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1764B1 - 튜너의 관통 콘덴서 굽힘지그 - Google Patents

튜너의 관통 콘덴서 굽힘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1764B1
KR100251764B1 KR1019970070256A KR19970070256A KR100251764B1 KR 100251764 B1 KR100251764 B1 KR 100251764B1 KR 1019970070256 A KR1019970070256 A KR 1019970070256A KR 19970070256 A KR19970070256 A KR 19970070256A KR 100251764 B1 KR100251764 B1 KR 100251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tuner
bending jig
condensers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0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1021A (ko
Inventor
김현덕
Original Assignee
권호택
대우전자부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호택, 대우전자부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호택
Priority to KR1019970070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1764B1/ko
Publication of KR19990051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1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5Feed-through capacitors or anti-noise capaci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es For Mounting Electric Components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너의 관통 콘덴서 굽힘지그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섀시의 내측면에 돌출된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의 하부에 위치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 위에 놓여진 상기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를 누름 가압하는 누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튜너의 관통 콘덴서 굽힘지그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를 90˚방향으로 굽혀주는 직각홈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즉, 받침부재 위에 놓여진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를 절곡시키는 누름부재에 직각홈을 구비시켜 관통 콘덴서를 정확히 90˚각도로 굽힐 수 있도록 하므로써, 회로기판과의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제품의 불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튜너의 관통 콘덴서 굽힘지그
본 발명은 튜너의 관통 콘덴서 굽힘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받침부재 위에 놓여진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를 절곡시키는 누름부재에 직각홈을 구비시켜 관통 콘덴서를 정확히 90˚각도로 굽힐 수 있는 튜너의 관통 콘덴서 굽힘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너는, 안테나로부터 유기된 다수 개의 고주파 신호 중에 불필요한 자음신호는 제거하고 희망 대역의 고주파 신호를 선택하여 동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통상의 튜너를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일반적인 튜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튜너(100)는, 다수 개의 회로부품을 탑재한 회로기판(110)을 내장하며 일측면에 다수 개의 고정구멍(121)이 성형된 섀시(120)와, 상기 회로기판(110)에 접속되어 상기 섀시(120)의 고정구멍(121)에 끼움 고정 되는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130)와, 상기 회로기판(110)에 접속되어 외부의 동축 케이블에 접속되는 접속잭(1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130)는 상기 섀시(120)의 고정구멍(121)에 끼원진 후 굽힘지그(200)에 의하여 대략 90˚방향으로 굽힘 가공되어 상기 회로기판(110)에 접속되는 구조로 결합되는데,이 굽힘지그(200)를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a, b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튜너의 관통 콘덴서 굽힘지그를 나타내는 단면을 포함한 사용 상태도이다.
먼저,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튜너의 관통 콘덴서 굽힘지그는,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130)를 구비한 섀시(120)를 안착시키는 플레이트(210)와, 상기 플레이트(210) 위에 설치되어 상기 섀시(120)의 내측면에 돌출된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130)의 하부에 위치되는 받침부재(220)와, 상기 받침부재(220) 위에 놓여진 상기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130)를 누름 가압하여 절곡시키는 대략 장방형의 누름부재(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기술에 따른 튜너의 관통 콘덴서 굽힘지그(200)의 사용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레이트(210) 위에 받침부재(220) 위에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130)가 위치될 수 있도록 섀시(120)를 올려 놓은 후 누름부재(230)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130)를 하측방향으로 누름 가압한다.
이때, 상기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130)는 상기 섀시(120)의 내부에 구비된 회로기판(110)에 정확히 접속되기 위하여 가능한한 90˚의 각도롤 절곡되어 굽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튜너의 관통 콘덴서 굽힘지그(200)는, 누름부재(230)를 이용하여 받침부재(220) 위에 놓여진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130)를 누름 가압할 때, 상기 관통 콘덴서(130)의 자체 강도에 의하여 정확히 90˚각도로 절곡 되지 못하고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둔각을 이루어 굽혀지므로 인하여 회로기판(110)과의 접속불량이 발생되는 커다란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받침부재 위에 놓여진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를 절곡시키는 누름부재에 직각홈을 구비시켜 관통 콘덴서를 정확히 90˚각도로 굽힐 수 있도록 하여 회로기판과의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튜너의 관통 콘덴서 굽힘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튜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a, b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튜너의 관통 콘덴서 굽힘지그를 나타내는 단면을 포함한 사용 상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튜너의 관통 콘덴서 굽힘지그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튜너 110 : 회로기판
120 : 섀시 121 : 고정구멍
130 : 관통 콘덴서 140 : 접속잭
200 : 굽힘지그 210 : 플레이트
220 : 받침부재 230 : 누름부재
231 : 직각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섀시의 내측면에 돌출된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의 하부에 위치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 위에 놓여진 상기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를 누름 가압하는 누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튜너의 관통 콘덴서 굽힘지그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를 90˚방향으로 굽혀주는 직각홈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튜너의 관통 콘덴서 굽힘지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튜너의 관통 콘덴서 굽힘지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튜너의 관통 콘덴서 굽힘지그(200)는,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130)를 구비한 섀시(120)를 안착시키는 플레이트(210)와, 상기 플레이트(210) 위에 설치되어 상기 섀시(120)의 내측면에 돌출된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130)의 하부에 위치되는 받침부재(220)와, 상기 받침부재(220) 위에 놓여진 상기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130)를 누름 가압하여 절곡시키는 누름부재(2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누름부재(230)는 상기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130)를 90˚방향으로 굽혀주는 직각홈(231)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튜너의 관통 콘덴서 굽힘지그(200)의 사용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레이트(210) 위에 받침부재(220) 위에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130)가 위치될 수 있도록 섀시(120)를 올려 놓은 후 누름부재(230)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130)를 하측방향으로 누름 가압한다.
이때, 상기 누름부재(230)는 직각홈(231)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관통 콘덴서(130)의 자체 강도에 의하여 둔각을 이루어 굽혀지는 현상, 즉,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재(230)의 누름 압력에 의하여 관통 콘덴서(130)가 절곡될 때 발생되는 섀시(120)의 들뜸현상을 직각홈(231)을 통하여 방지시킬 수 있게 되어 관통 콘덴서(130)의 정확한 굽힘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튜너의 관통 콘덴서 굽힘지그에 의하면, 받침부재 위에 놓여진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를 절곡시키는 누름부재에 직각홈을 구비시켜 관통 콘덴서를 정확히 90˚각도로 굽힐 수 있도록 하므로써, 회로기판과의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제품의 불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적어도 섀시의 내측면에 돌출된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의 하부에 위치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 위에 놓여진 상기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를 누름 가압하는 누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튜너의 관통 콘덴서 굽힘지그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다수 개의 관통 콘덴서를 90˚방향으로 굽혀주는 직각홈을 구비하여 이루어지 것을 특징으로하는 튜너의 관통 콘덴서 굽힘지그.
KR1019970070256A 1997-12-19 1997-12-19 튜너의 관통 콘덴서 굽힘지그 KR100251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256A KR100251764B1 (ko) 1997-12-19 1997-12-19 튜너의 관통 콘덴서 굽힘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256A KR100251764B1 (ko) 1997-12-19 1997-12-19 튜너의 관통 콘덴서 굽힘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021A KR19990051021A (ko) 1999-07-05
KR100251764B1 true KR100251764B1 (ko) 2000-04-15

Family

ID=19527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0256A KR100251764B1 (ko) 1997-12-19 1997-12-19 튜너의 관통 콘덴서 굽힘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17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021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8258B2 (en) Radio frequency module assembly
US5199887A (en) Surface mounting connector
US20200007812A1 (en) Tuner module and reception apparatus
KR100251764B1 (ko) 튜너의 관통 콘덴서 굽힘지그
US5255158A (en) Microwave connector assembly connected easily to microwave circuit components
KR100251765B1 (ko) 튜너의 관통 콘덴서 위치 정렬용 지그
US20040259418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9990051022A (ko) 튜너의 접속잭 결합구조
CN217985540U (zh) 一种具有抗干扰功能的电路板
KR100656507B1 (ko)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KR0136124Y1 (ko) 튜너용 케이스와 pcb 회로기판 결합구조
JPH018015Y2 (ko)
KR100266779B1 (ko) 튜너의 접속잭 결합불량 판별용 지그
JP3756006B2 (ja) 高周波電子機器
KR20070063632A (ko) 튜너
KR200198882Y1 (ko) 튜너샤시와 판 인덕터의 접지구조
GB2330953A (en) PCB shielding arrangement comprising a frame and a shield portion with engaging tabs
KR20000012296U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접지장치
KR19990013341U (ko) 튜너의 섀시구조
KR200345357Y1 (ko) 통신전자장비의 보조회로기판 고정장치
KR19990051025A (ko) 튜너의 관통 콘덴서 결합불량 판별용 지그
KR200187228Y1 (ko)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접속 장치
KR920002935Y1 (ko) 고주파 파워 앰프 실드케이스
JPH0794884A (ja) チューナケース
KR100905854B1 (ko) Rf모듈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