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7725B1 -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7725B1
KR100197725B1 KR1019970008020A KR19970008020A KR100197725B1 KR 100197725 B1 KR100197725 B1 KR 100197725B1 KR 1019970008020 A KR1019970008020 A KR 1019970008020A KR 19970008020 A KR19970008020 A KR 19970008020A KR 100197725 B1 KR100197725 B1 KR 100197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outdoor
indoor
discharge port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8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2988A (ko
Inventor
조재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08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7725B1/ko
Publication of KR19980072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2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7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7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24F11/42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of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20Heat-exchange fluid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난방운전 시에 변화하는 실외열교환기(55)의 온도를 감지하는 실외배관온도감지수단(110)과, 실외배관온도에 따라 상기 실외열교환기(55)의 결빙여부를 판단하는 제어수단(104)과, 상기 실외열교환기(55)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도록 구동하는 사방밸브(51) 및 압축기(59)와, 제상운전 시 냉풍토출을 방지하도록 토출구도어(13)와 흡입그릴(34)을 폐쇄시키는 구동수단(21,31)과, 제상운전 시 변화하는 실내열교환기(37)의 온도를 감지하는 실내배관온도감지수단(108)으로 이루어진, 제상운전 시 흡입구(3)와 토출구(7)를 폐쇄하고, 제상완료 후에도 온풍토출이 가능할 때 흡입구(3)와 토출구(7)를 개방하여 실내로 항상 온풍이 토출되도록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흡입구와 토출구를 개폐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 시에 실외열교환기의 결빙을 방지하는 제상운전 시 흡입구와 토출구의 개폐동작을 제어하여 실내로 항상 온풍이 토출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기본체(1; 이하, 본체라 한다)의 전면하부에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다수의 흡입구(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의 전면상부에는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되어 냉풍 또는 온풍으로 열 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토출구(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구(7)에는 토출구(7)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상하풍향날개(9)와 좌우로 조절하는 좌우풍향날개(1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7)의 내부에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시에 후술하는 실내열교환기에서 열 교환된 공기가 원활하게 실내로 공급되도록 상기 토출구(7)를 개방시키고, 공기조화기의 운전대기 중에는 상기 토출구(7)를 통해 본체(1)내부로 먼지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토출구(7)를 폐쇄시키는 토출구도어(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3)에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시에 흡입구(3)를 통해 실내공기가 원활하게 흡입되도록 상기 흡입구(3)를 개방시키고, 공기조화기의 운전대기 중(비가동시)에는 상기 흡입구(3)를 통해 본체(1)내부로 먼지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구(3)를 폐쇄시키는 흡입구개폐수단(30)이 설치되어있다.
상기 본체(1)의 전면에는 실내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내장물을 보호하는 커버부재(15)가 고착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15)의 하측부에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자동, 냉방, 제습, 송풍, 난방 등)와 운전의 시작/정지, 상기 토출구(7)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 풍향 등을 조절하는 조작부(17)가 구비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도어(13)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은 상기 본체(1)의 전면상부에 고착된 지지부재(19)와, 상기 지지부재(19)에 의해 고착되어서 상기 토출구도어(13)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토출구모터(21)와, 상기 토출구모터(21)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토록 상기 토출구모터(21)의 축(22)에 결합되어 있는 피니언(23)과, 상기 피니언(23)의 회전 시에 이에 연동되어 상기 토출구도어(13)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피니언(23)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랙(25)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개폐수단(30)은 흡입구모터(31)의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는 피니언(32)과, 상기 피니언(32)의 일측에 기어 물림되어 상기 피니언(32)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하로 직선 운동하는 슬라이드부재(33)와, 상기 슬라이드부재(33)가 직선 운동함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 운동하여 상기 흡입구(3)를 개폐시키는 복수개의 흡입그릴(34)과, 상기 흡입그릴(34)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그릴(34)을 회전 가능케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그릴(34)이 개폐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3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흡입구개폐수단(30)의 내측에는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냉풍 또는 온풍으로 열 교환시키도록 일자형상의 실내열교환기(3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실내열교환기(37)의 상부에는 상기 흡입구(3)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상기 실내열교환기(37)에서 열 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7)를 통해 실내로 토출하도록 실내 팬모터(39)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블로워팬(41; 이하, 실내팬이라 한다)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내팬(41)의 외측에는 상기 실내팬(41)을 카바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토출구(7)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덕트부재(43)가 설치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그릴(34)의 양측에는 상기 흡입그릴(34)을 회전 가능케 지지하는 힌지축(34a)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힌지축(34a)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33)의 일측에 형성된 슬롯홈(33a)에 의해 회전되는 돌기부(34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35)의 일측에는 상기 흡입그릴(34)의 힌지축(34a)이 회전 가능케 고정되는 고정홈(35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홈(35a)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33)가 직선 운동함에 따라 상기 돌기부(34b)가 회전 운동하도록 원호를 이루는 가이드홈(35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부재(33)의 일측에는 상기 피니언(32)과 기어 물림되도록 기어부(3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가 냉난방을 겸하여 사용하는 인버터에어콘인 경우, 난방 시에는 사방밸브(51)가 온되어 냉매가 제4도의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59)→ 사방밸브(51)→ 실내열교환기(37)→ 팽창밸브(53)→ 난방용 팽창밸브(54)→ 실외열교환기(55)→ 사방밸브(51)→ 압축기(59)순으로 순환되도록 한다.
반면, 냉방 시에는 사방밸브(51)가 오프되어 냉매가 제4도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59)→ 사방밸브(51)→실외열교환기(55)→ 한방향밸브(56)→ 팽창밸브(53)→ 실내열교환기(37)→ 사방밸브(51)→ 압축기(59)순으로 순환되도록 한다.
이때, 사방밸브(51)는 오프 시에 실선으로 냉매가 순환하도록 유로를 조절하고, 온 시에는 점선으로 냉매가 순환하도록 유로를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냉난방겸용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리모콘이나 조작부(17)를 조작하여 원하는 운전모드(예를 들면, 난방)를 선택한 다음 운전/정지키(이하, 운전키라 한다)를 온 시키면, 토출구모터(21)와 흡입구모터(31)가 정방향으로 구동되면서 토출구(7)와 흡입구(3)를 개방시킨다.
상기 토출구(7)와 흡입구(3)가 개방되면, 실내팬(41)이 회전하여 흡입구(3)를 통해 실내 공기가 본체(1)내로 흡입되고,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된 실내 공기는 실내열교환기(37)를 통과하면서 실내열교환기(37) 내에 흐르는 냉매의 증발잡열에 의해 온풍으로 열 교환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축기(59)에서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된 냉매가 사방밸브(51)의 온 동작에 따라 실내열교환기(37)에 유입되면, 상기 실내열교환기(37)에서는 실내팬(4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상온의 냉각수 또는 공기에 의해 열 교환하여 상온고압의 냉매로 냉각시킴에 따라 따뜻해진 공기(온풍)를 실내로 토출해서 난방을 수행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37)에서 액화된 냉매는 팽창밸브(53) 및 난방용팽창밸브(54)를 통해 저온저압의 냉매로 감압되어 실외열교환기(55)에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실외열교환기(55)에서는 팽창밸브(53) 및 난방용 팽창밸브(54)에서 감압된 냉매를 실외팬(57)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로 열 교환하여 냉각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55)에서 냉각된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는 사방밸브(51)를 통해 다시 상기 압축기(59)로 흡입되어 제4도의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반복 순환되는 난방싸이클을 형성하면서 실내난방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난방싸이클에 따라 실내열교환기(37)에서 열 교환된 온풍은 상부로 안내되어 토출구(7)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데, 상기 토출구(7)를 통해 토출되는 온풍은 상하풍향날개(9) 및 좌우풍향날개(11)의 풍향각도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풍향이 조절되면서 실내난방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난방운전이 일정시간 수행되면, 외부에서 송풍되는 공기를 실외열교환기(55)에서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열 교환하여 냉각시킬 때에 외부로 배출되는 냉기에 의해 상기 실외열교환기(55)에 성에가 착상되고, 이 착상된 성에가 시간이 지날수록 두터운 얼음으로 되어 상기 실외열교환기(55)의 열 교환능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난방효율의 저하로 소비전력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실외열교환기(55)에 착상된 성에로 인해 실외열교환기(55)의 결빙현상이 발생하여 압축기(59) 고장의 원인이 되었다.
이에, 종래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 시에 변화하는 실외열교환기(55)의 배관온도를 감지하여 배관온도가 -2℃이하로 10분을 경과하면, 실외열교환기(55)에 결빙현상이 발생하는 조건이라고 판단하여 실외팬(57)과 실내팬(41)을 정지시켜 난방운전을 중지하면서 사방밸브(51)를 오프시켜 공기조화기를 냉방운전으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냉매가 압축기(59)→ 사방밸브(51)→ 실외열교환기(55)→ 한방향밸브(56)→ 팽창밸브(53)→ 실내열교환기(37)→ 사방밸브(51)→ 압축기(59)순으로 순환되는 냉방싸이클을 형성함으로써 실외열교환기(55)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운전을 수행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제상운전방식에 있어서는, 냉방싸이클에 따른 실내측으로의 냉기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실내팬(41)을 정지시키나, 흡입구(3)와 토출구(7)가 열려 있기 때문에 자연대류에 의한 냉기토출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난방운전 시 실외열교환기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운전 시에는 흡입구와 토출구를 폐쇄하고, 제상완료 후에도 일정온도 이상의 온풍토출이 가능할 때 흡입구와 토출구를 개방하여 자연대류에 의한 냉기토출을 방지함으로써 실내로 항상 온풍이 토출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열 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에 의해 열 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와, 상기 토출구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구도어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흡입구를 개폐하는 흡입그릴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 시에 변화하는 실외열교환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실외배관온도감지수단과, 상기 실외배관온도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실외배관온도에 따라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결빙여부를 판단하여 제상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도록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냉매가 순환하는 유로를 변경시키는 사방밸브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도록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압축기를 구동하는 압축기구동수단과, 상기 사방밸브 및 압축기의 구동에 의한 제상운전 시 냉풍토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토출구도어와 흡입그릴을 폐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사방밸브와 압축기의 구동에 의한 제상운전 시 변화하는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실내배관온도감지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방법은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 시에 변화하는 실외열교환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결빙여부를 판별하는 제상판별스텝과, 상기 제상판별스텝에서 제상조건이면 냉풍토출을 방지하도록 흡입구와 토출구를 폐쇄하면서 사방밸브와 압축기를 구동하여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운전스텝과, 상기 사방밸브 및 압축기의 구동에 의한 제상운전 시 변화하는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상완료조건이면 상기 사방밸브와 실외팬을 구동하여 실내열교환기를 가열시키는 배관가열스텝과, 상기 배관가열스텝에서 가열되는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배관온도를 감지하여 온풍토출 조건이면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를 개방하면서 실내팬을 구동하여 상기 실내열교환기에 의해 열 교환된 온풍을 토출하는 난방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흡입구와 토출구가 닫힌 상태에서의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주요구성부분의 분리사시도.
제4도는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냉·난방싸이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의 제어블록도.
제6a도 내지 제6d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 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흡입구 7 : 토출구
13 : 토출구 도어 21 : 토출구 모터
31 : 흡입구 모터 34 : 흡입그릴
37 : 실내열교환기 41 : 실내팬
51 : 사방밸브 55 : 실외열교환기
57 : 실외팬 59 : 압축기
100 : 전원수단 102 : 운전조자수단
104 : 제어수단 106 : 실내온도감지수단
108 : 실내배관은도감지수단 110 : 실외배관온토감지수단
112 : 토출구개폐구동수단 114 : 토출구개폐감지수단
116 : 흡입구개폐구동수단 118 : 흡입구개방감지수단
120 : 풍향조절수단 121 : 풍향모터
122 : 압축기구동수단 124 : 실외팬모터구동수단
126 : 실내팬모터구동수단 128 : 사방밸브구동수단
130 : 표시수단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수단(100)은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운전조작수단(102)은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자동, 냉방, 제습, 송풍, 난방 등)와 상기 토출구(7)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강풍, 약풍, 미풍 등) 및 희망온도(Ts; 이하, 설정온도라 한다)를 선택하는 다수의 기능 키를 구비함은 물론,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작신호 및 운전정지신호를 입력하도록 운전/정지키(이하, 운전키라 한다)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104)은 상기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인가 받아 상기 공기조화기를 초기화시킴은 물론,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입력된 운전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로써, 이 제어수단(104)은 실외열교환기(55)의 배관온도에 따라 제상운전/제상완료여부를 판단하고, 실내열교환기(37)의 배관온도에 따라 실내팬의 구동을 제어한다.
실내온도감지수단(106)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Ts)로 실내온도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을 수행하도록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Tr)를 감지하고, 실내배관온도감지수단(108)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 시에 변화하는 실내열교환기(37)의 배관온도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37)를 통과하는 냉매온도를 감지하며, 실외배관온도감지수단(110)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 시에 변화하는 실외열교환기(55)의 배관온도 즉, 상기 실외열교환기(55)를 통과하는 냉매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에 출력한다.
또한, 토출구개폐구동수단(112)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한 운전시작신호 및 운전정지신호의 입력 시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토출구(7)를 개폐하는 토출구도어(13)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토출구모터(21)를 구동 제어하고, 토출구개폐감지수단(114)은 상기 토출구개폐구동수단(112)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토출구도어(13)의 개폐위치에 따라 상기 토출구(7)가 개폐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04)에 출력한다.
흡입구개폐구동수단(116)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한 운전시작신호 및 운전정지신호의 입력 시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흡입구(3)를 개폐하는 흡입그릴(34)을 이동시키도록 흡입구모터(31)를 구동제어하고, 흡입구개방감지수단(118)은 상기 흡입구모터(31)의 구동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33)의 상승위치에 따라 상기 흡입그릴(34)이 흡입구(3)를 개방하였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04)에 출력한다.
또, 풍향조절수단(120)은 상기 토출구(7)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방안 전체에 골고루 확산되도록 토출공기의 방향을 상하 및 좌우조절하는 풍향모터(121)를 구동제어하고, 압축기구동수단(122)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Ts) 및 상기실내온도감지수단(106)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의 차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압축기(59)를 구동제어 한다.
실외팬모터구동수단(124)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Ts)와 상기 실내온도감지수단(106)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의 차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상기 실외열교환기(55)에서 열 교환된 공기를 실외로 송풍하도록 실외팬모터(125)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외팬(57)을 구동제어하고, 실내팬모터구동수단(126)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풍량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상기 실내열교환기(37)에서 열 교환된 공기(냉풍 또는 온풍)를 실내로 송풍하도록 실내팬모터(39)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내팬(41)을 구동제어 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사방밸브구동수단(128)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입력된 운전조건(냉방 또는 난방)에 따라 냉매가 순환하는 유로를 변경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사방밸브(51)를 온/오프 구동제어하고, 표시수단(130)은 상기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입력된 운전선택모드(자동, 냉방, 제습, 송풍, 난방 등)와 제상운전/제상완료를 표시하는 제상표시램프를 온/오프시킴은 물론,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를 표시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제6a도 내지 6d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 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차트로써, 제6a도 내지 6d도에서 5는 스텝(STEP)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동작설명을 위한 초기조건으로서 흡입구(3)와 토출구(7)는 폐쇄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먼저, 공기조화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수단(100)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상기 공기조화기의 구동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구동회로 및 제어 수단(104)에 출력한다.
따라서, 스텝S1에서는 상기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제어수단(104)에서 입력받아 공기조화기를 초기화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운전조작수단(102)을 조작하여 원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예를 들면, 난방)와 설정온도(Ts), 설정풍량을 입력한 다음 운전키를 누르면,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으로부터 운전선택신호 및 운전시작신호(이하, 운전신호라 한다)가 제어수단(104)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스텝S2에서 제어수단(104)은 상기 운전조작수단(102)으로부터 운전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하여, 운전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공기조화기를 운전대기상태로 유지하면서 스텝S2이하의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 스텝S2에서의 판별결과, 운전신호가 입력된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3으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폐쇄되어 있는 흡입구(3)를 개방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흡입구개폐구동수안(116)에 출력한다.
따라서, 흡입구개폐구동수단(116)에서는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흡입구모터(31)를 구동시킴으로써 흡입구모터(31)가 정방향으로 구동되면서 흡입구모터(31)의 축에 결합되어 있는 피니언(32)이 회전되고, 상기 피니언(32)의 일측에 기어 물림된 슬라이드부재(33)가 상승되고, 슬라이드부재(33)가 상승됨에 따라 슬라이드부재(33)의 일측에 일정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슬롯홈(33a)이 상승하고, 상기 슬롯홈(33a)이 상승됨에 따라 흡입그릴(34)의 돌기부(34b)가 원호형상을 한 가이드홈(35b)의 안내를 받아 회전 운동되고, 상기 돌기부(34b)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축(34a)은 고정홈(35a)에 고정되어 축을 이룸에 따라 상기 흡입그릴(34)이 일정각도로 회전되어 흡입구(3)를 개방시킨다.
이어서, 스텝S4에서 제어수단(104)은 폐쇄되어 있는 토출구(7)를 개방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토출구개폐구동수단(112)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토출구개폐구동수단(112)에서는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토출구모터(21)를 구동시킴으로써 토출구모터(21)가 정방향으로 구동되면서 토출구모터(21)의 축(22)에 결합되어 있는 피니언(23)이 이에 연동되어 랙(25)을 따라 하방으로 회전되어 랙(25)과 결합된 토출구도어(13)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토출구(7)를 개방시킨다.
이때, 스텝S5에서는 상기 토출구모터(21)의 구동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된 토출구도어(13)의 위치를 토출구개폐감지수단(114)에서 감지하고, 상기 흡입구모터(31)의 구동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33)의 상승위치를 흡입구개방감지수단(118)에서 감지한다.
따라서, 제어수단(104)에서는 상기 토출구개폐감지수단(114) 및 흡입구개방감지수단(118)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토출구도어(13)와 흡입그릴(34)이 열렸는지를 판별하여, 토출구도어(13)와 흡입그릴(34)이 열리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3으로 복귀하여 토출구도어(13)와 흡입그릴(34)이 열릴 때까지 토출구모터(21)와 흡입구모터(31)를 계속해서 구동시킨다.
상기 스텝S5에서의 판별결과, 토출구도어(13)와 흡입그릴(34)이 열린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6으로 나아가서 토출구개폐구동수단(112)은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토출구모터(21)의 구동을 정지시켜 토출구도어(13)의 열림 동작을 완료하고, 흡입구개폐구동수단(116)은 구동을 정지시켜 제어 수단(104)의 흡입그릴(34)의 열림동작을 완료한다.
상기 토출구도어 (13)와 흡입그릴(34)이 완전히 개방되면, 스텝S7에서는 운전조작수단(102)에 의해 입력된 운전조건이 난방운전인가를 판별하여, 난방운전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S71로 나아가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 또는 제습운전을 수행하면서 상기 스텝S7로 복귀하여 스텝S7이하의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 스텝S7에서의 판별결과, 난방운전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을 수행하기 위해 스텝S8에서 제어수단(104)은 사방밸브(5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사방밸브구동수단(128)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사방밸브구동수단(128)에서는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사방밸브를 온시킴으로써 냉매가 압축기(59)→사방밸브(51)→실내열교환기(37)→팽창밸브(54)→난방용 팽창밸브(55)→실외열교환기(55)→사방밸브(51)→압축기(59)순으로 순환되도록 한다.
이어서, 스텝S9에서는 흡입구(3)를 통해 본체(1)내로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Tr)를 실내온도감지수단(106)에서 감지하여 사용자가설정한 온도(Ts)가 실내온도(Tr)보다 큰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9에서의 판별결과, 설정온도(Ts)가 실내온도(Tr)보다 크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운전동작을 대기하면서 상기 스텝S9로 복귀하여 스텝S9이하의 동작을 반복 수행하고, 설정온도(Ts)가 실내온도(Tr)보다 큰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10으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실내온도(Tr)와 설정온도(Ts)의 차에 따라 압축기(123)의 운전주파수와 실외팬모터(125)의 회전수를 결정하여 압축기(123)와 실외팬(57)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압축기구동수단(122)과 실외팬모터구동수단(124)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구동수단(122)에서는 제어수단(104)에서 결정된 운전주파수에 따라 압축기(123)를 구동시키고, 실외팬모터구동수단(124)에서는 제어수단(104)에서 결정된 회전수에 따라 실외팬(57)을 구동시킨다.
이어서, 스텝S11에서는 압축기(59)의 구동에 의한 냉매의 순환시에 변화하는 실내열교환기(37)의 온도(Tip)를 실내배관온도감지수단(108)에서 간지하면, 스텝S12에서 제어수단(104)에서는 실내배관온도(Tip)의 아날로그데이타를 입력받아 디지탈로 변환하여 실내배관온도(Tip)가 소정온도(T4; 난방초기시 냉풍토출을 방지하는 배관온도)보다 큰 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12에서의 판별결과, 실내배관온도(Tip)가 소정온도(74)보다 크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실내로 냉풍이 토출될 수 있는 온도조건이라고 판단하여 상기 스텝S11로 복귀하여 스텝S11이하의 동작을 반복 수행하고, 실내배관온도(Tip)가 소정온도(74)보다 큰 경우(YES일 경우)에는 실내로 냉풍이 토출되지 않는 온도조건이라고 판단하여 스텝S13으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실내팬(9)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실내팬모터구동수단(126)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실내팬모터구동수단(126)은 설정풍량에 따라 실내팬모터(39)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내팬(41)을 구동시킨다.
상기 실내팬(41)이 구동하면, 스텝S14에서는 압축기(59)에 의해 고온고압의 기체로 압축된 냉매가 사방밸브(51)를 통해 실내열교환기(37)에 유입되고, 실내열교환기(37)에서는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기체냉매를 실내팬(4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로 열교환하여 상온고압의 냉매로 냉각시킴에 따라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가 실내열교환기(37)를 통과하면서 온풍으로 열교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37)에서 온풍으로 열교환된 공기는 상부로 이동되어 토출구(7)에 회동 가능케 설치된 상하풍향날개(9) 및 좌우풍향날개(11)의 풍향각도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풍향이 조절되면서 실내난방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실내열교환기(37)에서 액화된 더온고압의 액상냉매는 증발압력까지 팽창시키는 팽창밸브(53)와 난방용 팽창밸브(54)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로 갑압되어 실외열교환기(55)에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실외열교환기(55)에서는 팽창밸브(53)와 난방용팽창밸브(54)에서 감압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를 받아서 실외팬(57)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열교환하여 냉각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55)에서 냉각된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는 사방밸브(51)를 통해 다시 압축기(59)로 흡입되면서 도4의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반복 순환하는 난방싸이클을 형성하면서 실내난방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난방운전이 일정시간 수행되면, 실외팬(57)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실외열교환기(55)에서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열교환하여 냉각시킬 때에 외부로 배출되는 냉기에 의해 실외열교환기(55)의 표면에 성에가 착상되고, 이 착상된 성에가 시간이 지날수록 두터운 얼음으로 되어 실외기의 결빙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실외기의 결빙현상을 방지하기위해 실외열교환기(55)의 온도(Top)에 따른 제상운전조건을 체크해야 하므로 스텝S15에서는 난방운전시에 변화하는 실외열교환기(55)의 온도(Top)를 실외배관온도감지수단(110)에서 감지하면, 스텝S16에서 제어수단(104)에서는 실외배관온도(Top)의 아날로그데이타를 입력받아 디지탈로 변환하여 실외배관온도(Top)가 소정온도(T1; 난방운전시 실외열교환기에 성에가 착상되는 배관온도)이하인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16에서의 판별결과, 실외배관온도(Top)가 소정온도(T1)이하가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실외열교환기(55)에 성에가 착상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스텝S14로 복귀하여 난방운전을 계속해서 수행하면서 스텝S14이하의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S16에서의 판별결과, 실외배관온도(Top)가 소정온도(71)이하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17로 나아가서 실외배관온도(Top)가 소정온도(T1)이하로 소정시간(실외열교환기에 성에가 착상되어 결빙이 발생하는 시간, 약 10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14로 복귀하여 난방운전을 계속해서 수행하면서 스텝S14이하의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 스텝S17에서일 판별결과,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YES일 경우)에는 실외열교환기(55)에 성에가 착상되어 결빙이 발생하는 상태이므로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을 수행하기 위해 흡입구(3)와 토출구(7)를 폐쇄하도록 스텝S18에서 제어수단(104)은 개방되어 있는 흡입구(3)를 폐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흡입구개폐구동수단(116)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개폐구동수단에서는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흡입구모터(31)를 구동시킴으로써 흡입구모터(31)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서 흡입구모터(31)의 축에 결합되어 있는 피니언(32)이 역회전되고, 상기 피니언(32)의 일측에 기어물림된 슬라이드부재(33)가 하강되고, 슬라이드부재(33)가 하강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재(33)의 일측에 일정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슬롯홈(33a)이 하강하고, 상기 슬롯홈(33a)이 하강함에 따라 흡입그릴(34)의 돌기부(34b)가 원호형상을 한 가이드홀(35b)의 안내를 받아 회전 운동되고, 상기 돌기부(34b)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축(34a)은 고정홈(35a)에 고정되어 축을 이룸에 따라 상기 흡입그릴(34)이 일정각도로 회전되어 흡입구(3)를 폐쇄시킨다.
이때, 스텝S19에서는 상기 흡입구모터(31)의 닫힘구동시간을 제어수단(104)에서 카운터하여 소정시간(흡입그릴이 닫히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실험을 통해 산출한 데이터, 약 11.5초)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18로 복귀하여 흡입그릴(34)이 닫힐 때까지 흡입구모터(31)를 계속해서 구동시킨다.
상기 스텝S19에서의 판별결과,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YES일 경우)에는 흡입그릴(34)이 완전히 닫힌 상태라고 판단하여 스텝S20으로 나아가서 흡입구개폐구동수단(110)은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흡입구모터(31)의 구동을 정지시켜 흡입그릴(34)의 닫힘동작을 완료한다.
이어서, 스텝S21에서 제어수단(104)은 개방되어 있는 토출구(7)를 폐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토출구개폐구동수단(112)에 출력한다.
따라서, 토출구개폐구동수단(112)에서는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토출구모터(21)를 구동시킴으로써 토출구모터(21)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서 토출구모터(21)의 축(22)에 결합되어 있는 피니언(23)이 이에 연동되어 랙(25)을 따라 상방으로 회전되어 랙(25)과 결합된 토출구도어(13)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토출구(7)를 폐쇄시킨다.
이때, 스텝S22에서는 상기 토출구모터(21)의 구동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된 토출구도어(13)의 위치를 토출구개폐감지수단(114)에서 감지하고, 제어수단(104)에서는 토출구개폐감지수단(114)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토출구도어(13)가 닫혔는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22에서의 판별결과, 토출구도어(13)가 닫히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산기 스텝S21로 복귀하여 토출구도어(13)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토출구모터(21)를 계속해서 구동시키고, 토출구도어(13)가 닫힌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23으로 나아가서 토출구개폐구동수단(112)은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토출구모터(21)의 구동을 정지시켜 토출구도어(13)의 닫힘동작을 완료한다.
한편, 상기 스텝S18~스텝S20에서의 흡입구모터(31) 구동과, 상기 스텝S21~스텝S23에서의 토출구모터(21) 구동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나, 설명하기 용이하게 편의상 임의의 순서를 부여한 것이다.
이어서, 스텝S24에서 제어수단(104)은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을 수행하기 위해 실외팬모터(125)와 실내팬모터(39)를 정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실외팬모터구동수단(124)과 실내팬모터구동수단(126)에 출력함과 동시에 사방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사방밸브구동수단(128)에 출력하고, 표시수단(130)을 통해 제상표시램프를 온시켜 제상운전상태를 표시한다.
따라서, 상기 실외팬모터구동수단(124)에서는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실외팬모터(125)를 정지시켜 실외팬(57)의 구동을 정지하고, 실내팬모터구동수단(126)에서는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실내팬모터(39)를 정지시켜 실내팬(41)의 구동을 정지하며, 사방밸브구동수단(128)에서는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사방밸브(51)를 오프시킨다.
이에 따라, 스텝S25에서는 사방밸브(51)의 오프에 따라 냉매가 압축기(59)→사방밸브(51)→실외열교환기(55)→한방향밸브(56)→팽창밸브(53)→실내열교환기(37)→사방밸브(51)→압축기(59) 순으로 순환되는 냉방싸이클을 형성하면서 실외팬(57)과 실내팬(41)을 정지시켜 실외열교환기(55)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운전을 주행하는데, 이때에는 흡입구(3)와 토출구(7)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냉방싸이클시 자연대류에 의한 냉기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상운전이 일정시간 수행되면, 실외열교환기(55)에 착상된 성에가 제거되므로 실외열교환기(55)의 온도(Top)에 따른 제상완료조건을 체크해야 하므로 스텝S26에서는 제상운전시에 변화하는 실외열교환기(55)의 온도(Top)를 실외배관온도감지수단(110)에서 감지하여 소정온도(T2; 제상운전시 실외열교환기에 착상된 성에가 제거되는 배관온도)이 상인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25에서의 판별결과, 실외배관온도(Top)가 소정온도(72)이상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실외열교환기(55)에 착상된 성에가 제거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스텝S25로 복귀하여 제상운전을 계속해서 수행하면서 스텝S25이하의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S26에서의 판별결과, 실외배관온도(Top)가 소정온도(T2)이상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실외열교환기(55)에 착상된 성에가 제거된 상태이므로 스텝S27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을 수행하기 위해 실외팬모터(125)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실외팬모터구동수단(124)에 출력함과 동시에 사방밸브(5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사방밸브구동수단(128)에 출력하고, 표시수단(130)을 통해 제상표시램프를 오프시켜 제상완료상태를 표시한다.
따라서, 상기 실외팬모터구동수단(124)에서는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실외팬(57)을 구동시키고, 사방밸브구동수단(128)에서는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사방밸브(51)를 온시킴으로써 냉매가 압축기(59)→사방밸브(51)→실내열교환기(37)→팽창밸브(53)→난방용 팽창밸브(54)→실외열교환기(55)→사방밸브(51)→압축기(59)순으로 순환되는 난방싸이클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난방운전 중의 제상운전을 수행한 다음 다시 난방 운전을 수행하면, 실내열교환기(37)의 온도가 상승하므로 스텝S28에서는 난방운전시에 변화하는 실내열교환기(37)의 온도(Tip)를 실내배관온도감지수단(108)에서 감지하고, 스텝S29에서 제어수단(104)은 실내배관온도감지수단(108)에 의해 감지된 실내배관온도(Tip)가 소정온도(T3; 난방운전시 냉풍토출을 방지하는 배관온도)보다 큰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29에서의 판별결과, 실내배관온도(Tip)가 소정온도(73)보다 크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실내로 냉풍이 토출될 수 있는 온도조건이라고 판단하여 상기 스텝S28로 복귀하여 스텝S28이하의 동작을 반복 수행하고, 실내배관온도(Tip)가 소정온도(73)보다 큰 경우(YES일 경우)에는 실내로 냉풍이 토출되지 않는 온도조건이라고 판단하여 공기조화기의 정상난방운전을 수행하기 위해 흡입구(3)와 토출구(7)를 개방하도록 스텝S30에서 제어수단(104)은 폐쇄되어 있는 흡입구(3)를 개방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흡입구개폐구동수단(116)에 출력한다.
따라서, 흡입구개폐구동수단(116)에서는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흡입구모터(31)를 구동시킴으로써 흡입그릴(34)이 일정각도로 회전되어 흡입구(3)를 개방시키고, 스텝S31에서 제어수단(104)은 폐쇄되어 있는 토출구(7)를 개방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토출구개폐구동수단(112)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토출구개폐구동수단(112)에서는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토출구모터(21)를 구동시킴으로써 토출구도어(13)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토출구(7)를 개방시키고, 스텝S32에서는 상기 토출구모터(21)의 구동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된 토출구도어(13)의 위치를 토출구개폐감지수단(114)에서 감지하고, 상기 흡입구모터(31)의 구동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33)의 상승일치를 흡입구개방감지수단(118)에서 감지한다.
따라서, 제어수단(104)에서는 상기 토출구개폐감지수단(114) 및 흡입구개방감지수단(118)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토출구도어(13)와 흡입그릴(34)이 열렸는지를 판별하여, 토출구도어(13)와 흡입그릴(34)이 열리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30으로 복귀하여 토출구도어(13)와 흡입그릴(34)이 열릴 때까지 토출구모터(21)와 흡입구모터(31)를 계속해서 구동시킨다.
상기 스텝S32에서의 판별결과, 토출구도어(13)와 흡입그릴(34)이 열린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33으로 나아가서 토출구개폐구동수단(112)은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토출구모터(21)의 구동을 정지시켜 토출구도어(13)의 열림동작을 완료하고, 흡입구개폐구동수단(116)은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흡입구모터(31)의 구동을 정지시켜 흡입그릴(34)의 열림동작을 완료한다.
상기 토출구도어(13)와 흡입그릴(34)이 완전히 개방되면, 스텝S34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04)은 정상난방운전을 수행하기 위해 실내팬(41)을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실내팬모터구동수단(126)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실내팬모터구동수단(126)은 설정풍량에 따라 실내팬모터(39)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내팬(41)을 구동시키면서 상기 스텝S14로 복귀하여 난방운전을 수행하면서 스텝S14이하의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난방운전시 실외열교환기(55)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운전시에는 흡입구(3)와 토출구(7)를 폐쇄하고, 제상완료 후에도 일정온도 이상의 온풍토출이 가능할 때 흡입구(3)와 토출구(7)를 개방하여 자연대류에 의한 냉기토출을 방지함으로써 실내로 항상 온풍이 토출되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3)와,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37)와, 상기 실내열교환기(37)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7)와, 상기 토출구(7)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토출구(7)를 개폐하는 토출구도어(13)와, 상기 흡입구(3)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흡입구(3)를 개폐하는 흡입그릴(34)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시에 변화하는 실외열교환기(55)의 온도를 감지하는 실외배관온도감지수단(110)과, 상기 실외배관온도감지수단(110)에 의해 감지된 실외배관온도에 따라 상기 실외열교환기(55)의 결빙여부를 판단하여 제상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04)과, 상기 실외열교환기(55)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냉매가 순환하는 유로를 변경시키는 사방밸브(51)와, 상기 실외열교환기(55)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04)의 제어에 따라 압축기(59)를 구동하는 압축기구동수단(122)과, 상기 사방밸브(51) 및 압축기(59)의 구동에 의한 제상운전시 냉풍토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토출구도어(13)와 흡입그릴(34)을 폐쇄시키는 구동수단(21,31)과, 제상운전시 변화하는 상기 실내열교환기(37)의 온도를 감지하는 실내배관온도감지수단(10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04)은 상기 실외배관온도감지수단(110)에 의해 감지된 실외배관온도 및 상기 실내배관온도감지수단(108)에 의해 감지된 실내배관온도에 따라 상기 흡입구(3)와 토출구(7)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3.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시에 변화하는 실외열교환기(55)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실외열교환기(55)의 결빙여부를 판별하는 제상판별스텝과, 상기 제상판별스텝에서 제상조건이면 냉풍토출을 방지하도록 흡입구(3)와 토출구(7)를 폐쇄하면서 사방밸브(51)와 압축기(59)를 구동하여 상기 실외열교환기(55)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운전스텝과, 상기 사방밸브(51) 및 압축기(59)의 구동에 의한 제상운전시 변화하는 상기 실외열교환기(55)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상완료조건이면 상기 사방밸브(51)와 실외팬(57)을 구동하여 실내열교환기(37)를 가열시키는 배관가열스텝과, 상기 배관가열스텝에서 가열되는 상기 실내열교환기(37)의 배관온도를 감지하여 온풍토출조건이면 상기 흡입구(3)와 토출구(7)를 개방하면서 실내팬(41)을 구동하여 상기 실내열교환기(37)에 의해 열교환된 온풍을 토출하는 난방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난방스텝은 상기 실내열교환기(37)의 배관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의 온풍토출시점에 도달하면 상기 흡입구(3)와 토출구(7)를 개방하여 냉풍토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방법.
KR1019970008020A 1997-03-10 1997-03-10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197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020A KR100197725B1 (ko) 1997-03-10 1997-03-10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020A KR100197725B1 (ko) 1997-03-10 1997-03-10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988A KR19980072988A (ko) 1998-11-05
KR100197725B1 true KR100197725B1 (ko) 1999-06-15

Family

ID=19499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8020A KR100197725B1 (ko) 1997-03-10 1997-03-10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77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988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5640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방법
KR100248760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방법
JPH1078255A (ja) 空気調和機の開閉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187280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40101045A (ko) 공기 조화기
KR100197725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61695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기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197724B1 (ko) 공기조화기의 습도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100197726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25647B1 (ko) 공기조화기의 개폐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15069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1506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07829B1 (ko) 공기조화기의난방운전장치및그방법
KR100239541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197707B1 (ko) 공기조화기의 개폐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197721B1 (ko) 공기조화기의 습도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100244315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15067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197722B1 (ko)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08561B1 (ko) 공기조화기의덕트운전장치및그제어방법
KR0182579B1 (ko) 공기조화기의 풍량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100191524B1 (ko) 공기조화기의 풍향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187271B1 (ko) 공기조화기의 오토셔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39540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36724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