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5981B1 - 항종양제 내성의 저해 효과를 가지는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항종양제 내성 저해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종양제 내성의 저해 효과를 가지는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항종양제 내성 저해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5981B1
KR100245981B1 KR1019970051078A KR19970051078A KR100245981B1 KR 100245981 B1 KR100245981 B1 KR 100245981B1 KR 1019970051078 A KR1019970051078 A KR 1019970051078A KR 19970051078 A KR19970051078 A KR 19970051078A KR 100245981 B1 KR100245981 B1 KR 100245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general formula
prepared
methylami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1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0722A (ko
Inventor
유성은
이병호
이정옥
최은정
이규양
최상운
신화섭
Original Assignee
김충섭
한국화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섭, 한국화학연구소 filed Critical 김충섭
Priority to KR1019970051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5981B1/ko
Publication of KR19990030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9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5/00Carboxylic acid nitriles
    • C07C255/01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55/32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55/42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further bound to other hetero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3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7/00Sulfones; Sulfoxides
    • C07C317/26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종양제 내성의 저해 효과가 탁월하고 부작용이 없는 하기 일반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종양제 내성 저해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0
이때, X는 CN, 카르복시, COOR10, SO2Ph 또는 SPh이고; k, l,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고; R1은 수소 또는 C1-3알킬이고; R2, R3, R4, R5, R6, R7, R8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또는 C1-3알콕시이고; R10은 C1-2알킬이다.

Description

항종양제 내성의 저해 효과를 가지는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항종양제 내성 저해용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항종양제 내성에 대한 저해 효과가 탁월하고 부작용이 없는 아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종양제 내성 저해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악성 종양은 전세계적으로 성인 사망의 가장 중요한 원인의 하나가 되는 치명적인 질병으로, 우리나라에서도 그 발생 빈도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현재 악성 종양의 치료를 위하여 다양한 약물들이 항암제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대부분의 약물의 사용에는 약물 투여에 따른 부작용과 더불어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암세포 출현의 두가지 큰 문제점이 있다.
항암제 내성에 관한 통계 자료에 의하면 50% 이상의 암세포가 한가지 이상의 다양한 약제 내성 기작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P-당단백질(P-glycoprotein; Pgp)에 의한 다제 약제 내성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P-당단백질은 1280 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고 분자량이 170 KDa 정도인 전이막 당단백질(transmembrane glycoprotein)로, mdr1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고 ATP를 사용하며, 빈카 알칼로이드(vinca alkaloids), 안트라사이클린(anthracyclines) 및 에피포도필로톡신(epipodophyllotoxin)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약물들을 세포외로 방출시킴으로써 암세포가 이들 약물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악성 종양의 약제 내성은 일반적으로 항암제의 사용에 따라 증가하며, 임상적으로 P-당단백질을 발현하는 암 환자는 그렇지 않은 암 환자에 비해 암 치료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P-당단백질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진 항암제에는 빈블라스틴(vinblastine), 파크리탁셀(paclitaxel) 및 독소루비신(doxorubicin) 등 수많은 항암제들이 있다.
따라서, P-당단백질에 의한 다제 약제 내성에 대한 저해제는 이들 항암제와 함께 투여되는 경우 항암제의 항암 작용을 증강시킴으로써 악성 종양의 치료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최근 칼슘통로 차단제의 일종인 베라파밀(verapamil)이 P-당단백질의 활성을 저해하는 다제 약제내성 저해제로 주목받고 있으나, 임상실험에서 약제내성 저해제로 사용되는 경우 혈압을 급격히 강하시키는 등의 심장순환계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약제 내성 저해 효과를 가지면서 혈압은 감소시키지 않는 신규 화합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뛰어난 항종양제 내성 저해 효과를 가지면서 동시에 심장순환계에 부작용이 없는 화합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kpo00001
이때, X는 CN, 카르복시, COOR10, SO2Ph 또는 SPh이고; k, l,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고; R1은 수소 또는 C1-3알킬이고; R2, R3, R4, R5, R6, R7, R8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또는 C1-3알콕시이고; R10은 C1-2알킬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 중 바람직한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에서 X가 CN 또는 CO2CH3이고, l가 2 또는 3의 정수이며, m 및 k가 1 또는 2의 정수이고, n이 0, 2 또는 3의 정수이며 R1은 CH3인 화합물들이다.
상기 화합물중 더욱 바람직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1-(3-{[2-(3,4-디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프로필)-4,5-디메톡시인단-1-카르보니트릴;
1-{3-[(4,5-디메톡시인단-1-일메틸)메틸아미노]프로필}-4,5-디메톡시인단-1-카르보니트릴;
1-(3-{[2-(3,4-디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프로필)-4,5-디메톡시인단-1-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1-(3-{[2-(3,4-디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프로필)-5,6-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카르보니트릴; 및
1-(3-{[2-(2,3,4-트리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프로필)-5,6-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카르보니트릴.
본 발명의 상기 일반식 (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도식화된다.
Figure kpo00002
상기 일반식 (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일반식 (I)의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II)의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 (III)의 이차아민 화합물을 염기 존재하에서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이때, E는 이탈기로 할로겐, 메탄술포닐옥시 또는 톨루엔술포닐옥시이고; X, l, k, m, n, R1, R2, R3, R4, R5,R6,R7, R8및 R9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에서 염기로는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또는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삼차아민 염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용매로는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또는 디옥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온도는 상온 내지 용매의 비등점까지의 범위이다.
상기 일반식 (II)의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IV)의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 (V)의 화합물을 염기 존재하에 알킬화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이때, E'은 이탈기로 할로겐, 트리메틸실릴옥시, 메탄술포닐옥시 또는 톨루엔술포닐옥시이고; X, l, m, R6, R7, R8, R9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에서 염기로는 수소화 나트륨, 삼차부톡시화 칼륨, 리튬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Me3Si)2NLi] 또는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반응용매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에틸에테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온도는 -78oC 내지 상온이다.
특히, 상기 일반식 (V)의 화합물이 3-브로모-1-트리메틸실릴옥시프로판인 경우에는 얻어진 반응산물의 트리메틸실릴옥시기를 히드록시로 변환하고 다시 히드록시기를 할로겐으로 치환함으로써 고수율로 상기 일반식 (II)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일반식 (II)의 화합물의 또 다른 제조방법으로, 하기 일반식 (VI)의 화합물을 환원제를 사용하여 1,4-환원반응시키면서 상기 일반식 (V)의 화합물을 알킬화 반응시켜 상기 일반식 (II)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7
이때, X, l, R6, R7, R8및 R9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에서 환원제로는 이차-삼부틸붕소산 칼륨이나 이차-삼부틸붕소산 리튬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반응용매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에틸에테르, 디옥산, 톨루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온도는 -78℃ 내지 상온이다.
상기 일반식 (IV)의 화합물에서 X가 CN인 하기 일반식 (IV-a)의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VII)의 케톤 화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이때, l, R6, R7, R8및 R9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반식 (IV-a)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일반식 (VII)의 케톤 화합물을 요오드화 아연(ZnI2) 촉매 존재하에 트리메틸실릴 시아나이드와 반응시켜 하기 일반식 (VIII)의 화합물을 제조하고, 이 화합물을 피리딘 또는 피리딘과 벤젠의 혼합 용매에서 포스포릴 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디하이드로실릴제와 반응시켜 하기 일반식 (VI-a)의 화합물을 제조한 후, 이를 팔라듐 촉매 존재하에 수소화 반응시키는 것이다.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이때, l, R6, R7, R8및 R9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일반식 (IV-a)의 화합물의 다른 제조방법으로는, 삼차부톡시화 칼륨 염기 존재하에 상기 일반식 (VII)의 화합물과 토실메틸 이소시아나이드를 반응시키는 것이다. 이때, 반응 용매로는 1,2-메톡시에탄, 디메틸술폭시드, 헥사메틸포스포트리아미드를 사용할 수 있고, 반응 온도는 0 내지 50℃이다.
상기 일반식 (IV-a)의 화합물의 또 다른 제조방법으로는, 상기 일반식 (VII)의 케톤 화합물을 수소화붕소나트륨, 리튬알루미늄히드라이드, 디이소부틸알루미늄히드라이드과 같은 환원제로 케톤기를 알콜기로 환원시킨 후, 트리메틸실릴 시아나이드와 반응시켜서 제조하거나, 알콜기를 할로겐, 메탄술포닐옥시 또는 톨루엔술포닐옥시와 같은 이탈기로 변환시킨 후 시안화 나트륨 또는 시안화 칼륨과 반응시키는 것이다.
상기 일반식 (IV)의 화합물에서 X가 COOR10인 하기 일반식 (IV-b)의 화합물은, 상기 일반식 (IV-a)의 화합물의 니트릴기를 산가수분해시켜 하기 일반식 (IX)의 카르복실산 화합물을 제조하고 이 화합물을 메탄올, 에탄올 또는 디아조메탄을 사용하여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이때, l, R6, R7, R8및 R9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산가수분해 반응에서 반응 용매로는 테트라히드로퓨란, 1,4-디옥산, 메틸알콜, 에틸알콜 등과 물의 혼합용매를 사용하거나 물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반응온도는 상온 내지 용매의 비등점까지의 범위이며,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은 황산, 톨루엔술폰산 등과 같은 산촉매 존재하에 메탄올, 에탄올 또는 디아조메탄을 용매로 사용하여 반응시키거나, 벤젠, 톨루엔 등의 용매를 사용하여 반응시킨다. 반응온도는 상온 내지 용매의 비등점까지의 범위이다.
상기 일반식 (VII)의 케톤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X)의 알데히드 화합물을 피리딘과 같은 염기 존재하에 말론산과 반응시키거나 (카르보메톡시메틸렌)트리페닐포스포란과 같은 비티히(Wittig) 시약을 사용하여 비티히 반응을 시킨 후 가수분해하여 하기 일반식 (XI)의 화합물을 제조하고, 이 화합물을 팔라듐 촉매하에 수소화 반응시켜 하기 일반식 (XII)의 카르복실산 화합물을 제조한 다음, 염화알루미늄이나 폴리인산과 같은 산을 촉매로 사용하여 프리델-크라프트 반응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5
Figure kpo00016
이때, p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l, R6, R7, R8및 R9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일반식 (III)의 이차아민 화합물중에서 k가 1인 하기 일반식 (III-a)의 화합물은, 상기 일반식 (IV-a)의 니트릴 화합물을 디이소부틸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와 같은 환원제로 환원하여 하기 일반식 (XIII)의 알데히드 화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일차아민 화합물(R1NH2)과 팔라듐 촉매 존재하에 수소화 반응시키는 환원적 아민화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17
Figure kpo00018
이때, l, R1, R2, R3,R4, R5, R6, R7, R8및 R9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환원 반응에서 반응 용매로는 테트라히드로퓨란, 에틸에테르, 헥산, 톨루엔이 사용될 수 있고, 반응 온도는 -20 내지 50 ℃이며, 상기 아민화 반응에서 반응 용매로는 메틸알콜, 에틸알콜, 에틸아세테이트가 사용될 수 있고, 반응 온도는 0 내지 50 ℃이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상기 일반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 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함유하는 항종양제 내성 저해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정제, 캡셀제, 산제, 과립, 현탁액, 유화액 또는 비경구투여용 제제와 같은 단위투여형 또는 수회투여형 제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I)의 화합물의 1일 투여량은 성인 체중 1 ㎏ 당 0.01 내지 10 ㎎이나, 사용될 특정 화합물,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약제혼합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나, 이로써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비율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한 v/v 기준이다.
실시예 1: 1-(3-{[2-(3,4-디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프로필)-4,5-메톡시인단-1-카르보니트릴의 제조
(단계 1) 2,3-디메톡시신남산의 제조
피리딘 100ml에 2,3-디메틸벤즈알데히드 4.93g과 말론산 6.17g을 용해시켰다. 이 혼합 용액에 피페리딘 5ml를 가하고 약 100oC에서 6시간 동안 가열환류시켰다. 이 혼합용액을 식힌 후 10% 염산 수용액을 천천히 가하여 산성 용액이 되게 한 후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이 에테르층을 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시키고 감압농축하여 상기 목적 화합물 5.6g (수율 91%)을 얻었다.
(단계 2) 3-(2,3-디메톡시페닐)프로피온산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수득한 화합물 5.2g을 메탄올에 녹인 후 소량의 10% Pd/C을 가하였다. 이 혼합용액을 수소가스 하에서 약 5시간 교반시킨 후 셀라이트 패드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이 용액을 감압농축시켜 상기 목적 화합물 5.29g (수율 99%)을 얻었다.
(단계 3) 4,5-디메톡시-1-인단온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수득한 화합물 4.74g을 약 47g의 폴리인산에 가한 후 70oC에서 1시간 동안 저어주었다. 이 혼합 용액을 냉각시킨 후 냉각수를 천천히 가하고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에테르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시키고 감압농축하여 상기 목적 화합물 3.68g (수율 85%)을 얻었다.
(단계 4) 1-트리메틸실릴옥시-4,5-디메톡시인단-1-카르보니트릴의 제조
상기 단계 3에서 수득한 화합물 1.5g과 요오드화 아연 60mg을 벤젠 5ml에 녹인 후 트리메틸실릴 시아나이드 1.35ml를 가하고 상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기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가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시키고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10:1)로 정제하여 상기 목적 화합물 1.7g (수율 75%)을 얻었다.
(단계 5) 4,5-디메톡시-3H-인덴-1-카르보니트릴의 제조
상기 단계 4에서 수득한 화합물 200mg을 벤젠에 녹인 후 여기에 피리딘 0.56ml와 포스포릴 클로라이드(POCl3) 0.2ml를 가하였다. 이 혼합용액을 100oC에서 2시간 동안 가열환류시킨 후 10% 염산과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시키고 용매를 제거하여 얻은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4:1)로 정제하여 상기 목적 화합물 100mg (수율 73%)을 얻었다.
(단계 6) 4,5-디메톡시인단-1-카르보니트릴의 제조
상기 단계 5에서 수득한 화합물 100mg을 에탄올 3ml에 녹인 후 촉매량의 10% Pd/C을 넣었다. 이 혼합용액을 수소기체 하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셀라이트 패드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용매를 감압증류로 제거하여 상기 목적 화합물 100mg (수율 99%)을 얻었다.
(단계 7) 1-{(3-트리메틸실릴옥시)프로필}-4,5-디메톡시인단-1-카르보니트릴의 제조
상기 단계 6에서 수득한 화합물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4ml와 헥사메틸포스포아미드(HMPA) 0.4ml의 혼합 용액에 녹인 후 -78oC로 냉각시켰다. 이 혼합 용액에 리튬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를 천천히 가하고 -78oC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3-브로모-1-(트리메틸실릴옥시)프로판 190mg을 가하였다. 이 혼합용액을 0oC까지 서서히 온도를 올린 후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가한다. 이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시키고 용매를 제거하여 얻은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8:1)로 정제하여 상기 목적 화합물 150mg (수율 82%)을 얻었다.
(단계 8) 1-(3-히드록시프로필)-4,5-디메톡시인단-1-카르보니트릴의 제조
상기 단계 7에서 수득한 화합물 110mg을 THF 1.5ml에 녹인 후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0.58ml (1M THF 용액)을 가하였다. 이 혼합 용액을 상온에서 40분간 교반한 후 물을 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여 상기 목적 화합물 70mg (수율 99%)을 얻었다.
(단계 9) 1-(3-브로모프로필)-4,5-디메톡시인단-1-카르보니트릴의 제조
상기 단계 8에서 수득한 화합물 70mg을 디클로로메탄 2ml에 녹인 후 0oC에서 테트라브로모메탄 130mg과 트리페닐포스핀 80mg을 가하였다. 이 혼합 용액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4:1)로 분리정제하여 상기 목적 화합물 80mg(수율 93%)을 얻었다.
(단계 10) 1-(3-{[2-(3,4-디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프로필)-4,5-디메톡시인단-1-카르보니트릴의 제조
상기 단계 9에서 수득한 화합물 80mg을 디메틸포름아미드(DMF) 2ml에 녹인 후 무수 K2CO370mg과 3,4-디메톡시-N-메틸페네틸아민 60mg을 가하였다. 이 혼합 용액을 100oC에서 3시간 30분 동안 가열 교반한 후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에테르층을 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시키고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5% 메탄올/디클로로메탄)로 분리정제하여 상기 목적 화합물 70mg (수율 64%)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1.72(3H, m), 1.90(1H, m), 2.19(1H, m), 2.28(3H, s), 2.44(2H, t), 2.59(2H, m), 2.72(2H, m), 3.03(2H, m), 3.84(3H, s), 3.85(6H, s), 3.86(3H, s), 6.74(2H, br s), 6.79(1H, d), 6.83(1H, d), 7.82(1H, d)
IR (film) 2930, 2220, 1560, 1485, 1365cm-1
실시예 2: 1-{3-[(4,5-디메톡시인단-1-일메틸)메틸아미노]프로필}-4,5-디메톡시인단-1-카르보니트릴의 제조
(단계 1) 4,5-디메톡시인단-1-카르보알데히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6에서 수득한 화합물 40mg을 톨루엔 1ml에 녹인 후 0oC로 냉각시켰다. 이 용액에 디이소부티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DIBAL, 1.5M in toluene, 0.2ml)을 0oC에서 천천히 가한 후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10% 황산 수용액을 가하고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시키고 농축한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아세테이트=6:1)로 분리정제하여 상기 목적 화합물 17mg (수율 42%)을 얻었다.
(단계 2) (4,5-디메톡시인단-1-일메틸)메틸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수득한 화합물 116mg을 메탄올 1ml에 녹인 후 메틸아민 (40wt% in H2O, 1ml)과 촉매량의 10% Pd/C을 가하여 수소기체 하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셀라이트 패드를 이용하여 여과시킨 후 메탄올을 제거하고,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가한 후 에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시킨 후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1:2)로 분리정제하여 상기 목적 화합물 59mg (수율 49%)을 얻었다.
(단계 3) 1-{3-[(4,5-디메톡시인단-1-일메틸)메틸아미노]프로필}-4,5-디메톡시인단-1-카르보니트릴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9에서 수득한 화합물 125mg을 DMF 2ml에 녹인 후 무수 K2CO390mg과 상기 단계 2에서 수득한 화합물 73mg을 가한 후 100oC에서 약 2시간 동안 가열교반시켰다. 여기에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가한 후 에틸에테르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시켜 농축하였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디클로로메탄=5:95)로 분리정제하여 상기 목적 화합물 70mg (수율 46%)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1.86(3H, m), 1.97(1H, m), 2.24(2H, m), 2.32(3H, s), 2.42(2H, m), 2.51(1H, m), 2.62(1H, m), 2.98(5H, m), 3.25(1H, m), 3.44(1H, m), 3.83(3H, s), 3.84(6H, s), 3.85(3H, s), 6.73(1H, m), 6.84(1H, d), 6.97(1H, d), 7.04(1H, dd)
실시예 3: 1-(3-{[2-(3,4-디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프로필)-4,5-디메톡시인단-1-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단계 1) 4,5-디메톡시인단-1-카르복실산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6에서 수득한 화합물 190mg을 3N 염산 수용액(4ml)-THF(3ml) 혼합용매하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환류시켰다. THF를 감압하에서 제거한 후 에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 및 농축시켜 상기 목적 화합물 190mg을 얻었다.
(단계 2) 4,5-디메톡시인단-1-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수득한 화합물 190mg을 에틸에테르에 녹인 후, 0oC로 냉각시키고 디아조메탄을 출발물질이 없어질 때까지 천천히 가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아세테이트=8:1)로 정제하여 상기 목적 화합물 140mg을 얻었다.
(단계 3) 1-(3-브로모프로필)-4,5-디메톡시인단-1-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수득한 화합물 380mg을 질소 기체하에서 THF (4ml)-HMPA (0.4ml)의 혼합용매에 녹인 후 -78oC로 냉각시키고 리튬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2.13 mmol)을 가한 후 1시간 동안 -78oC에서 교반하였다. -78oC에서 1,3-디브로모프로판 0.24ml를 가한 후 0oC까지 서서히 온도를 올리면서 교반하였다.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가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시키고 농축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아세테이트=6:1)로 정제하여 상기 목적 화합물 440mg (수율 77%)을 얻었다.
(단계 4) 1-(3-{[2-(3,4-디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프로필)-4,5-디메톡시인단-1-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상기 단계 3에서 수득한 화합물 100mg을 DMF 1ml에 녹인 후 무수 K2CO360mg과 3,4-디메톡시-N-메틸페네틸아민 80mg을 가하고 100oC에서 5시간 동안 가열교반시킨 후 에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시키고 농축시킨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메탄올:디클로로메탄=5:95)로 분리정제하여 상기 목적 화합물 70mg (수율 54%)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1.46(2H, m), 1.65(1H, m), 1.98(1H, m), 2.18(1H, m), 2.28(3H, s), 2.40(2H, br t), 2.56(H, br t), 2.70(3H, m), 3.01(2H, m), 3.65(3H, s), 3.84(6H, s), 3.85(3H, s), 3.87(3H, s), 6.71-6.80(4H, m), 7.03(1H, d)
실시예 4: 1-(3-{[2-(3,4-디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프로필)-5,6-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카르보니트릴의 제조
(단계 1) 4-(2,3-디메톡시페닐)-2-부텐산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무수 벤젠 (30ml)에 (2,3-디메톡시페닐)아세트알데히드 3.14g을 녹이고 (카르보에톡시메틸렌)트리페닐포스포란 7.28g을 가하고 2시간 동안 가열환류시켰다. 용매를 제거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상기 목적 화합물 4.12g (수율 95%)을 얻었다.
(단계 2) 4-(2,3-디메톡시페닐)부티르산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수득한 화합물 4.1g을 에탄올 30ml에 녹이고 촉매량의 10% Pd/C를 가하고 수소 기체하에서 수소화 반응시켰다.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10% Pd/C를 여과하여 제거시킨 후 용매를 제거하여 상기 목적 화합물 4.08g (수율 99%)을 얻었다.
(단계 3) 4-(2,3-디메톡시페닐)부티르산의 제조
THF-H2O (2:1) 혼합용매에 상기 단계 2에서 수득한 화합물 4.08g을 녹이고 수산화나트륨 1g을 가하였다. 이 혼합 용액을 5시간 동안 가열환류시킨 후 1N 염산 수용액으로 산성화시켰다. 에테르로 추출하고 물, 염수로 세척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제거하여 흰색 고체로 상기 목적 화합물 3.38g (수율 93%)을 얻었다.
(단계 4) 5,6-디메톡시-1-테트랄온의 제조
폴리인산 10g을 70oC로 가열하고 여기에 상기 단계 3에서 수득한 화합물 1.0g을 가하였다. 10분동안 혼합물 색이 붉게 변할때까지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후 얼음물로 가수분해시킨다. 에테르로 추출하고 물 및 소금물로 세척한 후 건조시키고 용매를 제거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로 상기 목적 화합물 0.83g (수율 90%)을 얻었다.
(단계 5) 5,6-디메톡시-3,4-디하이드로나프탈렌-1-카르보니트릴의 제조
상기 단계 4에서 수득한 화합물 0.56g을 벤젠 용매에 녹이고 1.2 당량의 트리메틸실릴 시아나이드 (0.43ml)와 촉매량 (30mg)의 요오드화 아연을 가하였다.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반응이 완결된 후 벤젠을 제거하였다. 위에서 얻은 화합물을 피리딘에 녹인 후 3 당량의 포스포릴 클로라이드을 가한 후 8시간 동안 가열환류시킨다. 냉각시킨 후 1N 염산 수용액에 붓는다. 에테르로 추출한 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후 농축하여 상기 목적 화합물 0.56g (수율 96%)을 얻었다.
(단계 6) 1-(3-브로모프로필)-5,6-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카르보니트릴의 제조
상기 단계 5에서 수득한 화합물 90mg을 THF 3ml에 녹이고 1당량의 K-셀렉트리드(K-Selectride)를 천천히 가하였다. 이 용액을 -78oC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1,3-디브로모프로판 1.2당량을 가하였다. 온도를 상온으로 천천히 높히면서 교반하고 상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여기에 물을 가하고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였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상기 목적 화합물 80mg (수율 56%)을 얻었다.
(단계 7) 1-(3-{[2-(3,4-디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프로필)-5,6-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카르보니트릴의 제조
상기 단계 6에서 수득한 화합물 280mg을 DMF 용매에 녹이고 2당량의 K2CO3와 1.2당량의 3,4-디메톡시-N-메틸페네틸아민을 가하였다. 이 용액을 100oC정도로 가열하면서 4시간 정도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상기 목적 화합물 320mg (수율 85%)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1.58-2.03(7H, m), 2.15(1H, m), 2.29(3H, s), 2.43(2H, t), 2.69-2.81(4H, m), 3.80(3H, s), 3.85(6H, s), 3.86(3H, s), 6.72-6.85(4H, m), 7.19(1H, d)
실시예 5: 1-(3-{[2-(2,3,4-트리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프로필)-5,6-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카르보니트릴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의 단계 6에서 수득한 화합물 180mg과 2,3,4-트리메톡시-N-메틸페네틸아민 140mg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4의 단계 7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상기 목적 화합물 190mg (수율 75%)을 얻었다.
1H NMR (CDCl3) δ
1.68(2H, m), 1.82-2.04(5H, m), 2.17(1H, m), 2.31(3H, s), 2.42(2H, t), 2.54(2H, t), 2.68-2.82(4H, m), 3.80(3H, s), 3.83(3H, s), 3.85(3H, s), 3.86(3H, s), 3.87(3H, s), 6.60(1H, d), 6.82(2H, br d), 7.18(1H, d)
실시예 6: 혈관 이완반응 실험
웅성 스프라그-다우리(Sprague-Dawley)계 흰쥐 (350-450g)로부터 흉곽 대동맥을 적출하고 2-3mm 길이로 만든 후 크렙스 중탄산(Krebs bicarbonate) 완충 생리액(118mM NaCl, 4.7mM KCl, 2.5mM CaCl2, 25mM NaHCO3, 1.2mM MgSO4, 1.2mM KH2PO4, 및 11.0mM 포도당) 20ml가 들어있는 기관조(organ bath)에 담그어 고정시켰다. 이때, 생리액의 온도는 37oC로 유지하였고, 혼합 가스(95% O2, 5% CO2)를 통해주었으며, 이완 장력(resting tension)은 2g이 되도록 하였다.
흉곽 대동맥 혈관을 1시간 동안 안정시킨 후, 혈관 반응의 재현성과 안정된 반응을 나타내도록 하기위해, 10-7M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를 가하여 수축시켜 최대 반응에 도달하게 한 후 크렙스 중탄산 완충 생리액으로 45분 동안 세척하였다. 다시 혈관에 10-7M 노르에피네프린을 가해 혈관을 수축시킨 후, 베라파밀 및 상기 실시예 1, 2, 3, 4, 5의 화합물을 각각 누적법에 따라 10-8내지 3 x 10-5M의 농도로 투여하고 혈관이 이완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혈관의 수축이완 반응은 기록기(Multicorder MC 6625, Hugo Sachs Elec., March, Germany)에 연결된 장력측정기(force displacement transducer; Grass FT03, Grass Ins., Quincy, MA, USA)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노르에피네프린 유발성 수축을 50% 감소시키는 몰농도 (EC50)로 나타내었다(표 1).
화합물 흰쥐 적출 혈관 이완에 대한 EC50(μM)
베라파밀 0.32 ± 0.06
실시예 1 8.48 ± 1.65
실시예 2 8.05 ± 2.38
실시예 3 8.13 ± 2.17
실시예 4 5.55 ± 1.79
실시예 5 6.40 ± 0.90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의 화합물들은 베라파밀에 비해 흰쥐 적출 혈관의 이완이 적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랑겐돌프(Langendorff) 실험
웅성 기니아 피그(guinea pig) (350-500g)에 펜토바비탈(pentobarbital)을 100 mg/kg으로 정맥 주사하여 마취시킨 후, 흉강을 열어 심장을 노출시켰다. 기니아 피그의 대동맥에 랑겐돌프 장치에 연결된 삽입관을 연결한 후, 기니아 피그의 심장을 적출하여 랑겐돌프 장치(관류압: 70 mmHg)에 고정시켰다. 이때, 기니아 피그의 심장에는 변형된 크렙스-헨셀라이트 용액(modified Krebs-Henseleit solution; 112mM NaCl, 4.7mM KCl, 1.25mM CaCl2, 25mM NaHCO3, 1.2mM MgSO4, 1.0mM KH2PO4, 11.5mM 덱스트로스 및 2.0mM 피루브산염)을 공급하였고, pH는 혼합 가스를 통해주어 7.4 로 유지하였으며, 온도는 37oC로 유지하였다.
적출된 기니아 피그의 심장을 약 1 시간 정도 안정시킨 후, 베라파밀 및 실시예 1, 2, 3, 4, 5의 화합물들을 누적법에 따라 10-7내지 10-4M의 농도로 투여하고, 좌심실에 삽입한 기구(ballon)를 통해 전달된 좌심실압을 압력 측정용 변환기(P23XL, Grass Ins., Quincy, MA, USA)를 통해 기록기(Grass model 7, Grass Ins.)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좌심실압을 50% 감소시키는 몰농도(EC50)로 나타내었다 (표 2).
화합물 기니아 돼지 적출 심장 좌심실압 감소에 대한 EC50(μM)
베라파밀 1.2 ± 0.4
실시예 1 85.4 ± 10.5
실시예 2 -
실시예 3 41.8 ± 4.7
실시예 4 52.5 ± 8.9
실시예 5 14.1 ± 3.5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의 화합물들은 베라파밀에 비해 기니아 피그 적출 심장 좌심실압의 감소가 적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세포 독성 실험
독성 실험에 사용된 세포는 HCT15, SK-OV-3 및 HCT15/CL02 세포로, HCT15 세포는 P-당단백질을 발현하는 인체 기원의 암세포주이고, SK-OV-3 세포는 P-당단백질을 발현하지 않는 인체 기원 암세포주이며, HCT15/CL02 세포는 HCT15 세포에 독소루비신(doxorubicin)을 계속적으로 첨가 배양한 후 분리해 낸 제약제 내성을 가지며 P-당단백질을 발현하는 암세포주이다. 세포는 글루타민(glutamine), 중탄산나트륨(sodium bicarbonate), 겐타마이신(gentamycin) 및 암포테리신(amphotericin)을 첨가한 RPMI1640 용액에 5% 소 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을 보강한 배지에서 37℃, 5% 이산화탄소, 95% 공기 및 100% 습도의 조건하에서 배양하였고, 3 내지 4일에 한번씩 계대 유지하였다. 부착면으로부터 세포의 분리에는 0.25% 트립신(trypsin) 용액에 3 mM 1,2-시틀로헥산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1,2-cyclohexanediaminetetra acetic acid)을 첨가한 용액을 사용하였다.
세포의 독성 실험은 다음과 같다.
HCT15, HCT15/CL02 및 SK-OV-3 암세포를 각각 96 웰(well) 평-바닥 마이크로플레이트(flat-bottom microplate)에 웰당 2×103세포수 (HCT15, HCT15/CL02) 및 5×103세포수(SK-OV-3)가 되도록 분주하고, 상기한 배지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가 바닥면에 부착된 후에 배양액을 제거하고, 10-11내지 10-6M의 농도의 항암제 파크리탁셀 100ul을 단독으로 가하거나 베라파밀 또는 실시예 1, 2, 3, 4, 5의 화합물을 1.0 μg/ml 또는 4.0 μg/ml의 농도로 병용하여 가하고 배양기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종료된 후 각 웰의 배양액을 제거하고, 남은 세포에 10%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 TCA)을 1시간 동안 처리하여 세포를 고정시켰다. 다시 TCA를 제거하고 물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여기에 1% 아세트산 용액에 0.4% SRB를 녹인 염색 용액을 가하고 실온에서 30 분 동안 방치하여 세포를 염색한 후, 1% 아세트산 용액으로 세척하여 세포와 결합하지 않은 여분의 SRB를 제거하였다. 이렇게 염색된 세포들에 pH 10.3 내지 10.5의 10mM 트리스마 염(Trisma base, unbuffered) 용액을 가하여 세포와 결합한 SRB를 용출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20nm 파장에서 각 웰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약물을 가하지 않은 웰의 흡광도(C), 약물을 가한 각 웰의 흡광도(T), 약물을 처음 가할 때의 웰의 흡광도(Tz)를 비교하여, Tz이 T 이하인 경우에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세포 독성을 계산하였고, Tz이 T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약물의 세포 독성을 계산하였다.
Figure 1019970051078_B1_M0001
Figure 1019970051078_B1_M0002
그 결과는 베라파밀 및 실시예 1, 2, 3, 4, 5의 처리에 의한 암세포에 대한 항암제 파크리탁셀의 EC50로 나타내었다(표 3).
화합물 파크리탁셀의 EC50(ng/ml)
화합물의 종류 화합물의 농도(μg/ml) HCT15 세포 HCT15/CL02 세포 SK-OV-3 세포
비히클 - 34.41 780 0.025
베라파밀 1.0 3.14 273 0.028
4.0 0.03 42 0.024
실시예 1 1.0 3.07 306 0.024
4.0 0.04 56 0.020
실시예 2 1.0 1.08 168 0.017
4.0 <0.01 9 0.019
실시예 3 1.0 5.63 255 0.025
4.0 0.05 52 0.025
실시예 4 1.0 0.82 254 0.021
4.0 <0.01 15 0.023
실시예 5 1.0 <0.01 131 0.030
4.0 <0.01 3 0.032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의 화합물들은 베라파밀에 비해 HCT15세포 및 HCT15/CL02세포에 대하여 파크리탁셀의 항암 효과를 증강시키거나 동등함을 알 수 있다. 한편, P-당단백질을 발현하지 않는 SK-OV-3 세포에 대하여는 파크리탁셀의 항암 효과를 증강시키지는 않았다.
실시예 9: 세포내 약물축적 실험
HCT15, HCT15/CL02 세포 및 SK-OV-3 세포를 2 세트의 24 웰 평-바닥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웰당 세포수가 각각 2×105(HCT15, HCT15/CL02) 및 5×105(SK-OV-3)이 되도록 분주하고, 실시예 1의 배지에서 48 내지 72 시간 배양하였다. 세포가 바닥면에 충분히 자란 후, 10mM 로다민 123 (rhodamine 123) 용액을 단독으로 넣어주거나, 베라파밀 또는 실시예 1, 2, 3, 4, 5의 화합물을 1 또는 4μg/ml 농도로 병용하여 웰당 1ml 씩 넣어주고 40분 동안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남은 세포를 차가운 HBSS(Hanks balanced salt solution)으로 2회 세척하였다. 한 세트의 마이크로플레이트에는 즉시 웰당 증류수 1.5ml 씩을 가하고, 다른 한 세트의 마이크로플레이트에는 로다민 123 및 실험 약물을 포함하지 않은 배지를 첨가하여 2시간 추가 배양한 후 HBSS로 다시 2회 세척한 후 웰당 증류수 1.5 ml를 가하여 형광량의 측정 시까지 냉암소에 방치하였다.
485/20nm 여기(excitation) 및 530/25nm 발광(emission)으로 형광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 시스템(fluorescence microplate reader system, Millipore cytofluor 2300)을 사용하여 각 웰의 형광량을 측정하였으며, 로다민의 세포내 축적 정도는 로다민이 단독 처리된 웰의 형광량에 대한 실험 약물과 로다민이 병용 처리된 웰의 형광량의 백분률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로다민의 상대적 축적량 (%)
HCT15 세포 HCT15/CL02 세포 SK-OV-3 세포
초기축적량 2 시간후잔존량 초기축적량 2 시간후잔존량 초기축적량 2 시간후잔존량
대조군 100 12 100 10 100 39
베라파밀 270 18 440 6 95 37
실시예 1 317 17 476 9 94 38
실시예 2 274 21 553 12 92 35
실시예 3 290 19 451 5 89 40
실시예 4 299 25 721 9 91 38
실시예 5 291 38 970 11 89 36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화합물은 초기 축적량이 베라파밀의 경우에서 보다 크며, 실시예 4 및 5의 화합물들은 2시간 후의 잔존량이 베라파밀의 경우에서 보다 더 크기 때문에, 이들 화합물은 베라파밀보다 로다민 축적량이 더 크거나 또는 동등한 효과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한편 P-당단백질을 발현하지 않는 세포인 SK-OV-3 세포에서는 베라파밀이나 실시예의 모든 화합물이 로다민 축적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는 베라파밀보다 암세포에 대한 약제 내성 저해 효과가 강력하여 항암제와 함께 투여되는 경우 항암제의 항암 작용을 증강시킴과 동시에 심장순환계에 대한 부작용이 기존의 베라파밀보다 10배 이상 적어, 치료율이 낮은 다제 약제내성 암세포 환자와 이미 전이에 의해 암이 상당부분 진행된 환자의 치료에 매우 유용하다.

Claims (14)

  1. 하기 일반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kpo00019
    이때, X는 CN, 카르복시, COOR10, SO2Ph 또는 SPh이고; k, l, m,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며; R1은 수소 또는 C1-3알킬이고; R2, R3, R4, R5, R6, R7, R8또는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또는 C1-3알콕시이고; R10은 C1-2알킬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1-(3-{[2-(3,4-디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프로필)-4,5-디메톡시인단-1-카르보니트릴;
    1-{3-[(4,5-디메톡시인단-1-일메틸)메틸아미노]프로필}-4,5-디메톡시인단-1-카르보니트릴;
    1-(3-{[2-(3,4-디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프로필)-4,5-디메톡시인단-1-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1-(3-{[2-(3,4-디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프로필)-5,6-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카르보니트릴; 및
    1-(3-{[2-(2,3,4-트리메톡시페닐)에틸]메틸아미노}프로필)-5,6-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카르보니트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화합물.
  3. 하기 일반식 (II)의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 (III)의 이차아민 화합물을 염기 존재하에서 반응시켜 하기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2
    Figure kpo00020
    화학식 3
    Figure kpo00021
    화학식 1
    Figure kpo00022
    이때, E는 이탈기로 할로겐, 메탄술포닐옥시 또는 톨루엔술포닐옥시이고; X, k, l, m, n, R1, R2, R3, R4, R5, R6, R7, R8및 R9는 제 1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4. 제 3 항에 있어서,
    염기가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또는 트리에틸아민인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I)의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 (IV)의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 (V)의 화합물을 염기 존재하에 반응시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4
    Figure kpo00023
    화학식 5
    Figure kpo00024
    이때, E'은 이탈기로 할로겐, 트리메틸실릴옥시, 메탄술포닐옥시 또는 톨루엔술포닐옥시이고; X, l, m, R6, R7, R8및 R9는 제 1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6. 제 5 항에 있어서,
    염기가 수소화 나트륨, 삼차부톡시화 칼륨, 리튬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또는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인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I)의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 (VI)의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 (V)의 화합물을 이차-삼부틸붕소산 칼륨 또는 이차-삼부틸붕소산 리튬의 존재하에 반응시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5
    Figure kpo00025
    화학식 6
    Figure kpo00026
    이때, E'은 이탈기로 할로겐, 트리메틸실릴옥시, 메탄술포닐옥시 또는 톨루엔술포닐옥시이고; X, l, m, R6, R7, R8및 R9는 제 1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V)의 화합물에서 X가 CN인 하기 일반식 (IV-a)의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 (VII)의 케톤 화합물을 요오드화 아연(ZnI2) 촉매 존재하에 트리메틸실릴 시아나이드와 반응시켜 하기 일반식 (VIII)의 화합물을 제조하고 이 화합물을 피리딘 또는 피리딘과 벤젠의 혼합 용매에서 디하이드로실릴제와 반응시켜 하기 일반식 (VI-a)의 화합물을 제조한 후 이를 팔라듐 촉매 존재하에 수소화 반응시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7
    Figure kpo00027
    화학식 8
    Figure kpo00028
    화학식 9
    Figure kpo00029
    화학식 10
    Figure kpo00030
    이때, l, R6, R7, R8및 R9는 제 1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V)의 화합물에서 X가 CN인 하기 일반식 (IV-a)의 화합물이, 삼차부톡시화 칼륨 염기 존재하에 하기 일반식 (VII)의 화합물과 토실메틸 이소시아나이드를 반응시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7
    Figure kpo00031
    화학식 8
    Figure kpo00032
    이때, l, R6, R7, R8및 R9는 제 1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V)의 화합물에서 X가 CN인 하기 일반식 (IV-a)의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 (VII)의 케톤 화합물을 환원제로 케톤기를 알콜기로 환원시킨 후 트리메틸실릴 시아나이드와 반응시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7
    Figure kpo00033
    화학식 8
    Figure kpo00034
    이때, l, R6, R7, R8및 R9는 제 1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V)의 화합물에서 X가 COOR10인 하기 일반식 (IV-b)의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 (IV-a)의 화합물의 니트릴기를 산가수분해시켜 하기 일반식 (IX)의 카르복실산 화합물을 제조한 후 이 화합물을 메탄올, 에탄올 또는 디아조메탄을 사용하여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11
    Figure kpo00035
    화학식 7
    Figure kpo00036
    화학식 12
    Figure kpo00037
    이때, l, R6, R7, R8및 R9는 제 1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12. 제 8 항,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VII)의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 (X)의 알데히드 화합물을 피리딘과 같은 염기 존재하에 말론산과 반응시켜 하기 일반식 (XI)의 화합물을 제조하고 이 화합물을 팔라듐 촉매하에 수소화 반응시켜 하기 일반식 (XII)의 카르복실산 화합물을 제조한 다음 이 화합물을 염화알루미늄을 사용하여 프리델-크라프트 반응시켜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13
    Figure kpo00038
    화학식 14
    Figure kpo00039
    화학식 15
    Figure kpo00040
    이때, l, R6, R7, R8, 및 R9는 제 1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II)의 이차아민 화합물에서 k가 1인 하기 일반식 (III-a)의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 (IV-a)의 니트릴 화합물을 환원제로 환원하여 하기 일반식 (XIII)의 알데히드 화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일차아민 화합물과 팔라듐 촉매 존재하에 수소화 반응시키는 환원적 아민화 반응에 의해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16
    Figure kpo00041
    화학식 7
    Figure kpo00042
    화학식 17
    Figure kpo00043
    이때, l, n, R1, R2, R3, R4, R5,R6, R7, R8및 R9는 제 1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14. 유효성분으로 하기 일반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함유하는 항종양제 내성 저해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kpo00044
    이때, X, k, l, m, n, R1, R2, R3, R4, R5, R6, R7, R8및 R9는 제 1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KR1019970051078A 1997-10-04 1997-10-04 항종양제 내성의 저해 효과를 가지는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항종양제 내성 저해용 약학적 조성물 KR100245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078A KR100245981B1 (ko) 1997-10-04 1997-10-04 항종양제 내성의 저해 효과를 가지는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항종양제 내성 저해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078A KR100245981B1 (ko) 1997-10-04 1997-10-04 항종양제 내성의 저해 효과를 가지는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항종양제 내성 저해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722A KR19990030722A (ko) 1999-05-06
KR100245981B1 true KR100245981B1 (ko) 2000-04-01

Family

ID=19522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1078A KR100245981B1 (ko) 1997-10-04 1997-10-04 항종양제 내성의 저해 효과를 가지는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항종양제 내성 저해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59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174A (ko) * 2000-08-11 2002-02-20 민경윤 경구 흡수율이 낮은 약물의 흡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한경구용 조성물
KR20030015655A (ko) * 2001-08-17 2003-02-25 한미약품공업 주식회사 항암제의 경구흡수율을 증가시키는 인단계 화합물의결정성 산부가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161B1 (ko) * 2002-07-18 2005-07-25 한미약품 주식회사 신규한 p-당단백질 저해제,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경구투여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174A (ko) * 2000-08-11 2002-02-20 민경윤 경구 흡수율이 낮은 약물의 흡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한경구용 조성물
KR20030015655A (ko) * 2001-08-17 2003-02-25 한미약품공업 주식회사 항암제의 경구흡수율을 증가시키는 인단계 화합물의결정성 산부가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722A (ko)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77049B1 (fr) Dérivés d'amido-3 pyrazole, procédé pour leur préparation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les contenant
EP1414775B1 (en) Bicyclic cannabinoid
CN108516958B (zh) 稠环衍生物、其制备方法、中间体、药物组合物及应用
WO1993018007A1 (en) Novel carbostyril derivative
AU734218B2 (en) Piperidinylaminomethyl trifluoromethyl cyclic ether compounds as substance P antagonists
JPH07119213B2 (ja) ムスカリンリセプターアンタゴニスト
FR2636628A1 (fr) Derives du thiadiazole-1,3,4, leur procede d'obtention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en contenant
JP2020511515A (ja) 5−ヒドロキシトリプタミン受容体7調節物質および治療剤としてのその使用
CA1306261C (fr) 1,4-dihydropyridin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comme medicaments
EP1828125B1 (fr) Derives d'arylpiperazine et leur utilisation comme ligands selectifs du recepteur d3 de la dopamine
HU208006B (en) Proces for producing new4-quinolyl-dihydropyridin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EP0351255B1 (fr) Dérivés de [(pipéridinyl-4)méthyl]-2 tétrahydro-1,2,3,4 isoquinoléine, leur pré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érapeutique
KR100245981B1 (ko) 항종양제 내성의 저해 효과를 가지는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항종양제 내성 저해용 약학적 조성물
US5252578A (en) 3-aminochroman compounds
CH641181A5 (fr) Indolo-quinolizidines, procede pour leur preparation et compositions therapeutiques les contenant.
EP1572672B1 (en) Benzoxazocines and their use as monoamine-reuptake inhibitors
CA2727669A1 (fr) Nouveaux derives de (piperazinyl ponte)-1-alcanone et leur utilisation comme inhibiteurs de p75
JPS5982385A (ja) N−置換−2−(1−イミダゾリル)インド−ル、その製法および該化合物を含有する医薬製剤
JP2994459B2 (ja) 三環[6,5,5]/[6,6,5]―縮合オキサゾリジノン抗菌剤
JP2007099640A (ja) 含窒素複素環化合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医薬組成物
FR2753970A1 (fr) Derives de n-(benzothiazol-2-yl) piperidine-1-ethanamine,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CN107531598B (zh) 用于治疗纤维化和纤维化相关病症的组合物
TWI515182B (zh) 吡唑化合物
FR2737494A1 (fr) Derives de benzenesulfonamide,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US4201783A (en) Antidepressant substituted hexahydro benzopyrano [3,2-c] pyrid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