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9963B1 - 스크린인쇄를 이용한 차량계기판 인쇄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린인쇄를 이용한 차량계기판 인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9963B1
KR100249963B1 KR1019970051433A KR19970051433A KR100249963B1 KR 100249963 B1 KR100249963 B1 KR 100249963B1 KR 1019970051433 A KR1019970051433 A KR 1019970051433A KR 19970051433 A KR19970051433 A KR 19970051433A KR 100249963 B1 KR100249963 B1 KR 100249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rinting
screen
instrument box
br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1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0942A (ko
Inventor
최종대
홍원학
최재완
이두하
박종인
정광조
임선종
Original Assignee
황해웅
한국기계연구원
최용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해웅, 한국기계연구원, 최용대 filed Critical 황해웅
Priority to KR1019970051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9963B1/ko
Publication of KR19990030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9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9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41F15/0831Machines for print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4Squeegees or do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5/00Photographic processes or agents therefor; Regeneration of such processing ag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Forme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계기박스에 균일한 밝기를 제공토록 인쇄하는 방법으로, 감광층을 가진 기판에 제판카메라를 이용하여 계기박스의 내부 조명에 의한 밝기 상태를 촬영하는 과정과, 이어 이를 인화한 인화지의 화상을 스캐너로 스캐닝하는 과정과, 컴퓨터 상에서 밝기에 대응하는 망점 상태 및 크기로 편집하여 필름출력기를 통하여 출력시키는 과정과, 출력된 망포지 필름으로 노광기에서 스크린 필름을 노광한후 현상하여 계기박스용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스크린 인쇄를 이용한 차량 계기판 인쇄방법이며, 망점원판을 사용하지않고 제판 카메라로 인화지에 촬영하므로 망점원판에 해당하는 비용을 줄일수 있고, 스캐너를 사용하여 화상을 획득하고 망점을 구현할수 있으므로 기존의 밀착과정을 대신하여 시간적 절약과 장치의 간단함을 이룰수 있고, 이울러 컴퓨터를 활용하여 편집하므로 다양한 편집을 이룰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린인쇄를 이용한 차량계기판 인쇄방법
본 발명은 차량용 계기박스에 균일한 밝기를 제공토록 인쇄하는 방법으로, 계기박스의 밝기를 인화지에 촬영하고 이를 현상한 다음 스캐너로 스캐닝한 상태에서 망점을 편집토록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스캐닝 데이터를 필름에 출력하여 이를 사용하여 스크린 필름을 노광함으로써 스크린 인쇄용 필름을 수득하여 계기판 후면을 인쇄토록하는 스크린인쇄를 이용한 차량계기판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린 인쇄는 스텐실 기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발달한 것이며 예술가나 동일 분야의 직업인들이 오랜 세월동안 연구 개발되어 왔다. 원시인들이 사는 동굴속에는 사냥하는 풍경의 장식이 많은데, 이것들은 어떠한 종류의 스텐실 방법에 의하여 그려져 왔는가는 추축이 가능하다. 즉 남태평양의 피지섬에서 바나나잎의 넓은 표면에 판을뜨고 수피에다 대고, 식물염료로 인쇄 한 것을 유추할수 있다. 한편 스크린 인쇄는 정확히 알수는 없으나 독일과 프랑스에서 제판을 위한 스크린으로 헝겁 바탕을 사용한 실험적인 작업을하였고, 1907년 영국에서 사무엘 시몬(Samuel Simon)이 스크린을 사용하는 인쇄에 대한 특허를 받았고, 1914년 미국 워드와, 오웬스에 의하여 복합색의 스크린 인쇄를 개발하였으며, 1970년대에는 점차 스크린 인쇄를 상업화에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스크린 인쇄는 일반 오프셋 인쇄 잉크층이 5-7미크론 이며 그라비아 잉크는 12-15미크론 이지만 스크린 인쇄의 잉크층은 30-100미크론 정도로 상당한 층을 이루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인쇄회로기판(PCB)이나 전자공업 분야에 널리 사용된다.
스크린 인쇄의 감광제판법은 스크린 사 면에 감광액을 칠하고 광선 반응을 이용하여 인쇄하는 것으로, 스크린 인쇄의 제판은 대부분 감광 제판을 이용하며, 감광 제판은 스크린 틀에 맨 사 면에 원고의 도안 또는 글씨를 사진으로 촬영하여 수록된 원판을 사용, 감광액을 칠한 사에 밀착시켜 감광후 판을 만들기 때문에 감광 제판을 하기전에 먼저 그 원판인 포지(Positive;양화)를 만드는 방법을 알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스크린 인쇄의 감광 제판을 하기 위하여 원판인 포지티브(positivs; 생략해서 "포지")를 먼저 만들어야 한다. 포지의 모양은 흑선의 도안으로 되었을 경우, 포지는 투명한 바탕에 불투명한 흑선의 모양으로 되는 것이다. 즉 스크린 사를 맨 틀에 직접 감광막을 입히고 여기에 포지를 밀착시켜 광선을 주면 포지의 불투명한 흑선 부분은 광선이 통과하지 못하므로 감광막은 감광되지 않으며, 포지의 투명한 부분은 광선을 통과시키기 때문에 감광막이 경화된다(이것을 광에의 노출 과정이라고도 한다). 따라서 이것을 냉수나 적당한 온수에 수세하면 광선이 통과하지 않은 부분(도안의 흑선 부분)의 막이 용해, 제거되고 광선을 받은 투명한 부분은 감광막이 그대로 남는다. 결국 포지는 원고와 똑같이 보이는 원판이며, 이에 대응하는 네가는 원고의 흑백이 반대로 나타나는 원판이다. 이는 도 1 에 의하여 이해 될 것이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원판의 의미를 정리하면, 제판 카메라를 이용하여 원고를 촬영한후 필름에 현상 한 것을 말하며 예를들어 오프셋 인쇄의 원판, 동판 부식, 아연판 부식 등에 사용되고있는 필름을 뜻한다. 즉, 원고를 1차 촬영하였을때는 필름에 원고의 정 반대인 화면 현상이 되는데 이것을 "네가티브" 필름, 다시 복사 현상하여 원고대로 필름에 현상수록된 것을 "포지티브" 필름이라한다. 일반적으로 촬영된 필름은 현상 정착의 작업을 끝내지만 완성된 "네가"의 계조, 농담의 형태는 망선을 넣어 촬영한다. 망선은 원고가 가진 농담 계조를 미세한 점의 대소로 바꾸어 농담을 구현토록하는 것이다. 물론 이를 위하여는 일반 카메라가 아닌 제판용 카메라를 사용한다. 이는 원고의 평면도 복사를 주목적으로 하므로 피사체의거리가 가깝고 실물크기를 그대로 또는 확대 촬영하는데 유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망선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망목촬영이 필요하고, 망목 촬영은 농담 즉, 명암의 상태를 스크린 인쇄로 할 경우 제판 카메라의 감광판에 글래스 스크린 또는 콘택트 스크린을 이용하여 유리판위에 평행한 흑선을 넣는 것으로 감광판에 약간의 거리를두고 평행의 위치에 두며, 흑선의 대소, 망목에 의하여 곱게하느냐, 거칠게 하느냐를 결정하지만 단위 면적 속의 점을 헤아려서 수가 많을수록 작은 망목을 뜻한다. 그러므로 먼저 자기가 소유한 스크린 사의 메시에 따라 제판 촬영시 망목을 결정하여야한다. 만약 스크린사 250메시에 250메시 망목의 필름으로 스크린 조판을 한다면 스크린 사에 망목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결국 흑색 필름이나 다름없는 결과가 된다. 이러한 망점원판의 구체적인 사용예는 도 2 와 같이 예시 할수 있는바, 도 2 의 (가)에서 망점 원판(1)에 빛의 세기가 상이하면(A,B,C) 그에 대응하는 메시로 망네가상의 제판용 필름으로 촬영되고 이를 현상하면 망네가 필름(3)을 이룬다. 이는 도 2 (나)와 같이 망목 상으로 현상됨을 알수 있다. 이를 예를들어 연속상으로 도시하면 도 2 (다)와 같이 도시 할 수 있다.
이러한 제반 기술을 이용하여 최근에는 차량의 계기판의 밝기를 균일하게하여 눈의 피로도를 줄이려는 기술이 이용된다. 계기박스의 계기판 전면은 캐드를 이용하여 도안되고 프린터를 이용하여 출력 된 것을 사진 제판법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그리고 계기판의 후면은 계기세트에 전원을 연결하고 프리즘을 거쳐 발광되는 상태를 망점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빛이 투과되도록 제작한다. 제작 과정은 도 3 과같이 차량의 계기박스(14)에서 내부 조명에 의하여 발생하는 빛의 세기(실제 차량에 장착하였을 때 계기를 밝혀주는 램프와 같은 조도로 빛을 임으로 밝혀준다)에 의한 계기판의 상태를 제판 카메라(10)를 통하여 촬영한다. 물론 제판 카메라(10)에는 망점 원판(1)과 망네가상의 제판용 필름(2)을 구비하여야 한다. 이 경우 망점 원판(1)은 도 2 와 같이 계기 박스(14)를 통과한 빛의 세기를 망목의 크기로 변화시켜 망네가상의 제판용 필름(2)에 촬영되도록한다. 이러한 제판용 필름(2)은 현상 과정을 통하여 현상시킨 망네가 필름(3)을 완성시킨다. 이어 밀착기(11)에 망네가 필름(3)을 안치 시키고 망포지상의 제판용 필름(4)을 또한 위에 겹친다. 이는 망네가 필름(3)을 사용하여 제판용 필름(4)에 촬영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촬영한 제판용 필름(4)을 다시 현상하여 망포지 필름(5)을 완성한다. 이를 노광기(12)에 안치 시키고 또한 스크린 필름(6)을 겹치게한후, 노광기(12)의 광원(13)을 쏘이면 스크린 필름(6)에 망점 상태로 노광된다. 이는 결국 광원(13)에 의하여 망포지 필름(5)의 망점에 해당하는 스크린 필름(6)의 감광막 부위를 노광시키는 것으로, 이렇게 노광된 스크린 필름(6)을 현상하고 이를 사용하여 계기판의 이면에 스크린 인쇄함으로써, 계기 박스의 계기판 이면에 망점을 인쇄한다. 이 경우 제판 카메라(10)를 사용하여 촬영할 때는 빛의 회절에 의한 오차가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수십회(예를들어25회)의 촬영을 수행하고, 이렇게 촬영한 망네가필름(3;예를들어 25개)을 밀착기(11) 표면에 배치시켜 최적의 제판용 필름(4)을 선택한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은 제판용 필름(2,4)과 망점 원판(1)을 필요로하고, 촬영의 치수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수십회의 촬영후 편집작업을 하여야하는 번거러움이 있고, 망점원판(1)은 전량 일본에서 수입하는 관계로 수입 원가가 고가인 현실에 비추어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된다. 최근에는 일본에서 자동차 제품의 경쟁력을 위하여 정책적으로 망점 원판의 수출을 중단하고 계기판 자체를 수입하라는 등 계기박스(14)의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현실이다. 이를 위하여 일부 제조회사에서는 망점원판의 구입이 용이치 않자 도 4 처럼 망의 크기가 상이한 샘플로부터 원하는 형태로 망의 크기대로 모자이크 형태로 붙여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는 각 망의 경계부분에서 조도의 차이를 제공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어서 고품질의 제품에는 사용할수 없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망점 원판을 사용하지 않고 계기박스 망점 인쇄용 스크린 필름을 제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계기 박스를 통하는 투과광상태를 제판 카메라에서 인화지에 직접 촬영하고, 이를 현상한 다음 스캐너로 스캐닝하고, 스캐닝된 화상을 망점 상으로 편집하여, 필름 출력기를 통하여 망포지 필름에 인쇄하고, 인쇄한 망포지 필름에 스크린 필름을 대고 노광한 다음 현상하여 계기 박스 인쇄용 스크린 필름을 수득토록 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필름의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2 (가)는 망점원판을 사용하는 경우의 필름현상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2 (나)는 망점 원판을 사용한 경우의 필름을 평면 상태로 망점에 따라 부분적으로 보인 도면,
도 2 (다)는 도 2 (나)의 도면을 연속 상태로 보인 평면도,
도 3 은 종래의 망점원판을 사용하여 스크린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과정도,
도 4 는 일반적인 다른 방식의 스크린 필름을 보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과정을 보인 과정도,
도 6 은 스캐닝한 망점 화상을 편집하는 것을 설명하기위한 음영 비율별 음영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쇄상의 계기판 도면이다.
즉 본 발명은 차량용 계기박스에 균일한 밝기를 제공토록 인쇄하는 방법으로, 감광층을 가진 기판에 제판카메라를 이용하여 계기박스의 내부 조명에 의한 밝기 상태를 촬영하는 과정과, 이어 이를 인화한 인화지의 화상을 스캐너로 스캐닝하는 과정과, 컴퓨터 상에서 밝기에 대응하는 망점 상태 및 크기로 편집하여 필름출력기를 통하여 출력시키는 과정과, 출력된 망포지 필름으로 노광기에서 스크린 필름을 노광한후 현상하여 계기박스용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스크린 인쇄를 이용한 차량 계기판 인쇄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과정도로, 감광층을 가진 기판의 일종인 인화지(20)를 제판 카메라(10)에 끼워넣고 렌즈 대응부위에는 계기 박스(14)를 조명 상태로 놓는다. 이 상태에서 감광층을 가진 기판(20)에 제판카메라(10)를 이용하여 계기박스(14)로 부터의 밝기를 촬영하는 과정(S10)과, 이어 기판(20)을 현상한후 현상된 인화지의 화상을 스캐닝하여 원하는 망상 상태로 편집하는 과정(S20)과, 편집한 망상의 화상을 필름출력기(18)로 망포지 필름(5)에 출력(인쇄)시키는 과정(S30)과, 출력된 화상이 인쇄된 망포지 필름(5)으로 노광기(12)에서 스크린 필름(6)을 원판 밀착시키고 현상하여 계기 박스의 계기판을 제조하는 과정(S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과정(S20)은 기판(20)을 현상하고(과정;S21), 인화한 기판(20)의 일예인 인화지의 화상을 스캐너(15)로 스캐닝하는 과정(S22)과, 컴퓨터(17)상에서 원하는 상태로 스캐닝 데이터를 모니터(16)로 보면서 편집하는 과정(S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과정(S40)은 출력된 망상의 화상이 인쇄된 망포지 필름(5)으로 노광기(12)에서 스크린 필름(6)을 노광한후(과정;S41) 현상하여 계기박스 인쇄용 필름을 제조완성하는 과정(S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감광층을 가진 기판(20)(예를들어 인화지, 또는 감광판)을 제판 카메라(10)에 넣고 렌즈 대응부분에 계기박스(14)를 위치시켜 내부 조명이 시제 사용할 때와 같이 한 상태에서 그때의 계기판의 밝기 상태를 촬영한다(과정;S10). 물론 이경우의 계기 박스(14)는 사용 상태와 같이 램프(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사용할 때의 조도가 발현되도록 하여야함은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촬영한 인화지를 현상하고(현상 과정은 공지의 과정을 그대로 이용함)(과정;S21) 스캐너(15)를 이용하여 인화지의 화상을 그대로 스캐닝한 후(과정;S22), 스캐닝한 데이터를 컴퓨터(17)의 모니터(16)로 보면서 망상으로 편집한다(과정;S23). 이렇게 망상으로 편집하는 것은 예를들어 도 6 과 같이 음영 비율을 달리하여 도시한 상태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망상의 크기를 선택하는 것이다. 아울러 배율이나 음영 등을 다양하게 편집할수 있어 편집에 따른 시간 및 재료의 소모를 막을 수 있다. 이렇게 편집한 화상은 프린터인 필름 출력기(바람작하기는 2000DPI급)(18)를 통하여 출력한다(과정;S30). 이러한 출력 필름은 망상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이를 망포지 필름(5)으로 사용한다. 즉 노광기(12)의 유리면에 망포지 필름(5)을 안치 시키고, 이어 스크린 필름(6)을 일치시켜 노광한다(과정(S41)). 이 경우 스크린 필름(6)에는 감광층이 도포되어 있으므로 노광기(12)에서의 노광시 망포지 필름(5)에 형성된 망점에 따라서 빛이 차단된 부분은 경화되지않아 스크린 필름(6) 현상시 망점에 해당하는 부위만 현상,수세시 에칭된다. 이러한 필름으로 스크린 인쇄를 하면 도 7 과 같이 계기판 이면에 원하는 망점을 정확하게 인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차량 계기 박스에 사용되는 계기판의 이면에 망점 인쇄를 함으로써 균일한 밝기를 이룰수 있도록 하는데, 종래의 망점원판을 사용하는대신 인화지에 직접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스캐너로 스캐닝한 상태에서 음영비율로 망점을 구현하고, 이를 출력기로 출력하여 노광기에 사용하는 망포지 필름으로 사용토록 함으로써 스크린 필름을 수득하여 계기판을 인쇄할수 있다. 따라서 망점원판을 사용하지않고 제판 카메라로 인화지에 촬영하므로 망점원판에 해당하는 비용을 줄일수 있고, 스캐너를 사용하여 화상을 획득하고 망점을 구현할수 있으므로 기존의 밀착과정을 대신하여 시간적 절약과 장치의 간단함을 이룰수 있고, 아울러 컴퓨터를 활용하여 편집하므로 다양한 편집을 이룰수 있다.

Claims (3)

  1. 차량용 계기박스에 균일한 밝기를 제공토록 인쇄하는 방법으로, 감광층을 가진 기판에 제판카메라를 이용하여 계기박스의 내부 조명에 의한 밝기 상태를 촬영하는 과정과, 이어 이를 인화한 인화지의 화상을 스캐너로 스캐닝하는 과정과, 컴퓨터 상에서 밝기에 대응하는 망점 상태 및 크기로 편집하여 필름출력기를 통하여 출력시키는 과정과, 출력된 망포지 필름으로 노광기에서 스크린 필름을 노광한후 현상하여 계기박스용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스크린 인쇄를 이용한 차량 계기판 인쇄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감광층을 가진 기판은 흑백 인화지 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크린 인쇄를 이용한 차량 계기판 인쇄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감광층을 가진 기판은 망네가 제판용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크린 인쇄를 이용한 차량 계기판 인쇄방법.
KR1019970051433A 1997-10-07 1997-10-07 스크린인쇄를 이용한 차량계기판 인쇄방법 KR100249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433A KR100249963B1 (ko) 1997-10-07 1997-10-07 스크린인쇄를 이용한 차량계기판 인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433A KR100249963B1 (ko) 1997-10-07 1997-10-07 스크린인쇄를 이용한 차량계기판 인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942A KR19990030942A (ko) 1999-05-06
KR100249963B1 true KR100249963B1 (ko) 2000-03-15

Family

ID=19522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1433A KR100249963B1 (ko) 1997-10-07 1997-10-07 스크린인쇄를 이용한 차량계기판 인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99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942A (ko)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307534A (ja) 複製のためにマスターをマスク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US4287537A (en) Method of reproducing graphic material on an intaglio form
JPS62260467A (ja) 絵画原稿のコピ−の電子的プリント方法
KR100249963B1 (ko) 스크린인쇄를 이용한 차량계기판 인쇄방법
CN1106282C (zh) 仪表盘丝网印刷用的方法
JPH10213863A (ja) 透明原板を複写する方法
KR920005770B1 (ko) 인쇄복제용 원판필름 제작을 위한 장치
JPH0118411B2 (ko)
US3129099A (en) Method of gravure reproduction
JP2001153692A (ja) 指示計器の表示板製造方法
US3212891A (en) Method of correcting a half-tone print for reproduction
US4432012A (en) Process for offset conversion to gravure
JPH087388B2 (ja) 原稿照明用反射板の製造方法
KR20020090758A (ko) 스크린 인쇄를 이용하여 입체감을 극대화한 실크판 및 그인쇄 방법
Kuznetsov et al. Means and Methods of Electronic Reproduction
JP4634643B2 (ja) 植物の陰影付き画像を感光材に感光させる方法
JPS59212839A (ja) 電子複写機用写真コピ−スクリ−ン
JPS58132745A (ja) 透過画像を有するフイルムの作成方法
JPH02226014A (ja) 指示計器の照明調整膜の製造方法
US1957970A (en) Method of photographically producing "ben day" tones
RU2079211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ечатных плат
JPS6257987B2 (ko)
JP3318721B2 (ja) 導光板
GB2281249A (en) Printing on black background.
JPH0615979B2 (ja) 指示計器の夜間照明調整用印刷膜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