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3963B1 - 축분뇨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축분뇨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3963B1
KR100243963B1 KR1019970037220A KR19970037220A KR100243963B1 KR 100243963 B1 KR100243963 B1 KR 100243963B1 KR 1019970037220 A KR1019970037220 A KR 1019970037220A KR 19970037220 A KR19970037220 A KR 19970037220A KR 100243963 B1 KR100243963 B1 KR 100243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re
drying
slurry
heat exchang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5244A (ko
Inventor
정광순
Original Assignee
정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순 filed Critical 정광순
Priority to KR1019970037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3963B1/ko
Publication of KR19990015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3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3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007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ref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8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thermal cond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축산폐기물인 돈분 또는 우분등 각종 축분뇨중에서 특히 액상형태의 축분뇨를 효율적으로 처리시킬 수 있는 축분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축분뇨를 처리장치 자체열을 회수 이용한 제1열교환기로 1차예열시키고, 이렇게 1차예열된 축분뇨를 압착식 건조드럼을 이용한 건조수단에서 그 축분뇨의 축분과 액상성분 및 슬러리를 분리하여 축분은 그 압착식 건조드럼에 의해 증발건조식으로 고형분화 함과 아울러, 분쇄시키어 스크류피더를 이용해 배출시키게 하며, 액상성분 및 슬러리는 처리장치 자체열을 회수 히용한 제2열교환기를 통해 2차예열시킨후 다시 건조수단의 압착식 건조드럼으로 공급시키어 증발건조식으로 증발시키게 하고 있다. 따라서 건조효율이 우수하고 자체증열을 이용한 열교환기를 이용해 에너지를 재활용하여 연료비를 절감시키고, 일련의 연속공정으로 무인화 자동화처리가 가능하게 하여 운영비용을 최소로 줄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축분뇨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
본 발명은 축산폐기물 처리, 예를 들어 우사나 돈사등의 축사로부터 유출되는 축분뇨 처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축분뇨와 오수를 동시에 처리하면서 축분의 고형물과 수분을 완전 분리하여 무해화 처리시킬 수 있도록한 축분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축분뇨처리는 축산규모가 크지 않은 과거에서는 제1세대 처리방식 즉, 활성오니로 대표되는 생물학적 정화처리방식으로서 축분을 짚등과 섞어서 퇴적해 자연퇴비화하여 작물에 사용하는 것으로 축분을 간편히 처리시키었으나, 근래 산업발달과 더불어 축산전업농가가 확대되면서 축산오수로 인한 환경오염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어 축산폐수처리에 많은 연구와 개발이 있었다. 그 일례로 기존의 공업용 정화시설인 활성오니를 비롯한 생물학적 처리방법이 폐수 처리의 주종을 이루었고 축분의 처리는 간이 퇴비화방식이 주종을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제1세대처리방식은 규모 조정과 비용의 과다 발생, 전문기술이 필요한 운용방법등으로 인해서 투자비에 비해 효율적이지 못한 것이었다.
또 이러한 제1세대방식에서 시설, 기술의 난이성 문제와 더불어, 축산폐수의 색도가 제거되지 못한 상태로 방류되어 수질을 오염시키고 있어 방류하지 않는 일괄처리방식, 즉 통풍교반과 건조방식이 제2세대처리방식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제2세대처리방식은 방류수가 거의 없고 분뇨가 일괄 처리되며 단기간의 퇴비화기간을 제시하여 급격한 보급을 이루었으나, 이 통풍교반식에서는 톱밥보급이 용이하지 못함은 물론, 교반에 따른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근래에와서는 상기와 같은 제2세대처리방식에서의 문제점을 배제시키는 제3세대처리방식 즉, 화력 건조방식이 개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3세대처리방식인 화력 건조방식은 대기 또는 진공방식 2종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이러한 화력 건조방식은 단시간에 분뇨를 건조 처리함으로서 처리효율이 우수하고 악취제거와 시설의 최소화를 얻으며, 양질의 퇴비생산 및 자가 사료를 얻어 화력 건조방식의 운영 보조금으로 이용하는 이점이 었으나, 이 화력 건조방식에서는 과다한 화력비로 비산업적이고 경제적이지 못하며, 건조효율이 미흡한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제3세대처리방식에서 얻어지는 유기질 비료의 수효가 점차적인 감소현상으로 운영 보조금의 확보가 어렵게 되어 화력 건조방식의 운영에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이러한 화력 건조방식은 대부분 배치타입으로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어 경제성이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자체열원을 이용해 예열된 축분을 회전하는 압착식 건조드럼을 이용해 효율적인 증발건조 방식으로 건조를 이루게 하여 건조효율이 우수하고, 자체발열을 회수 활용하게 하므로서 연료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축분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축분의 건조공정이 일련의 연속공정으로 자동화 처리가 가능하게 하여 무인화 처리로 인력비 절감과 운영비용을 최소로 줄일 수 있게한 축분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구조를 착탈식으로 조립이 가능하게 하여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고 관리성이 우수한 축분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를 제공하는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축산폐기물인 돈분 또는 우분등 각종 축분뇨중에서 특히 액상형태의 축분뇨를 효율적으로 처리시킬 수 있는 축분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축분뇨를 처리장치 자체열을 회수 이용한 제1열교환기로 1차예열시키고, 이렇게 1차예열된 축분뇨를 압착식 건조드럼을 이용한 건조수단에서 그 축분뇨의 축분과 액상성분 및 슬러리를 분리하여 축분은 그 압착식 건조드럼에 의해 증발건조식으로 고형분화 함과 아울러, 분쇄시키어 스크류피더를 이용해 배출시키게 하며, 액상성분 및 슬러리는 처리장치 자체열을 회수 이용한 제2열교환기를 통해 2차예열시킨후 다시 건조수단의 압착식 건조드럼으로 공급시키어 증발건조식으로 증발시키게 하고 있다. 따라서 건조효율이 우수하고 자체증열을 이용한 열교환기를 이용해 에너지를 재활용하여 연료비를 절감시키고, 일련의 연속공정으로 무인 자동화처리가 가능하게 하여 운영비용을 최소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제1도는 본 발명 축분처리의 공정을 보인 계통도.
제2도는 본 발명 축분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인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 축분처리장치에 적용되는 압착식 분쇄드럼 부분을 발췌하여 보인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슬러리탱크 200 : 제1열교환기
300 : 건조수단 310 : 압착식 건조드럼
320 : 스크류피더 330 : 집수조
340 : 복원부재 341, 342 : 서포트
350 : 연돌 351 : 제3열교환기
400 : 퇴비방 500 : 제2열교환기
600 : 회수부 610 : 터보압축기
700 : 드레인탱크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은 축분뇨처리에 관한 것으로, 본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은 에너지를 재활용하여 연료비용을 줄이고 종래 배치식에서 일련의 연속공정으로 무인 자동화가 가능하게 하여 최소비용으로 운영이 가능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발명에 따른 축분뇨 처리공정을 보인 계통도를 보이고 있다. 제1도를 참조하여 본발명의 개략적인 처리공정을 설명하면 먼저 각 축산농가로부터 수거된 축분뇨와 오수등을 여과하여 협잡물이 제거된 축분뇨를 슬러리탱크(100)에 저장한다.
이렇게 슬러리탱크(100)에 저장되어 있는 축분뇨를 제1펌프(P1)를 이용해 그 슬러리탱크(100)로부터 흡출해내어 제1열교환기(200)를 통과시키며 1차예열단계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1차예열단계의 제1열교환기(200)에서는 축분뇨를 약 90도 온도로 가열한다. 이때 제1열교환기(200)의 열원은 별도의 열원을 이용하지 않고 이후에 설명할 건조수단에서 발생하는 증열을 재활용하여 에너지 절약효과를 기대함은 물론 건조효율을 높이게 된다.
제1열교환기(200)를 통과하여 1차예열을 이룬 축분뇨는 건조수단(300)으로 공급되어 그 건조수단(300)의 입구에서 분리단계, 즉 축분뇨중의 축분과 액상성분 및 액체와 분뇨침전물로 이루어지는 슬러리를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거친후, 축분뇨중의 축분을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적당한 속도로 회전되게 설치되고 별도의 버너에 의해 가열되는 한쌍의 압착식 건조드럼(310)으로 살포하여 그 축분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을 증발시키어 고형분으로 건조시키는 1차건조단계를 가진다. 그리고 이렇게 1차건조단계를 이룬 축분의 고형분은 그 압착식 건조드럼(310)에 의해 미립자로 상태로 분쇄되어 상기 건조드럼(3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스크류피더(320)에 의해 별도의 퇴비장(400)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단계를 가진다. 이때 퇴비장(400)으로 배출된 축분은 별도의 공정없이 간이퇴비화 방식으로 퇴비화가 가능하다.
또 상기 건조수단(300)의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축분뇨중의 액상성분 및 슬러리는 압착식 건조드럼(3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집수조(330)에 일시적으로 모집되는 수집단계를 가진다. 이렇게 수집단계에서 집수조(330)내에 모집된 축분뇨중의 액상성분 및 슬러리는 건조수단(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열교환기(500)를 통과하며 2차예열단계를 거친다. 이때 집수조(330)에 모집된 축분뇨의 액상성분 및 슬러리는 제2펌프(P2)의 압송력에 의해 제2열교환기(500)로 공급되게 하였다. 이러한 2차예열단계에서 액상성분의 슬러리는 상당한 열량을 함유하게 되며 그 일부는 2차예열단계에서 증기화된다. 이렇게 2차예열단계를 거치어 고온의 열량을 함유한 액상성분 및 슬러리는 다시 건조수단(300)의 압착식 건조드럼(310)으로 살포되어 상기 1차건조단계와 같은 방법으로 2차건조단계를 거치어 슬러리의 액상성분을 증발시키고 그 슬러리의 침전물인 축분을 고형분으로 건조시키어 상기 분쇄단계와 배출단계를 거치어 퇴비장(400)으로 퇴적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열교환기(200)와 제2열교환기(500)의 열원은 축분뇨 건조시, 즉 축분뇨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회수하여 이용하게 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건조수단(300)의 상부측에서 증기열을 모집하고, 이렇게 모집된 증기열은 건조수단(300)의 상부에 연결되는 관체형상의 회수부(600)를 통해 그 회수부(600)에 구비된 터보압축기(610)로 압축된 상태에서 제2열교환기(500)와 제1열교환기(200)순으로 급기되게 하여 그 열원으로 이용하게 하고 있다. 이때 제1 및 제2열교환기(200), (500)로 공급시키어 열교환 작용을 이루는 증열은 축분뇨에 열을 빼앗기면서 응축되고, 이렇게 응축된 그 응축수는 드레인탱크(700)로 배수되는 배수단계를 가진다. 이때 드레인탱크(700)로 배출되는 응축수에는 약간의 휘발성 BOD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러한 환경오염성분을 간이정화 처리하여 30ppm이하로 배출되게 하거나, 응축수를 공업용수로 재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집수조(330)와 제2열교환기(500)의 사이에 상기 집수조(330)의 유량감지에 의해 일정 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유량제어부(80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유량제어부(800)는 건조수단(300)의 성능과 비교하여 집수조(330)에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축분뇨의 액상성분 및 슬러리를 제1펌프(P1)로 피드백제어하게 된다.
제2도 및 제3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축분뇨 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를 보이고 있다. 본 발명 처리장치는 대략 적당한 사각틀체로 제작되는 프레임(10)에 설치되고 있는데, 그 처리장치의 기계요소는 크게 나누어 제1열교환기(200), 그리고 건조수단(300) 및 제2열교환기(500)와, 회수부(600)로 구성되어 프레임(10)을 이용하여 적당한 위치로 배열 설치 되어 있다.
제1 및 제2열교환기(200), (500)는 프레임(10)내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열교환기(200)(500)는 일반적인 열교환기 구조를 이용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열원과 피열물을 접촉식으로 열교환작용을 이루게 하고 있다.
또 건조수단(300)은 주위를 단열벽으로 감싸아 중공의 장방형체로 이루지어 밀폐된 가열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건조수단(300)은 그 밀폐된 가열공간내에 축분뇨의 건조를 위한 구조물을 갖추게 되는데, 건조수단(300)의 상부일측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200)에서 연장되는 연결파이프(201)가 연결되어 슬러리탱크(100)에 저장되어 있던 축분뇨를 제1펌프(P1)에 의해 압송시켜 그 건조수단(300)의 가열공간에 공급시키게 된다. 이때 건조수단(300)의 입구측 하부에는 제1열교환기(200)를 통과하여 1차예열되어 유입되는 축분뇨물을 분리하기 위한 필터(301)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필터(301)는 축분뇨물을 분리하는, 즉 축분뇨중의 축분과 액상성분 및 슬러리를 각각 분리시키게 될 것이다.
상기 필터(301)에서 분리된 축분뇨중의 축분은 이후에 설명할 건조드럼상에 공급되고 액상성분 및 슬러리는 집수조(330)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건조수단(300)의 가열공간에는 한쌍의 압착식 건조드럼(310)이 병렬로 배치되어 상호 맞접된 상태에서 회전되게 설치되고, 이 건조드럼(310)은 프레임(10)상에 설치되는 별도의 제1구동모터(M1)에 의해 적당한 속도를 유지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압착식 건조드럼(310)은 그 드럼내에 별도 설치되는 버너(302)에 의해 가열되어 압착식 건조드럼(310)의 주벽 표리면에 얇게 살포되는 축분의 수분을 증발시키며 목적하는 건조를 이루게 된다. 이때 축분이 고형분화시 암모니아가 암모늄염으로 고착된다.
또 이렇게 건조된 고형분은 그 한쌍의 압착식 건조드럼(310)의 사이에서 미립자 상태로 분쇄시키게 된다.
그리고 압착식 건조드럼(310)의 하부에는 필터(301)에 의해 축분뇨에서 분리된 액상성분 및 슬러리를 모집시키는 집수조(330)가 설치된다. 이 집수조(330)는 한쌍의 압착식 건조드럼(310)과 같이 한쌍으로 구성되어 각 건조드럼에 설치된다.
또 상기 한쌍의 집수조(330) 사이 하부측에는 압착식 건조드럼(310)에 의해 분쇄된 고형분을 받아 퇴비장(400)으로 배출시키는 스크류피더(32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스크류피더(320)는 그 후단 저면에 배출구(321)를 구비하여 분쇄된 고형분을 배출해내어 상기 퇴비장(400)으로 이송안내하는 이송수단, 예를 들어 콘베이어 벨트(900)가 연이어 설치될 것이다.
또한 상기 건조수단(300)의 상부 타측에는 집수조(330)에 일시적으로 모집된 축분뇨의 액상성분 및 슬러리를 2차예열시키기 위한 제2열교환기(500)로부터 연장되는 연결파이프(501)가 연결된다. 이때 집수조(330)내에 일시적으로 모집된 슬러리는 제2펌프(P2)에 의해 압송된다.
한편 건조수단(300) 가열공간 상부 중앙부에는 축분뇨의 건조시 발생하는 증기열을 모집하여 제1 및 제2열교환기(200), (500)의 열원으로 재활용하기 위한 회수부(600)가 연결된다. 이 회수부(600)는 관체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회수부(600) 적당한 위치에 증기열을 압축하여 제1 및 제2열교환기으로 공급시키기 위한 터보압축기(61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착식 건조드럼(300) 하부에 설치되는 집수조(330)와 스크류피더(320)을 단일체로 구성하여 그 건조드럼에 착탈식으로 설치되게 하였다.
이렇게 단일체로 구성되어 건조드럼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집수조(330)와 스크류피더(320)는 그 저면에 구름바퀴를 구비하고 건조수단(300) 바닥면에 병렬로 장치되는 별도의 가이드레일(20)을 따라 구름 이동되게 하며, 그 가이드레일(20)의 경사부(21)에 의해 승강하면서 착탈을 이루게 구성하고 있다. 이때 집수조(330)와 스크류피더(320)의 후단은 별도의 고정구조를 이용해 결속시키게 될 것이다.
제4도에는 한쌍의 압착식 건조드럼(300)을 떠받치며 안전하게 회전운동을 이루게 하는 받침구조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받침구조는 각각의 압착식 건조드럼(300)의 전후 양단을 받치는 서포트(341)(342)로 구성된다. 이러한 서포트(341)(342)는 건조드럼의 저면 2지점을 받치는 2조의 구름롤을 이용해 떠받치어 건조드럼의 회전은 무리없이 이루게 함과 아울러, 그 서포트(341)(342)중 그 어느 하나를 가동적으로 설치하여 압착식 건조드럼(310)의 간격이 유동적으로 조절되게 하고 있다. 다시 설명하면 축분뇨의 건조물인 고형분의 크기변화에 따라 그 건조드럼의 사이가 신축적으로 조절되며 분쇄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분쇄작용을 원할히 이루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받침구조인 서포트(341)(342)중 가동서포트(341)는 별도의 복원부재(340)에 의해 원상복귀되게 구성하고 있다. 이 복원부재(340)는 여러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 하나의 예로서 코일스프링을 이용해 가동서포트(341)의 복귀동작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또 본 발명의 압착식 건조드럼(300)의 가열은 하나의 버너(302)를 사용하여 양측 건조드럼에 열을 가열하게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쌍의 압착식 건조드럼(300)중 그 어느 하나의 압착식 건조드럼(300)을 선택하여 버너(302)를 설치하고 다른 하나의 압착식 건조드럼(300)은 연통관으로 연결하여 배기열에 의해 가열을 이루게 하고 있다.
또한 압착식 건조드럼(300)을 가열하고 배기되는 연소가스는 별도의 연돌(350)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게 하였다. 이때 그 연돌(350)에 제3열교환기(351)를 설치하여 배기되는 폐열을 이용해 외부공기를 열교환시키어 건조수단에 추가공급하므로서 건조공기의 수분함유 극대화로 단위시간당 건조휼을 높이고 에너지를 손실을 극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서 본 발명은 축분뇨의 건조 처리공정시 축분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증기열을 이용해 건조 처리를 위한 축분뇨의 예열 열에너지로 재활용케 하여 열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하고, 가능한 적은 연료를 가지고 고효율적인 건조성능을 발휘하여 연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큰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단위시간당 건조효율을 높이어 처리성이 우수하고, 또한 전처리공정을 일련의 연속공정으로 무인 자동화가 가능하여 불필요한 인력비용을 절감시키고 운영비용을 최대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압착식 건조드럼의 하부에 설치되어 정기적으로 청소 및 수리가 요구되는 집수조 또는 스크류피더를 그 건조드럼 하부에 착탈식으로 설치되게 하여 관리성은 물론 보수성이 우수한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 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4)

  1. 축분뇨가 저장되어 있는 슬러리탱크로부터 그 슬러리탱크내의 축분뇨를 이후 설명되는 건조단계에서의 발열을 회수하여 열원으로 하는 제1열교환기에 압송시키어 열교환을 이루게 하는 1차예열단계; 상기 1차예열단계를 거친 축분뇨를 망판으로 이루어지는 필터를 이용해 슬러리등의 액상성분과 축분을 분리시키는 분리단계; 상기 분리단계에서 걸러진 축분뇨중의 축분을 별도의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한쌍의 압착식 건조드럼 주벽면에 박막형태로 살포시키며 증발식으로 고형화를 이루게 하는 1차건조단계; 상기 분리단계에서 걸러진 축분뇨중의 액상성분 또는 축분의 슬러리를 모집하여 상기 건조단계에서의 발열을 회수하여 열원으로 하는 제2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을 이루게 하는 2차예열단계; 상기 2차예열단계를 이룬 축분의 액상성분 또는 축분의 슬러리에 침전물을 상기 한쌍의 압착식 건조드럼에서 상기 1차건조단계에서와 같이 얇게 살포시키며 증발식으로 고형화를 이루게 하는 2차건조단계; 상기 1차건조단계와 2차건조단계를 거치며 고형화된 고형물을 상기 한쌍의 압착드럼 사이로 통과시키며 분쇄시키는 분쇄단계; 및 상기 분쇄단계를 거치어 분쇄된 고형분을 스크류피더를 이용해 배출해내는 배출단계를 갖추어 일련의 연속공정으로 축분뇨를 처리할 수 있도록한 축분뇨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압착식 건조드럼의 1차건조단계와 2차건조단계에서 축분뇨로 부터 발생되는 증열을 회수하여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 각각의 열원으로 활용케한 것을 포함하는 축분뇨 처리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의 열교환과정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드레인탱크로 배출되게 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하는 축분뇨 처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단계에서 축분료로부터 분리된 액상성분과 축분의 슬러리를 2차 예열을 위한 제2열교환기로 공급시키기 위해 모집시키는 수집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뇨 처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건조단계 또는 2차건조단계에서 축분 및 슬러리 침전물의 증발과정시 그 축분뇨내의 암모니아를 암모늄염으로 고착시키는 고형화단계를 더 포함하는 축분뇨 처리방법.
  6. 협자물이 제거된 상태의 축분뇨가 저장되는 슬러리탱크와 연경되어 그 슬러리탱크내 축분뇨의 처리공정을 위해 단위시간당 소정량을 자동적으로 압송시키게 하는 제1펌프; 상기 제1펌프와 직결되어 상기 슬러리탱크로부터 압송되는 축분뇨를 처리장치의 자체증기열원을 이용해 1차예열시키기 위한 제1열교환기; 상기 제1열교환기에 연이어 밀폐된 가열공간을 가지며, 그 제1열교환기로부터 1차예열된 축분뇨를 공급받아 축분과 액상성분 및 슬러리를 분리하고, 그 분리된 축분뇨중 액상성분과 슬러리는 건조드럼의 하부에 구비되는 집수조에 일시적으로 모집되며, 그 축분뇨중 축분은 별도의 버너에 의해 가열되는 한쌍의 압착식 건조드럼 주변면에 얇게 살포되어 그 얇은 막형상으로 살포된 축분을 증발식으로 고형화하여 분쇄시키게 하고, 분쇄된 축분의 고형분을 자동적으로 배출되게한 건조수단; 상기 건조수단에 연이어 그 건조수단의 집수조에 모집된 축분뇨의 액상성분과 슬러리를 제2펌프에 의해 압송시키어 처리장치의 자체증기열을 이용해 2차예열시키게 하는 제2열교환기; 상기 제2열교환기에서 2차예열된 축분의 액상성분과 슬러리를 상기 건조수단의 압착식 건조드럼으로 재 공급시키게 하는 회수부; 상기 건조수단의 가열공간 상부에 연결되어 건조드럼에 의해 건조되는 축분으로부터 발생된 증열을 강제흡출해내는 터보압축기를 가지며, 상기 증열을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의 열원으로 활용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열교환기측으로 공급시키는 관형상의 증기급기부를 갖추어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뇨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기에 연이어 제1 및 제2열교환기의 열교환작용시 발생하는 응축수를 배수처리하는 드레인탱크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축분뇨 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은 적당한 크기의 밀폐된 공간을 제공하는 중공의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이 본체내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축분뇨내의 액상성분과 축분을 분리해내는 필터와, 이 필터의 직하부에 인접되어 설치되고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적당한 회전속도를 가지고 구동하는 한쌍의 압착식 건조드럼과, 이 압착식 건조드럼내에 장치되어 그 건조드럼 주벽에 점착되는 축분을 가열시켜 고형화시키기 위한 열원을 제공하는 버너와, 상기 압착식 건조드럼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에 의해 축분뇨로부터 분리된 액상성분 또는 축분의 슬러리를 모집시키는 집수조와, 상기 건조드럼의 직하부에 설치되어 그 압착식 건조드럼에 의해 분쇄된 고형분을 배출시키는 스크류피더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뇨 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압착식 건조드럼을 구름접촉식의 서포트를 이용해 회전구동을 이루게함과 아울러, 이들의 서포트중 그 어느 하나의 서포트를 가동적으로 설치하고, 이 가동서포트를 복원부재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하여 크기가 다른 분쇄물에 따라 그 건조드럼의 간격이 자유로이 조절되며 분쇄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포함하는 축분뇨 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와 스크류피더를 단일체로 구비하여 상기 압착식 건조드럼 하부에 착탈식으로 설치되게 한 것을 포함하는 축분뇨 처리장치.
  11.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체로 구성되는 집수조와 스크류피더의 하부에 장치되어 상기 압착식 건조드럼에 상기 단일체로 구성되는 집수조와 스크류피더의 장착시 그 단일체의 집수조와 스크류피더를 압착식 건조드럼측에 부착 또는 이탈시키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갖게한 것을 더 포함하는 축분뇨 처리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피더에 연이어 건조드럼으로부터 분쇄되어 배출되는 고형분 분쇄물을 받아 저장하는 퇴비장을 갖는 것을 더 포함하는 축분뇨 처리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축분뇨의 액상성분과 슬러리를 모집시키는 집수조와 제2열교환기의 사이에 건조수단의 집수조내의 수위감지장치에 의해 상기 제1펌프측으로 축분뇨의 액상성분과 슬러리를 피드백시키는 유량제어부를 갖춘 것을 더 포함하는 축분뇨 처리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드럼의 배기 연돌에 외부공기를 열교환시키어 건조드럼내에 열기를 추가공급시키는 제3열교환기를 갖춘 것을 더 포함하는 축분뇨 처리장치.
KR1019970037220A 1997-08-04 1997-08-04 축분뇨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 KR100243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220A KR100243963B1 (ko) 1997-08-04 1997-08-04 축분뇨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220A KR100243963B1 (ko) 1997-08-04 1997-08-04 축분뇨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244A KR19990015244A (ko) 1999-03-05
KR100243963B1 true KR100243963B1 (ko) 2000-02-01

Family

ID=1951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220A KR100243963B1 (ko) 1997-08-04 1997-08-04 축분뇨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39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481A (ko) * 2000-09-25 2002-03-30 김지상 침출수 여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481A (ko) * 2000-09-25 2002-03-30 김지상 침출수 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244A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9825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drying and conditioning chicken manure or similar pasty substances
US4872998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forming uniform, pelletizable sludge product
JP5201747B2 (ja) 水含有物質を乾燥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06117934A1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設備および処理方法
US4406795A (en) Extraction process
EP2543643B1 (de) Universale doppelwandige trocknungsanlage
LT5179B (lt) Atliekų apdorojimo būdas ir apdorojimo įranga
EP0498084B1 (en) A method for processing manure
US20080152782A1 (en) Waste treatment process
KR100825994B1 (ko) 축산 폐수 및 분뇨 처리시스템
KR100243963B1 (ko) 축분뇨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
US11000777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treating water
JPH03207499A (ja) 有機性廃棄物の乾操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CN115127316A (zh) 一种多肽微生物有机无机复混肥用烘干装置及其使用方法
CN209923176U (zh) 一种电厂脱硫脱硝废水污泥的干燥装置
US6364996B1 (en) Device for treatment and removal of aqueous liquids by controlled atmospheric action
KR10076129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된 폐수의 처리장치
KR200362533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0358420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건조,발효장치
KR20070045760A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CN217351155U (zh) 污泥干化及尾气处理系统
KR10031165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540706B1 (ko) 음식물류폐기물의 오염원 무배출 공정을 적용한 디스크 건조 시스템
KR2005010863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CN113182312B (zh) 一种厨余垃圾处理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