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1742B1 - 무선패킷 데이터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휴지상태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패킷 데이터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휴지상태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1742B1
KR100251742B1 KR1019970078183A KR19970078183A KR100251742B1 KR 100251742 B1 KR100251742 B1 KR 100251742B1 KR 1019970078183 A KR1019970078183 A KR 1019970078183A KR 19970078183 A KR19970078183 A KR 19970078183A KR 100251742 B1 KR100251742 B1 KR 100251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all
idle state
request
packe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8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8099A (ko
Inventor
정우영
이충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8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1742B1/ko
Publication of KR19990058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8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패킷 데이터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휴지상태 관리방법을 개시한다. 기지국 제어기 또는 이동교환국에 접속가능한 무선데이터 서비스장치를 가지는 망 시스템에서의 상태 관리방법은, 디지털 셀룰라서비스와 개인휴대 통신서비스를 이동가입자에게 제공시에 패킷데이터 서비스에서의 휴지상태제어기능을 상기 기지국 제어기 또는 이동교환국의 신호처리 절차의 변경없이 상기 무선데이터 서비스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패킷 데이터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휴지상태 관리방법
본 발명은 통신채널의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DCS(Digital Cellular Service) 또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망에서 패킷방식의 데이터서비스를 제공시에 무선채널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휴지 상태(Dormant State)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CDMA방식의 디지털셀룰라 서비스(DCS)와 개인휴대통신서비스(PCS)에서 이동 가입자에게 패킷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한 망구성도는 도 1a,1b에 도시된다. 도 1a는 무선데이터 서비스장치(IWF,105)가 이동교환국(104)과 직접 연동하는 경우의 망구성을 나타내고, 도 1b는 무선데이터 서비스장치(IWF,105)가 기지국 제어기(BTS/BSC,103)와 직접 연동하는 경우의 망구성을 나타낸다. 이동 가입자(TE2+MT2, 101과 102)가 무선데이터 서비스장치(IWF,105)를 통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할 경우, 실제로 많은 시간동안 데이터 통화로에 데이터전송 없이 호접속만 유지하고 있다. 이 경우 가입자에게는 요금측면에서, 사업자에게는 무선채널의 가용 효율성측면에서 많은 불이익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미국산업표준인 TIA/EIA의 IS-657 및 IS-658에서는 휴지상태(Dormant State)를 권고하였다. 이 휴지상태란 일정시간동안 통화로에 데이터 전송이 없을 경우 이동국(MT2, 102)이 자동으로 호를 해제하여 데이터 전송로의 물리계층연결 없이 데이터링크 계층연결(PPP 접속)이상은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노트북 (Note Book) PC(TE2, 101) 또는 이미 접속된 인터네트상의 호스트에서 데이터 전송요구가 있을 경우 MT2(102) 또는 (IWF,105)가 자동으로 호를 재접속하여 데이터전송로의 물리계층을 다시 연결함으로써, 사용자는 서비스의 단절을 느끼지 않고 연속적으로 패킷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서비스를 위해서는 기존의 기지국 제어기(BSC, 103) 및 이동교환국(MSC, 104)이 휴지상태를 제어하여야 하므로 기지국제어기(103) 및 이동교환국(104)의 기능 추가에 따른 변경은 불가피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 전송중인 활성상태(Active State), 휴지상태 및 완전히 서비스를 종료하여 호가 해제되는 해제상태(Close State)등의 상태변화를 기지국제어기(103) 또는 이동교환국(104)이 관리하여 (IWF,105)로 알려주어야 하므로, 기존의 A-인터페이스(기지국제어기와 이동교환국간의 인터페이스) 및 L-인터페이스(이동교환국과 IWF간의 인터페이스)의 신호처리가 변경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무선패킷 데이터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는 휴지상태 관리방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지국제어기 및 이동교환국의 신호처리의 변경없이, 패킷데이터 서비스에서의 휴지상태 제어기능을 무선데이터 서비스장치만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휴지상태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DCS 및 PCS가입자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무선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휴지상태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패킷방식의 데이터서비스를 제공시 무선채널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휴지 상태(Dormant State)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지국 제어기 또는 이동교환국에 접속가능한 무선데이터 서비스장치를 가지는 망 시스템에서의 상태 관리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셀룰라서비스와 개인휴대 통신서비스를 이동가입자에게 제공시에 패킷데이터 서비스에서의 휴지상태제어기능을 상기 기지국 제어기 또는 이동교환국의 신호처리 절차의 변경없이 상기 무선데이터 서비스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타의 목적 및 이점은 첨부도면과 함께 설명되는 하기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나타날 것이다.
도 1a, 1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CDMA방식의 디지털 셀룰라 서비스(DCS)와 개인휴대통신 서비스(PCS)에서 이동 가입자에게 패킷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패킷 데이터서비스구현을 위한 무선데이터 서비스장치(IWF)의 기능블럭도
도 3은 도 2중 서비스/호처리부의 상태천이도
도 4는 도 2중 인터넷 정합부의 상태천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지상태 제어를 위한 서비스/호처리부의 처리절차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지상태 제어를 위한 인터넷정합부의 처리절차흐름도
이하에서, 무선패킷 데이터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휴지상태 관리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무선패킷데이터 서비스 구현을 위한 도 1내의 IWF 105의 기능블럭도로서, 이동교환국(도 1a의 경우) 또는 기지국제어기(도 1b의 경우)와의 PCM 및 신호처리를 담당하는 이동교환국/ 기지국제어기 정합부(201), 호처리 및 유지보수기능을 담당하는 서비스/호처리부(202), 기지국 제어기와의 패킷데이터전송을 담당하는 패킷데이터 처리부(203), PPP서버기능과 이더넷 접속기능을 담당하는 인터넷 정합부(204)로 구성된다.
도 3은 도 2중 서비스/호처리부 202의 상태천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지상태 제어를위한 서비스/호처리부의 처리절차 흐름도이다. 휴지상태 제어를 위해 서비스/호처리부 202에 도 3과 같이 유휴상태(301), 활성상태(302), 휴지상태(303)등 3개의 상태를 정의해 두고, 각 상태사이의 천이를 위한 사건과 행동은 도 5의 각 단계들에 따라 수행되게 한다. 도 1a,1b의 망구성도와 같이, IWF 105는 이동교환국(104) 및 기지국제어기(103) 중 어느것과도 연동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두가지 경우 모두에 있어서의 휴지상태제어가 가능하다. 단, 본 실시예에서 의 동작설명은 편의상 이동교환국(104)과 연동된 경우만을 설명하며, 기지국제어기(103)와 연동된 경우에 이동교환국(104)을 "기지국제어기(103)"으로 바꾸어 이해하여야할 것이다.
도 3내의 유휴상태에서, 도 2의 서비스 및 호처리부 202가 이동교환국(104)으로부터 호접속요구를 수신(304)했을 경우, 서비스 및 호처리부 202는 패킷데이터처리부(203)와 인터넷정합부(204)로 접속준비명령을 보내고 활성상태(302)로 천이한다. 활성상태에서 이동교환국 (104)으로부터 호해제 요구를 수신(305)했을 경우, 패킷데이터처리부(203)와 인터넷정합부(204)로 호휴지명령을 보내 이동국(102)과의 물리적연결을 해제한 후 휴지상태로 천이한다. 상기한 설명중에서 활성상태에서 휴지상태로 천이하는 과정은 또한 도 5의 제501단계와 제502단계에 나타난다.
도 5를 참조하면, 휴지상태에서 이동교환국(104)으로부터의 도 3의 호접속 요구수신(306)의 경우, 서비스 및 호처리부 202는 패킷데이터처리부(203)로 데이터 전송재개요구를 보내고(제503단계), 인터넷 정합부(204)로 호재개요구를 보내(제504단계), 이동국(102)과의 물리적연결을 재확립한 후 활성상태로 천이한다. 또한, 휴지상태에서 인터넷 정합부 (204)로부터의 데이터전송요구 감지에 의한 호재개요구수신(307)의 경우, 서비스 및 호처리부 202는 해당 채널번호로 접속되었던 이동국의 MIN(이동국식별자번호)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찾는다(제505단계). 그 다음 이동국과의 물리적 연결 재확립을 위해 MIN과 함께 이동교환국/기지국제어기정합부(201)로 이동국접속 요구를 송신하고(제506단계), 패킷데이터처리부(203)로 데이터전송재개요구를 보낸후(507) 활성상태로 천이한다. 휴지상태에서 인터넷 정합부(204)로 부터의 휴지타이머 만료에 의한 호해제 요구수신(308)의 경우, 이동교환국/기지국제어기정합부(201)로 호해제 요구를 보내(제508단계), 이동국과의 물리적/논리적연결을 완전히 해제한다. 그 다음 패킷데이터처리부(203)로 채널복구요구를 보내(제509단계), 호해제 절차를 처리하고 유휴상태로 천이한다.
도 4는 도 2중 인터넷 정합부의 상태천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지상태 제어를 위한 인터넷정합부의 처리절차흐름도이다. 휴지 상태제어를 위해 인터넷정합부 (204)에 도 4와 같이 유휴상태(401), 활성상태(402), 휴지상태(403)등 3개의 상태를 정의해 두고, 각 상태사이의 천이를 위한 사건과 행동은 도 6의 각 단계들에 따라 수행되게 한다. 도 4내의 유휴상태에서 서비스/호처리부(202)로부터 PPP접속요구를 수신(404)하였을 경우, 이동국과 PPP접속을 시도한 후 접속이 완료되었을 경우 활성상태로 천이한다. 활성상태에서 서비스/호처리부(202)로부터 휴지 명령을 수신(405)하였을 경우, 인터넷정합부(204)는 일정시간 동안 데이터 전송없이 휴지상태에 머무를 경우에 대비하여 호를 해제하기 위한 휴지타이머를 구동시킨후 휴지상태로 천이한다. 상기한 설명중에서 활성상태에서 휴지상태로 천이하는 과정은 또한 도 6의 제601단계와 제602단계에 나타난다.
도 6을 참조하면, 휴지상태에서 기접속된 호스트로부터 IP패킷전송요구를 수신(도 4의 상태406)한 경우, 인터넷정합부(204)는 휴지타이머 구동을 중지시키고(제603단계), 서비스/호처리부(202)로 호재개요구를 보내(제604단계), 이동국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재개하면서 활성상태로 천이한다. 또한, 휴지상태에서 이동국의 데이터 전송요구에 따른 서비스/호처리부(202)로부터의 호재개 요구수신의 경우(도 4의 상태407), 휴지타이머 구동을 중지시키고(제605단계), 이동국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재개(제606단계)하면서 활성상태로 천이한다. 휴지상태에서 휴지타이머가 만료된 경우(도 4의 상태408), 이동국과의 호해제를 위해 서비스/호처리부(202)로 호해제 요구를 보내고(제607단계) 자신의 채널을 복구(제608단계)한 후 유휴상태로 천이한다.
따라서, 기지국제어기 및 이동교환국의 신호처리의 변경없이, 패킷데이터 서비스에서의 휴지상태 제어관리를 무선데이터 서비스장치만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예를들어 설명되었지만, 사안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CDMA방식의 디지털 셀룰라서비스(DCS)와 개인휴대 통신서비스(PCS)제공시에 이동가입자에게 패킷데이터 서비스에서의 휴지상태제어기능을 IWF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어, 종래의 기지국제어기 및 이동교환국의 휴지상태 제어기능 구현에 따른 비용증가 및 서비스개시 지연등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기지국 제어기 또는 이동교환국에 접속가능한 무선데이터 서비스장치를 가지는 망 시스템에서의 상태 관리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셀룰라서비스와 개인휴대 통신서비스를 이동가입자에게 제공시에 패킷데이터 서비스에서의 휴지상태제어기능을 상기 기지국 제어기 또는 이동교환국의 신호처리 절차의 변경없이 상기 무선데이터 서비스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기지국 제어기 또는 이동교환국에 접속가능한 무선데이터 서비스장치를 가지는 망 시스템에서의 휴지상태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데이터 서비스장치내에 이동교환국/ 기지국제어기 정합부, 호처리 및 유지보수기능을 담당하는 서비스/호처리부, 패킷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패킷데이터 처리부, 및 인터넷 정합부를 준비하는 단계와;
    휴지상태 제어를 위해 상기 서비스/호처리부에 유휴상태, 활성상태, 및 휴지상태를 정의하고 휴지상태 관리플로우를 수행하는 단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상태 관리플로우를 수행하는 단계는,
    휴지상태에서 호접속 요구수신시, 패킷데이터처리부로 데이터 전송재개요구를 보내고, 인터넷 정합부로 호재개요구를 전송해, 이동국과의 물리적연결을 재확립한 후 활성상태로 천이하는 단계와;
    휴지상태에서 인터넷 정합부로부터의 호재개요구수신시, 해당 채널번호로 접속되었던 이동국의 이동국식별자번호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찾고, 이동국과의 물리적 연결 재확립을 위해 상기 이동국식별자번호와 함께 이동교환국/기지국제어기 정합부로 이동국 접속 요구를 송신하고, 패킷데이터처리부로 데이터전송 재개요구를 보낸 후 활성상태로 천이하는 단계와;
    휴지상태에서 인터넷 정합부로 부터의 휴지타이머 만료에 의한 호해제 요구수신시, 이동교환국/기지국제어기정합부로 호해제 요구를 보내, 이동국과의 물리적/논리적연결을 완전히 해제하고, 패킷데이터처리부로 채널복구요구를 보내, 호해제 절차를 처리하고 유휴상태로 천이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기지국 제어기 또는 이동교환국에 접속가능한 무선데이터 서비스장치를 가지는 망 시스템에서의 휴지상태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데이터 서비스장치내에 이동교환국/ 기지국제어기 정합부, 호처리 및 유지보수기능을 담당하는 서비스/호처리부, 패킷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패킷데이터 처리부, 및 인터넷 정합부를 준비하는 단계와;
    휴지상태 제어를 위해 상기 인터넷 정합부에 유휴상태, 활성상태, 및 휴지상태를 정의하고 휴지상태 관리플로우를 수행하는 단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상태 관리플로우를 수행하는 단계는,
    휴지상태에서 기접속된 호스트로부터 IP패킷전송요구를 수신한 경우, 휴지타이머 구동을 중지시키고, 서비스/호처리부로 호재개요구를 보내, 이동국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재개하면서 활성상태로 천이하는 단계와;
    휴지상태에서 서비스/호처리부로부터의 호재개 요구수신의 경우, 휴지타이머 구동을 중지시키고,이동국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재개하면서 활성상태로 천이하는 단계와;
    휴지상태에서 휴지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이동국과의 호해제를 위해 서비스/호처리부로 호해제 요구를 보내고, 자신의 채널을 복구한 후 유휴상태로 천이하는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78183A 1997-12-30 1997-12-30 무선패킷 데이터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휴지상태 관리방법 KR100251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183A KR100251742B1 (ko) 1997-12-30 1997-12-30 무선패킷 데이터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휴지상태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183A KR100251742B1 (ko) 1997-12-30 1997-12-30 무선패킷 데이터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휴지상태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099A KR19990058099A (ko) 1999-07-15
KR100251742B1 true KR100251742B1 (ko) 2000-04-15

Family

ID=19529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8183A KR100251742B1 (ko) 1997-12-30 1997-12-30 무선패킷 데이터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휴지상태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17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140B1 (ko) * 2002-04-13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932B1 (ko) * 1998-01-24 200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데이타통신방법
KR100678074B1 (ko) * 1999-12-29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이동 통신시스템의 착호 서비스를 위한 호 처리 방법
KR20020000442A (ko) * 2000-06-26 2002-01-05 박종섭 두 지점간 프로토콜에서 다중 처리를 이용한 다중 연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140B1 (ko) * 2002-04-13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099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402B1 (ko) 휴지 모드 무선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160759B1 (ko)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US6963745B2 (en) Method for performing inter system handovers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S7043249B2 (en) Packet data serving node initiated updates for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KR100396646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1053183B (zh) 用于双频/双模移动通信终端的切换方法
JP2002535939A (ja) ワイヤレス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移動ip登録の自動呼出し
KR20050008746A (ko) 셀룰러와 무선 근거리 통신망 사이의 효율적인 핸드오프
WO2003096594A3 (en) Handover in a hybrid communications network
KR20050032621A (ko) 다중 모드 상호운용 이동국 통신 아키텍쳐 및 방법
US7457321B2 (en) Method for requesting and granting a shorter slot cycle in a wireless network
JP4426187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保存されたサービスパラメータの同期化
EP12527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optimization during point-to-point protocol (ppp) session requests
JP4613202B2 (ja) マルチモードマルチバンド移動通信端末の非同期網と同期網との間のハンドオーバー方法、及びこのための移動通信端末
KR100251742B1 (ko) 무선패킷 데이터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휴지상태 관리방법
JP2009077037A (ja) 基地局制御装置およびデータ転送制御方法
KR100612682B1 (ko)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의 저전력 상태를 이용한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과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
KR100423375B1 (ko) 1xEV-DO시스템 장애시 1X시스템으로의 호 접속 전환방법 및 시스템
US7200398B1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over execution in a wireless environment
KR20050106639A (ko)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서비스 전환을 위한 이동통신시스템 및 방법
KR20050102370A (ko)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패킷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패킷 핸드오버 방법과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
KR100612683B1 (ko) 비동기망으로부터 동기망으로 핸드오버 한 이동통신단말의 초기 송신 전력 설정 방법
KR20040062385A (ko) 1xEV-DO 트래픽 상태 중 1X 시스템으로 전환하여갱신하는 오버헤드 메시지를 한정하여 호 접속 해제를줄이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276723B1 (ko) 다중모듈 무선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의 휴지상태 관리방법
KR20040035451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자원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