using process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 H01L21/4814Conductive parts
    • H01L21/4821Flat leads, e.g. lead frames with or without insulating supports
    • H01L21/4828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48Manufacture or treatment of parts, e.g. containers, prior to assembly of the devices, using process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 H01L21/4814Conductive parts
    • H01L21/4821Flat leads, e.g. lead frames with or without insulating supports
    • H01L21/4835Cleaning, e.g. removing of s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ad Frames For Integrated Circuits (AREA)
  • ing And Chemical Poli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드 프레임의 기판 상에 박형의 산화막을 형성함으로써 드라이 필름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기판 표면에서의 난반사 현상으로 인하여 해상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리드 프레임은 드라이 필름과 기판와의 접착성이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됨에 따라서 막들뜸 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산화막이 반사방지막으로서의 역할도 함으로써 기판 표면에서의 난반사 현상으로 인한 해상도 저하를 방지하여 고도로 미세한 패턴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리드 프레임의 제조방법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리드 프레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과 포토레지스트로서 사용되는 드라이 필름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고도의 미세 패턴 형성을 구현할 수 있는 리드 프레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드 프레임은 웨이퍼와 함께 중요한 반도체 재료의 하나이며, 칩과 외부 회로와의 접속, 방열, 외부로부터의 보호 역할을 하는 구조 재료로서 전기 전도성, 강도, 열전도성 등의 특성이 우수해야 한다. 이러한 특성은 반도체의 집적도가 증대될수록 더욱 증요시되고 있다.
리드 프레임의 제조 공정은 크게 스탬핑 방식과 에칭 방식의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중, 스탬핑 방식은 금형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순차 이송형 프레스 금형 장치에 의해 기판을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타발함으로써 소정 패턴을 갖는 리드 프레임을 제조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초고속 생산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나, 금형 제작기간이 길고 (6-10개월), 초기 금형 투자 비용이 많이 소용되기 때문에 다품종 소량 생산에는 에칭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에칭 방식은 기판의 양쪽 면에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한 후, 노광 및 현상 공정을 거친 다음 에칭하여 원하는 패턴대로 리드 프레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미세 패턴 형성에 적합하고 공정 소요시간이 짧다는 잇점이 있다. 그러나 경제성과 양산성이 다소 불량이기 때문에 그 개선책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에칭 방식은 레지스트의 종류에 따라서 구분될 수 있는데, 통상은 포토레지스트가 액상 타입인 경우와 건식 타입의 드라이 필름인 경우가 있다.
포토레지스트가 액상 타입인 경우에는 통상 전처리와 코팅처리는 릴투릴 방식으로 일괄작업을 실시하고 후공정은 쉬트 타입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포토레지스트로는 액상 타입의 "카제인" 등이 주로 사용되는데, 가격이 저렴하며 코팅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판과의 접착력도 양호하지만 코팅시의 레지스트의 점도와 작업 속도에 의하여 코팅 두께가 불균일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코팅 두께가 불균일해지면 이후에 실시되는 노광 및 현상 공정을 수행하기가 어려우며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리드 프레임의 성능 상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포토레지스트의 두께 균일성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건식 타입의 드라이 필름은 두께 균일성이 양호하므로 포토레지스트로서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드라이 필름은 두께가 두꺼워서 리드 프레임 업체에서 사용하기를 꺼려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박형의 드라이 필름이 개발되면서 그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드라이 필름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한가지 해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데 그것은 드라이 필름이 액상 타입의 레지스트에 비해 기판과의 접착력이 불량하다는 것과 노광시 기판 표면에 의한 빛의 난반사로 인하여 드라이 필름을 과반응되어 해상도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기판과의 접착력이 불량해지면 막들뜸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으로서 종래에는 기판 표면을 브러싱하는 정면 처리와 기판 표면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흑화처리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브러싱 처리의 경우 기판의 표면 불균일해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흑화처리 방법의 경우 형성된 산화막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서 에칭성이 불량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조사광의 난반사로 인하여 해상도가 저하되면 고도의 미세 패턴을 형성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접착 불량성 및 해상도 저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기판과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미세 에칭을 구현할 수 있는 리드 프레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a) 기판의 양면에 소정 두께의 1차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1차 산화막을 산으로 용해시켜 박형의 2차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2차 산화막을 베이킹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d) 상기 2차 산화막 상에 드라이 필름을 코팅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의 결과물을 노광 및 현상한 다음, 에칭하는 단계; 및
f) 상기 단계 e)의 결과물을 세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임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의 제조 방법이 도1에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기판으로는 구리 또는 니켈의 합금이 주로 사용되는데, 이들 기판에는 통상 오일이 도포되어 있거나 방청 처리가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단계 a)를 실시하기에 앞서 기판 표현을 탈지시키고 이물질들을 세정해내는 등의 기판 전처리 공정을 추가로 실시하게 된다.
전처리된 기판의 양쪽 표면을 산화제로 처리하여 산화막을 소정 두께로 성장시켜 1차 산화막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1차 산화막의 두께는 1㎛-5㎛ 정도로 두께가 두꺼울 뿐 아니라 그 표면이 불균일하다. 이 산화막은 기판과 이후에 코팅될 드라이 필름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지만,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후속의 에칭 공정시 에칭성이 불량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1차 산화막을 산으로 용해시킴으로써 에칭성을 만족시키면서 접착력 향상과 광반사 방지의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박형의 2차 산화막을 형성한다. 이때, 사용되는 산은 황산(H2SO4)과 같은 강산이 주로 사용되며 pH는 1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렇게 형성된 2차 산화막은 그 표면이 균일하며 두께는 약 0.1 내지 1.0㎛이다.
상기 2차 산화막을 100 내지 150℃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베이킹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산화막을 기판 표면 상에 안정화시킨다. 이어서, 상기 2차 산화막 상에 드라이 필름을 코팅한 다음, 노광 및 현상 공정을 실시하여 원하는 패턴을 형성한 다음, 에칭하고 수세하여 리드 프레임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거쳐 제조된 리드 프레임은 드라이 필름과 기판과의 접착성이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됨으로써 막들뜸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산화막이 반사방지막으로서 역할도 하기 때문에 기판 표면에서의 난반사 현상으로 인한 해상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고도로 미세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Claims (7)

  1. a) 기판의 양면에 소정 두께의 1차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1차 산화막을 산으로 용해시켜 박형의 2차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2차 산화막을 베이킹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d) 상기 2차 산화막 상에 드라이 필름을 코팅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의 결과물을 노광 및 현상한 다음, 에칭하는 단계; 및 f) 상기 단계 e)의 결과물을 세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임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를 실시하기 전에 기판을 탈지하고 수세하는 전처리 공정을 추가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임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산화막의 두께가 1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임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산화막 용해시 사용되는 산이 염산 계열의 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임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산의 pH가 1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임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산화막의 두께가 0.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임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단계 c)에서 상기 2차 산화막을 100 내지 150℃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베이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임의 제조방법.
KR1019960015448A 1996-05-10 1996-05-10 리드 프레임의 제조방법 KR100254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5448A KR100254258B1 (ko) 1996-05-10 1996-05-10 리드 프레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5448A KR100254258B1 (ko) 1996-05-10 1996-05-10 리드 프레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7588A KR970077588A (ko) 1997-12-12
KR100254258B1 true KR100254258B1 (ko) 2000-05-01

Family

ID=19458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5448A KR100254258B1 (ko) 1996-05-10 1996-05-10 리드 프레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42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7588A (ko) 199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2195A (en) Method of improving the adherence of metallic conductive lines on polyimide layers
JPS5843453A (ja) ポリイミド材料の食刻方法
KR100475737B1 (ko) 반도체 제조를 위한 베이크 장치
KR100254258B1 (ko) 리드 프레임의 제조방법
US20060046497A1 (en) Manufacturing method
US3644180A (en) Methods of using inorganic resists
KR100231836B1 (ko) 리드프레임의 식각방법
CN111799152B (zh) 一种晶圆双面金属工艺
US20020076656A1 (en) Thermal reflow photolithographic process
JP3804534B2 (ja) リードフレームの製造方法
US3421206A (en) Method of forming leads on semiconductor devices
US6337174B1 (en) Method of stripping a photoresist from a semiconductor substrate dimethylacetamide or a combination of monoethanolamine and dimethylsulfoxide
KR100585586B1 (ko) 반도체 리이드프레임의 제조방법
CN114355736B (zh) 一种利用掩膜光刻技术一步制备微米级双层结构的方法
KR100243373B1 (ko) 리드 프레임 제조방법
JP2001044603A (ja) 電気メッキにより直接基板に銅配線を形成するプロセス
CN109750254B (zh) 一种金属掩膜板的制作方法
KR100203331B1 (ko) 리드프레임의 제조방법
JP3982655B2 (ja) 電子部品の製造方法
CN105514030A (zh) 半导体结构的形成方法
KR100259096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0183650B1 (ko) 리드 프레임의 제조방법
JPH09181246A (ja) リードフレ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108465A (ko) 백라이트용 도광판 제조를 위한 스탬퍼 제작 방법과 상기스탬퍼를 이용한 도광판 제조 방법 및 장치.
CN117936604A (zh) 一种金属栅线、制备方法及包括金属栅线的光伏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