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7685B1 - 공기조화기의 국부냉방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국부냉방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7685B1
KR100197685B1 KR1019950046078A KR19950046078A KR100197685B1 KR 100197685 B1 KR100197685 B1 KR 100197685B1 KR 1019950046078 A KR1019950046078 A KR 1019950046078A KR 19950046078 A KR19950046078 A KR 19950046078A KR 100197685 B1 KR100197685 B1 KR 100197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indoor
heat exchanger
local cooling
excha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6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7351A (ko
Inventor
염선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50046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7685B1/ko
Publication of KR970047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7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7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76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8Personalised air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한 국부용 덕트관을 이용하여 원하는 신체부위에 냉기를 집중공급하는 공기조화기의 국부냉방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내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원하는 신체부위로 토출시키도록 토출구의 타측면에 형성된 냉기유출구와, 상기 냉기유출구에 연통되게 결합되어 냉기의 토출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플렉시블형상의 국부용 덕트관과, 상기 실내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상기 덕트관으로 유입시키도록 상기 덕트관의 일측 입구에 설치된 송풍팬과, 국부냉방 운전신호를 입력하는 국부냉방스위치와, 상기 국부냉방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국부냉방 운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실내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기가 상기 덕트관으로 유입되어 원하는 신체부위에 공급되도록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송풍팬모터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국부냉방제어장치
제1도는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2도는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냉동싸이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국부냉방 제어장치의 제어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주요구성부분의 상세한 회로도.
제6a도 및 제6b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국부냉방제어 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흡입구
5 : 토출구 11 : 실내열교환기
13 : 송풍수단 15 : 실내팬모터
17 : 실내팬 19 : 송풍덕트
30 : 국부냉기공급수단 31 : 냉기유출구
32 : 냉기안내부 33 : 덕트관
34 : 송풍모터 35 : 송풍팬
40 : 전원수단 45 : 운전조작수단
46 : 국부냉방스위치 50 : 제어수단
55 : 실내온도감지수단 60 : 압축기구동수단
65 : 실외팬모터구동수단 70 : 실내팬모터구동수단
75 : 송풍팬모터구동수단 80 : 표시수단
본 발명은 플렉시블한 국부용 덕트관을 이용하여 원하는 신체부위에 국부적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공기조화기의 국부냉방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내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체(1)의 전면하부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의 전면상부에는 열교환된 찬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토출구(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5)에는 실내로 토출되는 찬 공기의 방향을 상하 및 좌우로 조절하는 풍향상하조절날개(7) 및 풍향좌우조절날개(9)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본체(1)의 내부하단에는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찬 공기로 열교환하도록 일자형상의 실내열교환기(1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내열교환기(11)의 상부에는 상기 흡입구(3)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상기 실내열교환기(11)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5)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키는 송풍수단(13)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송풍수단(13)은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하는 실내팬모터(15)와, 상기 실내팬모터(15)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모터축(16)에 결합되어 있는 실내팬(17)과, 상기 실내팬(17)을 카바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토출구(5)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송풍덕트(19)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리모콘이나 실내기의 콘트롤판넬상에 구비된 운전조작부를 조작하여 원하는 희망온도(이하, 설정온도라 한다)를 설정한 다음 운전스위치를 온시키면, 실내팬(17)이 구동되면서 이때의 변화하는 실내온도를 감지하여 설정온도와 비교한다.
상기 비교결과,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실내온도와 설정온도의 차에 따라 압축기(21)의 운전주파수와 실외팬(24)의 회전수를 결정하여 압축기(21)와 실외팬(24)을 구동시킨다.
상기 압축기(21)가 구동되면, 압축기(21)에 의해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된 냉매가 실외열교환기(23)에 유입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23)에서는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기체냉매를 실외팬(24)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로 열교환하여 냉매를 강제냉각시켜 액화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23)에서 액화된 저온고압의 액상냉매는 증발압력까지 팽창시키는 팽창밸브(25)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로 감압되어 실내열교환기(11)에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열교환기(11)에서는 팽창밸브(25)에서 감압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가 여러개의 파이프를 통과하면서 증발하여 기화할 때 실내팬(17)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서 열을 빼앗아 실내공기를 냉각시킨다음, 그 냉각된 공기(냉풍)를 실내로 토출해서 냉방을 행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1)에서 냉각된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는 다시 상기 압축기(21)로 흡입되어 제2도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반복순환하는 냉동싸이클을 형성하면서 실내냉방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냉동싸이클을 형성하면서 실내냉방을 수행하는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실내팬(17)의 회전에 의해 흡입구(3)를 통해 실내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는 실내열교환기(11)를 통과하면서 실내열교환기(11)내에 흐르는 냉매의 증발에 의해 찬 공기로 열교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1)에서 열교환된 찬 공기는 송풍덕트(19)에 의해 상부로 안내되어 본체(1)의 전측면 상부에 형성된 토출구(5)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므로 사용자가 본체(1)의 앞에 서 있을 경우 찬바람이 얼굴과 흉부에만 공급되어 원하는 신체부위를 국부적으로 시원하게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국부용 덕트관을 이용하여 찬 공기를 원하는 신체부위에 국부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단시간내에 더위를 식혀줄 수 있으면서도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국부냉방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국부냉방 제어장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찬 공기로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상기 실내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키는 송풍수단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원하는 신체부위로 토출시키도록 상기 토출구의 타측면에 형성된 냉기유출구와, 상기 냉기유출구에 연통되게 결합되어 냉기의 토출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플렉시블형상의 국부용 덕트관과, 상기 실내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상기 덕트관으로 유입시키도록 상기 덕트관의 일측 입구에 설치된 송풍팬과, 국부냉방 운전신호를 입력하는 국부냉방스위치와, 상기 국부냉방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국부냉방 운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실내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기가 상기 덕트관으로 유입되어 원하는 신체부위에 공급되도록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송풍팬모터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써,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명기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체(1)의 일측면에는 실내열교환기(11)에서 열교환된 찬 공기를 원하는 신체부위에 국부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국부냉기공급수단(3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국부냉기공급수단(30)은 상기 실내열교환기(11)에서 열교환된 찬 공기를 측정부위로 토출하도록 상기 본체(1)의 일측면에 형성된 냉기유출구(31)와, 상기 냉기유출구(31)로 토출되는 냉기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상기 냉기유출구(31)에 결합된 냉기안내부(32)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냉기유출구(31)로 토출되는 냉기의 흐름을 안내함과 동시에 냉기의 토출각도를 자유자재롭게 조절하도록 상기 냉기유출구(31)에 연통되게 결합된 국부용 덕트관(33; 이하, 덕트관이라 한다)과, 상기 덕트관(33)을 통해 안내되는 냉기가 원하는 신체부위에 국부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덕트관(33)의 입구에 장착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송풍모터(34)와, 상기 송풍모터(34)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3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덕트관(33)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면서 냉기의 토출각도를 자유자재롭게 조절하도록 플렉시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국부냉방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장치의 블록도를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원수단(40)은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운전조작수단(45)은 사용자가 원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조건(냉방, 난방, 청정, 제습 등)과 설정온도(Ts), 상기 토출구(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설정풍량 및 설정풍향을 입력하도록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함은 물론,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온/오프 선택하는 운전스위치와, 국부냉방을 온/오프 선택하는 국부냉방스위치(46)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50)은 상기 전원수단(4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공기조화기를 초기화시킴은 물론, 상기 운전조작수단(45)에 의해 입력된 운전조건에 따사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체적인 공조운전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로써, 이 제어수단(50)은 상기 국부냉방스위치(46)의 온/오프신호에 따라 송풍모터(34)에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실내온도감지수단(55)은 상기 운전조작수단(45)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Ts)로 실내온도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을 수행하도록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Tr)를 감지하여 그 감지된 실내온도데이타(Tr)를 상기 제어수단(50)에 출력한다.
또, 압축기구동수단(60)은 상기 운전조작수단(45)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Ts)와 상기 실내온도감지수단(55)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의 차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5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압축기(21)를 구동제어하고, 실외팬모터구동수단(65)은 상기 제어수단(5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설정온도(Ts)와 실내온도(Tr)의 차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실외팬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외팬(24)을 구동제어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실내팬모터구동수단(70)은 상기 운전조작수단(45)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풍량에 따라 상기 실내열교환기(11)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송풍하도록 상기 제어수단(5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실내팬모터(15)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내팬(17)을 구동시키고, 송풍팬모터구동수단(75)은 상기 운전조작수단(45)에 구비된 국부냉방스위치(46)의 온/오프선택에 따라 상기 실내열교환기(11)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원하는 신체부위에 국부적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제어수단(5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송풍모터(34)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송풍팬(35)을 구동시킨다.
표시수단(80)은 상기 제어수단(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운전조작수단(45)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운전조건과 설정온도(Ts)를 표시함은 물론,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를 표시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국부냉방제어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제6a도 및 제6b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국부냉방제어 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로써, 제6a도 및 제6b도에서 S는 스텝(Step)을 표시한다.
먼저, 공기조화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수단(40)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상기 공기조화기의 구동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구동회로 및 제어수단(50)에 출력한다.
따라서, 스텝S1에서는 상기 전원수단(4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제어수단(50)에서 입력받아 상기 공기조화기를 초기화시키고, 스텝S2에서는 운전조작수단(45)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운전조건과 설정온도(Ts), 설정풍량 및 설정풍향을 제어수단(50)에 입력한다.
이어서, 스텝S3에서는 운전스위치가 온되었는지를 판별하여, 운전스위치가 온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운전스위치가 온될때까지 공기조화기를 운전대기상태로 유지하면서 스텝S3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3에서의 판별결과, 운전스위치가 온된 경우(YES일 경우)에는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을 수행하기위해 스텝S4로 나아가서 제어수단(50)은 실내팬(17)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실내팬모터구동수단(70)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내팬모터구동수단(70)에서는 운전조작수단(45)에 의해 입력된 설정풍량에 따라 제어수단(5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실내팬모터(15)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내팬(17)을 구동시킨다.
상기 실내팬(17)이 설정풍량에 따라 구동하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흡입구(3)를 통해 실내공기가 본체(1)내로 흡입되는데, 스텝S5에서는 상기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Tr)를 실내온도감지수단(55)에서 감지하여 제어수단(50)에 출력한다.
따라서, 스텝S6에서는 상기 실내온도감지수단(55)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가 운전조작수단(45)에 의해 입력된 설정온도(Ts)보다 큰가를 판별하여,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s)보다 크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실내를 냉방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스텝S5로 복귀하여 계속해서 실내온도(Tr)를 감지하면서 스텝S5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6에서의 판별결과,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s)보다 큰 경우(YES일 경우)에는 실내를 냉방시켜야 하므로 스텝S7에서는 상기 실내팬(17)구동후에 소정시간(압축기를 보호하기위한 지연시간; 약, 3분정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4로 복귀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할때까지 실내팬(17)만을 구동시킨다.
상기 스텝S7에서의 판별결과,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YES일 경우)에는 소비전류가 일정하여 압축기(21)를 구동시켜도 상기 압축기(21)에 무리가 없으므로 스텝S8에서 제어수단(50)은 실내온도(Tr)와 설정온도(Ts)의 차에 따라 압축기(21)의 운전주파수를 결정하여 압축기(21)를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압축기구동수단(60)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기구동수단(60)에서는 제어수단(50)에서 결정된 운전주파수에 따라 압축기(21)를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50)에서는 실내온도(Tr)와 설정온도(Ts)의 차에 따라 실외팬모터의 회전수를 결정하여 실외팬(24)을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실외팬모터구동수단(65)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실외팬모터구동수단(65)에서는 제어수단(50)에서 결정된 회전수에 따라 실외팬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외팬(24)을 구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압축기(21)와 실외팬(24)이 구동되면, 스텝S9에서는 압축기(21)에 의해 고온고압의 기체로 압축된 냉매가 제2도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실외열교환기(23)에 유입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23)에서는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기체냉매를 실외팬(24)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로 열교환하여 냉매를 강제냉각시켜 액화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23)에서 액화된 저온고압의 액상냉매는 증발압력까지 팽창시키는 팽창밸브(25)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로 감압되어 실내열교환기(11)에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열교환기(11)에서는 팽창밸브(25)에서 감압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가 여러개의 파이프를 통과하면서 증발하여 기화할 때 실내팬(17)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서 열을 빼앗아 실내공기를 찬 공기로 열교환시키는데, 상기 실내팬(17)에 의해 실내공기를 열교환하는 동작을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실내팬(17)이 설정풍량에 따라 구동하면, 흡입구(3)를 통해 실내공기가 본체(1)내로 흡입되고,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는 실내열교환기(11)를 통과하면서 실내열교환기(11)내에 흐르는 냉매의 증발에 의해 찬 공기로 열교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1)에서 열교환된 찬 공기는 송풍덕트(19)에 의해 상부로 안내되어 본체(1)의 전측면 상부에 형성된 토출구(5)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를 냉방시킨다.
이때, 스텝S10에서는 국부냉방스위치(46)가 온되었는지를 판별하여, 국부냉방스위치(46)가 온된 경우(YES일 경우)에는 제어수단(50)의 입력단자(P1)에 로우레벨의 전압신호가 입력되므로 제어수단(50)에서는 사용자가 국부냉방을 선택하였다고 판단하면서 스텝S11로 나아가서 사용자가 원하는 신체부위에 국부적으로 냉기를 공급하도록 송풍팬모터구동수단(75)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송풍팬모터구동수단(75)에서는 제어수단(5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송풍모터(34)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송풍모터(34)가 구동을 시작한다.
상기 송풍모터(34)가 구동하면, 스텝S12에서는 송풍모터(34)의 축에 결합되어 있는 송풍팬(35)이 회전하면서 실내열교환기(11)에서 열교환된 찬 공기가 냉기안내부(32)의 안내에 따라 냉기유출구(31)로 강제로 유입되고, 상기 냉기유출구(31)로 유입된 냉기는 덕트관(33)을 통해 안내되어 본체(1)의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사용자는 본체(1)의 외부로 돌출된 덕트관(33)의 끝단을 잡고 실내의 특정부위 예를들면, 원하는 신체부위로 옮겨 다니면서 냉기가 신체에 직접 접촉되게 함으로써 단시간내에 원하는 신체부위를 식혀주는 국부냉방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냉방운전 및 국부냉방이 일정시간 수행되면, 실내온도(Tr)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Ts)로 점차 떨어지므로 수텝S13에서는 변환하는 실내온도(Tr)를 실내온도감지수단(55)에서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50)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스텝S14에서는 상기 실내온도감지수단(55)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s)와 같은가를 판별하여,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s)와 같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냉방운전을 계속해서 수행해야 하므로 상기 스텝S13으로 복귀하여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s)와 같아질때까지 계속해서 실내온도(Tr)를 감지하면서 스텝S13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14에서의 판별결과,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s)와 같은 경우(YES일 경우)에는 냉방운전을 정지해야 하므로 스텝S15로 나아가서 상기 제어수단(50)의 제어에 따라 압축기(21)와 실외팬(24)의 구동을 정지하면서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스텝S10에서의 판별결과, 국부냉방스위치(46)가 온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압(Vcc)이 저항(R1)을 통해 제어수단(50)의 입력단자(P1)에 인가되어 입력단자(P1)에는 하이레벨의 전압신호가 입력되므로 상기 제어수단(50)에서는 사용자가 국부냉방을 선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서 상기 스텝S13으로 나아가서 스텝S13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국부냉방제어장치에 의하면, 국부용 덕트관을 이용하여 찬 공기를 원하는 신체부위에 국부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단시간내에 더위를 식혀줄 수 있으면서도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찬 공기로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임함과 동시에 상기 실내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키는 송풍수단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원하는 신체부위로 토출시키도록 상기 토출구의 타측면에 형성된 냉기유출구와, 상기 냉기유출구에 연통되게 결합되어 냉기의 토출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플렉시블형상의 국부용 덕트관과, 상기 실내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상기 덕트관으로 유입시키도록 상기 덕트관의 일측 입구에 설치된 송풍팬과, 국부냉방 운전신호를 입력하는 국부냉방스위치와, 상기 국부냉방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국부냉방 운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실내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기가 상기 덕트관으로 유입되어 원하는 신체부위에 공급되도록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송풍팬모터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국부냉방제어장치.
KR1019950046078A 1995-12-01 1995-12-01 공기조화기의 국부냉방제어장치 KR100197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6078A KR100197685B1 (ko) 1995-12-01 1995-12-01 공기조화기의 국부냉방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6078A KR100197685B1 (ko) 1995-12-01 1995-12-01 공기조화기의 국부냉방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351A KR970047351A (ko) 1997-07-26
KR100197685B1 true KR100197685B1 (ko) 1999-06-15

Family

ID=19437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6078A KR100197685B1 (ko) 1995-12-01 1995-12-01 공기조화기의 국부냉방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768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351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08395B2 (ja) 空気調和機
KR100248760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방법
JPH0933146A (ja) 空気調和機の除霜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040101045A (ko) 공기 조화기
KR100197685B1 (ko) 공기조화기의 국부냉방제어장치
KR10021506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31056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KR100244315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39541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52112B1 (ko) 공기조화기의 냉방제어장치
KR100307224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장치
KR100231055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KR100231049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308561B1 (ko) 공기조화기의덕트운전장치및그제어방법
KR100239540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15067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31057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 제어방법
KR100307829B1 (ko) 공기조화기의난방운전장치및그방법
KR100244316B1 (ko) 공기조화기의온도제어장치및그방법
KR19990026263A (ko)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제어방법
KR10022563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방법
KR100281803B1 (ko) 공기조화기의 드라이 운전제어방법
KR100239539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34077B1 (ko) 공조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187265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기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