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8167B1 - 자기테이프카세트 및 그것을 위한 분리하우징부재 - Google Patents

자기테이프카세트 및 그것을 위한 분리하우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8167B1
KR100248167B1 KR1019910018913A KR910018913A KR100248167B1 KR 100248167 B1 KR100248167 B1 KR 100248167B1 KR 1019910018913 A KR1019910018913 A KR 1019910018913A KR 910018913 A KR910018913 A KR 910018913A KR 100248167 B1 KR100248167 B1 KR 100248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ember
housing
magnetic tape
wall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8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8729A (ko
Inventor
클라우스쇠틀레
요아힘에버하르트
쿠르트쉬미츠
보치다르파벨카
Original Assignee
프리드리히 베케비츠
엠테크 마그네틱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드리히 베케비츠, 엠테크 마그네틱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프리드리히 베케비츠
Publication of KR920008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57Gui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23Containers for magazines or casset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85Envelope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테이프 카세트 및 그것을 위한 분리하우징 부재
제1도는 공지으 ㅣ컴팩트 카세트(compact cassette)(K)의 단면도.
제2도는 제3도의 라인 B-B' 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컴팩트 카세트(K3)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컴팩트 카세트의 평면도.
제4도는 테이프 가이드와 방향 전환 엘레먼트를 가지고 있는 본 발명의 컴팩트 카세트의 개략도.
제5도 내지 제10도는 분리된 하우징 부재(separate housing part)(이하 '분리 하우징 부재')와 평면하우징 부재(planar housing part)의 결합(fastening)을 예시하는 도면.
제11a도는 분리 하우징 부재의 정면도.
제11b도는 제11a도의 분리 하우징 부재의 평면도.
제12도는 분리 하우징 부재와 그 안에 테이프 로울리 내장된 평면 하우징 부재의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K : 공지된 컴팩트 카세트 K3 : 본 발명의 카세트
1, 2 : 동일 평면 상의 허브 (coplanar hubs)
3 : 자기테이프 3a : 자유테이프 루프
4, 5, 6, 7, 8 : 바닥벽, 뚜껑벽, 전면벽, 후면벽, 측면벽
10a, 10b : 돌출된 하우징부 11 : 녹음/재생헤드
12 : 소거헤드 13 : 고무압력 로울러
14 : 방향전환 로울러 15, 16, 17 : 가이드 핀
18a, 18b : 단 (step) 19a, 19b : 웨브
20a, 20b : 리브 21a, 21b : 갭
25, 26 : 평면하우징 부재
27, 40 : 제 3 하우징 부재 또는 분리 하우징 부재
28a, 28b, 28c : 잠금부재 41a, 41b : 전면구멍
42 : 벽 43 : 인덴테이션
44 : 공동
본 발명은 2개의 회전가능학 장착된 동일 평면 상의 허브와 이 허브들 사이에서 감기고 풀리수 있ㄴ즌 자기테이프, 바닥벽 및 뚜껑벽 미 ㅊ전면벽, 후면벽 및 측면벽을 가지고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헤드를 수용하기위하여 전면벽에 인접해 있으며 돌출된 하우징부를 가지고 있는 등합 하우징(housing halves), 및 그것을 위한 분리 하우징 부재로 이루어지는 자기테이프 카세트, 특히 컴팩트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DIN 45,516(1976년 6월)에 따른 컴팩트 카세트에서, 돌출된 하우징부는 카세트 중심으로부터 출발하여 양측에 대해 대칭으로 뻗어나가며, 이것은 대략 전면벽의 길이의 3 분의 2에 해당한다. 돌출된 하우징부는 전면벅에 인접하고 있다. 헤드를 수용하기 위한 3개의 구멍이 돌출된 하우징부으 ㅣ여역에 배열된다. 자기테이프르 위한 가이드 엘레먼트는 마찬가지로 돌출된 하우징부 영역에 제공되며, 카세트의 녹음/녹음재생의 질은 실제로 상기 가이드 엘레먼트에 좌우된다. 돌출된 하우징부의 형성에 비교적 값싼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은, 특히 열의 영향 하에서 등합 하우징의 굴곡을 야기하며, 그결과 가이드 엘레먼트의 위치 또한 변화되어 질이 불량한 카세트가 제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의 자기테이프 카세트의 상기와 같은 결점을, 특히 그것의 대량 생산을 위해, 제거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이, 등합 하우징의 바닥벽 및 뚜껑벽을 형성하는 하우징 부재가 본질적으로 평면이고, 돌출된 하우징부가 본질적으로 평면인 하우징 부재에 결합되기에 적당한 적얻도 하나의 분리 하우징 부재의 형태인 경우, 2개의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동일 평면 상의 허브와 이 허브들 사이에서 감기고 풀리수 있는 자기테이프, 및 바닥 및 뚜껑벽과 전면, 후면 및 측면벽을 가지고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헤드를 수용하기 우ㅟ하여 전면벽에 인접해 있는 돌출된 하우징부를 가지고 있는 등합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 특히 컴팩트 카세트에 의해 달성됨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예를들면 컴팩트 카세트에서 단 형성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내면의 평면성에 영향을 미치는 불균일성을 피하면서도 고품질의 제품이 비교적 염가로 제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재는 유리하게도 본질적으로 평면인 하우징부재(이하 평면 하우징 부재로서 언급됨)에, 적어도 하나의 스냅 단추 또는 결합 클램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접착 결합, 용접 및/또는 나사고정에 의한 결합도 가능하다.
만약 2개의 분리 하우징 부재가 존재한다면, 각각의 분리 하우징 부재는 또한 평면 하우징 부재중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질적으로 U-자형 측단면을 가지고 있는 하나의 분리 하우징 부잭 2 개의 평면하우징 부재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분리 하우징 부재(들)은 유리하게도 사출 성형될 수 있는 열가소성 재료로 부터 제조되낟. 그러한 플라스틱은 또한 전도성 증강 분말, 예컨대 탄소분말의 첨가에 의해 전도성을 띌 수 있다. 그러나, 분리 하우징 부재는 또한 자성 차폐 금속으로부터, 특히 연자성 금속 또는 연자서 금속 합금으로 부터 제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분리 하우징 부재는 또한 그 색이 평면하우징 부재의 색과 상이한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분리 하우징부재(들)의 내벽(들)상에 정위 웨브(positioning webs)를 제공하여 평면하우징 부재의 외부에 있는 상응하는 인덴테이션/웨브(indentations/webs)와 상호작용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것은 특히 분리하우징 부재와 평면하우징 부재의 배치시에 매우 높은 정확성을 가지면서도 용이한 카세트의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테이프 루프의 자유공간을 제한하기 위하여 하나의 또는 조립된 분리 하우징 부재의 전면구멍 가까이에, 전면의 길이에 직각으로 리브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것은 테이프의 끼임(jam)으로 인한 어셈블리소모를 실질적으로 피할수 있게 한다.
또한 평면하우징 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분리 하우징 부재영역안에 상호 확실하게 결합된 벽을 가지고 있다면 하우징의 안정성에 유리하다.
디자인 및 조립상의 이율로, 적어도 하나의 분리 하우징 부재는 평면 하우징 부재의 색과 상이한 색의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나아가, 측단면이ㅣ 실질적으로 U-자형인 상기 하나의 분리 하우징 부재는 그자체로서 2 개의 평면하우징 부재의 결합수단으로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상기 분리 하우징 부재는 조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탄력적으로 복원되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재료는 복원성 열가소성 재료 또는 탄성 금속일 수 있다.
2개의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동일 평면 상의 허브와 이 허브사이에서 감기고 풀리수 있는 자기테이프, 및 바닥벽 및 뚜껑벽과 후면벽 및 측면벽을 가지고 있고, 카세트의 전면구멍의 뒤를 따라 자기테이프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엘레먼트를 가지고 있는 하우징 부재로구성되는 카세트,특히 컴팩트 카세트용 분리 하우징 부재는, 그것이 하우징 부재들과 결합되는 하우징 부재의 형태이고 최소한 하나의 헤드의 출입을 수용하는 전면구멍을 가지고 있다면 그것 역시 본 발명의 목적물이다.
신제 구현예에서, 분리 하우징 부재는 하우징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최소한 하나의 스냅, 단추 또는 결합 클램프와 함께 형성되어 결합의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한 유리한 구현예에서, 분리 하우징 부재는 측단면이 U-자형이다.
유리하게도 분리 하우징 부재에는 그 내벽에, 하우징 부재의 외부에 있는 대응하는 인덴테이션 또는 웨브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정위 웨브가 부착될 수있다.
실제로, 전면구멍가까이에, 전면구멍을 따라 가이드된 자기테이프를 제한하고 가이드하기 위한, 또 부가적으로 헤드가까이에 테이프를 가이드하는 것을 개선시키기 위한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분리 하우징 부재가 열가소법에 의해 살출성형될 수 있는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면 제조관점에서도 유리하다. 헤드영역에 차폐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분리 하우징 부재는 플라스틱과 금속입자 또는 금속 피복물로, 또는 금속, 특히 자성이 약한 금속 또는 자성이 약한 금속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분리 하우징 부재는 또한 예를들어 디자인 효과 또는 제조를 위한 식별 표준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우징 부재의 색과 상이한 색의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만약 분리 하우징 부재가 결합수단으로서 작용될 목적이라면 분리 하우징 부재는 결합 클램프용 가요성 또는 탄성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를 도면 및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나타낸다.
공지의 규격화된 컴팩트 디스크(K)는 2개의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동일 평면 상의 허브(1,2)와 그 위에 감길수 있고 그것으로부터 풀릴수 있는 자기테이프(3), 및 각가 바닥벽(4)과 뚜껑벽(5)을 가지고 있으며, 전면벽(6), 후면벽(7)ㅠ 및 측면벽(8)을 가지고 잇고, 전면벽(6)에 인접하여 후방으로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녹음/재생 헤드(11)(204도 도시)를 수용하기위한 돌출된 하우징부(10a,10b)를 가지고 있는 등합 하우징으로 구성되낟. 전면벽(6)에는 추가의 녹음기 부재, 예컨대 소거 헤드(12), 고무 압력 로울러(13)등을 수용하기 위한 2개의 구멍이 있다. 상기 녹음기 부재들이 자기테이프(3)와, 정확하게 규정된 요구되는 접촉을 이루기 위해서는, 자기테이프는 허브(1)위에 존재하는 테이프 로울로부터 자유테이프 루프(3a)로, 카세트의 가이드 엘레먼트, 예컨대 방향 전환 로울러(14) 및 가이드 핀 (15,16 및 17)을 통하여 전면벽(6)을 따라 허브(2)위에 감겨진다. 만약 카세트가 반대방향으로 조작된다면 그 역으로 감겨진다. 가이드 엘레먼트(14) 내지 (17)의 경우에, 이것들의 수직위치로 부터 약 25㎛ 이상의 작은 일탈은, 오디오 신호의 재생수준에 실질적으로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실질적인 방위각의 오류를 야기하기에 충분하다. 돌출된 하우징부를 형성하고, 하기 설명되는 바와같이 보다 작은 벽 두께르 가지는 단(18a) 및 (18b) 때문에 하우징은 종래의 구성수단에 의해서는 보정될 수 없는 불균일성을 갖는다. 테이프 로울을 덮는 바닥벽(4)과 뚜껑벽(5)의 벽 두께는 통상 약 1.8mm 인 반면, 돌출된 하우징부(10a) 및 (10b)의 벽두께는 적어도 전면벽(6)의 구멍영역(이하 전면구멍이라 칭한다)에서는 약 1.0mm로 감소된다.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동안, 불균일성은 재료에 응력을 야기하며, 재료에 열이 가해지면 돌출된 하우징부(10a) 및 (10b)가 A 및 A'방향으로 구부러짐에 의해 재료의 응력이 보상된다)제1도).
제2도는 3-부재 배열로된 신규한 카세트(K3)를 도시하는데, 돌출된 하우징부를 형성하는 제 3 하우징 부재(27)에 의하여 결합되는 외부 및 내부가 평면이 하우징 부재(25) 및 (26)으로 구성된다.
제3도에서, 다수의 부재, 즉 2 이상의 부재로 용이하게 구성되는 제 3 하우징 부재 즉, 분리 하우징 부재(27)에는 3개의 잠금부재 또는 포인트(28A) 내지 (28C)가 각 측면상에 구비되는데, 이것들은 제5도 내지 제10도의 구현예에 도시된 형태의 것들이다.
제5도 내지 제10도에서, 하우징의 바닥벽(5)의 부재들은 넓은 음영으로 도시되고, 분리 하우징 부재(27)는 좁은 음영으로 도시된다.
제5도에서, 하우징부재(27)의 단부는 바닥벽(5)의 아치(32) 아래에서 리세스(31)와 맞물리며, 용접부분(33)이 부가로 제공된다
제6도는 바닥벽(5)의 후크형 아치(35)에 연결딘 후크형 리세스(34)를 도시한다. 제7도는 거의 제5도에 상응하는 것으로, 단 맞물림 영역의 벽 두께가 더크며 용접부분이 없다.
제8도 및 제9도는 각각 분리 하우징 부재(27)에 있는 고정 멈춤못(39)과 바닥벽(38)에 있는 스냅구멍(36,37)을 도시한다.
제10도는 유일한 결합수단으로서의 용접부분(33)을 도시한다. 제6도 내지 제9도의 구현예에는 용접부분이 도시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기계적 결합수단에 부가하여 용접부분 또는 접착결합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제로 컴팩트 카세트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나사결합을 단독으로 또는 다른 잠금수단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특히, 예컨대 제3도에 도시된 중간나사에 적용된다.
평면 하우징 부재의 잠금수단, 여기서는 하우징 부재의 바닥벽(5)의 잠금 수단 또는 분리 하우징 부재(27)의 잠금수단은 잠금부재(28A) 내지 (28C)에 따라 국부적으로 제공된다. 규결화된 또는 다른 카세트의 성형질에 따라 3개보다 많거나 적은 감금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분리 하우징 부재(27)의 전체 모서리에 잠금 부재가 제공될 수도 있는데 이는 반드시 평면하우징 부재상에 대응물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이는 잠금이 용접 또는 접착 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필요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분리 하우징 부재(27)는 다수의 부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경우에 2 또는 그 이상의 부재는 예를들어 카세트 전면의 결합부의 톱니모양의 시스템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어서 상호 움직이지 않는다.
분리 하우징 부재는 또한 제11a도 및 제 11b도에 도시된 하우징부재(40)와 같이 U자형 측단면을 갖는 단일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1a도는 U자형 부재의 전면에 관한 제 1 전경 D 와 후면에 관한 제 2 전경 C를 도시한다. 제11b도는 U자형의 부재의 평면도이다.
하우징부재(40)는 평면하우징 부재(25) 및 (26)의 수용과 테이프 접근을 위해 필요한 모든 구멍을 가지고 있다. 만약 지금까지(제5도 내지 제10도) 설명된 결합수단이 불충분하다면, 추가의 조립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 또는 2개의 평면하우징 부재(25)와 (26)의 상응하게 배열된 외부홈과 맞물리는 세로방향의 뭬드(19a),919b)가 U 자형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홈은 제3도에 표시되어 있다. 또한, 느슨한 자기테이프 루프(3a)(제4도)가 하우징부재(40)와 평면하우징 부재(25) 및 (26) 사이의 갭(21a) 및 (21b)에 끼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특히 전면구멍(41a) 및 (41b)의 2개으 수직 에지에 평행하고 밀접하게 리브(20a), (20b)가 구비될 수있다. 상술된 웨브(19)와 리브(20)는 중심선 m 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옆으로 돌출된 클램핑 부(46) 또한 구비될 수 있다.
제12도는 이 단면도(제3도의 라인 B-B' 을 따라 취함)에서, 테이프 루프(3a)가 매우 좁은 챔버(47)를 가지며, 이 챔버(47)는 본질적으로 리브(20a,20b) 및 벽(42)으로 경계를 이룬다는 것을 명백히 보여준다. 이 구현예에서, 벽(42)은 평면 하우징 부재(26)의 일부로서 이 전면하우징 영역에서 적당한 단단한 결합을 생성하기 위하여 평면 하우징 부재(25)에 있는 인덴테이션(43)과 맞물린다. 만약 평면 하우징 부재(25,26)가 거의 동일한 형상이라면 평면 하우징 부재(25)의 벽이 평면 하우징부재(26)에 배치된 인덴테이션으로 맞물려 들어감에 따라 감겨진 테이프(3)에 대해 일정한 높이를 가진 비교적 큰 공간(45)이 또다른 구역을 갖게 되며, 이것에 의해 비교적 작은 공동(44)이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분리 하우징 부재(27,40)는 유리하게도 열가소성사출성형성 합성수지 재료로 제조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재(들)은 금속, 예컨대 쉬이트(sheet metal)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광범위하게 가능한 디자인으로 인하여, 합성수지 재료 또는 금속은 기본 하우징(평면 하우징으로 구성됨)과 색이 다를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카세트의 내파열성을 다소 증가시키기 위하여 내파열성 플라스틱, 예컨대 폴리탄산염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옥시메틸렌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녹음 및 재생동안에 카세트를 외부의 전기장 및 자기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분리 하우징 부재의 플라스틱내에 전도성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자기장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분리 하우징 부재는 차폐금속, 특히 자성금속 또는 연자성 금속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만약 분리 하우징 부재와 평면하우징 부재사이의 결합 또는 잠금수단이 상호 맞물림이 풀릴수 있는 것이라면, 재료 및/또는 형상에 관련하여 예컨대 상이한 수의 전면구멍을 가지고 있는 상이한 분리 하우징 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예컨대 녹음직후에 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부가의 헤드를 위한 부가적 구멍으로 인해, 동일한 카세트가 보다 넓은 범위의 상이 한 응용예 또는 상이한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분리 하우징 부재의 측단면이 U-자형인 경우, 하우징 부재자체가 평면하우징 부재 또는 비-평면 하우징 부재에 대한 결합수단으로 형성될 유리한 가능성이 또한 존재한다. 이런 결합수단은 예컨대 등합카세트가 조립되는 동안 다른 결합수단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전에 임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결합 수단은 또한 카세트 완제품에서도 부분적인 결합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의도된 위치에 있는 분리 하우징 부재는 잠금수단 등을 통해 평면 또는 비-평면 하우징 부재들에 부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술된 바와같이 다른 분리 하우징 부재에 의해 대체되도록 평면 또는 비-평면하우징 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분리 하우징 부재의 결합기능을 위해, 분리 하우징 부재가 가요성 또는 탄성 및/또는 U-자형의 보다 낮은 아암부분(lower arm parts)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하우징 부재들은 빈틈없이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부리 하우징 부재는 또한 조임력을 생성하는 클랩이 수단, 예컨대 최소한 하나의 내부 판 스프링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클램핑 효과를 위한 초기 응력을 생성하기 위하여, U 자형의 결합아암 부재의 길이보다 작은 공간을 가지는 자유단부가 생성된 아암부재를 가지는 분리 하우징 부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분리 하우징 부재는 유리하게도 가용성 플라스틱 재료 또는 탄성금속재료로 부터 자체-결합부재로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컴팩트 카세트를 이용하여 비교실험에서 종래의 컴팩트 카세트를 능가하는 하기의 장점을 얻을수 있다. 비교 실험에서는 출원인의 시판중인 컴팩트 카세트를 본 발명의 컴팩트 카세트와 비교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와 같다. 두가지 컴팩트 카세트를 상승온도(WL)에서 8시간동안 85℃에서 저장한 후, 오디오 해드갭의 방위각을 실험 전후 각 카세트의 테이프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하기표의 측정치를 얻었다 :
[표 ]
컴팩트 카세트의 종류 SEL 전의 방위각 WL 후의 방위각
[앵귤러미니트(Angulat minutes)]
* 1 앵귤러 미니트는 1/60˚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
2배 이상 방위각의 개선이 이루어진다. 즉, 카세트에 의한 방위각의 오류가 1/2 이상 감소된다.
제조되어 시판중인 컴팩트 카세트에서는, 본 발명에서와 유사한 염가로, 상기와 같은 방위각의 개선 또는 테이프 가이던스의 정확성을 얻을 수 있는 필적할 만한 수단이 없다.
본 발명의 목적상, 자기테이프 카세트는 본 발명의 수단이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오디오, 비데오, 정보 및 기악 연주용 테이프 카세트이다.

Claims (16)

  1. 2개의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동일 평면 상의 허브와, 상기 허브들사이에서 감기고 풀릴수 있는 자기테이프와, 바닥벽(4), 뚜껑벽(5), 전면벽(6), 후면벽(7) 및측면벽(8)을 가지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헤드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벽(6)에 인접해 있는 돌출된 하우징부를 가지는 등합하우징(housing halves)으로 구성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 특히 컴팩트 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등합 하우징의 바닥벽(4) 및 뚜껑벽(5)을 형성하는 하우징 부재(25,26)는 평면이며, 상기 돌출된 하우징부는 상기 평면 하우징부재(25,26)에 결합될 수 있는 분리 하우징 부재(27,40)의 형태이며, 상기 분리 하우징 부재(27,40)는 그측단면이 실질적으로 U 자형이며 상기 평면 하우징 부재(25,26)들을 결합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하우징부재(27,4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냅, 단추 또는 클램프 결합부(31,32 또는 34,45 또는 36,38 또는 37,39)에 의하여 상기 평면하우징 부재(25,2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하우징 부재(27)는 접착 결합 또는 용접에 의해 상기 평면하우징 부재(25,2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하우징 부재(27)는 사출성형성 열가소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
  5. 제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하우징 부재(27)는 금속, 특히 연자성 금속 또는 연자성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
  6. 제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하우징 부재(25,26) 외부상의 대응되는 인덴테이션/웨브와 상호작용하는 정위 웨브(19a,19b)가 상기 분리 하우징 부재(27,40)의 내벽(들)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느 자기테이프 카세트.
  7.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테이프 루프(3a)를 제한하기위하여 상기 분리 하우징 부재의 상기 전면 구멍 가까이에 상기 전면 구멍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리브(20a,20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
  8. 제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하우징 부재(25,26)는 상기 분리 하우징 부재(27,40)의 여역에 단단한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맞물려지는 벽 부분들(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
  9.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하우징 부재(27,40)는 상기 평면 하우징 부재(25,26)으 색과 다른 색의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
  10. 2개의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동일 평면상의 허브와, 상기 허브들사이에서 감기고 풀리수 있는 자기테이프와, 바닥벽(4), 뚜껑벽(5), 전면벽(6), 후면벽(7) 및측면벽(8)을 가지는 하우징부와, 카세트의 전면구멍의 뒤를 따라 자기테이프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엘레먼트로 구성되는 카세트, 특히 컴팩트 카세트의 분리 하우징 부재에 있어서, 상기 분리 하우징 부재(27,40)는 그측단면이 실질적으로 U 자형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헤드의 출입을 위한 전면구멍(41A,41B)을 가지며, 상기 평면 하우징 부재(25,26)들을 결합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하우징 부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하우징부재(27,4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냅, 단추 또는 클램프 결합부(31,32 또는 34,45 또는 36,38 또는 37,39)에 의하여 상기 평면하우징 부재(25,2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하우징 부재.
  12. 제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하우징 부재(25,26) 외부상의 대응되는 인덴테이션/웨브와 상호작용하는 정위 웨브(19a,19b)가 상기 분리 하우징 부재(27,40)의 내벽(들)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하우징 부재.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구멍을 따라 상기 자기테이프를 가이드하고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구명 가까이에 리브(20a,20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하우징 부재.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하우징 부재는 사출성형성 열가소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하우징 부재.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하우징 부재는 금속, 특히 연자성 금속 또는 연자성 금속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분리 하우징 부재.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하우징 부재는 상기 평면하우징 부재(25,26)의 색과 다른 색의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하우징 부재.
KR1019910018913A 1990-10-25 1991-10-25 자기테이프카세트 및 그것을 위한 분리하우징부재 KR100248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9014777U DE9014777U1 (ko) 1990-10-25 1990-10-25
DEG9014777.4 1990-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729A KR920008729A (ko) 1992-05-28
KR100248167B1 true KR100248167B1 (ko) 2000-03-15

Family

ID=6858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8913A KR100248167B1 (ko) 1990-10-25 1991-10-25 자기테이프카세트 및 그것을 위한 분리하우징부재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2) US5293292A (ko)
EP (1) EP0482459B1 (ko)
JP (1) JP3162131B2 (ko)
KR (1) KR100248167B1 (ko)
CN (1) CN1025256C (ko)
AT (1) ATE139361T1 (ko)
AU (1) AU655206B2 (ko)
BR (1) BR9104586A (ko)
CA (1) CA2054129A1 (ko)
CS (1) CS324191A3 (ko)
DE (3) DE9014777U1 (ko)
DK (1) DK0482459T3 (ko)
ES (1) ES2087944T3 (ko)
GR (1) GR3021214T3 (ko)
HU (1) HUT61122A (ko)
RU (1) RU2018978C1 (ko)
SG (1) SG44777A1 (ko)
ZA (1) ZA9184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110977U1 (ko) * 1991-09-05 1993-01-14 Dunker, Petra Christa Gretel, 4030 Ratingen, De
JP3239401B2 (ja) * 1991-12-16 2001-12-17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JP3550811B2 (ja) * 1995-08-02 2004-08-04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US20020135938A1 (en) * 2001-02-21 2002-09-26 Fuji Photo Film Co., Ltd. Record medium cartridge and molded resin part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0552A (en) * 1968-10-30 1971-10-05 Kazuyuki Shirakura Tape cartridge
DE2027379C3 (de) * 1970-06-04 1975-06-26 Eichner Organisation Kg, 8630 Coburg Hängeregisterartige Aufbewahrungseinrichtung für Magnetbandkassetten
US3796394A (en) * 1971-04-22 1974-03-12 Polygon Concepts Inc Cassette
ES188692Y (es) * 1973-02-13 1974-09-16 Mena Sanchez Un nuevo tipo de cartucho para cintas magnetofonicas.
IT1015079B (it) * 1974-06-14 1977-05-10 Clerici B Procedimento per la fabbricazione di cassette per registratori a na stro e cassetta ottenuta con il procedimento medesimo
US3912194A (en) * 1974-06-21 1975-10-14 John Y S Chan Tape cassette with tape clearance space
DE2951951A1 (de) * 1979-12-22 1981-07-09 Basf Ag, 6700 Ludwigshafen Bandkassette fuer streifen- oder bandfoermige aufzeichnungstraeger, insbesondere magnetbaender, sowie kassettengehaeuse und schutz-/haltehuelle fuer aufgewickelte aufzeichnungstraeger
JPS59168891U (ja) * 1983-04-26 1984-11-12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テ−プカセツト
JPS6051682U (ja) * 1983-09-16 1985-04-1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テ−プカセツト
JPS6089676U (ja) * 1983-11-28 1985-06-19 株式会社福武書店 カセツトテ−プ
US4694369A (en) * 1985-03-14 1987-09-15 Ramsay Donald L Separable web container
DE8621947U1 (de) * 1986-08-16 1986-10-16 Basf Ag, 6700 Ludwigshafen Quaderform-Kassette für bandförmige Aufzeichnungsträger
US5088656A (en) * 1988-09-26 1992-02-18 Hitachi Maxell, Ltd. Tape cartridge using metal and plastic resin
DE8908982U1 (ko) * 1989-07-24 1989-09-21 Wimmer, Anton, 8000 Muenchen, De
US5198952A (en) * 1991-07-01 1993-03-30 Chan John Y S Ultra-compact cassette system having a reel brake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3574A (zh) 1992-08-12
KR920008729A (ko) 1992-05-28
DK0482459T3 (da) 1996-07-01
ZA918476B (en) 1993-04-26
US5293292A (en) 1994-03-08
AU655206B2 (en) 1994-12-08
EP0482459A2 (de) 1992-04-29
US5351160A (en) 1994-09-27
DE59107922D1 (de) 1996-07-18
ES2087944T3 (es) 1996-08-01
ATE139361T1 (de) 1996-06-15
JPH05128786A (ja) 1993-05-25
HUT61122A (en) 1992-11-30
CS324191A3 (en) 1992-05-13
CA2054129A1 (en) 1992-04-26
RU2018978C1 (ru) 1994-08-30
DE9014777U1 (ko) 1991-10-31
JP3162131B2 (ja) 2001-04-25
AU8606391A (en) 1992-04-30
EP0482459B1 (de) 1996-06-12
BR9104586A (pt) 1992-06-09
CN1025256C (zh) 1994-06-29
GR3021214T3 (en) 1996-12-31
DE9112855U1 (ko) 1991-12-19
HU913350D0 (en) 1992-01-28
SG44777A1 (en) 1997-12-19
EP0482459A3 (en) 1992-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75347B1 (en) A tape cassette
CA1226941A (en) Tape cassette having reels with limited axial travel
US7014138B2 (en) Magnetic tape cartridge
KR100248167B1 (ko) 자기테이프카세트 및 그것을 위한 분리하우징부재
KR910001955B1 (ko) 기록테이프용 카아트리지
EP0027653A1 (en) A hub for use in a magnetic recording tape cassette and a magnetic recording tape cassette comprising at least one such hub
US5201476A (en) Welded video cassette
EP0324458B1 (en) Magnetic tape cassette having improved erasure preventing device
JPH0348783Y2 (ko)
JPH0348784Y2 (ko)
US5524005A (en) Cartridge for a recording reproducing medium having a shutter configured to reduce damage to the casing
US6532133B1 (en) Recording medium cartridge with improved welding characteristics
US6698675B2 (en) Leader block assembly with snap-in feature for a data storage tape cartridge
JPS5923264Y2 (ja) 磁気テ−プカ−トリツジにおけるハブへのテ−プクランプ構造
KR100255046B1 (ko) 테이프 카세트
JP2504281Y2 (ja) テ―プカ―トリッジ
JPH0718074Y2 (ja) 磁気テ−プカセット
JPH06180964A (ja) カートリッジ
JPH0726980U (ja) 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H01199378A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H076985U (ja) 磁気テープカセット
JP2001060376A (ja) テープカセット
JPH04271077A (ja) 磁気テープカセット
JPH08161858A (ja) テープカセット
JPH03260975A (ja) 記憶デイスク用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