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5666B1 - 와이어구동형 광 픽업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구동형 광 픽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5666B1
KR100245666B1 KR1019960077259A KR19960077259A KR100245666B1 KR 100245666 B1 KR100245666 B1 KR 100245666B1 KR 1019960077259 A KR1019960077259 A KR 1019960077259A KR 19960077259 A KR19960077259 A KR 19960077259A KR 100245666 B1 KR100245666 B1 KR 100245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ptical pickup
wire
lens
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7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953A (ko
Inventor
이근종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77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5666B1/ko
Priority to US08/867,427 priority patent/US5784354A/en
Priority to JP9171991A priority patent/JPH10199018A/ja
Priority to GB9713848A priority patent/GB2320793B/en
Publication of KR19980057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6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6Double or multiple prisms, i.e. having two or more prisms in co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for focusing and track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6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adapted for scanning different types of carrier, e.g. CD & DV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구동형 광 픽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픽업장치의 구성품들을 일원화시켜 광픽업장치의 제작단가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부품의 일원화에 따라 광 픽업장치의 설계치수를 작게 하여 광 픽업장치가 채용되는 플레이어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파장이 각각 다른 이종의 레이저광을 방출하는 2파장 레이저다이오드(1)와, 로렌츠의 구동력으로 구동되는 액츄에이터(15")가 와이어(15')와 연결된 와이어 구동장치(15)와, 광정보를 전기적신호로 출력시키는 광검출기(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 픽업장치에 있어서, 2파장 레이저다이오드(1)에서 방출된 레이저광을 이상광(S)과 정상광(P)으로 분리하여 선택적으로 반사 및 투과시키고, 와이어 구동장치(15)에 의하여 씨디(13')와 디브이디(13)의 재생위치상으로 선택적이송되는 듀얼 편광프리즘(2)과,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13')를 재생하는 씨디렌즈(12') 및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13)를 재생하는 디브이디렌즈(12")가 일평면에 형성되어 상기 듀얼 편광프리즘(2)의 일측단 상면에 부착되는 듀얼렌즈(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와이어 구동형 광 픽업장치를 제공한다. 이로써, 광 픽업이 채택되는 플레이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와이어 구동형 광 픽업장치{WIRE RUNNING TYPE OPTICAL PICK UP DEVICE}
본 발명은 와이어 구동형 광 픽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2파장 레이저다이오드에서 발생된 레이저광을 듀얼 편광프리즘을 통해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용과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용으로 분리시키며 선택적으로 반사 및 투과시킴으로 두께가 1.2mm인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와 두께가 0.6mm인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 픽업 장치의 부품을 일원화시킬 수 있는 와이어 구동형 광 픽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학 데이터 기록매체는 두께가 1.2 mm인 음악재생용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Digital Audio Disk ;DAD)와 0.6mm인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k ;DVD)로 구분되며, 1.2mm두께의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는 한면에 복층으로 데이타를 기록하고, 0.6mm의 두께의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는 중간에 복층으로 데이타를 기록하여 하나의 디스크에 다량의 데이타를 기록하도록 되어 있었다.
상기한 두 종류의 디스크에서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는 광 픽업장치는 1.2mm두께의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와 0.6mm두께의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에서 기록된 정보를 읽는 경우,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에서는 기록의 고밀도화를 위해 디스크상의 트랙 피치가 0.74㎛이고 기록신호인 피트간의 최단길이가 0.4㎛이므로 트랙피치가 1.6㎛와 피트간의 최단길이가 0.834㎛인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와 서로 상이하여 재생시 광스포트의 지름이 달라야 하므로 대물렌즈의 구면수차가 일치되지 않아 동시재생이 불가능하고, 디스크의 상호 0.6mm 두께 차이에 의해 광학적 수차가 높아져 노이즈가 증가하여 에러발생율이 증대되므로 기록된 정보를 정확히 읽을 수 없으므로 광 픽업장치는 0.6mm 또는 1.2mm 디스크중 하나의 기록된 정보만을 읽을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 들어 1.2mm 디스크와 0.6mm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동시에 선택적으로 읽을 수 있도록 하나의 엑튜에이터에 두 개의 광 픽업장치를 탑재하여 재생되는 디스크의 종류에 따라 호환성을 가진 광 픽업장치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종래 호환성 광 픽업장치의 기본구성을 도 1에서 설명한다.
종래에는, 엑튜에이터의 일측에 파장이 780㎚인 레이저광을 방사하는 디지탈 오디오 재생용 레이저다이오드(60)와, 이 레이저다이오드(60)에서 방사되는 레이저광에 직선성을 부여하는 콜리메이터렌즈(61)와, 이 콜리메이터렌즈(61)에 의해 직선성이 부여된 레이저광을 회절시켜 쓰리빔(Three Beam)으로 분리시키는 회절격자(62)와, 이 회절격자(62)에서 분리된 레이저광을 일정비율로 투과 및 반사시키며 입사광과 반사광을 분리하는 빔스플리터(63)와, 이 빔스플리터(63)를 투과하여 디스크(65)상에서 반사된 레이저광의 편파면을 90。변화시키는 1/4파장판(64)과, 이 1/4파장판(64)에서 편광된 레이저광을 디스크(65)에 집광시키도록 개구수(NA)가 0.45인 대물렌즈(66)와, 이 대물렌즈(66)에서 디스크(55)로 집광되어 반사된 레이저광을 집속하는 집속렌즈(67)와, 이 집속렌즈(67)에 의해 집속된 레이저광으로부터 전류신호로 변환시키는 광검출기(68)로 구성된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디지털 오디오 재생용 광 픽업이 탑재된 엑튜에이터의 타측에는 파장이 650㎚인 레이저광을 방사하는 디지탈 비디오 재생용 레이저다이오드(50)가 설치되고 나머지의 구성품은 상기 디지털 오디오 재생용 구성품과 동일하게 배열되어 구성되며 대물렌즈(56)는 개구수가 0.6으로 확대된 것이 설치되어 디지탈 오디오 및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에 따라 상기의 광 픽업 장치들이 상호 호환되며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광 픽업장치가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를 재생하는 경우가 도 1에 도시되었다.
우선, 파장이 780㎚인 레이저광은 레이저다이오드(60)에서 콜리메이트렌즈(61)로 방사되고, 이 레이저광은 콜리메이터렌즈(61)에 의해 직선성이 부여된다. 이렇게 직선성이 부여된 레이저광은 콜리메이터렌즈(61)에서 회절격자(62)로 입사되고, 이 레이저광은 회절격자(62)에 의해 0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 즉, 쓰리빔(Three Beam)으로 분리된다. 이 분리된 쓰리빔은 회절격자(62)에서 빔스플리터(63)로 입사되고, 이 쓰리빔은 빔스플리터(63)를 경유하여 1/4파장판(64)으로 입사된다. 이렇게 1/4파장판(64)으로 입사된 레이저광은 편광면이 변화되고, 1/4파장판(64)에서 대물렌즈(66)로 입사되며 입사된 레이저광은 대물렌즈(66)에 의해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상(55)에 스폿직경이 1.6㎛인 에어리형태로 집광된다. 이 집광된 레이저광은 디스크상(55)의 정보신호인 피트에 의해 변조되는 것인데, 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대물렌즈(66)에 의해 1.6㎛인 에어리형태로 집광된 레이저광은 기록신호인 피트가 없는 곳에서는 거의 그대로 반사되어 대물렌즈(66)로 방사되지만, 피트가 있는 곳에서는 피트에 의해 회절되어 대물렌즈(66)의 범위밖으로 방출되고, 이로 인하여 입사된 레이저광 가운데 일부만 되돌아오게 됨으로써 광검출기(68)에 광량차이를 발생시킨다. 이는 피트의 깊이가 파장의 1/4에 설정되어 반사광은 피트의 상하에 따라 반파장이 다르므로 간섭에 의해 상쇄되어 광검출기(68)에 되돌아오는 광량이 감소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디스크(55)상에서 변조되어 반사되는 레이저광은 대물렌즈(66)에서 1/4파장판(64)으로 입사되고, 이 레이저광은 1/4파장판에(64)에 의해 다시 편광되는데 입사광과 반사광의 편파면 차이는 90。가 된다. 이렇게 입사광과는 90。편파된 레이저광은 1/4파장판에서(64) 빔스플리터(63)로 입사되고, 이 레이저광은 빔스플리터(63)에 의해 광의 경로가 변화된다. 즉, 변조된 레이저광은 90。방향이 변화되어 빔스플리터(63)에서 집속렌즈(67)로 입사되고, 이 광경로가 변화된 레이저광은 집속렌즈에(67) 의해 집속되어 광검출기(68)로 집광된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이 광정보를 읽고 광검출기(68)로 집광된 레이저광중 0차광은 포커스용, 그리고 ±1차광은 트랙킹에러용으로 사용되고, 알에프(RF), 포커스 에러검출, 트랙킹조절 및 정보를 전류로 변화시켜, 이 변화된 전류를 미도시된 제어회로에 의해 원래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복조하여 재생시킨다.
또한, 상기 구성의 호환성 광 픽업장치가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파장이 650㎚인 레이저광이 레이저다이오드(50)에서 방출되어 상기 작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광경로를 경유하고, 각각의 경로에서 동일한 작용으로 디지털 비디오 디스트(도시안됨)상에 스폿직경이 0.8㎛인 에어리형태로 집광되어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재생시와 동일하게 오디오와 비디오신호를 복조하여 재생시킨다.
그러나 이와같은 호환성 광픽업장치는, 상이한 파장을 방출하는 두 개의 레이저다이오드때문에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품들을 두 개씩 구비해야 하므로 광픽업장치의 제작단가가 상승되고, 두 개의 레이저다이오드와 광검출기 등이 일정한 설치위치를 차지하여 광 픽업장치의 설계치수가 크게 되어 광 픽업장치가 채용되는 플레이어의 소형화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 및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의 구동면 즉, 레이저광이 디스크에 반사되는 위치가 플레이어내에서 동일해야 설치치수가 적어지므로 상기의 디스크를 호환하지 않고 개구수가 다른 대물렌즈 및 구성품들의 위치를 동시에 구동시켜 호환하므로 별도의 구동장치가 구비되어 부품수가 증가되며 구동전원이 소비되어 광 픽업 플레이어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이한 파장을 방출하는 두 개의 레이저다이오드 때문에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품들을 두 개씩 구비하지 않고 일원화시켜 광픽업장치의 제작단가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부품의 일원화에 따라 광 픽업장치의 설계치수를 작게 하여 광 픽업장치가 채용되는 플레이어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개구수가 다른 대물렌즈만을 선택적으로 직선운동시켜 대물렌즈만을 직선운동시키는 구동장치만 설치시켜 부품수를 줄여 광 픽업 플레이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듀얼 광 픽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는, 파장이 각각 다른 이종의 레이저광을 방출하는 2파장 레이저다이오드와, 로렌츠의 구동력으로 구동되는 액츄에이터가 와이어와 연결된 와이어 구동장치와, 광정보를 전기적신호로 출력시키는 광검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 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2파장 레이저다이오드에서 방출된 레이저광을 이상광과 정상광으로 분리하여 선택적으로 반사 및 투과시키고, 상기 와이어 구동장치에 의하여 씨디와 디브이디의 재생위치상으로 선택적이송되는 듀얼 편광프리즘과,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를 재생하는 씨디렌즈 및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를 재생하는 디브이디렌즈가 일평면에 형성되어 상기 듀얼 편광프리즘의 일측단 상면에 부착되는 듀얼렌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와이어 구동형 광 픽업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호환성 광 픽업장치의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광픽업장치가 씨디를 재생하는 것을 보인 개략도,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광픽업장치가 디브이디를 재생하는 것을 보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2파장 레이저다이오드 2 : 듀얼 편광프리즘
3 : 광검출기 4 : P편광 분리부
5 : P편광판 6 : S편광 분리부
7 : S편광판 8 : 제 1선택반사판
9 : 제 2선택반사판 10 : 제 2빔스플리터
11 : 1/4파장판 12 : 트윈렌즈
12' : 씨디렌즈 12" : 디브이디렌즈
13, 13' : 광디스크 15 : 와이어 구동장치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었다.
상기 도면에 의한 구성요소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13; 이하, 디브이디라 칭한다) 또는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13'; 이하. 씨디라 칭한다)를 재생하는데 사용되는 파장의 레이저광을 선택적으로 방출하는 2파장 레이저다이오드(1)와, 상기 2파장 레이저다이오드(1)에서 방출된 레이저광에 직선성을 부여하는 콜리메이터렌즈(21)와, 상기 콜리메이터렌즈(21)를 경유한 레이저광을 쓰리빔으로 분리하는 회절격자(23)와, 상기 회절격자(23)에서 방출된 레이저광을 이상광(S)과 정상광(P)으로 분리시킴과 동시에 분리된 레이저광을 선택적으로 반사 및 투과시키는 듀얼 편광프리즘(2)과, 상기 선택적으로 반사 및 투과된 각각의 레이저광을 씨디(13')나 디브이디(13)상에 집광시키도록 개구수가 상이한 렌즈가 연접되어 상기 듀얼 편광프리즘(2)의 일측단에 부착되는 트윈렌즈(12)와, 상기 트윈렌즈(12)가 부착된 상기 듀얼 편광프리즘(2)을 좌우로 이송시키는 와이어 구동장치(15)로 구성된다.
상기 듀얼 편광프리즘(2)은 정육면체 형상의 프리즘이 다수개 연속형성된 광변환수단으로, 각각의 프리즘은 빗사면에 이상광(S)과 정상광(P)을 선택 반사 및 투과시키는 편광판들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를 도 2a를 예로 들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씨디(13')의 재생위치 직하방에는 상기 듀얼 편광프리즘(2)의 일측 단부에 배열되는 제 2빔스플리터(10)가 형성된다. 이 제 2빔스플리터(10)의 빗사면에는 제 2선택 반사판(9)이 형성되어 일방향으로 편파된 직선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킨다.
상기 제 2빔스플리터(10)의 타측에는 제 1빔스플리터(28)가 형성된다. 이 제 1빔스플리터(28)의 빗사면에는 제 1선택 반사판(8)이 형성되어 타방향으로 편파된 직선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킨다.
상기 제 1빔스플리터(28)의 타측에는 S편광 분리부(6)가 형성된다. 이 S편광 분리부(6)의 빗사면에는 S편광판(7)이 형성되어 이상광(S)을 반사시키고 정상광(P)은 투과시킨다.
상기 S편광 분리부(6)의 타측, 즉 듀얼 편광프리즘(2)의 타측 단부에는 P편광 분리부(4)가 형성된다. 이 P편광 분리부(4)의 빗사면에는 P편광판(5)이 형성되어 정상광(P)을 반사시키고 이상광(S)은 투과시킨다.
상기 트윈렌즈(12)는 상기 제 1빔스플리터(28)와 제 2빔스플리터(10)의 상면에 각각 부착되는 바, 디브이디(13)를 재생하기 위한 디브이디렌즈(12")가 상기 제 1빔스플리터(28)의 직상면에 부착됨과 동시에 씨디(13')를 재생하기 위한 씨디렌즈(12')가 상기 제 2빔스플리터(10)의 직상면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씨디(13', 혹은 디브이디)의 직하방에는 집속렌즈(25)가 배열되고, 그 하방에는 광정보를 전류로 변환시키는 광검출기(3)가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트윈렌즈(12)와 상기 듀얼 편광프리즘(2)의 제 2빔스플리터(10) 및 제 1빔스플리터(28) 사이에는 1/4파장판(11)이 배열, 부착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 구동장치(15)는 광픽업장치가 탑재되는 요오크(도시안됨)상의 일측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15")와, 상기 듀얼 편광프리즘(2)의 양측에 부착 및 접속되는 와이어(15')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15')는 듀얼 편광프리즘(2)을 지지함과 동시에 전류신호를 인가시키고, 상기 액츄에이터(15")는 상기 와이어(15')에 인가되는 전류를 인가시키면서 와이어(15')를 이송시키며 상기 듀얼 편광프리즘(2)을 지지 및 이송한다.
또한, 상기 듀얼 편광프리즘(2)의 측면에는 로렌츠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코일(도시안됨)이 부착되고, 이 코일과 근접되어 요오크상에는 마그네틱(도시안됨)이 배치되는 바, 이는 마그네틱과 코일에 전원을 인가시키며 구동장치(본 발명의 와이어)를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15") 구성의 일부로, 당업자간에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씨디(13')를 재생하는 경우가 도 2a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씨디(13')의 재생신호가 광 픽업장치에 입력되면, 이 재생신호는 도시않된 제어부로부터 액츄에이터(15")로 인가된다. 이 재생신호는 액츄에이터(15")를 통해 와이어(15')로 인가되어 상기 듀얼 편광프리즘(2)의 측면에 부착된 코일로 인가된다. 인가된 신호는 요오크상에 설치된 마그네틱과 작용되어 로렌츠힘을 발생시키므로 듀얼 편광프리즘(2)은 이송된다. 이러한 이송거리 및 이송방향은 상기 액츄에이터에서 조절된다.
상기 듀얼 편광프리즘(2)의 제 2빔스플리터(10)가 씨디(13')의 재생위치 즉, 집속렌즈(25) 및 광검출기(3)의 직상방에 위치되어 이송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2파장 레이저다이오드(1)로 광의 방출신호를 인가시키고, 상기 2파장 레이저다이오드(1)는 780㎛ 파장의 레이저광을 방출하여 콜리메이터렌즈(21)로 입사된다.
이 레이저광은 콜리메이터렌즈(21)에 의해 직선성이 부여되어 회절격자(23)로 입사되고, 이 레이저광은 회절격자(23)에 의해 쓰리빔으로 분리되어 투과된다.
이렇게 분리된 레이저광은 회절격자(23)를 투과하여 S편광분리부(6)의 S편광판(7)으로 입사되고, 이 레이저광은 S편광판(7)에 의해 이상광(S)과 정상광(P)으로 분리되어 이상광(S)은 반사되고 정상광(P)은 투과된다. 상기 분리되어 반사된 이상광(S)은 제 1빔스플리터(28)가 이상광(S)에 대하여 투과시키므로 제 1빔스플리터(28)를 아무 변화없이 경유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 1빔스플리터(28)를 경유한 레이저광은 제 2빔스플리터(10)로 입사되고, 입사된 레이저광은 제 2빔스플리터(10)의 제 2선택반사판(9)에서 반사된다. 이때의 레이저광은 직선편광으로, 상기 제 2빔스플리터(10)의 상면에 부착된 1/4파장판(11)을 경유한다. 이렇게 1/4파장판(11)을 경유한 레이저광은 원편광으로 변환되어 트윈렌즈(12)의 씨디렌즈(12')로 조사되고, 이 씨디렌즈(12')에 의해 씨디(13')상에 직경이 1.6㎛인 에어리형태로 집광되어 피트신호에 의해 변조되어 광정보가 수반된다.
이와 같이 광정보가 수반된 원편광의 레이저광은 입사시와는 90°편파되고, 다시 씨디렌즈(12'), 1/4파장판(11)을 경유하면서 직선편광으로 변환된다. 이때의 직선편광은 입사시와는 90°타방향으로 편파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2빔스플리터(10)의 제 2선택반사판(9)을 반사없이 투과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 2빔스플리터(10)를 경유한 레이저광은 집속렌즈(25)에서 집속되어 광검출기(3)로 집광되고, 이 레이저광은 광검출기(3)에 의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원래의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면서 상기 쓰리빔에 의해 알에프(RF)신호와 에러검출신호인 포커스신호, 트랙킹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디브이디(13)를 재생하는 경우가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디브이디(13)를 재생하는 신호가 광 픽업장치에 입력되면, 이 재생신호는 상기 씨디(13')의 재생시와 동일한 작용으로 액츄에이터(15")를 구동시켜 상기 듀얼 편광프리즘(2)이 일측으로 이송한다.
상기 듀얼 편광프리즘(2)의 제 1빔스플리터(28)가 디브이디(13)의 재생위치 즉, 집속렌즈(25) 및 광검출기(3)의 직상방에 위치되어 이송이 완료되면, 상기 2파장 레이저다이오드(1)로부터 650㎛ 파장의 레이저광이 방출되어 콜리메이터렌즈(21)로 입사되고, 이 레이저광은 콜리메이터렌즈(21)에 의해 직선성이 부여된다. 상기와 같이 직선성이 부여된 레이저광은 콜리메이터렌즈(21)에서 회절격자(23)로 입사되고, 이 레이저광은 회절격자(23)에 의해 쓰리빔으로 분리되어 투과된다.
이렇게 분리된 레이저광은 회절격자(23)를 투과하여 P편광분리부(4)의 P편광판(5)으로 입사되고, 이 레이저광은 P편광판(5)에 의해 이상광(S)과 정상광(P)으로 분리되어 이상광(S)은 투과되고 정상광(P)은 반사된다. 이 분리되어 반사된 정상광(P)은, 정상광(P)에 대하여 투과시키는 S편광분리부(6)를 광의 변화없이 투과하게 되고, 투과된 정상광(P)은 제 1빔스플리터(28)에 입사된다.
상기 제 1빔스플리터(28)에 입사된 레이저광은 제 1빔스플리터(28)의 제 1선택반사판(8)에서 반사된다. 이때의 레이저광은 직선편광으로, 상기 제 1빔스플리터(28)의 상면에 부착된 1/4파장판(11)을 경유하고, 이 레이저광은 원편광으로 변환되어 트윈렌즈(12)의 디브이디렌즈(12")로 조사되어 디브이디(13)상에 직경이 0.8㎛인 에어리형태로 집광되어 피트신호에 의해 변조되어 광정보가 수반된다.
이와 같이 광정보가 수반된 원편광의 레이저광은 입사시와는 90°일방향으로 편파되고, 다시 디브이디렌즈(12"), 1/4파장판(11)을 경유하면서 직선편광으로 변환된다. 이때의 직선편광은 입사시와는 90°일방향으로 편파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빔스플리터(28)의 제 1선택반사판(8)을 반사없이 투과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 1빔스플리터(28)를 경유한 레이저광은 집속렌즈(25)에서 집속되어 광검출기(3)로 집광되고, 이 레이저광은 광검출기(3)에 의해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원래의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면서 상기 쓰리빔에 의해 알에프(RF)신호와 에러검출신호인 포커스신호, 트랙킹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이저광의 편파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 및 반사시키는 편광판이 형성된 듀얼 편광프리즘(2)을 사용하여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와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재생하고, 트윈렌즈(12)가 선택적으로 이송되어 재생시 이상광(S)과 정상광(P)을 분리하여 집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 듀얼 광 픽업장치는, 특정한 두 개의 파장을 방출하는 2파장레이저다이오드의 레이저광을 듀얼 편광프리즘에서 이상광과 정상광으로 분리시켜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와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어,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품을 단일화하여 광 픽업장치의 제작단가를 현저히 저감시키고, 광 픽업장치가 채택되는 플레이어의 개구수가 다른 대물렌즈만을 선택적으로 와이어구동시키는 구동장치만 설치시켜 미동의 움직임범위가 축섭동방식의 엑튜에이터에 비해 설치공간이 작아져 플레이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파장이 각각 다른 이종의 레이저광을 방출하는 2파장 레이저다이오드(1)와,로렌츠의 구동력으로 구동되는 액츄에이터(15")가 와이어(15')와 연결된 와이어 구동장치(15)와, 광정보를 전기적신호로 출력시키는 광검출기(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 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2파장 레이저다이오드(1)에서 방출된 레이저광을 이상광(S)과 정상광(P)으로 분리하여 선택적으로 반사 및 투과시키고, 상기 와이어 구동장치(15)에 의하여 씨디(13')와 디브이디(13)의 재생위치상으로 선택적이송되는 듀얼 편광프리즘(2);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13')를 재생하는 씨디렌즈(12') 및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13)를 재생하는 디브이디렌즈(12")가 일평면에 형성되어 상기 듀얼 편광프리즘(2)의 일측단 상면에 부착되는 듀얼렌즈(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구동형 광 픽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편광프리즘(2)은,
    상기 듀얼 편광프리즘(2)의 타측 단부에 배열되고, 정상광(P)을 반사시키며 이상광(S)을 투과시키는 P편광판(5)이 빗사면에 형성된 P편광 분리부(4);
    상기 P편광 분리부(4)의 일측에 연속되어 배열되고, 이상광(S)을 반사시키며 정상광(P)을 투과시키는 S편광판(7)이 빗사면에 형성된 S편광 분리부(6);
    상기 S편광 분리부(6)의 일측으로 연속배열되고, 일방향으로 편파된 직선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제 1선택 반사판(8)이 빗사면에 형성된 제 1빔스플리터(28);
    상기 제 1빔스플리터(28)의 일측으로 연속배열되고, 상기 듀얼 편광프리즘(2)의 일측 단부에 배열되어 타방향으로 편파된 직선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제 2선택 반사판(9)이 빗사면에 형성된 제 2빔스플리터(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구동형 광 픽업장치.
KR1019960077259A 1996-12-30 1996-12-30 와이어구동형 광 픽업장치 KR100245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259A KR100245666B1 (ko) 1996-12-30 1996-12-30 와이어구동형 광 픽업장치
US08/867,427 US5784354A (en) 1996-12-30 1997-06-06 Optical pickup device
JP9171991A JPH10199018A (ja) 1996-12-30 1997-06-27 光ピックアップ装置
GB9713848A GB2320793B (en) 1996-12-30 1997-06-30 Optical pickup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259A KR100245666B1 (ko) 1996-12-30 1996-12-30 와이어구동형 광 픽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953A KR19980057953A (ko) 1998-09-25
KR100245666B1 true KR100245666B1 (ko) 2000-02-15

Family

ID=19492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7259A KR100245666B1 (ko) 1996-12-30 1996-12-30 와이어구동형 광 픽업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84354A (ko)
JP (1) JPH10199018A (ko)
KR (1) KR100245666B1 (ko)
GB (1) GB232079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5934B2 (en) 2005-01-27 2008-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pickup apparatus which is compatible with multiple types of medi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8912B2 (ja) * 1996-02-06 2000-06-05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ヘッド装置
JP3434419B2 (ja) * 1996-08-09 2003-08-1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媒体とその読み出し装置
JPH10312575A (ja) * 1997-05-09 1998-11-24 Pioneer Electron Corp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475155B1 (ko) * 1997-08-06 200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이어 타입 액츄에이터 및 그를 이용한 광픽업장치
KR19990074812A (ko) * 1998-03-14 1999-10-05 윤종용 호환형 광픽업장치
US6496465B1 (en) * 1998-06-09 2002-12-17 Barry G. Broome Monolithic CD/DVD read/write head
US6549504B2 (en) 1999-06-04 2003-04-1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Dual optical pickup head for accessing both DVD and CD disc
US7088668B1 (en) * 1999-10-19 2006-08-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recording medium with address information composed of pits
DE10197241T5 (de) 2001-05-08 2004-04-22 Fujitsu Ltd., Kawasaki Optische Anordnung, Informationsaufzeichnungs-/-Wiedergabevorrichtung unter Verwendung der optischen Anordnung
JP2004362727A (ja) * 2003-05-14 2004-12-24 Sharp Corp 光ピックアップ
JP2007004875A (ja) * 2005-06-22 2007-01-11 Sony Corp 光ピックアップ
JP2009087413A (ja) * 2007-09-28 2009-04-23 Hitachi Media Electoronics Co Ltd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光ピックアップ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光学部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70807A (en) * 1936-01-21 1937-08-23 Electrolux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liding bearings
US5235581A (en) * 1990-08-09 1993-08-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optical disks with various disk substrate thicknesses
US5444684A (en) * 1990-10-03 1995-08-22 Fujitsu Limited Seek control system of dual processor magneto-optic disk unit
KR100373673B1 (ko) * 1995-05-08 2003-05-09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광학기록·재생장치및광픽업
US5673247A (en) * 1995-11-29 1997-09-30 Sharp Kabushiki Kaisha Optical pickup having two objective lens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5934B2 (en) 2005-01-27 2008-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pickup apparatus which is compatible with multiple types of med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713848D0 (en) 1997-09-03
GB2320793B (en) 2000-09-27
GB2320793A (en) 1998-07-01
KR19980057953A (ko) 1998-09-25
US5784354A (en) 1998-07-21
JPH10199018A (ja) 199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2974B1 (en) Compatible optical pickup
KR100195137B1 (ko) 호환형 광픽업장치
KR100245666B1 (ko) 와이어구동형 광 픽업장치
KR20060051246A (ko) 광픽업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KR19980042630A (ko) 대물 렌즈와, 그것을 이용한 광 헤드 및 광 디스크 장치
US20080049581A1 (en) Optical pick-up
KR100803592B1 (ko) 호환형 광픽업 및 이를 채용한 광 기록 및/또는 재생기기
KR100294886B1 (ko) 호환형 광픽업장치
JP2001319358A (ja) 光ピックアップ
KR20010030529A (ko) 광학 헤드 및 광디스크 장치
KR20050053523A (ko) 광 픽업 및 디스크 드라이브장치
KR100197942B1 (ko) 듀얼 포커스 광 픽업장치
JP2008181626A (ja) 光ピックアップ
KR100219174B1 (ko) Cd-r을 겸용할 수 있는 dvd용 광픽업장치
JPH09265639A (ja)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JPH1049904A (ja) 光ピックアップ
JPH1074328A (ja) 光学ピックアップ及びディスクプレーヤ
KR100245241B1 (ko) 듀얼 광 픽업장치
KR100220513B1 (ko) 듀얼 광픽업장치
KR100281880B1 (ko) 호환형광픽업장치
KR19980068880A (ko) 두개의 렌즈를 갖는 cd-r 호환 dvd 광픽업
KR100265734B1 (ko) 호환형광픽업장치
KR100317278B1 (ko) 삼파장레이저다이오드모듈및그를이용한광픽업장치
KR0174474B1 (ko) 광 픽-업 장치
KR100413088B1 (ko) 광픽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