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2112B1 - 공기조화기의 냉방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냉방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112B1
KR0152112B1 KR1019940034687A KR19940034687A KR0152112B1 KR 0152112 B1 KR0152112 B1 KR 0152112B1 KR 1019940034687 A KR1019940034687 A KR 1019940034687A KR 19940034687 A KR19940034687 A KR 19940034687A KR 0152112 B1 KR0152112 B1 KR 0152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air
indoor
air condition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4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4082A (ko
Inventor
한근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34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2112B1/ko
Publication of KR960024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4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1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시에 증발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증발기에서 재열교환시킴으로써 냉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냉방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제어수단과,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가 증발기에 의해 1차 열교환되도록 함과 동시에 덕트부재의 안내에 따라 1차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에 의해 2차 열교환되도록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구동하는 제1실내팬과,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가 상기 증발기에 의해 1차 열교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증발기에 의해 2차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도록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구동하는 제2실내팬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냉방제어장치
제1도는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개략단면도.
제2도는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냉동싸이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개략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방제어장치의 제어블록도.
제5a도및 제5b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방제어 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직류전원수단 35 : 운전조작수단
30 : 제어수단 40 : 실내온도감지수단
50 : 압축기구동수단 60 : 실외팬모터구동수단
61 : 실외팬 70 : 제1실내팬모터구동수단
80 : 제2실내팬모터구동수단 90 : 표시수단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시에 증발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증발기에서 재열교환시킴으로써 냉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냉방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내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공기를 흡입하도록 본체(1)의 전면상부에 형성된 흡입구(2)와, 상기 흡입구(2)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에 부유하는 먼지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흡입구(2)의 후측에 장착된 에어필터(4)와, 상기 흡입구(2)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찬 공기로 열교환하도록 상기 에어필터(4)의 후측에 장착된 증발기(54)와, 상기 흡입구(2)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증발기(54)에서 열교환하여 냉각시킬때에 생성되는 공기중의 수분 즉, 증발수를 모아 외부로 배수하도록 상기 증발기(54)의 하부에 장착된 증발접시(55)와, 상기 증발기(54)에 의해 열교환된 찬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도록 상기 본체(1)의 전면하부에 형성된 토출구(3)와, 상기 토출구(3)를 통해 토출되는 찬 공기를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풍향조절하도록 상기 토출구(3)의 후측에 장착된 풍향상하조절날개(31) 및 풍향좌우조절날개(32)와, 상기 흡입구(2)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상기 증발기(54)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3)를 통해 실내로 토출하도록 상기 증발기(54)의 후측하부에 장착된 블로워팬(이하, 실내팬이라 한다)과, 상기흡입구(2)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토출구(3)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본체(1) 내부에 장착된 덕트부재(1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희망온도를 설정한다음 동작스위치를 온시키면, 실내팬이 구동되면서 이때의 변화하는 실내온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실내온도데이타를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온도데이타와 비교한다.
상기 비교결과, 실내온도가 희망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실내온도와 희망온도의 차에 따라 압축기의 운전주파수와 실외팬의 회전수를 결정하여 도시되지 않은 실외기의 압축기와 실외팬을 구동시킨다.
상기 압축기(51)가 구동되면, 압축기(51)에 의해 고온고압의 기체로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52)에 유입되고, 상기 응축기(52)에서는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기체냉매를 실외팬(6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로 열교환하여 냉매를 강제냉각시켜 액화한다.
상기 응축기(52)에서 액화된 저온고압의 액상냉매는 증발압력까지 팽창시키는 팽창밸브(53)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로 감압되어 증발기(54)에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54)에서는 팽창밸브(53)에서 감압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가 여러개의 파이프를 통과하면서 증발하여 기화할때 실내팬(7)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서 열을 빼앗아 실내공기를 냉각시킨다음, 그 냉각된 공기(냉풍)실내로 토출해서 냉방을 행하고, 상기 증발기(54)에서 냉각된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는 다시 상기 압축기(51)로 흡입되어 제2도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반복순환하는 냉동싸이클를 형성하면서 냉방운전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냉동싸이클을 형성하면서 냉방운전을 수행하는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자형상의 증발기(54)가 실내기본체(1)내에 일정한 각도로 경사져 장착되어 있고, 상기 증발기(54)의 후측하부에 1개의 실내팬(7)이 회전가능토록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실내팬(7)의 회전시에 흡입구(2)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는 실내팬(7)과 근접된 증발기(54)의 하부측으로 많이 통과되면서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반면, 상기 실내팬(7)과 떨어진 상기 증발기(54)의 상부측은 증발기(54)의 하부측과는 상대적으로 실내공기가 적게 통과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증발기(54)의 전체적인 열교환능력이 저하될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냉방효율의 저하로 소비전력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기의 상하부에 두개의 실내팬을 장착하여 실내공기가 통과하는 증발기의 접촉면을 크게 함으로써 상기 증발기의 전체적인 열교환능력을 높일 수 있을뿐만 아니라, 상기 증발기의 상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증발기의 하부에서 재열교환시킴으로써 냉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냉방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방제어장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찬 공기로 열교환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덕트부재로 구성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제어수단과,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가 상기 증발기에 의해 1차 열교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덕트부재의 안내에 따라 1차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에 의해 2차 열교환되도록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구동하는 제1실내팬과,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가 상기 증발기에 의해 1차 열교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증발기에 의해 2차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도록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구동하는 제2실내팬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개략단면도로써, 제1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참조부호 1은 실내기의 본체이고, 상기 본체(1)의 전면상부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의 전면하부에는 후술하는 증발기에 의해 열교환된 찬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토출구(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2)의 후측에는 상기 흡입구(2)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에 부유하는 먼지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어필터(4)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토출구(3)의 후측에는 상기 토출구(3)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찬 공기를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풍향조절하는 풍향상하조절날개(31) 및 풍향좌우조절날개(32)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2)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찬 공기로 열교환하도록 상기 흡입구(2)의 후측에 일정한 각도로 절곡된 증발기(54)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증발기(54)의 하부에는 상기 흡입구(2)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상기 증발기(54)에서 열교환하여 냉각시킬때에 생성되는 공기중의 수분 즉, 증발수를 한 곳으로 모아 외부로 배수하도록 증발접시(55)가 장착되어 있다.
또, 상기 증발기(54)의 후측에는 상기 흡입구(2)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상기 증발기(54)에 의해 열교환된 찬 공기를 상기 토출구(3)를 통해 실내로 토출하도록 상기 증발기(54)의 상하부에 제1 및 제2실내팬(7,8)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본체(1)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2)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토출구(3)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덕트부재(6)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덕트부재(6)는 상기 증발기(54)의 후측상부에 장착된 상기 제1실내팬(7)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증발기(54)의 상부측을 통과하면서 1차 열교환된 찬 공기를 상기 증발기(54)의 하부측으로 재차 통과시켜 2차 열교환되도록 그 상부단이 내측으로 절곡형성된 곡선부(6a)와, 상기 증발기(54)의 후측하부에 장착된 상기 제2실내팬(8)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증발기(54)의 하부측을 통과하면서 1차 열교환된 찬 공기와 함께 상기 곡선부(6a)의 안내에 따라 상기 증발기(54)의 하부측을 통과하면서 2차 열교환된 찬 공기를 상기 토출구(3)를 통해 실내로 토출하도록 그 하부단이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경사부(6b)와, 상기 곡선부(6a)와 경사부(6b)의 사이에 수직되게 형성된 민자부(6c)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54)는 그 상하단이 상기 흡입구(2)를 향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그 중앙이 절곡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실내팬(7,8)은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덕트부재(6)의 내부에 대해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냉방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장치의 블록도를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류전원수단(20)은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입력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원의 전원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운전조작수단(25)은 사용자가 원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조건(냉방, 제습, 청정, 예약운전, 운전/정지 등)과 희망온도(Ts), 시간, 풍량 및 풍향을 설정하도록 다수의 기능키를 상기 공기조화기의 콘트롤판넬 및 리모콘에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30)은 상기 직류전원수단(2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공기조화기를 초기화시킴은 물론, 상기 운전조작수단(25)에 의해 입력된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이고, 실내온도감지수단(40)은 상기 운전조작수단(25)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Ts)로 실내온도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을 수행하도록 상기 흡입구(2)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Tr)를 감지하여 그 감지된 실내온도데이타(Tr)를 상기 제어수단(30)에 출력한다.
또한, 압축기구동수단(50)은 상기 운전조작수단(25)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Ts)와 상기 실내온도감지수단(40)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의 차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3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실내의 냉방운전을 수행하도록 압축기(51)를 구동제어하고, 실외팬모터구동수단(60)은 상기 제어수단(3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상기 응축기(52)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실외로 송풍하도록 실외팬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외팬(61)을 구동제어한다.
또, 제1실내팬모터구동수단(70)은 상기 운전조작수단(25)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설정풍량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3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상기 증발기(54)의 상부측을 통과하면서 1차 열교환된 찬 공기를 상기 증발기(54)의 하부측으로 재차 통과시키도록 도시되지 않은 제1실내팬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제1실내팬(7)을 구동제어하고, 제2실내팬모터구동수단(80)은 상기 운전조작수단(25)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설정풍량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3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상기 증발기(54)의 하부측을 통과하면서 1차 열교환된 찬 공기와 상기 곡선부(6a)의 안내에 따라 상기 증발기(54)의 하부측을 통과하면서 2차 열교환된 찬 공기를 상기 토출구(3)를 통해 실내로 토출하도록 도시되지 않은 제2실내팬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제2실내팬(8)을 구동제어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표시수단(90)은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운전조작수단(25)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운전조건을 표시함은 물론,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를 표시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냉방제어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제5a도 및 제5b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방제어 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로써, 제5a도 및 제5b도에서 S는 스텝(Step)을 표시한다.
먼저, 공기조화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직류전원수단(20)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입력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원의 전원전압을 상기 공기조화기의 구동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구동회로 및 제어수단(30)에 출력한다.
따라서, 스텝 S1에서는 상기 직류전원수단(2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제어수단(30)에서 입력받아 상기 공기조화기를 초기화시키고, 스텝 S2에서는 운전조작수단(25)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조건(냉방, 청정, 제습, 인공지능 등)과 설정온도(Ts) 및 실내토출풍량을 상기 제어수단(30)에 입력한다.
이어서, 스텝 S3에서 상기 제어수단(30)은 상기 스텝 S2에서의 운전조작수단(25)에 의해 입력된 운전조건이 '냉방운전모드'인가를 판별하여, '냉방운전모드'가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 S2로 복귀하여 공기조화기를 운전대기 상태로 유지하면서 스텝 S2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 S3에서의 판별결과, 상기 운전조작수단(25)에 의해 입력된 운전조건이 '냉방운전모드'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을 수행하기위해 스텝 S4로 나아가서 상기 제어수단(30)에서는 제1 및 제2실내팬(7,8)을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제1 및 제2실내팬모터구동수단(70,8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1실내팬모터구동수단(70)에서는 상기 운전조작수단(25)에 의해 입력된 설정풍량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3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도시되지 않은 제1실내팬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제1실내팬(7)을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실내팬모터구동수단(80)에서는 상기 운전조작수단(25)에 의해 입력된 설정풍량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3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도시되지 않은 제2실내팬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제2실내팬(8)을 구동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실내팬(7,8)이 설정풍량에 따라 구동을 시작하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2)를 통해 실내공기가 실내기본체(1)내로 흡입되는데, 스텝 S5에서는 상기흡입구(2)를 토어해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Tr)를 실내온도감지수단(40)에서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30)에 출력한다.
따라서, 스텝 S6에서는 상기 실내온도감지수단(40)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가 상기 운전조작수단(25)에 의해 입력된 설정온도(Ts)보다 큰가를 판별하여,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s)보다 크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공기조화기를 냉방운전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스텝 S5로 복귀하여 계속해서 실내온도(Tr)를 감지하면서 스텝 S5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 S6에서의 판별결과,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s)보다 큰 경우(YES일 경우)에는 실내를 냉방시켜야 하므로 스텝 S7에서는 상기 스텝 S4에서의 제1 및 제2실내팬(7,8)구동후에 소정시간(압축기를 보호하기위한 지연시간; 약, 3분정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 S4으로 복귀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할때까지 제1 및 제2실내팬(7,8)만을 구동시킨다.
상기 스텝 S7에서의 판별결과,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YES일 경우)에는 소비전류가 일정하여 압축기(51)를 구동시켜도 상기 압축기(51)에 무리가 없으므로 스텝 S8에서 상기 제어수단(30)은 실내온도(Tr)와 설정온도(Ts)의 차에 따라 압축기(51)의 운전주파수를 결정하여 상기 압축기(51)를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압축기구동수단(5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구동수단(50)에서는 제어수단(30)에서 결정된 운전주파수에 따라 압축기(51)를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30)에서는 상기 실내온도감지수단(40)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와 상기 운전조작수단(25)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온도(Ts)의 차에 따라 실외팬(61)의 회전수를 결정하여 상기 실외팬(61)을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실외팬모터구동수단(6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실외팬모터구동수단(60)에서는 제어수단(30)에서 결정된 회전수에 따라 실외팬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외팬(61)을 구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압축기(51)와 실외팬(61)이 구동되면, 스텝 S9에서는 상기 압축기(51)에 의해 고온고압의 기체로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52)에 유입되고, 상기 응축기(52)에서는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기체냉매를 실외팬(6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로 열교환하여 냉매를 강제냉각시켜 액화한다.
상기 응축기(52)에서 액화된 저온고압의 액상냉매는 증발압력까지 팽창시키는 팽창밸브(53)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로 감압되어 증발기(54)에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54)에서는 팽창밸브(53)에서 감압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가 여러개의 파이프를 통과하면서 증발하여 기화할때 제1 및 제2실내팬(7,8)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서 열을 빼앗아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는데, 상기 제1 및 제2실내팬(7,8)에 의해 실내공기를 열교환하는 동작을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1 및 제2실내팬(7,8)이 설정풍량에 따라 구동을 시작하면, 상기 흡입구(2)를 통해 실내공기가 실내기본체(1)내로 흡입되는데, 흡입구(2)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에는 먼지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실내공기에 포함되어 부유하는 먼지등의 이물질은 상기 흡입구(2)의 후측에 근접되게 장착된 에어필터(4)를 통과하면서 제거되고, 먼지등의 이물질이 제거된 실내공기는 상기 제1 및 제2실내팬(7,8)의 구동에 따라 증발기(54)의 상하측으로 유입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증발기(54)의 후측상부에 장착된 제1실내팬(7)의 구동에 따른 회전력으로 상기 흡입구(2)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는 상기증발기(54)의 상부측을 통과하면서 1차 열교환됨과 동시에 덕트부재(6)의 상부측으로 안내되고, 상기 덕트부재(6)의 상부측으로 안내된 찬 공기는 덕트부재(6)의 상부단에 형성된 곡선부(6a)의 안내를 받아 제3도에 도시된 화살표(A)방향으로 급선회되면서 그 곡선부(6a)의 단부와 상기 증발기(54)의 상부측 전면과의 사이 간극(G)을 통하여 증발기(54)의 전면하부로 안내된다.
상기 증발기(54)의 전면하부로 안내된 찬 공기는 상기 흡입구(2)를 통해 흡입되는 최초의 실내공기와 만나게 되어 혼합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2)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는 상기 증발기(54)의 상부측을 통과하면서 1차 열교환된 찬 공기에 의해 온도가 어느정도 떨어지게 되고, 상기 증발기(54)의 상부측을 통과하면서 1차 열교환된 찬 공기에 의해 온도가 어느정도 떨어진 실내공기는 상기 증발기(54)의 하부측을 통과하면서 2차 열교환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54)의 하부측을 통과하면서 2차 열교환된 찬 공기는 상기 증발기(54)의 후측하부에 장착된 제2실내팬(8)의 구동에 따른 회전력으로 토출구(3)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를 냉방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실내팬(8)의 구동에 따른 회전력으로 상기 흡입구(2)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는 제3도에 도시된 화살표(B)방향으로 상기 증발기(54)의 하부측을 통과하면서 열교환되어 상기 토출구(3)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므로 측정상의 냉방능력은 기준대로 산출되지만,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 사용자가 시원함을 느끼지 못하는 종래의 공기조화기와는 달기 저온의 찬 공기를 짧은 시간내에 실내에 제공하므로 쾌적한 냉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냉방운전이 일정시간 수행되면, 실내온도(Tr)가 짧은 시간내에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Ts)로 떨어지게 되므로 스텝 S10에서는 상기 스텝 S9에서의 냉방운전시에 변환하는 실내온도(Tr)를 실내온도감지수단(40)에서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30)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스텝 S11에서는 상기 실내온도감지수단(40)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가 상기 운전조작수단(25)에 의해 입력된 설정온도(Ts)와 같은가를 판별하여,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s)와 같지 않은 경우에는 냉방운전을 계속해서 수행해야 하므로 상기 스텝 S10으로 복귀하여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s)와 같아질때까지 계속해서 실내온도(Tr)를 감지하면서 스텝 S10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 S11에서의 판별결과,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s)와 같은 경우에는 냉방운전을 정지해야 하므로 스텝 S12로 나아가서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에 따라 압축기(51)와 실외팬(61)의 구동을 정지하면서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방제어장치에 의하면, 증발기의 상하부에 두개의 실내팬을 장착하여 실내공기가 통과하는 증발기의 접촉면을 크게 함으로써 상기 증발기의 전체적인 열교환능력을 높일 수 있을뿐만 아니라, 상기 증발기의 상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증발기의 하부에서 재열교환시킴으로써 냉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찬 공기로 열교환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덕트부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상기 증발기에 의해 1차 열교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덕트부재의 안내에 따라 1차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에 의해 2차 열교환되도록 구동하는 제1실내팬과,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가 상기 증발기에 의해 1차 열교환시킴과 동시에 상기 증발기에 의해 2차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도록 구동하는 제2실내팬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을 입력하는 운전조작부와, 상기 운전조작부에 의해 입력된 키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실내팬을 동시에 구동시키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냉방제어장치.
KR1019940034687A 1994-12-16 1994-12-16 공기조화기의 냉방제어장치 KR0152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687A KR0152112B1 (ko) 1994-12-16 1994-12-16 공기조화기의 냉방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687A KR0152112B1 (ko) 1994-12-16 1994-12-16 공기조화기의 냉방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082A KR960024082A (ko) 1996-07-20
KR0152112B1 true KR0152112B1 (ko) 1998-11-02

Family

ID=19401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4687A KR0152112B1 (ko) 1994-12-16 1994-12-16 공기조화기의 냉방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211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082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1009A (en) Defrosting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and method thereof
KR0152113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0248760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방법
JPH0933146A (ja) 空気調和機の除霜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210086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가변장치 및 방법
KR0152112B1 (ko) 공기조화기의 냉방제어장치
KR100294342B1 (ko) 분리형공기조화기및그제어방법
KR10021506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197685B1 (ko) 공기조화기의 국부냉방제어장치
KR19990042964A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310367B1 (ko) 분리형공기조화기및그제어방법
JPH10213342A (ja) 空気調和機
KR0129639Y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KR100215067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39575B1 (ko) 공기조화기의 드라이 운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44315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33607A (ko) 에어컨용 필터 이물질 제거방법
KR10022563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방법
KR100187208B1 (ko) 인버터 에어콘 및 그 실내팬 제어방법
KR0175849B1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100316042B1 (ko) 창문형에어컨의습압축제거방법
JPH07218004A (ja) 空気調和機の電動膨張弁制御装置
JP2626158B2 (ja)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装置
KR0175914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54080A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