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8383B1 - 리클라이닝 장치 - Google Patents

리클라이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8383B1
KR100248383B1 KR1019940034626A KR19940034626A KR100248383B1 KR 100248383 B1 KR100248383 B1 KR 100248383B1 KR 1019940034626 A KR1019940034626 A KR 1019940034626A KR 19940034626 A KR19940034626 A KR 19940034626A KR 100248383 B1 KR100248383 B1 KR 100248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reclining
operating lever
lock gea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4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로 다까기
Original Assignee
사이토 쿄시
가부시키가이샤 다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이토 쿄시, 가부시키가이샤 다치에스 filed Critical 사이토 쿄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383B1/ko

Links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시트의 시트백에 고정된 상부암을 갖는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에서, 잠금기어부재는 작동레버의 수직회전에 의한 캠부재의 회전기능을 통해 상부암에 형성된 기어부로부터 결합 또는 해제될 수 있다. 본 리클라이닝 장치는 캠부재가 작동레버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전위된 회전중심을 갖도록 배열되고, 그것에 의해 캠부재는 작동레버의 작은 회전에 비해 큰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캠부재의 이 허용은 잠금기어부재에 접촉하는 영역이 증가되고, 따라서 시트백의 기울기 조절용 리클라이닝 장치에 안정적인 잠금 및 해제기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리클라이닝 장치
제1(a)도는 시트에 부착된 종래 리클라이닝 장치의 사시도.
제1(b)도는 종래 리클라이닝 장치의 개략측면도.
제2(a)도는 본 발명의 리클라이닝 장치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2(b)도는 본 발명의 캠부재와 핀의 다른 방식도.
제3도는 리클라이닝 장치의 제1실시예의 잠금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파단평면도.
제4도는 리클라이닝 장치의 제1실시예의 풀림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파단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리클라이닝 장치의 제2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6도는 리클라이닝 장치의 제2실시예의 잠금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판단 평면도.
제7도는 리클라이닝 장치의 제2실시예의 풀림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파단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리클라이닝 장치의 제3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9도는 리클라이닝 장치의 제3실시예의 잠금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파단 평면도.
제10도는 리클라이닝 장치의 제3실시예의 풀림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파단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U,U′ : 상부암 L,L′ : 하부암
SB : 시트백 SC : 시트쿠션
1,10 : 작동레버 1′ : 보조레버
2,2″,20 : 캠부재 3,30 : 잠금기어부재
4 : 기어판 7 : 경첩핀
8,8′ : 덮개판 9 : 인장코일스프링
11 : 접속돌기 41 : 기어부
91,92 : 제1 및 제2스프링고정돌기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와 같은 시트에서 시트백의 경사 각도의 조절을 위한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러 종류의 리클라이닝 장치들은 시트에 사용할 수 있게 제조되어 있다. 특히, 시트의 시트쿠션과 관계 있는 시트백의 경사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자동차 시트에 구성되어 있다. 그들 중, 일본 특허공고 제59-15215호에 공개된 것과 같은 리클라이닝 장치의 형식이 공지되어 있다. 그 리클라이닝 장치에는 시트백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상부암의 하부 가장자리에 맞물림을 위한 다수의 기어톱니를 갖는 기어판과 리클라이닝 조절용도의 외부작동레버에 의해 작용하는 잠금기어부재가 함께 제공된다. 제1(a)도 및 제1(b)도를 참고하여, 이 종류의 대표적인 종래의 리클라이닝 장치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즉, 제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리클라이닝 장치(RD′)들과 같이 시트백(SB)의 측면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상부암(U′)과 시트쿠션(SC)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는 하부암(L′)이 자동차 시트(S)의 측면에 장착된다.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따라서 시트백(SB)은 경첩핀(7)을 중심으로 시트쿠션(SC)의 앞쪽과 뒤쪽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 톱니부(4a)를 갖는 부채꼴 기어판(4)은 상부암(U′)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그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잠금톱니부(30a)를 갖는 잠금기어부재(30)는 기어판(4)의 톱니부(4a)와 맞물리거나 또는 해제되기 위한 방향으로 제1핀(3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1핀(31)을 거쳐 기저단부에서 하부암(L′)에 고정된다.
잠금기어부재(30)에는 그 자유단부에 접촉 가장자리(30b)와 상향의 절결홈(30c)이 형성되어 있다. 반면, 작동레버(10)는 제2핀(1A)을 거쳐서 기저단부에서 하부암(L′)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 캠부재(20)도 제2핀(1A)에 고정된다. 캠부재(20)는 상기 접촉 가장자리(30b)에 접촉되어서 잠금기어부재(30)의 잠금톱니부(30a)가 기어판(4)의 기어톱니부(40a)에 맞물림 되는 것을 보여주는 돌출된 접촉단부(20a)를 가진다. 정상상태에서, 작동레버(10)는 잠금기어부재(30)와 기어판(4) 사이의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는 인장 코일 스프링(9)에 의해 편향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리클라이닝 장치를 해제하기 위한 작동레버(10)는 캠부재의 돌출된 접촉단부(20a)를 절결홈(30c)에 변위시키기 위해 상향으로 회전된다. 이것에 의해 잠금기어부재(30)는 중력에 의해 제1핀(31)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되어 기어판(4)으로부터 해제된다.
하지만 이 종래의 리클라이닝 장치(RD′)의 구성은 캠부재(20)의 회전범위가 캠부재(20)와 작동레버(10) 모두 제2핀(1A) 지점에서 같은 회전지점을 가지기 때문에 θ3(일반적으로 약 30도)의 각도에 의한 작동레버(10)의 회전범위와 거의 같거나 한정되는 결점이 발견되고 있다. 그 결과, 상기 절결홈(30c)과 접촉 가장자리(30b) 사이의 간격은 좁게 구성되어 있어 이 캠부재의 접촉단부(20a)와 잠금부재의 접촉 가장자리(30b) 사이의 접촉영역은 대단히 작게 구성되어 있으므로서, 리클라이닝 장치의 잠금 기능의 안정성과 정밀한 잠금 문제가 남아있다.
상기 결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시트용의 개선된 리클라이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는 리클라이닝 장치의 잠금 및 해제작용의 정밀도와 안정성을 보증하는 캠부재와 접촉하는 영역이 증가되는 잠금기어부재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에는 다음 구성이 기본적으로 제공된다.
상부암과 결합된 기어부로부터 톱니바퀴가 맞물림 또는 이탈하기 위해 상향 또는 하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잠금기어수단이 하부암에서 회전하게 제공되는 동시에 하부측면에 한정된 접촉가장자리를 갖게 한 잠금기어수단과, 하부암에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캠수단, 즉 잠금기어수단에 인접한 회전 중심을 갖는 캠부재와 캠수단 위에 접촉되는 잠금기어수단의 접촉가장자리와 하부캠에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작동레버수단, 그리고 캠수단과 함께 작동레버가 움직이도록 연결하는 결합수단에 의해 작동레버수단의 회전 때문에 잠금기어수단이 잠금기어수단과 기어부 사이에 맞물림 또는 해제를 이루도로고 캠수단에 따라 상향 및 하향으로 회전되며, 또한 이 작동레버는 캠수단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전위된 회전중심을 가지게 한 것이다.
따라서, 작동레버수단과 캠수단 사이의 회전중심이 전위된 것 때문에 캠수단의 회전 각도는 작동레버수단보다 더 클 수 있고, 잠금기어와 캠수단 모두 그들의 상호 접촉영역이 증가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작동레버 수단에 약간의 힘과 적은 양의 회전을 줌으로서 해제기능이 쉽게 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오히려, 이 캠수단은 작동레버에 비해 작은 규모로 할 수 있고 캠수단에 형성된 다른 두 캠표면들은 허용되는 가능한 형상으로 할 수 있으며, 각각이 갖는 충분한 접촉영역 위에 잠금기어수단의 접촉가장자리는 안정하게 접촉된다. 따라서 잠금기어 수단은 적어도 각각 다른 두 가지 캠표면들 중 하나에 선택되는 것을 통해 상기 상부암의 기어부로부터 맞물림 또는 해제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성상태에 있어서, 결합수단은 작동레버수단의 한쪽 단부에 형성된 접속돌기, 즉 작동레버수단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는 접속돌기와 캠 수단에 형성된 절결부, 즉 캠수단의 회전중심의 가까이에 배치되는 절결부로 구성할 수 있다. 작동레버수단의 이 접속돌기는 캠수단의 절결부에 확실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상태에 있어서, 접속수단은 작동레버 수단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도록 작동레버수단의 한쪽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구멍과 캠부재의 회전중심에 가깝게 배치되도록 캠수단에 형성된 돌출부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돌출부는 가이드 구멍에 부드럽게 삽입된다.
발명의 또다른 구성상태에 있어서, 이 리클라이닝 장치는 첫 번째와 두 번째 리클라이닝 장치들을 한 쌍으로 구성하는 복식 형식으로 할 수 있으며, 각각은 시트백의 측면들에 각각 부착되고, 또한 두 리클라이닝 장치들은 같은 구조로서 두 리클라이닝 장치들 중 하나에만 구비하는 작동레버수단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잠금기어수단, 캠수단 그리고 접속수단을 구비하며, 또한 두 리클라이닝 장치들은 전술한 기어로부로부터 이탈하는 잠금기어수단의 하향으로의 회전에 도움을 주는 가이드 수단을 각각 구비하며, 따라서 상기 두 리클라이닝 장치들중 하나에 있는 가이드 수단은 작동레버와 잠금기어수단 사이에 제공된다. 반면 다른 가이드 수단은 잠금기어 수단에만 제공된다. 그리고 결합수단은 가이드 수단이 한 쌍으로 된 리클라이닝 장치들에 제공되어 캠과 가이드 수단의 작용은 작동레버수단의 회전을 통해 두 리클라이닝 장치들 모두에 동시에 작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도면들을 참고한 설명의 해석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제2(a)도에서부터 제10도까지는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리클라이닝 장치(RD1, RD2, RD1′)들의 세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해하고 있다. 리클라이닝 장치(RD1, RD2, RD1′)들의 방법들은 모두 제1도에서 표시된 것과 같이 자동차 시트(S)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는 것이 첫 번째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아래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명칭 모두와 제2도 뿐만 아니라 제1도에 주어진 것과 같은 명칭 모두는 일치한다. 그들 가운데 같은 부분들과 요소들의 반복기재는 간단하게 하기 위해 삭제되었다.
이제 제2(a)도 내지 제4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 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a)도와 같이 필수적으로 갖추어져 있는 제1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장치(RD1)의 첫 번째 형태를 설명하면, 시트쿠션(SC)의 측면에 고정되어 고정시켜 놓은 하부암(L) ; 시트백(SB)의 측면에 고정되어 선회 가능한 상부암(U) 즉 하부암(L)에서 경첩핀(7)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의 하단부에 형성된 완전한 부채꼴 기어부(41)에 아치형 톱니부(41A)를 가진 상부암(U); 상부 톱니부(31a)와 하부에 접촉 가장자리(31)를 갖는 잠금기어부재(3); 캠부재(2); 작동레버(1); 그리고 덮개판(8)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제2(a)도 및 제3도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잠금기어부재(3)는 하부암(L)의 기저단부에서 하부암(L)의 내부표면에 제1핀(33)을 거쳐서 선회된다. 따라서 잠금기어부재(3)의 자유단부는 기어부(41)와 캠부재(2) 사이에서 제1핀(33)에 의하여 상향 및 하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된다. 잠금기어부재(3)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상부 톱니부(31a)와 하부 접촉가장자리(31)가 구성요소로서 형성된다. 후술되는 것과 같이 상부톱니부(31a)는 기어부(41)의 톱니부(41a)에 맞물림 되고, 반면 하부 접촉가장자리(31)는 잠금 및 해제 목적을 위해 캠부재(2)에 기대거나 또는 접촉된다.
캠부재(2)는 편심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따라서 비원형 캠고정구멍(51)은 둘로 분리된 캠표면들, 즉 높은 레벨의 제1캠표면(2a)과 낮은 레벨의 제2캠표면(2b)을 갖는 캠부재에(제3도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편심으로 한정된다. 캠부재(2)는 캠고정구멍(51)에서 제2핀(5)의 비원형부(5b)에 단단히 맞추어져 있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 제2핀(50은 하부암(L)에 형성된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 및 제2캠표면(2a)(2b)중 하나가 잠금기어부재(3)의 하부 접촉가장자리(31)쪽으로 조향되도록 캠부재(2)가 제2핀(5)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캠부재에는 제3캠표면(2c)에 연결홈(2c-1)이 형성되어 있다.
작동레버(1)는 직선로드부(1b)와 하향연장부(1a)를 가지고 형성된다. 제3도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연장부(1a)는 가이드 구멍(32A), 장공(52), 접속돌기(11) 및 제1스프링 고정돌기(91)를 가진다. 접속돌기(11)는 하부암(L)의 내부표면쪽으로 안쪽으로 돌출 되고, 제1스프링 고정돌기(91)는 접속돌기(11)의 반대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제2(a)도 및 제3도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이 작동레버(1)는 하부암(L)의 내부표면에 고정된 제3핀(6)에 작동레버의 레버구멍(61)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러나, 이 조립전에 잠금기어부재(3)의 가이드핀(32)과 제2핀(5)의 비원형부(5b)는 작동레버(1)의 가이드구멍(32A)와 장공(52)에 각각 삽입되어야 하고, 반면 작동레버(1)의 접속돌기(11)는 하부암(L)의 평면의 내부표면 위에 제3도와 같이 조립되는 캠부재(2)의 연결홈(2c-1)에 결합된다.
덮개판(8)은 하부암(L) 내에 부착될 수 있는 크기이며, 상부 고정구멍(71), 하부고정구멍(50A), 제1유동구멍(91A), 제2유동구멍(32B), 제1 및 제2지지구멍(33A)(62)들 및 제2스프링 고정돌기(9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립된 하부암(L)에 덮개판(8)을 부착함에 있어서, 잠금기어부재(3)를 위한 제1핀(33)과 작동레버(1)를 위한 제3핀(6)은 두 개의 제1 및 제2지지구멍(33A)(62)들에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맞쳐진다. 또한 잠금기어부재(3)의 가이드핀(32)과 제1스프링 고정돌기(91)는 제1 및 제2유동구멍(91A)(32B)들을 통해 각각 삽입된다. 더욱이 경첩핀(7)과 제2핀(5)의 나사단부(5a)는 상부(5A)는 상부 및 하부 고정구멍(71)(50A)에 각각 삽입된다. 제2(A)도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이 덮개판(8)이 하부암(L)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 할뿐만 아니라 상부암(U)과 제2핀(5)이 부드럽게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쪼개진 단부를 가지는 경첩핀(7)은 상부고정구멍(71)에 탄성적으로 고정되고, 제2핀(5)의 나사단부는 와셔(도시되지 않음)에 따라 너트(n)에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인장코일스프링(9)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사용 수평위치의 작동레버(1) 방향에 편향한 두 개의 제1 및 제2스프링 고정돌기(91)(92) 사이에서 연장된다. 바꾸어 말하면, 작동레버(1)의 하향연장부(1a)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의 인장코일스프링(9)에 의해 편향되어 있으나, 제2핀(5)의 비원형부(5b)가 작동레버(1)의 전방부가 위쪽으로 편향되는 것에 저항을 받는 장공(52)의 하단부에 접촉되어 있어서, 미사용 상태의 정상상태에서 작동레버(1)는 제3도와 같이 수평으로 연장상태를 갖는다.
제2(b)도는 전술한 캠부재(2)와 제2핀(5) 대신에 2′와 5′에 의해 각각 지적된 캠부재 및 그와 결합된 핀의 다른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그것들의 다른 캠부재와 핀은 캠고정구멍(51′)을 갖는 캠부재와 원형부(5′a)를 갖는 제2핀을 제외하고는 상술된 캠부재(2)와 제2핀(5)에 근본적으로 비슷하다. 하지만 캠부재(2 또는 2′)와 제2핀(5 또는 5′)은 설명된 것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의도된 기능을 그것들이 하는 경우에는 다른 형체로도 만들 수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장치(RD1)의 미사용 상태에 있어서, 캠부재(2)는 잠금기어부재(3)의 접촉가장자리(31)쪽으로 또는 접촉 가장자리(31)에 실제로 제1캠표면(2a)이 접촉하는 위치에 놓여진다. 캠부재(2)에 의해 잠금기어부재(3)가 잠금 위치에 놓이면 그의 상부 톱니부(31a)는 기어부(41)의 톱니부(41a)에 맞물림 된다. 따라서, 상부암(U) 또는 시트백(SB)은 하부암(L) 또는 시트쿠션(SC)에 관련되어 움직일 수 없게 된다. 이제 제4도에서와 같이, 시트백(SC)의 리클라이닝 조절을 위한 본 리클라이닝 장치(RD1)의 해제를 원한다면, 사용자는 작동레버(1)의 직선로드부(1b)를 제3핀(6)에 대해 반시계방향 또는 상향으로 회전해야 한다. 그러면 작동레버(1)의 하향연장부(1a)는 또한 같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핀(5)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캠부재(2)는 회전되어 잠금기어부재의 접촉가장자리(31) 밑으로 제2캠표면(2b)을 가져온다. 이 캠부재(2)의 편심 때문에 상술된 것과 같이 접촉가장자리(31)와 마주하고 있는 제1캠표면(2a)보다 낮은 레벨의 제2캠표면(2b)이 존재한다. 그 결과, 이 잠금기어부재(3)는 중력에 의해 핀에 관해 시계방향 또는 하향으로 회전된다. 중력 외에 가이드구멍(32A)의 하향으로의 변위는 잠금기어부재(3)의 가이드핀(32)을 밀고 낮추는 작동레버(1)의 회전으로 발생되고, 그것에 의해 제2캠프표면(2b) 쪽으로 잠금기어부재(3)의 하향회전을 도운다. 따라서, 잠금기어부재(3)의 상부톱니부(31a)는 상부암(U)의 기어부(41)로부터 이탈된다. 그것에 의해 시트백(SB)은 시트쿠션(SC)으로부터 해제되고 시트쿠션의 전방 및 후방으로 회전된다.
제1도에서 상부암(U′)에는 나선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한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이 나선스프링은 시트쿠션(SC) 전방으로 시트백(SB)을 편향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이 시트백(SB)은 나선스프링의 전방편향력하에서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실시예의 상기 구성에 따라서 작동레버(1)가 미사용 수평위치(P1)로부터 해제위치(Q1)로 상향할 때 대략 30도 정도의 작은 각(θ1)으로 회전되며, 캠부재(2)는 제2핀(5)을 중심으로 대략 90도 정도의 각(θ2)으로 회전되는 것이 제3도 및 제4도로부터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캠부재(2)의 회전중심인 제2핀(5)은 작동레버(1)의 제3핀(6)으로부터 변위되고 작동레버(1)의 직선로드부(1b)는 제3핀(6)과 작동레버 하향연장부(1a) 사이에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길게 연장하는데 그것은 캠부재(2)의 제3캠표면(2c)이 캠부재의 작은 크기에 따른 작은 반경의 원을 따라 회전하는 것에 비교하여 하향연장부(1a)는 제3핀(6)에서 중심을 갖는 원의 큰 반경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덧붙여 캠부재(2)의 회전각이 큰 것과 이 캠부재(2)에 평평한 판 형상이 형성되는 것을 고려하면, 캠부재의 제1 및 제2캠표면(2a)(2b)들은 잠금기어부재(3)의 접촉가장자리(31)와 접촉하기 위한 영역이 증가될 수 있고, 또한 제1 및 제2캠표면(2a)(2b)중 하나에 접촉하는 접촉가장자리(31)의 영역증대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 캠부재(2)읜 장점은 잠금기어부재(30)를 받는 것이 크게 향상되고, 캠부재(2)와 잠금기어부재(30) 사이의 결합상태가 향상된다. 따라서 시트백(SB)의 기울기 조절을 위한 리클라이닝 장치의 잠금 및 해제 작용의 안정성과 정밀도가 보장된다.
상기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제5도 내지 제7도에서 도해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해서도 구체화될 수 있다. 즉 제2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장치(RD2)는 캠부재(2″), 작동레버(1A) 및 덮개판(8′)이 상술한 제1실시예의 그것들과 다른 구성으로 제공된다. 그러나 이 제2실시예의 다른 구성요소들(즉, 하부 및 상부암(L)(U)들 핀(5) 등)은 제1실시예의 그것들과 동일하고, 아래에 사용된 명칭들은 모두 상기 제1실시예에 주어진 명칭들과 모두 일치한다. 제1 및 제2 실시예들 사이의 같은 부분들과 요소들은 간단하게 하기 위해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 제2실시예에서, 캠부재(2″)는 제1캠표면(2″a), 제2캠표면(2″b)으로 구성되며, 캠부재에 있는 제1 및 제2캠표면(2″a)(2″b)들은 캠부재(2″)의 상부측면에서 서로 다르게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비원형 캠고정구멍(51′)은 캠부재(2″)의 제1캠표면(2″a)으로부터 편심으로 떨어져 배치되고 돌출부(21)는 캠부재(2″)의 하부측면에 배치된다. 이 캠부재(2″)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부재의 비원형의 캠고정구멍(51′)이 제2핀(5)의 비원형부(5b)에 고정되게 맞추어져 있고 하부암(L)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1실시예의 작동레버(1)와 유사한 작동레버(1A)는 기본적으로 후방로드부(1b)와 하향연장부(1c)를 포함한다. 이 작동레버(1A)는 레버의 전방단부(1a)에 제1가이드구멍(33B)이 형성되고 잠금기어부재(3)를 지지하는 제1핀(33)에 제1가이드 구멍(33B)이 회전 가능하게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이 작동레버(1A)는 이 제1핀(33)에 대하여 상향 및 하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작동레버(1A)의 하향연장부(1c)는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한 아치형의 제1장공(52′)과 수평으로 연장한 아치형의 제2가이드 구멍(21A)으로 형성된다. 이 제1장공(52′)은 제1핀(33)에서 중심을 갖는 원의 호와 일치하게 형성되며 이 제1장공(52′)을 통해 나사단부(5a)가 돌출한다. 그래서, 이 제1장공(52′)을 따라 작동레버(1A)는 돌출된 나사단부(5a)의 방해 없이 회전되는 것이 허용된다. 제6도에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제2가이드구멍(21A)은 하향으로 만곡된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하향아치형 또는 곡선형식의 제2가이드구멍(21A)은 작동레버(1A)의 상향 및 하향회전에 따라 캠부재(2″)가 제2핀(5)을 중심으로 부드럽게 회전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캠부재(2″)의 돌출부(21)에 의해 주어진 궤적으로 운행되는 것을 기초로 해서 이루어진다. 즉, 아치형상의 제2가이드구멍(21A)을 따라 캠부재의 돌출부(21)는 작동레버(1A)의 상향 또는 하향회전과 동시에 제2핀(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캠부재(2″)의 본체에서 일어나도록 안내한다. 부호 91′는 작동레버(1A)의 상부측면에 형성된 제1스프링 고정돌기를 표시한다. 인장 코일 스프링(9)의 한 단부는 제1스프링 고정돌기(91′)에 고정된다.
덮개판(8′)은 경첩핀(7)의 쪼개진 단부에 탄성적으로 고정되는 상부고정구멍(71′) 그리고 제2핀(5)의 나사단부(5a)가 회전 가능하게 통과하는 하부 고정구멍(53)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단부(5a)는 너트(n)와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두 고정포인트에서 이 덮개판(8′)은 하부암(L)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이 덮개판(8′)은 아치형의 제2장공(83)을 따라 제1스프링 고정돌기(91′)가 자유롭게 변위되고 아치형의 제3장공(21B)을 따라 캠부재의 돌출부(21)가 자유롭게 변위되며, 제1지지구멍(33C)을 통해 제1핀(33)이 회전 가능하게 통과된다.
부호 92′는 덮개판(8′)의 상부측면에 형성된 또 하나의 스프링 고정돌기인 제2스프링 고정돌기(92′)를 표시하고, 전술한 제1스프링 고정돌기(91′)와 함께 그 단부에 스프링(9)이 고정된다. 그래서 이 스프링(9)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스프링 고정돌기(91′)(92′)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미사용 상태에 있어서, 이 스프링(9)은 제6도와 같이 미사용 수평위치에 작동레버(1A)를 유지하기 위한 빗장작용의 효과를 만들도록 작동레버(1A)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그 결과, 제7도와 같이 이 작동레버(1A)가 상향으로 회전할 때, 스프링(9)은 작동레버(1A)가 상향으로 완전히 향하면 스프링의 수축작용으로 원상 복귀한다. 그것에 의해 Q1로 보여진 사용위치에 이르는 레버의 부드러운 회전을 돕는다.
제2장공(83)은 제1핀(33)에서 중심을 갖는 원의 호를 따라 형성되고, 반면 제3장공(21B)은 제2핀(33)에서 중심을 갖는 원의 호를 따라 형성된다. 그러므로 작동레버(1A)가 제1핀(33)에 의해 수직으로 회전될 때, 제1스프링 고정돌기(91′)와 돌출부(21)는 덮개판(8′)으로부터 간섭 없이 즉 제1핀(33)과 제2핀(5)의 각각의 회전중심에서 부드럽게 회전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배치에서, 미사용 위치(P′1)와 사용위치(Q′1) 사이의 각도(θ′1)에서 수직으로 회전하는 작동레버에 의해 캠부재(2″)의 제1 및 제2캠표면(2″a)(2″b)들중 하나에 선택되어 상부암(U)의 기어부(41)로부터 맞물림 또는 해제되는 잠금기어부재(3)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캠부재(2″)는 제2핀(5)을 중심으로 작동레버의 미사용 및 사용위치(P′1)(Q′1)들에 각각 일치하는 두 변위지점(P′1)(Q′2)들의 사이의 각도(θ′2)에서 회전한다. 이 관계에 있어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작동레버(1A)의 상향회전은 낮은 레벨의 제2캠표면(2″b)이 잠금기어부재(3)를 중력에 의해 하향으로 회전되게 하고 따라서 기어부(41)로부터 해제되게 한다. 거꾸로, 작동레버(1A)의 하향회전은 기어부(41)에 맞물리는 잠금기어부재(3)를 가져오는 높은 레벨의 제1캠표면(2″a)을 준다. 이와 같이 시트백(SB)은 리클라이닝 조절을 위해 시트쿠션(SC)에 대하여 잠금 및 해제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제7도를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서와 비슷하게 작동레버(1A)에 대한 회전중심인 제1핀(33)에서 캠부재(2″)의 제2핀(5)으로부터 변위되고, 캠부재의 회전각도(θ′1)는 작동레버의 회전각도(θ′2)보다 훨씬 더 크다는 장점이 인정된다. 엄밀히 말하자면 제7도에 도시된 바에 따른 작동레버(1A)는 제1핀(33)에 관해 대략 30도로 회전될 수 있고, 대조적으로 캠부재(2″)는 제2핀(5)에 관해 대략 60도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작동레버(1A)의 회전각도보다 두 배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장치(RD2)는 잠금기어부재(3)의 접촉가장자리(31)에 접촉하는 영역인 제1 및 제2캠표면(2″a)(2″b)의 증가가 각각 가능하고, 제1 및 제2캠표면(2″a)(2″b)중 하나에 접촉하는 접촉 가장자리(31)의 영역 증대가 가능하다.
제8도 내지 제10도는 전술된 제1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장치(“제1리클라이닝 장치”라고도 한다)(RD1) 또 하나의 리클라이닝장치(“제2리클라이닝장치”라고도 한다)(RD1′)를 포함하는 복식형식의 리클라이닝 장치가 제공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다. 따라서, 두 개의 리클라이닝 장치(RD1)(RD1′)들은 시트(S)의 측면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원래, 한 쌍으로 된 리클라이닝장치(RD1)(RD1′)들은 서로 동일한 구조이다. 그것들은 전술된 제1실시예의 리클라이닝장치(RD1)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어 그것을 상세히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이 특정한 방식은 두 개의 리클라이닝장치(RD1)(RD1′)들 사이에 잠금 및 플림 작용이 동시에 일어나게 하는 연동식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연동식 수단은 제8도에 묘사된 것처럼 접속로드(5′), 제2핀(5′A) 및 보조레버(1′)를 포함한다.
제2핀(5′A)은 또한 제1실시예의 제2핀(5)의 비원형부(5b) 및 나사단부(5a)를 가진 구조와 동일한 비원형부(5′A-2)와 나사단부(5′A-1)를 갖는다. 하지만 제8도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 제2핀(5′A)은 그 단부에 오목한 직사각형이 형성된다.
보조레버(1′)는 도시된 것과 같이 일반적으로 초생달형 모양으로 잠금기어부재(3)의 돌출부(32)에 맞물림 되는 맞물림단부(1′A)가 점점 뾰족하게 되는 갈고리 모양을 가지며, 비원형구멍(1′a)이 형성된 넓은 기저부(1′B)를 가진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비원형구멍(1′a)은 제2리클라이닝장치(RD1′)에 결합된 캠부재(2)의 캠고정구멍(51)과 동일한 크기이다.
근복적으로, 이 제2리클라이닝 장치(RD1′)는 상기 제1실시예에 서술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조립되어 있으나, 제1리클라이닝 장치(RD1)와의 차이점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암(L)내에 캠부재(2)가 병렬될 수 있는 보조레버(1′)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보조레버(1′)의 비원형 구멍(1′a) 및 캠고정구멍(51)들과 캠부재(2)는 서로 일직선을 이룬다. 그러므로, 하부암(L)에 덮개판(8′)을 부착함에 있어, 접속로드(5′)의 비원형접속부(5′b)와 나사접속부(5′b-1)는 이 하부구멍(50A)을 통해 삽입될 수 있고 일직선으로 된 두 비원형구멍(1′a)과 캠고정구멍(51)들에 맞출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접속로드(5′)의 나사접속부(5′b-1)는 너트(n)에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미설명부호 5′a는 사각단부이다.
인장코일스프링(9′)은 캠부재(2)와 보조레버(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편향이 이루어지도록 스프링 고정돌기(92)와 돌기(1′b) 사이에 연장된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사용 위치쪽에서는 캠부재(2)는 상부암(U)의 기어부(41)에 맞물림 되는 잠금기어부재(3)에 캠부재의 제1캠표면(2a)이 존재케 하고, 보조레버(1′)의 갈고리 모양의 맞물림 단부(1′A)는 잠금기어부재(3)의 돌출부(32)로부터 해제된다.
따라서, 제1리클라이닝 장치(RD1)의 작동레버(1)에 공급되는 회전력은 제2리클라이닝장치(RD1′)의 보조레버(1)에 공급되는 회전력은 제2리클라이닝장치(RD1′)의 보조레버(1′)에 접속로드(5′)를 거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리클라이닝장치(RD1)(RD1′)들의 잠금기어부재(3)들은 그들과 일치하는 기어부(41)들로부터 맞물림 또는 해제를 동시에 가져올 수 있다. 제8도 내지 제10도를 참고하여 보면 특정한 상태에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레버(1)가 상향으로 회전할 때, 제1리클라이닝장치(RD1)의 캠부재(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발생되고, 같은 방향으로 제2핀(5′A)과 접속로드(5′)의 회전이 동시에 발생한다. 그 결과로부터 제2리클라이닝 장치(RD1′)는 캠부재(2)와 보조레버(1′)는 같은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발생되고 그 결과 두 개의 리클라이닝장치(RD1)(RD1′)들에 있는 각각의 캠부재(2)들은 중력 때문에 양 잠금기어부재(3)들의 자연스런 하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는 낮은 레벨의 제2캠표면(2b)들의 각각 존재한다. 따라서, 그들 각각의 기어부(41)들로부터 잠금기어부재들 모두의 해제와 동시에 제4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리클라이닝장치(RD1)(RD1′)들에 있는 각각의 작동레버(1)의 가이드구멍(32A)과 보조레버(1′)의 갈고리 모양의 맞물림 단부(1′A)는 잠금기어부재의 돌출부들에 일치하는 맞물림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발생된다. 그것에 의해 잠금기어부재들과 일치하는 기어부(41)들로부터 잠금기어부재(3)들의 해제를 보장하는 잠금기어부재(3)들의 부드러운 하향으로의 회전을 도운다.
본 제3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리클라이닝 장치(ED1)(RD1′)들은 아래에 기술된 것과 같이 같은 특징들과 효과들을 명백하게 이룬다. 즉, 각각의 캠부재(2)의 제1 및 제2캠표면(2a)(2b)들은 각각의 잠금기어부재(3)의 접촉가장자리(31)에 접촉하는 영역이 증가될 수 있고, 이 접촉가장자리(31)는 또한 상기 두 캠표면들중 하나에 접촉하는 접촉영역이 증가될 수 있다. 게다가 이 특별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 대부분의 같은 부품들과 요소들은 오직 접속로드(5′)와 보조레버(1′)를 제외하고는 이 두 개의 리클라이닝 장치(RD1)(RD1′)들 사이에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리클라이닝 장치들의 생산조립 과정에 있어 생산비용을 낮추고 단순화시키는 큰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도시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되도록 하였으나 유사한 다른 변형들, 교환들, 부가사항들은 당업자간에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구조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Claims (14)

  1. 시트의 시트백(SB)에 고정되는 상부암(U)과 시트의 시트쿠션(SC)에 고정되는 하부암(L)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암은 상기 하부암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상기 상부암의 하단부에는 기어부(41)가 형성되어 있는 리클라이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암(L)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암(U)에 결합된 상기 기어부(41)와 맞물리거나 해제시키기 위해 상향 또는 하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그 하측면에 접촉가장자리(31)가 형성된 잠금기어부재(3)와, 상기 하부암(L)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잠금기어부재(3)의 부근에 위치하여 상기 잠금기어부재의 상기 접촉가장자리(31)와 접할 수 있도록 회전중심이 배치된 캠부재(2)와, 상기 하부암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작동레버(1) 및, 상기 작동레버와 상기 캠부재를 작동 가능하게 접속시켜 작동레버의 회전이 상기 캠부재를 통해 상기 잠금기어부재(3)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잠금기어부재와 기어부(41) 사이를 맞물림 또는 해제시키는 접속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작동레버(1)는 상기 캠부재(2)의 상기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離隔)된 회전중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2)는 상기 작동레버(1)에 비해 작은 면적을 가지며 2개이상의 서로다른 캠표면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각 캠표면에는 상기 잠금기어부재(3)의 상기 접촉가장자리(31)와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충분한 접촉영역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잠금기어부재는 상기 2개이상의 서로다른 캠표면 중의 선택된 한쪽을 통해 상기 상부암(U)의 상기 기어부(41)와 맞물리거나 해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작동레버의 일단부에 형성된 접속돌기(11)와, 상기 캠부재(2)에 형성된 연결홈(2c-1)절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돌기(11)는 상기 작동레버의 상기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연결홈(2c-1)은 상기 캠부재(2)의 상기 회전중심과 가깝게 위치하며, 상기 작동레버의 상기 접속돌기(11)는 상기 캠부재의 상기 연결홈내에 고정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1)의 상기 일단부의 반대쪽 타단부에는 직선로드부(1b)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레버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직선로드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하향연장부(1a)를 형성하며,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중심은 상기 직선로드부와 상기 하향연장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접속돌기(11)는 상기 작동레버의 하향연장부(1a)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돌기(11)는 상기 작동레버(1)의 상기 하향연장된 하향연장부(1a)내에서 작동레버의 회전중심의 전방 한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작동레버(1A)의 일단부에 형성된 가이드구멍(21A)과, 상기 캠부재(2″)에 형성된 돌출부(21)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구멍은 상기 작동레버의 상기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캠부재의 상기 회전중심과 가깝게 위치하며, 상기 돌출부(21)가 상기 가이드구멍(21A)내에 미끄럼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1A)의 상기 일단부의 반대쪽 타단부에는 후방로드부(1b)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레버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후방로드부(1b)로부터 하향연장되며,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중심은 상기 하향연장된 전방단부(1a)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구멍(21A)은 상기 작동레버의 상기 하향연장된 하향연장부(1C)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구멍(21A)은 상기 작동레버(1A)의 상기 하향연장된 하향연장부(1C)내에서 작동레버(1A)의 회전중심의 후방으로 한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서로다른 캠표면 가운데 한 표면은 높은 레벨의 제1캠표면(2a)으로 형성되어 상기 잠금기어부재(3)가 상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암(L)의 상기 기어부(41)와 맞물리게 하며, 타표면은 낮은 레벨의 제2캠표면(2b)으로 형성되어 상기 잠금기어부재가 하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기어부로부터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기어부재(3)와 상기 작동레버(1)의 사이에는 가이드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잠금기어부재가 하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기어부(41)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잠금기어부재(3)내에 형성된 가이드핀(32)과 상기 작동레버(1)내에 형성된 가이드구멍(32A)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가이드구멍과 접하거나 그 속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9)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레버(1)가 미사용 위치 쪽으로 회전하도록 편향성을 갖게 하여 상기 잠금기어부재(3)를 상기 상부암(U)의 상기 기어부(41)와 맞물림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리클라이닝장치는 한쌍의 제1 및 제2리클라이닝장치(RD1)(RD1′)를 구비하는 이원형식으로 형성되며, 각 리클라이닝장치는 시트백(SB)의 각 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리클라이닝 장치 양자는 상기 잠금기어부재(3), 상기 캠부재(2) 및 상기 접속부재를 포함하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단지 상기 제1 및 제2리클라이닝장치 가운데 한쪽만이 상기 작동레버(1)를 가지며, 또한 상기 제1 및 제2리클라이닝 장치는 각각 상기 잠금기어부재가 상기 상부암(U)의 상기 기어부(41)로부터 해제되도록 하향회전하는 것을 돕기위한 가이드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리클라이닝장치의 상기 한쪽 내의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작동레버와 잠금기어부재(3)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리클라이닝 장치의 다른 한쪽의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잠금기어부재(3)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1리클라이닝 장치 사이에는 연동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한 개의 작동레버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리클라이닝 장치 내의 상기 캠부재와 가이드부재(3)를 동시에 작동시켜 상기 제1 및 제2 리클라이닝 장치 양자 내의 상기 잠금기어부재가 상기 기어부(41)와 맞물리거나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접속로드(5′)와 보조레버(1′)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레버는 상기 제1 및 제2리클라이닝장치(RD1)(RD1′)의 다른 한쪽에서 상기 가이드부재를 고정하며, 상기 접속로드의 일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리클라이닝장치 가운데 한쪽 내의 상기 캠부재(2)와 접속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리클라이닝장치의 다른 한쪽의 캠부재 및 보조레버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닝 장치.
KR1019940034626A 1994-03-31 1994-12-16 리클라이닝 장치 KR100248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8366694A JP3589695B2 (ja) 1994-03-31 1994-03-31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94-83666 1994-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8383B1 true KR100248383B1 (ko) 2000-04-01

Family

ID=13808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4626A KR100248383B1 (ko) 1994-03-31 1994-12-16 리클라이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589695B2 (ko)
KR (1) KR1002483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970B1 (ko) * 2002-07-11 2005-05-17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용 힌지형 시트리클라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265153A (ja) 1995-10-17
JP3589695B2 (ja) 200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2156A (en) Reclining device
US20070241603A1 (en) Armrest Locking Mechanism
JP2697958B2 (ja) 座席内に含まれ垂直面内で枢動可能な支持要素の調節機構
US5232265A (en) Vertical back adjust for chairs
KR100248383B1 (ko) 리클라이닝 장치
KR850001823A (ko) 의자용 기울이는 장치
JP3762188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0385118Y1 (ko) 틸팅가능 의자의 틸팅 레인지 조절장치
JP2002253348A (ja) 机、椅子の脚部高さ調節機構とその使用方法
US20060290185A1 (en) Locking device for office chairs and the like
JP4518648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US4335917A (en) Reclining arrangement
JPH11151131A (ja) リクライニングデバイス
JPH11326362A (ja) シートベルト用車体加速度センサー
JPH01218407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H0137938Y2 (ko)
JP3658870B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9990085929A (ko) 캠 실린더 방식을 이용한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
JP2554307Y2 (ja) 車両用シートアームレスト
JPS6326060Y2 (ko)
JP2000041776A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0206245B1 (ko) 차량용 시트 리크레이너 설치구조
JPH0435228Y2 (ko)
KR100199617B1 (ko) 자동차의 시트 체결구조
JPH0474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