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8675B1 -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8675B1
KR100248675B1 KR1019970017864A KR19970017864A KR100248675B1 KR 100248675 B1 KR100248675 B1 KR 100248675B1 KR 1019970017864 A KR1019970017864 A KR 1019970017864A KR 19970017864 A KR19970017864 A KR 19970017864A KR 100248675 B1 KR100248675 B1 KR 100248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switching element
signal input
alternator
semiconductor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7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2119A (ko
Inventor
고우와 다츠키
고무라사키 게이이치
와타나베 히로푸미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기타오카 다카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기타오카 다카시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Publication of KR19980032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10Control effected upon generator excitation circuit to reduce harmful effects of overloads or transients, e.g. sudden application of load, sudden removal of load, sudden change of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 Control Of Charge By Means Of Generators (AREA)

Abstract

[과제] 단락전류로부터 제어신호 입력단자를 보호함으로써 교류발전기의 출력전압이 비정상적으로 높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해결수단] 교류발전기의 계자코일에 흐르는 계자전류를 제어하는 반도체스위칭소자의 전원단자와, 제어신호 입력단자 사이에 어스 패턴을 설치하였다.

Description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제어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류발전기의 계자전류를 제어하는 계자전류 제어회로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기술)
종래,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제어장치로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도면에 있어서, 1은 교류발전기로, 전기자코일(101), 계자코일(102)을 포함한다. (2)는 정류기로, 출력단자(201), 어스단자(202)를 포함한다. 3은 계자전류 제어회로로, 반도체 스위칭소자(301), 억제다이오드(suppression diode)(302)로 구성되고, 전원단자(a), 계자전류 제어단자(b), 제어신호 입력단자(c), 접지단자(d)의 4개의 단자를 구비한다. (4)는 차량에 탑재된 제어유닛으로 마이크로컴퓨터를 가진다. (5)는 배터리, (6)은 키 스위치를 나타낸다.
다음에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어유닛(4)으로부터 계자전류 제어회로(3)의 제어신호 입력단자(c)에, 제어신호가 보내지면 반도체 스위칭소자(301)가 도통하여 계자코일(102)에 계자전류가 흐르고, 교류발전기(1)가 발전한다. 상기 교류발전기의 출력은 정류기(2)로 정류되어, 베터리(5)를 충전한다. 한편 제어유닛(4)은 배터리(5)의 단자전압을 검출하고, 소정전압을 초과하면 계자전류회로(3)로의 전류신호를 차단하고, 계자전류를 감소시키고, 교류발전기의 출력을 저하시키고 배터리의 충전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의 반복ㅇ에 의해 교류발전기 출력전압의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은 제어장치의 계자전류 제어회로(3)는, 일본실용공개소54-14022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온도특성을 최적하기 위해 교류발전기(1)의 출력부(여기에서는 정류기(2))와 별개체로 설치되어 있고,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반도체 스위칭소자(301) (예를들면 트랜지스터)의 콜렉터가 계자전류 제어단자(b)에 베이스가 제어신호 입력단자(c)에, 에미터가 접지단자(d)에 각각 접속되고, 전원단자(a)와 계자전류 제어단자(b)와의 사이에는 억제다이오드(302)가 접속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은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제어장치는, 계자전류 제어회로(3)의 전원단자(a)와 제어신호 입력단자(c)가 인접되어 구성되어 있고, 수분 등의 침입에 의해 전원단자(a)와 제어신호 입력단자(c)가 단락되기 쉽고, 단락전류가 배터리(5)로부터 직접 제어신호 입력단자(c)로 흘러 들어오고, 반도체 스위칭소자(301)가 통전되어 계자전류가 증대하고, 교류발전기의 출력전압이 비정상적으로 높게 되어, 배터리(5)의 과충전이나, 과전압에 의한 헤드라이트 등의 전기부하의 파손, 또한 점화계 전기시스템이나 제어유닛을 파손하고, 엔진이 정지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수분 등이 침입한 경우에, 단락전류로부터 제어신호 입력단자를 보호하고, 교류발전기의 출력전압이 비정상적으로 높게 되는 것에 의한 배터리의 과충전이라든지, 과전압에 의한 전기계통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제어장치는, 교류발전기와, 이 교류발전기의 계자코일에 흐르는 계자전류를 제어하는 반도체 스위칭소자와, 이 반도체 스위칭소자를 개폐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유닛과, 상기 교류발전기의 출력에 의해 충전되고, 상기 반도체 스위칭소자 및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갖는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스위칭소자와 상기 배터리를 접속하는 전원단자와, 상기 반도체 스위칭소자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제어신호 입력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반도체 스위칭소자의 접지단자에 접속된 어스패턴을 설치한 것이다.
또한, 어스패턴은, 제어신호 입력단자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것이다.
또한, 어스패턴상에, 제어신호 입력단자와, 상기 어스패턴과 상기 제어신호 입력단자를 절연하는 절연층을 적층하여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제어장치의 계자전류 스위칭회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제어장치의 계자전류 스위칭회로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제어장치의 계자전류 스위칭회로의 개략 구성도.
도 4는 종래의 제어회로에 있어서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제어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5는 종래의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제어장치의 계자전류 스위칭회로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교류발전기 102: 계자코일
2: 정류기 3: 계자전류 스위칭회로
301: 반도체 스위칭소자 a: 전원단자
b: 계자전류 제어단자 c: 제어신호 입력단자
d: 접지단자 e: 어스패턴
4: 제어유닛 5: 배터리
실시예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본적인 구성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종래의 제어장치와 같지만, 계자전류 제어회로(3)를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한다. 즉, 접지단자(d)에 접속된 어스패턴(e)을 전원단자(a)와 제어신호 입력단자(c)사이에 설치한다.
이와 같은 계자전류 제어회로(3)를 가지는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제어장치의 통상시의 동작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종래의 제어장치와 같다. 한편, 수분 등이 침입한 경우는, 전원단자(a)와 제어신호 입력단자(c) 사이에 어스패턴(e)이 설치되기 때문에, 예를들면 전원단자(a)와 제어신호 입력단자(c)가 단락되어도, 어스패턴(e)을 통하고 있으므로, 단락전류는 전원단자(a)로부터 어스패턴(e)에 흘러 들어가고, 제어신호 입력단자(c)를 단락전류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스위칭소자(301)가 불필요하게 계속 통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계자전류가 증대하여, 교류발전기의 출력전압이 비정상적으로 높게 되어, 배터리의 과충전이나, 과전압에 의한 전기계통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자전류 제어회로(3)는 어스패턴(f)을 제어신호 입력단자(c)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한 구성이다. 이것에 의해서 수분 등이 침입한 경우에도, 제어신호 입력단자(c)의 주위에 어스패턴(f)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어스패턴을 통해 단락되는 것으로 되고, 단락전류는 어스패턴(f)으로 흘러 들어오므로, 제어신호 입력단자(C)를 단락전류로부터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스위칭소자(301)가 불필요하게 통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교류발전기의 출력전압이 비정상적으로 높게 되어, 배터리의 과충전이나, 과전압에 의한 전기계통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계자전류 제어회로(3)를 어스패턴(g)상에, 제어신호 입력단자와, 제어신호 입력단자 (c)와 어스패턴(g)을 절연하는 절연층(h)을 적층시켜 구성한 이것에 의해서, 어스패턴(g)이 제어신호 입력단자(c)의 주위를 둘러싸는 구성으로 되어 실시예 2와 같은 효과를 얻는다. 또한, 어스패턴(g), 절연층(h) 상에 제어신호 입력단자(c)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어신호 입력단자(c)부분의 두께가 저원단자(a) 부분보다 두껍게 되고, 즉 고저차(高低差)가 가능하게 되어, 전원단자(a)와 제어신호 입력단자(c)와의 단락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는다.
이상의 실시예 1, 2 및 3에 있어서는, 제어신호 입력단자(c)를 단락전류로부터 보호하는 것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제어신호 입력단자(c)의 전류를 차단하는 것으로 제어하는 장치의 경우에는, 지락(line-to-ground fault)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제어신호 입력단자(c)와 접지단자(d)와의 사이에 +전위의 패턴(예를들면 전원단자와 접속된 패턴)을 설치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제어장치는, 전원단자와 제어신호 입력단자 사이에 어스패턴을 설치한 것에 의해, 제어신호 입력단자를 단락전류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단락전류에 의해서 반도체 스위칭소자가 도통하고, 계자전류를 증가시켜, 교류발전기의 출력전압이 비정상적으로 높게 되는 것에 의한 배터리의 과충전이나, 과전압에 의한 전기계통의 파괴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신호 입력단자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어스패턴을 설치한 것에 의해 확실하게 제어신호 입력단자를 단락 전류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어스패턴 상에, 절연층과 제어신호 입력단자를 적층하여 구성한 것에 의해, 제어신호 입력단자를 단락전류로부터 보호하는 것에 외에, 전원단자와 제어신호 입력단자와의 단락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2)

  1. 교류발전기와, 이 교류발전기의 계자코일에 흐르는 계자전류를 제어하는 반도체 스위칭소자와, 이 반도체 스위칭소자를 개폐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유닛과, 상기 교류발전기의 출력에 의해 충전되고, 상기 반도체 스위칭소자 및 상기 제어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스위칭소자와 상기 배터리를 접속하는 전원단자와, 상기 반도체스위칭소자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제어신호 입력단자 사이에 반도체 스위칭소자의 접지단자에 접속된 어스패턴을 설치하고, 상기 어스패턴은 제어신호 입력단자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제어장치.
  2. 교류발전기와, 이 교류발전기의 계자코일에 흐르는 계자전류를 제어하는 반도체 스위칭소자와, 이 반도체 스위칭소자를 개폐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유닛과, 상기 교류발전기의 출력에 의해 충전되고, 상기 반도체 스위칭소자 및 상기 제어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스위칭소자와 상기 배터리를 접속하는 전원단자와, 상기 반도체 스위칭소자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제어신호 입력단자 사이에 반도체 스위칭소자의 접지단자에 접속된 어스패턴을 설치하고, 상기 어스패턴상에 제어신호 입력단자와, 상기 어스 패턴과 상기 제어신호 입력단자를 절연하는 절연층을 적층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제어장치.
KR1019970017864A 1996-10-29 1997-05-09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제어장치 KR1002486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86676A JPH10136696A (ja) 1996-10-29 1996-10-29 車両用交流発電機の制御装置
JP96-286676 1996-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119A KR19980032119A (ko) 1998-07-25
KR100248675B1 true KR100248675B1 (ko) 2000-03-15

Family

ID=17707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7864A KR100248675B1 (ko) 1996-10-29 1997-05-09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00721A (ko)
JP (1) JPH10136696A (ko)
KR (1) KR100248675B1 (ko)
FR (1) FR2755322B1 (ko)
GB (1) GB231912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318U (ko) 2014-02-27 2015-09-04 유한책임회사 쿡인페이퍼 종이로 만든 조립식 음식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13550B (zh) * 2017-01-20 2020-08-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01701C3 (de) * 1974-01-15 1978-12-21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Transistorleistungsschalter
JPS54140224U (ko) * 1978-03-23 1979-09-28
JPS5825183B2 (ja) * 1978-04-21 1983-05-26 株式会社クボタ 弁閉塞装置
US4641043A (en) * 1985-09-12 1987-02-03 Honeywell Inc. Printed wiring board means with isolated voltage source means
US4598333A (en) * 1985-09-12 1986-07-01 Honeywell Inc. Printed wiring board means with integral dew sensor
JP2707616B2 (ja) * 1988-07-26 1998-02-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発電機の電圧制御装置
JP2523860B2 (ja) * 1989-03-27 1996-08-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JP2777747B2 (ja) * 1990-11-26 1998-07-23 東亞合成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層を有するプリント抵抗器内蔵多層プリント回路板
JPH088391A (ja) * 1994-06-17 1996-01-12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回路
US5705922A (en) * 1995-03-30 1998-01-06 The Whitaker Corporation Terminator with voltage regulator
JP3415326B2 (ja) * 1995-04-28 2003-06-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発電機の出力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318U (ko) 2014-02-27 2015-09-04 유한책임회사 쿡인페이퍼 종이로 만든 조립식 음식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19125A (en) 1998-05-13
GB2319125B (en) 1999-03-10
US5900721A (en) 1999-05-04
KR19980032119A (ko) 1998-07-25
FR2755322A1 (fr) 1998-04-30
GB9705899D0 (en) 1997-05-07
FR2755322B1 (fr) 2001-04-20
JPH10136696A (ja) 199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5585A (en) Car alternator electric power generator protected against transients due to battery disconnection
JP2016525869A (ja) 多重電圧搭載電源用過電圧保護
US5023539A (en) Alternator voltage transient minimization method and apparatus
JP4429387B2 (ja) 三相発電機の出力電圧の制御装置
KR100286247B1 (ko) 내연기관용 충전제어장치
US4945277A (en)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 generator
US4672297A (en) AC generator control status detecting device with short-circuit protection means
KR100248675B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제어장치
US5923095A (en) Control apparatus for onboard AC generator for motor vehicle
US5604653A (en) Protection component for a three-phase alternator used in automobile vehicles
US20070165341A1 (en) Overvoltage-protective automotive power generation control circuit
US4593233A (en) Lamp drive circuit
JPH05276800A (ja) 交流発電機の端子電圧を制限するための装置
KR0138531Y1 (ko) 교류발전기의 전압 제어장치
JPH10136697A (ja) 車両用発電機の制御装置
KR100222561B1 (ko) 차량의 전장 보호장치
KR19990029126U (ko) 발전기의 과전압보호회로
KR0175748B1 (ko) 차량용 발전기의 과전압 발생 방지회로
KR0160553B1 (ko) 영구자석형 발전기의 전압조정기
JP2001039240A (ja) 車両の給電装置
JPH0314928Y2 (ko)
SU572889A1 (ru) Контактно-транзисторный регул тор напр жени
KR0143199B1 (ko) 과충전방지기능을 갖춘 차량의 전압조정기
JPH05260678A (ja) 車載電気装置の保護回路
JPS623648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