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8760B1 -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8760B1
KR100248760B1 KR1019970028363A KR19970028363A KR100248760B1 KR 100248760 B1 KR100248760 B1 KR 100248760B1 KR 1019970028363 A KR1019970028363 A KR 1019970028363A KR 19970028363 A KR19970028363 A KR 19970028363A KR 100248760 B1 KR100248760 B1 KR 100248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indoor
heat exchanger
air conditione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8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4287A (ko
Inventor
이갑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28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8760B1/ko
Priority to JP9334635A priority patent/JPH1123046A/ja
Priority to US08/989,164 priority patent/US5867997A/en
Priority to CNB971234388A priority patent/CN1153026C/zh
Publication of KR19990004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20Heat-exchange fluid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압축기 및 실내팬의 구동에 따라 실내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온풍을 토출하여 난방운전을 행하는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구동에 따른 난방운전시에 변화하는 실내열교환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에 기설정된 일정온도 이하인가를 판별하는 온도판별단계와, 상기 온도판별단계에서 실내열교환기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이면 시간을 카운터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는 시간판별단계와, 상기 시간판별단계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실내팬을 오프시켜 냉풍토출을 방지하는 실내팬오프단계로 이루어져, 압축기의 구동시에 시간을 카운터하여 소정시간내에 실내열교환기의 온도가 일정온도이상 도달하지 못하면 실내팬을 오프시켜 냉기토출을 방지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방법
본 발명은 냉난방운전을 수행하는 히트펌프(HEAT PUMP)식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난방초기에 실내열교환기의 온도에 따라 실내팬의 구동을 제어하여 실내로 냉풍이 토출되지 않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다수의 흡입구(3)가 형성된 흡입그릴부재(5)가 실내기본체(1;이하, 본체라 한다)의 전면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의 전면상부에는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되어 냉풍 또는 온풍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토출구(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7)에는 토출구(7)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상하풍향날개(9)와 좌우로 조절하는 좌우풍향날개(1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의 전면에는 실내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내장물을 보호하는 커버부재(13)가 고착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13)의 하측부에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자동, 냉방, 제습, 송풍, 난방 등)와 운정의 시작/정지, 상기 토출구(7)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 풍향등을 조절하는 조작부(15)가 구비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흡입그릴부재(5)의 내측에는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에 부유하는 먼지등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재(1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필터부재(17)의 내측에는 상기 필터부재(17)에 의해 필터링된 실내공기를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냉풍 또는 온풍으로 열교환시키도록 일자형상의 실내열교환기(19)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실내열교환기(19)의 상부에는 상기 흡입구(3)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상기 실내열교환기(19)에서 열고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7)를 통해 실내로 토출하도록 실내팬모터(21)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블로워팬(23;이하, 실내팬이라 한다)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실내팬(23)의 외측에는 상기 실내팬(23)을 카바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토출구(7)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덕트부재(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가 냉난방을 겸하여 사용하는 인버터에어콘인 경우, 난방시에는 사방밸브(51)가 온되어 냉매가 제3도의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압축기(59)→ 사방밸브(51)→ 실내열교환기(37)→ 팽창밸브(53)→ 난방용 팽창밸브(54)→ 실외열교환기(55)→ 사방밸브(51)→ 압축기(59) 순으로 순환되도록 한다.
반면, 냉방시에는 사방밸브(51)가 오프되어 냉매가 제3도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압축기(59)→ 사방밸브(51)→ 실외열교환기(55)→ 한방향밸브(56)→ 팽창밸브(53)→ 실내열교환기(37)→ 사방밸브(51)→ 압축기(59)순으로 순환되도록 한다.
이때, 사방밸브(51)는 오프시에 실선(→)으로 냉매가 순환하도록 유로를 조절하고, 온시에는 점선(-->)으로 냉매가 순환하도록 유로를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냉난방겸용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리모콘이나 조작부(15)를 조작하여 원하는 운전모드(예를들면, 난방)를 선택한다음 운전키를 온시키면, 설정온도(Ts)와 실내온도(Tr)를 비교하여 설정온도(Ts)가 실내온도(Tr)보다 높은 경우 설정온도(Ts)와 실내온도(Tr)의 차에 따라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결정하여 압축기를 구동시킨다.
상기 압축기가 구동되면, 냉매가 제3도의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압축기(59)→ 사방밸브(51)→ 실내열교환기(19)→ 팽창밸브(53)→ 난방용 팽창밸브(54)→ 실외열교환기(19)→ 사방밸브(51)→ 압축기(59)순으로 순환되어 실내열교환기(19)가 가열되기 시작하는데, 이때에 변화하는 실내열교환기(19)의 온도에 따라 실내팬(23)의 구동을 제어한다.
만약, 실내열교환기(19)의 온도가 일정온도(약, 27℃) 미만이면, 실내팬(23)을 정지시켜 난방초기시 실내로 냉풍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실내열교환기(19)의 온도가 일정온도(약, 27℃) 이상이면, 실내팬(23)을 구동시킨다.
상기 실내팬(23)이 구동되면, 흡입구(3)를 통해 본체(1)내로 흡입된 실내공기가 실내열교환기(19)를 통과하면서 실내열교환기(19)내에 흐르는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온풍으로 열교환되고, 실내열교환기(19)에서 열교환된 온풍은 상부로 안내되어 토출구(7)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데, 상기 토출구(7)를 통해 토출되는 온풍은 상하풍향날개(9) 및 좌우풍향날개(11)의 풍향각도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풍향이 조절되면서 실내난방을 수행한다.
이때, 실내온도(Tr)에 의해 실내열교환기(19)의 온도가 일정온도(약, 24℃) 이하로 내려가면, 실내팬(23)을 오프시켜야 하는데 이와같은 현상이 반복되면 난방운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39)가 구동중이면 실내열교환기(19)로 따뜻한 냉매가 계속 공급되므로 실내열교환기(19)의 온도가 일정온도(약, 24℃) 이하로 내려가도 실내팬(23)을 오프시키지 않고 계속 구동하여 난방운전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의 난방운전방식에 있어서는, 실내열교환기(19)의 온도가 일정온도(약, 24℃) 이하로 내려가도 압축기(39)가 구동중일때 계속하여 실내팬(23)을 구동하므로 실내의 온도변화에 대응하지 못하여 찬 바람을 계속해서 토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압축기의 구동시에 실내열교환기의 온도가 일정온도(약, 24℃) 이하로 내려가면 시간을 카운터하여 소정시간내에 실내열교환기의 온도가 일정온도이상 도달하지 못하면 실내팬을 오프시켜 찬 바람이 토출되지 않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방법은, 압축기 및 실내팬의 구동에 따라 실내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온풍을 토출하여 난방운전을 행하는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구동에 따른 난방운전시에 변화하는 실내열교환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에 기설정된 일정온도 이하인가를 판별하는 온도판별단계와, 상기 온도판별단계에서 실내열교환기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이면 시간을 카운터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는 시간판별단계와, 상기 시간판별단계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실내팬을 오프시켜 냉풍토출을 방지하는 실내팬오프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종단면도.
제3도는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냉ㆍ난방싸이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의 제어블록도.
제5(a)도 및 제5(b)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 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흡입구 7 : 토출구
19 : 실내열교환기 23 : 실내팬
31 : 사방밸브 35 : 실외열교환기
37 : 실외팬 39 : 압축기
100 : 전원수단 102 : 운전조작수단
104 : 제어수단 106 : 실내온도감지수단
108 : 실내배관온도감지수단 110 : 실외배관온도감지수단
120 : 풍향조절수단 121 : 풍향모터
122 : 압축기구동수단 124 : 실외팬모터구동수단
126 : 실내팬모터구동수단 128 : 사방밸브구동수단
130 : 표시수단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원수단(100)은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운전조작수단(102)은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자동, 냉방, 제습, 송풍, 난방 등)와 상기 토출구(7)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강풍, 약풍, 미풍, 등) 및 희망온도(Ts;이하, 설정온도라 한다)를 선택하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함은 물론,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작신호 및 운전정지 신호를 입력하도록 운전키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104)은 상기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공기조화기를 초기화시킴은 물론,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입력된 운전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로써, 이 제어수단(104)은 상기 압축기(39)의 구동시 실내열교환기(19)의 배관온도에 따라 시간을 카운터하여 실내팬(23)의 구동을 제어한다.
실내온도감지수단(106)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Ts)로 실내온도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을 수행하도록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Tr)를 감지하고, 실내배관온도감지수단(108)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시에 변화하는 실내열교환기(19)의 배관온도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19)를 통과하는 냉매온도를 감지하며, 실외배관온도감지수단(110)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시에 변화하는 실외열교환기(35)의 배관온도 즉, 상기 실외열교환기(35)를 통과하는 냉매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04)에 출력한다.
또한, 풍향조절수단(120)은 상기 토출구(7)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방안 전체에 골고루 확산되도록 토출공기의 방향을 상하 및 좌우조절하는 풍향모터(121)를 구동제어하고, 압축기구동수단(122)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Ts) 및 상기 실내온도감지수단(106)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의 차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압축기(39)를 구동제어한다.
실외팬모터구동수단(124)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Ts)와 상기 실내온도감지수다(106)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의 차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상기 실외열교환기(35)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실외로 송풍하도록 실외팬모터(125)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외팬(37)을 구동제어하고, 실내팬모터구동수단(126)은 상기운전조작수단(20)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풍량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상기 실내열교환기(37)에서 열교환된 공기(냉풍 또는 온풍)를 실내로 송풍하도록 실내팬모터(21)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내팬(23)을 구동제어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사방밸브구동수단(128)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입력된 운전조건(냉방 또는 난방)에 따라 냉매의 흐름을 변환시키도록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사방밸브(31)를 온/오프구동제어하고, 표시수단(130)은 상기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상기 운전조작수단(120)에 의해 입력된 운전선택모드(자동, 냉방, 제습, 송풍, 난방등)와 제상운전/제상완료를 표시하는 제상표시램프를 온/오프시킴은 물론,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를 표시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방법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제5(a)도 및 제5(b)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 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로써, 제5(a)도 및 제5(b)도에서 S는 스텝(STEP)을 표시한다.
먼저, 공기조화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수단(100)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상기 공기조화기의 구동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구동회로 및 제어수단(104)에 출력한다.
따라서, 스텝S1에서는 상기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제어수단(104)에서 입력받아 공기조화기를 초기화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운전조작수단(102)을 조작하여 원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예를들면, 난방)와 설정온도(Ts), 설정풍량을 입력한다음 운전키를 누르면,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으로부터 운전선택신호 및 운전시작신호(이하, 운전신호라 한다)가 제어수단(104)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스텝S2에서 제어수단(104)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으로부터 운전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하여, 운전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공기조화기를 운전대기상태로 유지하면서 스텝S2이하의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 스텝S2에서의 판별결과, 운전신호가 입력된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3으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입력된 운전조건이 난방운전인가를 판별하여, 난방운전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S31로 나아가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 또는 제습운전을 수행하면서 상기 스텝S3으로 복귀하여 스텝S3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3에서의 판별결과, 난방운전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을 수행하기위해 스텝S4에서 제어수단(104)은 사방밸브(31)를 제어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사방밸브구동수단(128)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사방밸브구동수단(128)에서는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사방밸브(31)를 온시킴으로써 냉매가 압축기(39)→ 사방밸브(31)→ 실내열교환기(19)→ 팽창밸브(33)→ 난방용 팽창밸브(34)→ 실외열교환기(35)→ 사방밸브(31)→ 압축기(39)순으로 순환되도록 한다.
이때, 스텝S5에서는 실내열교환기(19)의 온도(Tip)를 실내배관온도감지수단 (108)에서 감지하면, 제어수단(104)에서는 실내배관온도감지수단(108)에 의해 감지된 실내배관온도(Tip)의 아날로그데이타를 입력받아 디지털로 변환하여 실내배관온도(Tip)가 소정온도(T1;난방초기시 냉풍토출을 방지하는 예열배관온도, 약 27℃)이하인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5에서의 판별결과, 실내배관온도(Tip)가 소정온도(T1)이하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실내로 냉풍이 토출될 수 있는 온도조건이라고 판단하여 실내팬(23)을 구동시키지 않고 실외기를 먼저 구동시켜 실내열교환기(19)를 가열시키도록 스텝S6으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실외기가 온조건인가를 판별한다.
실외기가 온조건이라 함은, 실내온도감지수단(106)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Ts)보다 작은 경우이다.
상기 스텝S6에서의 판별결과, 실외기가 온조건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운전동작을 대기하면서 상기 스텝S5로 복귀하여 스텝S5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하고, 실외기가 온조건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7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실내온도(Tr)와 설정온도(Ts)의 차에 따라 압축기(39)의 운전주파수와 실외팬모터(125)의 회전수를 결정하여 압축기(39)와 실외팬(37)을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압축기구동수단(122)과 실외팬모터구동수단(124)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구동수단(122)에서는 제어수단(104)에서 결정된 운전주파수에 따라 압축기(39)를 구동시키고, 실외팬모터구동수단(124)에서는 제어수단(104)에서 결정된 회전수에 따라 실외팬(37)을 구동시킨다.
이때, 스텝S8에서는 압축기(39)의 구동에 의한 냉매의 순환시에 가열되는 실내열교환기(19)의 온도(Tip)를 실내배관온도감지수단(108)에서 감지하면, 제어수단(104)에서는 실내배관온도감지수단(108)에 의해 감지된 실내배관온도(Tip)가 소정온도(T1)이상인가를 판별하여, 실내배관온도(Tip)가 소정온도(T1)이상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실내로 냉풍이 토출될 수 있는 온도조건이라고 판단하여 상기 스텝S7로 복귀하여 스텝S7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8에서의 판별결과, 실내배관온도(Tip)가 소정온도(T1)이상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실내로 냉풍이 토출되지 않는 온도조건이라고 판단하여 스텝S9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실내팬(23)을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실내팬모터구동수단(126)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실내팬모터구동수단(126)은 설정풍량에 따라 실내팬모터(21)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내팬(23)을 구동시킨다.
상기 실내팬(23)이 구동되면, 스텝S10에서는 압축기(39)에 의해 고온고압의 기체로 압축된 냉매가 사방밸브(31)를 통해 실내열교환기(19)에 유입되고, 실내열교환기(19)에서는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기체냉매를 실내팬(23)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로 열교환하여 상온고압의 냉매로 냉각시킴에 따라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가 실내열교환기(19)를 통과하면서 온풍으로 열교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9)에서 온풍으로 열교환된 공기는 상부로 이동되어 토출구(7)에 회동가능케 설치된 상하풍향날개(9) 및 좌우풍향날개(11)의 풍향각도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풍향이 조절되면서 실내를 난방시킨다.
이때, 상기 실내열교환기(19)에서 액화된 저온고압의 액상냉매는 증발압력까지 팽창시키는 팽창밸브(33)와 난방용 팽창밸브(34)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로 감압되어 실외열교환기(35)에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실외열교환기(35)에서는 팽창밸브(33)와 난방용 팽창밸브(34)에서 감압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를 받아서 실외팬(37)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열교환하여 냉각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35)에서 냉각된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는 사방밸브(31)를 통해 다시 압축기(39)로 흡입되면서 제3도의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반복순환하는 난방싸이클을 형성하면서 실내난방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난방운전이 수행되는동안 실내의 차가운 공기가 실내열교환기 (19)로 유입되면, 실내열교환기(19)의 온도가 내려가므로 스텝S11에서는 내려가는 실내열교환기(19)의 온도(Tip)를 실내배관온도감지수단(108)에서 감지하여 실내배관온도(Tip)가 소정온도(T2;압축기의 구동시 냉기가 토출될 수 있는 배관온도, 약 24℃)이하인가를 판별하여, 실내배관온도(Tip)가 소정온도(T1)이하가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10으로 복귀하여 난방운전을 계속해서 수행하면서 스텝S10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11에서의 판별결과, 실내배관온도(Tip)가 소정온도(T1)이하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12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내장되어 있는 타이머에 의해 실내열교환기(19)의 온도가 소정온도(T1)이하로 내려간 시간을 카운터하고, 스텝S13에서 제어수단(104)은 카운터한 시간이 소정시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12로 복귀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할때까지 계속해서 시간을 카운터하면서 스텝S12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13에서의 판별결과,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14로 나아가서 압축기(39)가 구동중일 때 실내열교환기(19)로 고온의 냉매가 유입되므로 변화하는 실내열교환기(19)의 온도(Tip)를 실내배관온도감지수단(108)에서 감지하여 실내배관온도(Tip)가 소정온도(T2)이하인가를 판별하여, 실내배관온도(Tip)가 소정온도(T1)이하가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10으로 복귀하여 난방운전을 계속해서 수행하면서 스텝S10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14에서의 판별결과, 실내배관온도(Tip)가 소정온도(T1)이하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실내로 찬 바람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스텝S15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실내팬(23)을 정지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실내팬모터구동수단(126)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실내팬모터구동수단(126)은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실내팬(23)을 오프시켜 실내로 찬 바람이 토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스텝S5에서의 판별결과, 실내배관온도(Tip)가 소정온도(T1)이하가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실내로 냉풍이 토출되지 않는 온도조건이라고 판단하여 스텝S51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실내팬(23)을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실내팬모터구동수단(126)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실내팬모터구동수단(126)은 설정풍량에 따라 실내팬모터(21)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내팬(23)을 구동시키고, 스텝S52에서 제어수단(104)은 실외기가 온조건인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52에서의 판별결과, 실외기가 온조건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운전동작을 대기하면서 상기 스텝S5로 복귀하여 스텝S5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하고, 실외기가 온조건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53으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실내온도(Tr)와 설정온도(Ts)의 차에 따라 압축기(39)의 운전주파수와 실외팬모터(125)의 회전수를 결정하여 압축기(39)와 실외팬(37)을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압축기구동수단(122)과 실외팬모터구동수단(124)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구동수단(122)에서는 제어수단(104)에서 결정된 운전주파수에 따라 압축기(39)를 구동시키고, 실외팬모터구동수단(124)에서는 제어수단(104)에서 결정된 회전수에 따라 실외팬(37)을 구동시키면서 상기 스텝S10으로 나아가서 스텝S10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방법에 의하면, 압축기의 구동시에 실내열교환기의 온도가 일정온도(약, 24℃)이하로 내려가면 시간을 카운터하여 소정시간내에 실내열교환기의 온도가 일정온도이상 도달하지 못하면 실내팬을 오프시켜 찬 바람이 토출되지 않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압축기 및 실내팬의 구동에 따라 실내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온풍을 토출하여 난방운전을 행하는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구동에 따른 난방운전시에 변화하는 실내열교환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에 기설정된 일정온도 이하인가를 판별하는 온도판별단계와, 상기 온도판별단계에서 실내열교환기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이면 시간을 카운터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는 시간판별단계와, 상기 시간판별단계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실내팬을 오프시켜 냉풍토출을 방지하는 실내팬오프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방법.
KR1019970028363A 1997-06-27 1997-06-27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방법 KR100248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8363A KR100248760B1 (ko) 1997-06-27 1997-06-27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방법
JP9334635A JPH1123046A (ja) 1997-06-27 1997-12-04 空気調和機の暖房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08/989,164 US5867997A (en) 1997-06-27 1997-12-11 Heating control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and method thereof
CNB971234388A CN1153026C (zh) 1997-06-27 1997-12-30 空调器的加热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8363A KR100248760B1 (ko) 1997-06-27 1997-06-27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287A KR19990004287A (ko) 1999-01-15
KR100248760B1 true KR100248760B1 (ko) 2000-04-01

Family

ID=1951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8363A KR100248760B1 (ko) 1997-06-27 1997-06-27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67997A (ko)
JP (1) JPH1123046A (ko)
KR (1) KR100248760B1 (ko)
CN (1) CN1153026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7123A (zh) * 2020-03-24 2020-07-10 四川长虹空调有限公司 家用空调器制热出风温度的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6405B2 (en) 1998-04-03 2016-11-29 Rockwell Collins Control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generation system
US6131402A (en) * 1998-06-03 2000-10-17 Carrie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a heat pump to improve heating supply air temperature
KR100474892B1 (ko) * 2002-03-05 2005-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제어방법
US20050150651A1 (en) * 2004-01-08 2005-07-14 Carrier Corporation Thermostat with heat and/or cool fan delays controlled by thermostat output
KR100539766B1 (ko) * 2004-05-21 2006-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니터리 공기조화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20100000239A1 (en) * 2006-12-21 2010-01-07 Alexander Lifson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for heat pump fan to eliminate cold blow
JP5448656B2 (ja) * 2009-09-03 2014-03-19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1670926B (zh) * 2009-10-21 2013-08-28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储罐废气减排处理方法和装置
CN102364258B (zh) * 2011-09-23 2013-08-07 宁波奥克斯电气有限公司 多联式空调机组制热时防止过热的保护方法
CN107110550B (zh) * 2015-04-07 2019-09-06 三菱电机株式会社 制冷空调装置
EP3508795B1 (en) * 2016-08-30 2022-05-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device
CN109506292A (zh) * 2018-11-23 2019-03-22 北京海林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采暖室温控方法及系统
CN111964208A (zh) * 2020-07-14 2020-11-20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制热内机防高温控制方法、装置、空调器及存储介质
CN113266934B (zh) * 2021-05-19 2022-09-30 海信空调有限公司 空调器的清洁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5864A (en) * 1977-04-29 1978-02-28 General Electric Company Air conditioning fan control
US4246763A (en) * 1978-10-24 1981-01-27 Honeywell Inc. Heat pump system compressor fault detector
US4232530A (en) * 1979-07-12 1980-11-11 Honeywell Inc. Heat pump system compressor start fault detector
US4860552A (en) * 1988-12-23 1989-08-29 Honeywell, Inc. Heat pump fan contro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7123A (zh) * 2020-03-24 2020-07-10 四川长虹空调有限公司 家用空调器制热出风温度的控制方法
CN111397123B (zh) * 2020-03-24 2021-11-16 四川长虹空调有限公司 家用空调器制热出风温度的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3026C (zh) 2004-06-09
JPH1123046A (ja) 1999-01-26
KR19990004287A (ko) 1999-01-15
US5867997A (en) 1999-02-09
CN1204028A (zh) 1999-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5640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방법
KR100248760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방법
KR10021506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44315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15067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39541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39540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2563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방법
KR100231049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3104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 제어방법
KR100308561B1 (ko) 공기조화기의덕트운전장치및그제어방법
KR100244331B1 (ko) 공기조화기의난방제어장치및그방법
KR100239539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26263A (ko)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제어방법
KR100248765B1 (ko) 공기조화기의운전제어장치및그운전제어방법
KR100215069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197726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48761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31057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 제어방법
KR100281809B1 (ko) 공기조화기의 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KR100307829B1 (ko) 공기조화기의난방운전장치및그방법
JPH1194329A (ja) 空気調和機の除霜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197685B1 (ko) 공기조화기의 국부냉방제어장치
KR100197725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82587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