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3425B1 - 아마인 추출물과 엔트로모르파 컴프레사 추출물을함유한 항자극성, 항염증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마인 추출물과 엔트로모르파 컴프레사 추출물을함유한 항자극성, 항염증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3425B1
KR100253425B1 KR1019970078782A KR19970078782A KR100253425B1 KR 100253425 B1 KR100253425 B1 KR 100253425B1 KR 1019970078782 A KR1019970078782 A KR 1019970078782A KR 19970078782 A KR19970078782 A KR 19970078782A KR 100253425 B1 KR100253425 B1 KR 100253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cosmetic composition
linsee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8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8639A (ko
Inventor
구본욱
이주동
진기홍
Original Assignee
손 경 식
제일제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 경 식, 제일제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 경 식
Priority to KR1019970078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3425B1/ko
Publication of KR19990058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8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4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22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마인 추출물과 엔트로모르파 컴프레사 추출물을 적정량 함유함으로써 피부에 보호막을 형성하여 피부진정 및 피부자극 감소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마인 추출물과 엔트로모르파 컴프레사 추출물을 함유한 항자극성, 항염증성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아마인 추출물과 엔트로모르파 컴프레사 추출물을 적정량 함유함으로써 피부트러블이 일어나기 쉬운 예민한 피부를 진정시켜 주는 효과를 갖는 항자극성, 항염증성 피부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건조한 실내 환경, 공해, 자외선, 바람, 오용된 화장품이나 세제류 등 외부자극에 의해 피부가 민감해져가는 여성들이 늘어나고 있다. 외부 자극에 의해 민감해진 피부는 홍반과 같이 단순히 가시적인 경우도 있으며, 또한 가려움, 따가움 등과 같이 격심하고 불쾌한 염증 반응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으므로 대중적인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기에는 약간 부담스럽고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자제하게 된다.
피부 자극반응의 메카니즘은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피부 방어벽에 이상이 생겨 자극물질이 피부속으로 침투, 염증을 일으킬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피부 자극물질은 세포내 신진대사 기능의 비가역적 반응을 일으키고, 자극과 함께 수반된 통증에 의해 자극된 피부신경계는 염증 반응을 더 확대시킨다.
이러한 피부트러블을 방지하기 위하여 항자극성 화장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특히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천연원료를 이용한 화장료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여러요인에 의해 피부트러블이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부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써 외부환경으로부터 피부 방어력을 증가시켜 민감해진 피부를 보호해 주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민감해진 피부에 작용하여 뛰어난 항염증효과와 피부 진정효과를 나타내는 아마인 추출물(Linseed Extract)과 엔트로모르파 컴프레사 추출물(Enteromorpha compressa Extract)을 적절히 배합하여 제조된 피부화장료 조성물이 현저히 향상된 항염증효과와 피부 진정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아마인추출물은 아마인(Linseed)에서 추출하여 정제된 애씨드 폴리사카라이드(우로닉 애씨드, 베타-글루칸)와 펩티도글리칸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 성분은 피부 자극을 유발시키는 것을 제한하며, 피부 염증이 발생되는 것을 막아준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마인에서 추출 정제된 구성성분중 애씨드 폴리사카라이드는 고유의 피막을 형성시키는 성질에 의해 피부표면에서 보호막을 형성하여 피부속으로 자극물질의 침투를 근원적으로 차단시켜 준다. 또 하나의 구서성분인 펩티도글리칸은 세포막의 특정 수용체 부위(receptor)에 결합하여 그 수용체 부위를 포화시킴으로써 피부 세포의 활성화 작용을 방해하여, 피부가 여러 가지 자극요인(자외선, 화학 자극 물질, 알러지 유발 물질)에 대해 반응을 할 때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다른 관련세포를 자극시키는 목적으로 생성되는 인터루킨 1알파(Inter leukin 1α)라는 세포간 전달 물질의 방출을 감소시켜 피부염증의 발생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엔트로모르파 컴프레사 추출물은 해양성분중 초록색 해조류인 클로로피시(Chlorophycea)로부터 추출된 펩타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엔트로모르파 컴프레사 추출물은 상기한 아마인 추출물과 비슷한 작용을 지닌 성분으로서 피부 염증과 관련된 반응에 관여하는 세포간 전달 물질과 전달물질이 전달될 피부 세포의 특정 수용체 부위(receptor)간의 상호작용을 방해함으로써 피부의 감각 신경의 여러 자극에 대한 반응을 줄여준다.
본 발명의 피부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아마인 추출물과 엔트로모르파 컴프레사 추출물에 의한 피부작용의 메카니즘에 의해 각질층 박리현상, 피부 따끔거림, 홍반, 피부당김 등을 감소시켜 줌으로써 피부 자극완화 및 진정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피부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특징적인 구성성분인 아마인 추출물과 엔트로모르파 컴프레사 추출물의 배합량은 피부 화장료 조성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피부 화장료 조성물 전량에 대해 아마인추출물은 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이며, 엔트로모르파 컴프레사 추출물은 0.1∼3.0중량%, 바람직하게는 1.5∼2.5중량%이다.
본 발명의 피부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아마인 추출물이 0.1중량% 미만 배합되면 자극 완화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반면에 아마인 추출물이 5.0중량% 이상 배합되어도 그 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되지 않는다. 또한 엔트로모르파 컴프레사 추출물의 배합량이 0.1중량% 미만에서는 자극 완화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반면에 엔트로모르파 컴프레사 추출물이 3.0중량% 이상 배합되어도 그 효과가 그다지 증가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유성 기제, 계면활성제, 자외선 차단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향료, 색소, pH 조정제 등을 적정량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아마인 추출물과 엔트로모르파컴프레사 추출물은 다음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아마인 추출물
1. 추출법
(1) 아마인 100g을 깨끗이 씻은 후, 분쇄기로 그라인딩한다.
(2)5l 물에 넣고 100℃로 1일 가열하면서 침적시킨다.
(3) 내용물을 원심분리기로 하층부를 분리한다.
(4) 분리한 하층부를 여과기로 여과하여 최종추출물인 여과액을 얻는다.
2. 업체명 : Silab
3. 상품명 : Sensiline
4. 조성 : 단백질 4∼7g/l
총당류(Total Sugars) 6∼9g/l
우론산(Uronic acids) 1300㎍/ml
나머지는 물
엔트로모르파컴프레사 추출물
1. 추출법
(1) 녹조류 식물, Chlorophycea을 채취해서 깨끗이 씻는다.
(2) 녹조류 식물, Chlorophycea을 분쇄기로 그라인딩한다.
(3) 다시 마이크로 분쇄기로 마이크로 그라인딩한다.
(4) 실온에서 1,3-부틸렌글리콜과 글리세린을 용매로 사용해서 추출한다.
(5) 내용물을 원심분리해서 하층부를 분리한다.
(6) 하층부를 여과하고 최종 추출물인 여과액을 얻는다.
2. 업체명 : SECMA Biotechnologies Marines
3. 상품명 : Enteline 2
4. 조성 : 1,3-부틸렌글리콜 40%
글리세린 40%
단백질 4.6%
지방 7.6%
탄수화물 7.8%
실시예 1∼16 및 비교예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각각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유화부에서 유화시킨 후 냉각시켰다. 40℃까지 냉각시킨 후, 아마인 추출물과 엔트로모르파 컴프레사 추출물을 첨가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표 1. 크림의 비교예 및 실시예
Figure kpo00001
(표 1 계속)
Figure kpo00002
실험예 1 : 항 자극성 테스트, 인터루킨 1알파(Inter leukin 1α) 방출량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처방의 제조방법에 의해 크림을 제조하여 시험관(invitro) 실험을 통해 자외선(UV-A)조사에 의해 인위적으로 자극을 피부에 주고, 염증 반응시 생성되는 세포간 전달 물질인 인터루킨 1알파가 표피의 숙성되는 기질로 방출되는 양을 측정하였다.
(실험방법)
1) 테스트할 크림을 피부세포 표면에 200
Figure kpo00003
를 도포하고 이산화탄소(CO2) 5% 조건하에서 37℃에서 숙성시켰다.
2) 피부 세포 표면에 자외선(UV-A)을 조사하기 1시간 전에 테스트할 크림 200
Figure kpo00004
를 도포하였다. 1시간 30분동안 자외선(UV-A)을 조사하였다(7J/cm2).
자외선(UV-A) 조사 후, 1시간 후, 2시간 후, 4시간 후, 24시간 경과한 후에 인터루킨 1알파의 방출량을 측정하였다.
3) 인터루킨 1알파의 방출량은 ELISA kit(BIOMEDEX)에 의해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2와 같다. 표2의 수치는 비교예의 인터루킨 1알파 방출량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율로 나타낸 것이다.
표 2. 시간경과에 따른 비교예 및 실시예의 인터루킨 1알파의 방추량
Figure kpo00005
상기 표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아마인 추출물이나 엔트로모르파 컴프레사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실시예 1∼8)보다 두 성분을 적절히 배합하여 동시에 사용하였을 때(실시예 9∼16)가 인터루킨 1알파의 방출량이 더 적어 자외선에 의한 피부자극 정도가 줄어 들어 자극 완화효과에 대하여 상승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가장 유효한 자외선 방어효과를 보이는 경우 아마인 추출물 1.5 내지 2.5중량%와 엔트로모르파 컴프레사 추출물을 0.5 내지 1.5중량%가 동시에 함께 배합된 범위에서 가장 유효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실험예 2 : 피부자극테스트(Stinging Test)
(실험방법)
1) 민감한 피부를 소유한 자 10명을 대상으로, 이틀에 한 번씩 3주동안, 실시예 및 비교예 처방의 제조방법에 의해 크림을 제조하여 얼굴 전면에 도포하였다.
2) 테스트 크림을 바르기 전(첫날)과 바른 후 3주 후 각각, 코의 한쪽에는 10% 젖산 용액을 다른 한쪽에는 콘트롤 용액을 바르고, 피부 따끔거림의 정도를 매우 따끔거림(6)에서 전혀 따끔거리지 않음(1)의 범위내에서 평가하였다.
표 3. 10% 젖산 용액에 대한 피부의 반응성 측정
Figure kpo00006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마인 추출물이나 엔트로모르파 컴프레사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 보다 두 성분을 적절히 배합하여 동시에 사용하였을 때가 젖산 용액에 대한 피부 방어력이 증대되어 상승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젖산 용액에 의한 피부 따끔거림을 가장 잘 감소시켜 주는 경우는 아마인 추출물 1.5 내지 2.5중량%와 엔트로모르파 컴프레사 추출물 0.5 내지 1.5중량%를 동시에 함께 배합한 범위에서 가장 피부 자극 완화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 조성물은 아마인을 정제한 성분인 아마인 추출물과 클로로피시를 정제한 성분인 엔트로모르파 컴프레사 추출물을 동시에 배합하므로써 시너지 효과를 일으켜 외부 환경으로부터 피부 자극공격에 대한 우수한 방어효과와 염증의 진정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

  1.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아마인 추출물 0.1∼5.0중량%와 엔트로모르파 컴프레사 추출물 0.1∼3.0중량%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자극성, 함염증성 화장료 조성물.
KR1019970078782A 1997-12-30 1997-12-30 아마인 추출물과 엔트로모르파 컴프레사 추출물을함유한 항자극성, 항염증성 화장료 조성물 KR100253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782A KR100253425B1 (ko) 1997-12-30 1997-12-30 아마인 추출물과 엔트로모르파 컴프레사 추출물을함유한 항자극성, 항염증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782A KR100253425B1 (ko) 1997-12-30 1997-12-30 아마인 추출물과 엔트로모르파 컴프레사 추출물을함유한 항자극성, 항염증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639A KR19990058639A (ko) 1999-07-15
KR100253425B1 true KR100253425B1 (ko) 2001-11-22

Family

ID=40242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8782A KR100253425B1 (ko) 1997-12-30 1997-12-30 아마인 추출물과 엔트로모르파 컴프레사 추출물을함유한 항자극성, 항염증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34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656A (ko) * 1999-12-07 2001-07-02 유상옥,송운한 아마 추출물과 알파히드록시산을 함유하는 피부보호화장료 조성물
US20110274715A1 (en) * 2008-05-22 2011-11-10 Melissa France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oling the human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639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144344A1 (en) Biomimetic and camellia extract-containing skin barrier repair composition and application thereof
KR102165565B1 (ko) 기미, 잡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CN111166683A (zh) 一种富勒烯抗衰抗氧化美容护肤化妆品及其制备方法
US20200170931A1 (en) Soothing cre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032119A1 (de) Kosmetische zubereitung mit aquaporin-stimulatoren und deren verwendung
DE112008001242B4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mit einem Extrakt aus Adenium obesum, deren Verwendung sowie ein deren Auftragen umfassendes kosmetisches Pflegeverfahren
CN111053728B (zh) 一种调节肌肤水油平衡的组合物及其化妆品
CN113332181A (zh) 一种可修复皮脂膜及角质层受损的精华油及其制备方法
DE10357046A1 (d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eine Kombination aus grünem Farbstoff und antiinflammatorischem Wirkstoff
DE69839040T2 (de) Brunnenkresseextrakt enthaltende zubereitung zur äusserlichen anwendung
KR101114161B1 (ko)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마쉬맬로우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 보습용 또는 진정용 인체 세정제 조성물
CN107929113B (zh) 抗污染护肤组合物及化妆品
KR102248405B1 (ko) 넉줄고사리 추출물 및 편백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0897924B (zh) 修复组合物、应用及含有该修复组合物的化妆品
KR100253425B1 (ko) 아마인 추출물과 엔트로모르파 컴프레사 추출물을함유한 항자극성, 항염증성 화장료 조성물
WO2010004099A2 (fr) Composition regeneratrice de la peau
KR20090079468A (ko) 스피루리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극완화 또는 항소양효능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
KR100955085B1 (ko)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364130B1 (ko) 피부 장벽 강화 기능이 우수한 올리브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03167B1 (ko) 라멜라 액정상에 봉입된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함유하여 빠른 피부 재생능과 피부 및 두피 개선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JP2019530655A (ja) アルブツス・ウネドの果実抽出物の化粧品としての使用
KR102308743B1 (ko) 피부 자극완화 복합물을 포함하는 라멜라 액정형 화장료 조성물
KR20220102236A (ko) 미세먼지 차단 및 항노화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US20200222305A1 (en) Natural skin care composition
US8268364B1 (en) Water based pain relieving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