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2881B1 -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2881B1
KR100242881B1 KR1019970022204A KR19970022204A KR100242881B1 KR 100242881 B1 KR100242881 B1 KR 100242881B1 KR 1019970022204 A KR1019970022204 A KR 1019970022204A KR 19970022204 A KR19970022204 A KR 19970022204A KR 100242881 B1 KR100242881 B1 KR 100242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broadcast
mode
broadcast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2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5976A (ko
Inventor
류충일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22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2881B1/ko
Priority to GB9811170A priority patent/GB2325805B/en
Priority to JP10146781A priority patent/JPH10341176A/ja
Publication of KR19980085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5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성방송과 일반방송을 동시에 수용하는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 현재 시청중인 채널이 위성방송 채널인지 일반방송 채널인지에 관계없이 채널 전환용 방향키 신호에 의거하여 위성방송 및 일반방송간의 채널 전환을 램덤하게 또는 그 채널번호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일반방송과 위성방송을 동시에 수용 가능한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시에, 일반방송 채널 정보와 위성방송 채널 정보를 통합하여 구성한 OSD 형태의 채널 메뉴 정보를 이용하여 각 방송채널을 램덤하게 전환하거나 또는 채널 방향키 조작에 따라 각 방송모드별 채널 정보가 순차 탐색되도록 구성하여 타방송모드로의 채널 전환을 쉽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수단을 채용함으로써, 여러 방송을 동시에 수용하는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시에 사용자의 이용 편리성을 매우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본 발명은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방송 채널을 전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성방송 신호와 지상파 방송신호 또는 케이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 위성방송 채널에서 일반방송 채널로의 절환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적합한 채널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그 이용이 급격하게 확대되고 있는 위성을 이용한 방송방식은 지표면에서 대략 수십 내지 수백킬로 정도의 고도에 위치하는 위성체(통신위성)를 이용하여 보다 넓은 지역에 방송신호를 제공하는 방식인 것으로, 이러한 위성방송 방식에서는, 예를들면 11.7 GHz 내지 12.0 GHz 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구밴드(band)의 RF 신호가 이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 위성방송 수신용 안테나에는 초고주파의 RF(Radio Frequancy)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ancy) 신호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저잡음 컨버터(Low Noise Blockdown Converter)가 구비되는 데, 이러한 저잡음 컨버터는 초고주파의 RF 신호를 위성방송 수신기(리시버)에서 수신가능한 수백 내지 수천 MHz 대역(예를들면, 950 MHz - 2050 MHz)의 IF(중간주파) 신호로 변환한다.
따라서, 위성방송 수신기(리시버)에 구비된 위성방송용 튜너에서는 저잡음 컨버터를 통해 수신되는 IF 신호를 입력으로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튜닝하게 되는 데, 이러한 위성방송 수신기는 채널이용의 극대화, 영상 및 음향신호 품질의 개선, 부가 디지탈 서비스 데이터 전송의 용이성 이외에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획기적인 개선을 큰 장점으로 들 수 있다.
최근들어서는 위성방송 뿐만 아니라 케이블을 이용한 케이블 방송방식 또한 그 이용이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는 추세인 데, 가입자(즉, 하나의 수신기)가 이러한 방식의 방송신호를 모두 수용하고자 하는 경우 각 방송별로 그 주파수 대역이 다르기 때문에 위성방송용 튜너, 케이블 방송용 튜너 모두를 별도로 갖추어야만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이 다양한 형태의 방송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내장형 또는 외장형의 각종 튜너를 모두 갖추거나 혹은 두가지 형태의 방송을 별도의 신호처리 경로(즉, 위성방송 신호처리 경로 및 케이블 방송 신호처리 경로)를 통해 처리하도록하는 일체형의 복합튜너를 수신기에 채용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겠으나, 이 경우 수신기 자체의 하드웨어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문제가 야기될 뿐만 아니라 수신기의 비용이 과다하게 상승하게 된다는 문제가 야기된다.
한편, 상기한 점을 고려하여 하나의 튜닝 경로를 통해 위성방송 신호 및 케이블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복합튜너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복합튜너의 일예로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1994년 10월 31일자로 대한민국 특허청에“위성 및 케이블 방송용 튜너”라는 명칭으로 출원(특허출원 제 94-28287 호)되어 현재 계류중인 것이 있다.
다른한편, 최근들어 개발된 위성용 디지탈 수신기에는 최대 16칼라의 그래픽과 다양한 폰트를 지원하여 개인용 컴퓨터의 기본 VGA 수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되어 있는 데, 수신기를 독립적인 모듈로 구성, 즉 각 방송(위성, 지상파, 케이블 등)을 각각 수용하는 단일 튜너를 갖는 셉탑박스(수신기)로 구성할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합시킬 필요가 없으나 이와는 달리 각 방송(위성, 지상파, 케이블 등)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복합튜너(예를들면, 현재 미합중국 Direc TV 의 DSS(Digital Satellite System) MDU(Multi Dwelling Unit) 와 같이 디지탈 위성방송 수신기가 케이블 방송신호도 수신하는 복합튜너)로 구성할 경우 사용자는 디지탈 셉탑박스(수신기)의 향상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기존 아날로그 영상기기(텔레비젼, 케이블 텔레비젼)의 단조로운 OSD 로 된 두가지 메뉴를 접하게 된다.
이와같은 복합튜너 방식을 갖는 셉탑박스에 있어서,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내장된 텔레비젼의 모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지탈 셉탑박스 모듈에서 처리하는 것이지만, 다음과 같은 두가지 이유로 인해 현재까지는 이러한 방식이 고려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첫째, 텔레비젼의 아날로그 영상신호와 셉탑박스의 디지탈 영상신호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출력됨.
둘째, 디지탈 셉탑박스에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MPEG 비디오 디코더에서 영상신호와 합해져 디지탈 영상신호의 처리경로를 통해 출력됨.
한편, 상기한 점을 고려하여 위성방송과 일반방송을 동시에 수용하는 수신 시스템에서 일반방송 수신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시에 디지탈 셉탑박스로부터의 그래픽을 이용하여 일반방송의 OSD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가 본 발명자에 의해 제안되어 본 발명과 동일자로 대한민국 특허청에“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개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명칭으로 출원된 것이 있다.
다른한편, 상기한 바와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사용자가 각 방송(위성 방송,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에 대한 채널변환을 수행하고자 할 때, 즉 현재 시청중인 방송이 위성 방송 채널일 때 현재 채널을 지상파 방송 채널 또는 케이블 방송 채널로 변경(또는 전환)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먼저 시청모드 키조작을 통해 현재의 시청모드를 지상파 방송 모드 또는 케이블 방송 모드로 전환한 다음 전환된 시청모드(지상파 방송 모드 또는 케이블 방송 모드) 상태에서 자신이 소망하는 채널 전화키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는 달리 현재 시청중인 모드가 어떤 모드인지에 관계없이 간단한 키조작(예를들면, 채널 전환용 방향키 조작)으로 현재 채널을 다른 방송 모드에서의 채널로 전환할 수만 있다면 사용자의 이용 편리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겠으나 상기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는 이러한 점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위성방송과 일반방송을 동시에 수용하는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 현재 시청중인 채널이 위성방송 채널인지 일반방송 채널인지에 관계없이 채널 전환용 방향키 신호에 의거하여 위성방송 및 일반방송간의 채널 전환을 램덤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성방송과 일반방송을 동시에 수용하는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 현재 시청중인 채널이 위성방송 채널인지 일반방송 채널인지에 관계없이 채널 전환용 방향키 신호에 의거하여 위성방송 및 일반방송간의 채널 전환을 기설정된 채널번호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복합 튜너를 통해 선국된 일반방송 채널을 처리하는 방송신호 처리경로와 상기 복합 튜너를 통해 선국된 위성방송 채널을 처리하는 방송신호 처리경로를 구비한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 수신 시스템은, 상기 일반방송의 유효한 각 방송채널 정보를 그 채널번호에 따라 순차 저장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위성방송의 유효한 각 방송채널 정보를 그 채널번호에 따라 순차 저장하는 제 2 영역으로 된 메모리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 전환 방법은: 상기 수신 시스템이 파워 온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방송채널의 시청모드를 수행하고 있을 때 키입력부로부터 채널 메뉴키 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 1 단계; 상기 채널 메뉴키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메모리 블록의 제 1 및 제 2 영역에 저장된 상기 일반방송 각 방송채널 및 상기 위성방송의 각 방송채널을 인출하여 각 방송의 채널번호 순서에 기초하는 메뉴 화면 데이터를 구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구성된 메뉴 화면 데이터를 상기 시청중인 특정 방송채널의 비디오 신호에 OSD 데이터 형태로 혼합한 다음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3 단계; 상기 메뉴 화면상의 다수의 방송채널중 하나의 방송채널이 지정될 때 이 지정된 방송채널에 대한 채널 선택키 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채널 선택키 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채널을 상기 지정된 방송채널로 전환하는 제 5 단계로 이루어진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복합 튜너를 통해 선국된 일반방송 채널을 처리하는 방송신호 처리경로와 상기 복합 튜너를 통해 선국된 위성방송 채널을 처리하는 방송신호 처리경로를 구비한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 수신 시스템은, 상기 일반방송의 각 방송채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영역과 상기 위성방송의 각 방송채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영역으로 된 메모리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 전환 방법은: 상기 수신 시스템이 초기화된 상태에서 파워온 상태가 되면, 상기 일반방송의 유효한 각 방송채널을 탐색하고 탐색된 각 방송채널 정보를 그 채널번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 블록의 제 1 영역에 순차 저장하고, 상기 위성방송의 유효한 각 방송채널을 탐색하고 탐색된 각 방송채널 정보를 그 채널번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 블록의 제 2 영역에 순차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수신 시스템이 파워 온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방송채널의 시청모드를 수행하고 있을 때 키입력부로부터 방송채널 전환을 위한 채널 업/다운 키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 2 단계; 상기 채널 업/다운 키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메모리 블록의 제 1 및 제 2 영역에 저장된 상기 일반방송 각 방송채널의 순서 및 상기 위성방송의 각 방송채널의 순서에 의거하여, 현재 채널의 방송모드와 전환하고자 하는 다음 채널의 방송모드가 동일한 방송모드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다음 채널의 방송모드가 상기 현재 채널의 방송모드와 동일한 방송모드이면, 상기 현재 채널을 상기 다음 채널로 전환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다음 채널의 방송모드가 상기 현재 채널의 방송모드와 다른 방송모드이면, 상기 현재 방송모드를 상기 다음 채널의 방송모드로 절환한 다음 상기 현재 채널을 상기 다음 채널로 전환하는 제 5 단계로 이루어진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방송 채널 전환 방법을 적용하는 데 적합한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위성 채널과 일반방송 채널 정보를 통합하여 구성한 채널 메뉴 정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채널 방향키를 이용하여 위성 채널과 일반방송 채널 정보를 순차적으로 스캐닝하는 개념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튜너 블록104 : 아날로그 비디오 처리 블록
106 : MPEG 비디오 디코딩 블록
108 : 비디오 엔코딩 블록110 : 제어 블록
112 : 메모리 블록114 : 스위칭 블록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방송 채널 전환 방법을 적용하는 데 적합한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를 나타낸다.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복합 수신 시스템은 튜너 블록(102), 아날로그 비디오 처리 블록(104), MPEG 비디오 디코더 블록(106), 비디오 엔코딩 블록(108), 제어 블록(110), 메모리 블록(112) 및 스위칭 블록(114)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튜너 블록(102)은, 라인 L11을 통해 제어 블록(110)으로부터 제공되는 튜닝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도시 생략된 방송신호 수신부(즉, 위성 수신 안테나, 지상파 수신 안테나, 케이블 등)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채널을 튜닝하고 이 튜닝된 방송채널 신호를 전송전의 원신호로 복조하는 데, 이때 지상파 방송 신호 또는 케이블 방송 신호가 튜닝되는 경우 복조된 지상파 또는 케이블 방송채널 신호는 라인 L14를 통해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 처리 블록(104)으로 제공되고, 위성방송 신호가 튜닝되는 경우 복조된 위성방송 채널 신호는 라인 L12를 통해 MPEG 디코더 블록(106)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튜닝 블록으로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1994년 10월 31일자로 대한민국 특허청에“위성 및 케이블 방송용 튜너”라는 명칭으로 출원(특허출원 제 94-28287 호)되어 현재 계류중인 튜너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튜너 블록(102)에서는 튜너 블록(102)에서는 시청모드로써 위성방송 모드가 선택될 때 튜닝된 전송 스트림상에 삽입된 부가정보(예를들면, 채널 메뉴 정보 등)를 추출하여 라인 L13을 통해 후술하는 제어 블록(110)으로 제공한다.
다음에, 아날로그 비디오 처리 블록(104)에서는 라인 L14를 통해 상기한 튜너 블록(102)에서 제공되는 선국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지상파 방송채널 신호 또는 케이블 방송채널 신호)를 처리, 예를들면 레벨 증폭, 잡음 제거, 이득제어 등의 각종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라인 L18을 통해 스위칭 블록(114)의 접점 I1으로 제공하고, 신호처리된 복합 비디오 신호에 포함된 부가정보(예를들면, OSD 형태의 방송채널 정보 등)를 추출하여 후술하는 제어 블록(112)으로 제공한다.
한편, 제어 블록(110)은, 예를들면 수신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인 것으로, 외부로부터 사용자 방송채널 선택신호가 입력될 때 그에 상응하는 튜닝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라인 L11을 통해 전술한 튜닝 블록(102)으로 제공하며, 전술한 아날로그 비디오 처리 블록(104)으로부터 아날로그 OSD 데이터(즉, 채널 정보 데이터)가 제공될 때 이를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여 채널번호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메모리 블록(112)의 A 영역에 저장하고, 라인 L13을 통해 튜너 블록(102)으로부터 위성 방송 채널 정보 데이터(즉, 채널 메뉴 데이터)가 제공될 때 그 채널번호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메모리 블록(112)의 B 영역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 블록(110)은 외부로부터 방송 채널 메뉴 서비스(GUI) 요구신호가 입력될 때, 메모리 블록(112)의 A 영역에 기저장된 일반방송 채널 정보 데이터와 메모리 블록(112)의 B 영역에 기저장된 위성 방송 채널 메뉴 정보 데이터를 각각 인출하여 라인 L15를 통해 MPEG 비디오 디코딩 블록(106)으로 제공한다. 그리고, 제어 블록(110)은 현재의 시청모드가 일반방송 시청모드인 상태에서 방송 채널 메뉴 서비스 요구신호가 입력될 때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지상파 방송채널 신호 또는 케이블 방송채널 신호)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방송 채널 메뉴 정보 데이터간의 혼합을 위해 후술하는 스위칭 블록(114)의 접점을 적응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하이 또는 로우레벨의 절환 제어신호(CS)를 발생하여 스위칭 블록(114)으로 제공한다.
이때, 메모리 블록(112)의 A 영역 및 B 영역에 각각 그 채널번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저장되는 일반방송 채널 정보 데이터 및 위성방송 채널 정보 데이터는 채널전환용 방향키 신호, 즉 채널 업/다운 방향키 신호에 의거하여 선국을 위해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채널순서가 될 수 있다. 일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반방송 채널 정보가 CH11, CH12, CH13 의 3개이고 위성방송 채널 정보가 CH31, CH32, CH33 의 3개라고 가정할 때, 방송모드(위성방송 모드 및 일반방송 모드)에 관계없이 채널 업/다운 방향키 신호에 따라 ↔ CH11 ↔ CH12 ↔ CH13 ↔ CH31 ↔ CH32 ↔ CH33 ↔ CH11 의 순서로 자동전환되도록 설정된다. 예를들어, 현재 시청중인 방송채널이 일반방송 모드 채널인 CH11 일 때 사용자가 업 방향키를 누르게 되면 위성방송 모드 채널인 CH33 이 자동으로 선택(즉, 방송모드의 자동 절환과 동시에 선택된 채널 선국)되고, 반대로 현재 시청중인 방송채널이 위성방송 모드 채널인 CH33 일 때 사용자가 다운 방향키를 누르게 되면 일반방송 모드 채널인 CH11 이 자동으로 선택된다.
다른한편, MPEG 디코더 블록(106)에서는 라인 L12를 통해 상기한 튜너 블록(102)에서 제공되는 선국된 위성방송 채널의 압축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 예를들면 비디오 신호의 시,공간적인 상관성을 고려하여 압축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를 가변길이 복호화, 역 DCT, 역양자화, 움직임 보상 등의 복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부호화 전의 원신호로 복원하며, 여기에서 복원된 디지탈 비디오 신호는 다음단의 비디오 엔코딩 블록(108)으로 제공된다.
또한, MPEG 비디오 디코딩 블록(106)은 위성채널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에 사용자에 의한 방송채널 메뉴 서비스 요구신호가 입력될 때 라인 L15를 통해 제어 블록(110)으로부터 제공되는 방송채널 메뉴 정보 데이터(일반방송 채널 정보 및 위성방송 채널 정보)를 그래픽을 이용하여 방송채널 메뉴 화면으로 구성하며, 이와같이 구성된 방송채널 메뉴 화면은 OSD 신호로써 복원된 비디오 신호에 혼합된 다음 비디오 엔코딩 블록(108)으로 제공된다.
더욱이, MPEG 비디오 디코딩 블록(106)은 위성채널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에 사용자에 의한 방송채널 메뉴 서비스 요구신호가 입력될 때 라인 L15를 통해 제어 블록(110)으로부터 제공되는 방송채널 메뉴 정보 데이터(일반방송 채널 정보 및 위성방송 채널 정보)를 그래픽을 이용하여 방송채널 메뉴 정보 만으로 한 화면(또는 방송채널 메뉴 정보가 OSD 형태로서 한 화면의 일부 영역만을 점유하도록 구성한 화면)을 구성하며, 여기에서 구성되는 디지탈의 방송채널 메뉴 화면 데이터는 비디오 엔코딩 블록(108)으로 제공된다.
이때, 일반방송 채널 정보가 CH11, CH12, CH13 의 3개이고 위성방송 채널 정보가 CH31, CH32, CH33 의 3개라고 가정할 때, MPEG 비디오 디코딩 블록(106)에서 구성되는 방송채널 메뉴 화면은, 일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X 축은 채널축을 나타내고, Y 축은 시간축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Y1으로 표시된 부분은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각 위성채널(CH31, CH32, CH33)에는 시간대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수록되고 일반채널(CH11, CH12, CH13)에는 예를들면 해당 채널의 방송국명 정보 등이 수록될 수 있다.
다음에, 비디오 엔코딩 블록(108)에서는 상술한 MPEG 비디오 디코딩 블록(106)에서 제공되는 선국된 디지탈 비디오 신호 또는 방송채널 메뉴 데이터가 OSD 형태로 삽입된 디지탈의 혼합 비디오를 NTSC 또는 PAL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 또는 PAL 비디오 신호로 변환한 다음 라인 L17을 통해 스위칭 블록(114)의 접점 I2에 제공한다.
또한, 비디오 엔코딩 블록(110)은 사용자가 선국된 일반방송 채널을 시청하는 도중에 메뉴 서비스(예를들면, 채널 정보 요구신호)를 요구할 때, MPEG 비디오 디코딩 블록(106)에서 구성되어 제공되는 디지탈의 방송채널 메뉴 데이터로 된 화면(또는 방송채널(일반방송 채널 + 위성방송 채널) 메뉴 정보가 OSD 형태로서 한 화면의 일부 영역만을 점유하도록 구성한 화면) 데이터를 아날로그 NTSC 신호규격 또는 PAL 신호규격에 적합하도록 변환시킨 다음 라인 L17을 통해 스위칭 블록(114)의 접점 I2에 제공한다.
한편, 스위칭 블록(114)은 선국된 일반방송 채널의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의 출력과 선국된 위성방송 채널의 비디오 신호(또는 OSD 데이터가 혼합된 위성방송 채널의 비디오 신호) 또는 일반방송의 OSD 데이터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절환한다.
보다 상세하게, 스위칭 블록(114)은 사용자에 의해 일반방송(지상파 방송 또는 케이블 방송) 모드가 선택될 때 접점 I1-O를 연결하여 라인 L18을 통해 제공되는 선국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도시 생략된 디스플레이측으로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위성방송 모드가 선택될 때 접점 I2-O를 연결하여 라인 L17을 통해 제공되는 선국된 위성방송 채널의 비디오 신호(또는 OSD 데이터가 혼합된 비디오 신호)를 도시 생략된 디스플레이측으로 제공한다.
또한, 스위칭 블록(114)은 현재의 방송모드가 일반방송 모드인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방송채널 메뉴 서비스가 요구될 때 전술한 제어 블록(110)으로부터 제공되는 하이 또는 로우레벨의 절환 제어신호(CS)에 응답하여 접점 I1 및 I2를 적응적 또는 교번적으로 절환시킴으로써, 선국된 일반방송 채널 비디오 신호와 셋탑박스 출력에서 제공되는 OSD 형태의 방송채널 메뉴 신호가 혼합된 비디오 출력을 생성하며, 여기에서 출력되는 혼합된 비디오 출력은 도시 생략된 디스플레이측으로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도시 생략된 모니터상에서는 일반방송 화면상에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삽입된 방송채널(일반채널 + 위성채널) 메뉴 정보가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 될 것이며, 사용자는 이와같이 디스플레이되는 방송채널 메뉴 화면상에서 채널 업/다운 방향키를 조작하여 시청(또는 전환)하고자 채널을 지정하고, 지정된 채널을 선택함으로써 방송모드에 관계없이 선택된 채널로의 전환이 자동으로 수행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복합 수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방송모드에 관계없이 방송채널을 전환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의 가장 큰 기술요지는 위성방송과 일반방송(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의 동시 수용이 가능한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 방송채널을 전환할 때 현재 시청중인 방송모드에 관계없이 모든 방송채널의 정보를 메뉴 화면으로써 제공하고, 이 메뉴 화면상에서의 사용자 선택에 의해 현재 채널을 원하는 방송채널(일반방송 채널 또는 위성방송 채널)을 바로 전환한다는 것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라 방송채널 전환을 위해 사용자가 채널 메뉴키를 조작할 때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방송채널 메뉴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제어 블록(110)에서는 복합 수신 시스템이 일반방송 모드 또는 위성방송 모드를 수행(선국된 방송채널의 디스플레이)중일 때 키조작부(자체패널상에 준비된 키패드 또는 리모콘)로부터 방송채널 메뉴 요구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며(단계 301, 303), 이러한 체크 상태는 수신 시스템이 파워온 상태일 때 항상 유지된다.
다음에, 상기 단계(303)에서의 체크결과, 채널 메뉴 키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MPEG 비디오 디코딩 블록(106)에서는 제어 블록(110)에서 제공되는 방송채널 메뉴 정보들에 의거하여 채널 메뉴 화면(즉, 일반방송 채널 정보와 위성방송 채널 정보)을 구성한다(단계 305).
그런다음,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방송채널 메뉴 화면 데이터는 비디오 신호 데이터에 OSD 형태로 혼합되는 데, 예를들면 현재 시청중인 채널이 일반방송 채널일 때 구성된 메뉴 화면 데이터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에 OSD 형태로 혼합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시청중인 채널이 위성방송 채널일 때, 일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성된 메뉴 화면 데이터는 디지탈 비디오 신호에 OSD 형태로 혼합되어 디스플레이된다(단계 307).
이때, 사용자는 채널 업/다운 방향키를 이용하여 다수의 채널중 선택을 원하는 방송채널(일반방송 채널 또는 위성방송 채널)을 지정할 수 있으며, 이와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이 지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채널 선택키를 누르게 되면 선택된 해당 채널의 방송이 선국된다. 따라서, 제어 블록(110)에서는 다수의 현재 디스플레이중인 메뉴상의 다수의 방송채널중 지정된 방송채널에 대한 채널 선택키 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며(단계 309), 이러한 채널 선택키의 입력체크는 기설정된 소정시간(예를들면, 10초, 20초 등) 수행되는 데 소정시간이 경과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채널 선택키 신호의 입력이 없으면 디스플레이중인 메뉴 화면을 차단하고 현재의 방송채널을 그대로 유지한다(단계 311, 313).
한편, 상기 단계(309)에서의 체크결과, 메뉴상의 다수의 방송채널중 지정된 방송채널에 대한 채널 선택키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블록(110)으로 부터의 튜닝 제어신호에 따라 현재 채널이 선택되어 튜닝된 방송채널로 전환되어(단계 312), 그 선택된 채널에 대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모드가 수행된다(단계 313).
일예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 시청중인 방송채널이 위성방송의 채널 CH31 일 때 사용자가 메뉴 화면상에서 일반방송(지상파 방송 또는 케이블 방송)의 채널 CH12를 선택하게 되면, 방송모드 절환(위성방송 모드에서 지상파 또는 케이블 방송 모드로 절환)과 동시에 채널전환(채널 CH31 에서 채널 CH12 로 전환)이 수행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방송을 동시에 수용 가능한 복합 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현재 시청중인 방송모드에 관계없이 방송채널 메뉴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시청중인 채널을 어떤 방송모드에 있는 채널로 든지 쉽고 간단하게 전환할 수 있으므로, 여러 방송을 동시에 수용하는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시에 사용자의 이용 편리성을 매우 증진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의 가장 큰 기술요지는 위성방송과 일반방송(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의 동시 수용이 가능한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 방송채널을 전환할 때 각 방송의 채널순서에 따라 방송모드를 자동 전환해 가면서 모든 방송의 채널을 순차 전환시킨다는 것이로, 이러한 기술적인 요지는 후술하는 실시예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라 채널 방향키를 이용하여 위성 채널과 일반방송 채널 정보를 순차적으로 스캐닝하는 개념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동도면에 일예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일반방송 채널 정보가 CH11, CH12, CH13 의 3개이고 위성방송 채널 정보가 CH31, CH32, CH33 의 3개라고 가정할 때, 방송모드(위성방송 모드 및 일반방송 모드)에 관계없이 채널 업/다운 방향키 신호에 따라 ↔ CH11 ↔ CH12 ↔ CH13 ↔ CH31 ↔ CH32 ↔ CH33 ↔ CH11 의 순서로 자동전환되도록 설정된다. 예를들어, 현재 시청중인 방송채널이 일반방송 모드 채널인 CH11 일 때 사용자가 업 방향키를 누르게 되면 위성방송 모드 채널인 CH33 이 자동으로 선택(즉, 방송모드의 자동 절환과 동시에 선택된 채널 선국)되고, 반대로 현재 시청중인 방송채널이 위성방송 모드 채널인 CH33 일 때 사용자가 다운 방향키를 누르게 되면 일반방송 모드 채널인 CH11 이 자동으로 선택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일반방송(지상파 방송 또는 케이블 방송) 채널 및 위성방송 채널을 동시에 수용 가능한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는 파워가 온될 때 자동으로 각 방송모드의 유효 방송채널을 탐색하며, 이와같이 각 방송모드에서 탐색된 각 방송채널 정보를 메모리 블록(112)에 각각 저장한다. 즉, 제어 블록(110)에서는 방송채널 탐색을 통해 얻어지는 일반방송 채널 정보를 A 영역에 저장하고, 위성방송 채널 정보를 B 영역에 저장한다(단계 501). 이때, 각 방송채널 탐색은 상기와 같이 자동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키조작을 통해 임의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같은 과정을 통해 모든 방송에 대한 유효 방송채널들이 메모리 블록(112)의 각 영역에 저장된 상태에서 수신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특정 방송채널이 선택될 때 선택된 해당 채널을 선국하여 모니터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단계 503).
이와같은 방송채널의 시청모드시에 제어 블록(110)에서는 도시 생략된 키입력부(자체 키패드 또는 리모콘)로부터 채널 전환키 신호(즉, 채널 업/다운 방향키 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계속해서 체크하는 데(단계 505), 여기에서의 체크결과 채널 업/다운 방향키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전환되는 방송채널이 현재 채널과 동일한 방송모드의 채널인지를 체크한다(단계 507). 일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반방송이 CH11, CH12, CH13 의 3개 채널이고 위성방송이 CH31, CH32, CH33 의 3개 채널이라고 가정할 때, 현재 시청모드가 일반방송의 채널 CH11 이고 업 방향키 신호가 입력되면, 이어지는 다음 채널 CH33 이 채널 CH11 과 동일한 방송모드인지를 체크한다.
상기 단계(507)에서의 체크결과, 채널 업/다운 방향키 신호에 의해 전환 선택된 다음 채널이 현재 채널과 동일한 방송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단계(511)로 진행되어 바로 채널전환이 수행된다. 즉, 채널 다운 방향키 신호가 입력될 때의 현재 채널이 일반방송의 채널 CH11 이라고 가정할 때 다음 채널이 일반방송의 채널 CH12 가 되므로, 이 경우에는 방송모드의 절환(일반방송 모드에서 위성방송 모드로의 절환)없이 바로 다음 채널(CH12)로의 전환이 수행될 것이다.
다른한편, 상기 단계(507)에서의 체크결과, 채널 방향키 신호의 입력에 따라 전환하고자 하는 다음 채널의 방송모드가 현재 채널의 방송모드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단계로 진행되어 현재 방송모드를 전환하고자 하는 다음 채널의 방송모드로 절환한다(단계 509). 예를들어, 채널 업 방향키 신호가 입력될 때의 현재 채널이 일반방송의 채널 CH11 이라고 가정할 때 다음 채널이 위성방송의 채널 CH33 이 되므로 현재의 일반방송 모드를 위성방송 모드로 절환하게 될 것이다.
즉, 현재 채널의 방송모드와 채널 방향키 신호에 따라 전환하고자 하는 다음 채널의 방송모드가 다른 경우 상기 단계(509)를 통해 방송모드 절환을 수행한 다음 처리는 전술한 단계(511)로 진행되어 다음 채널로의 전환이 수행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방송을 동시에 수용 가능한 복합 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방송모드 절환을 위한 별도의 조작과정 없이도 채널 전환키(업/다운 방향키)를 이용하여 어떤 방송모드로의 절환도 쉽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여러 방송을 동시에 수용하는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시에 사용자의 이용 편리성을 매우 증진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방송과 위성방송을 동시에 수용 가능한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시에, 일반방송 채널 정보와 위성방송 채널 정보를 통합하여 구성한 OSD 형태의 채널 메뉴 정보를 이용하거나 또는 각 방송모드별 채널 정보가 순차 탐색되도록 구성하여 타방송모드로의 채널 전환을 쉽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방송을 동시에 수용하는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시에 사용자의 이용 편리성을 매우 증진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복합 튜너를 통해 선국된 일반방송 채널을 처리하는 방송신호 처리경로와 상기 복합 튜너를 통해 선국된 위성방송 채널을 처리하는 방송신호 처리경로를 구비한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 수신 시스템은, 상기 일반방송의 유효한 각 방송채널 정보를 그 채널번호에 따라 순차 저장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위성방송의 유효한 각 방송채널 정보를 그 채널번호에 따라 순차 저장하는 제 2 영역으로 된 메모리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 전환 방법은:
    상기 수신 시스템이 파워 온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방송채널의 시청모드를 수행하고 있을 때 키입력부로부터 채널 메뉴키 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 1 단계;
    상기 채널 메뉴키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메모리 블록의 제 1 및 제 2 영역에 저장된 상기 일반방송 각 방송채널 및 상기 위성방송의 각 방송채널을 인출하여 각 방송의 채널번호 순서에 기초하는 메뉴 화면 데이터를 구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구성된 메뉴 화면 데이터를 상기 시청중인 특정 방송채널의 비디오 신호에 OSD 데이터 형태로 혼합한 다음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3 단계;
    상기 메뉴 화면상의 다수의 방송채널중 하나의 방송채널이 지정될 때 이 지정된 방송채널에 대한 채널 선택키 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채널 선택키 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채널을 상기 지정된 방송채널로 전환하는 제 5 단계로 이루어진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은, 세로축을 방송채널축으로 하고, 가로축을 시간축으로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특정 방송채널이 지정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상기 채널 선택키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모니터상에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중인 상기 채널 메뉴 화면을 차단하고 상기 현재 채널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채널 선택키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지정된 방송채널의 방송모드가 상기 현재 채널의 방송모드와 다를 때 현재 방송모드를 상기 지정된 방송채널의 방송모드로 절환시킨 다음 상기 현재 채널을 상기 지정된 방송채널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방송 신호는, 지상파 방송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방송 신호는, 케이블 방송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7. 복합 튜너를 통해 선국된 일반방송 채널을 처리하는 방송신호 처리경로와 상기 복합 튜너를 통해 선국된 위성방송 채널을 처리하는 방송신호 처리경로를 구비한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 수신 시스템은, 상기 일반방송의 각 방송채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영역과 상기 위성방송의 각 방송채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영역으로 된 메모리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 전환 방법은:
    상기 수신 시스템이 초기화된 상태에서 파워온 상태가 되면, 상기 일반방송의 유효한 각 방송채널을 탐색하고 탐색된 각 방송채널 정보를 그 채널번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 블록의 제 1 영역에 순차 저장하고, 상기 위성방송의 유효한 각 방송채널을 탐색하고 탐색된 각 방송채널 정보를 그 채널번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 블록의 제 2 영역에 순차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수신 시스템이 파워 온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방송채널의 시청모드를 수행하고 있을 때 키입력부로부터 방송채널 전환을 위한 채널 업/다운 키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 2 단계;
    상기 채널 업/다운 키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메모리 블록의 제 1 및 제 2 영역에 저장된 상기 일반방송 각 방송채널의 순서 및 상기 위성방송의 각 방송채널의 순서에 의거하여, 현재 채널의 방송모드와 전환하고자 하는 다음 채널의 방송모드가 동일한 방송모드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다음 채널의 방송모드가 상기 현재 채널의 방송모드와 동일한 방송모드이면, 상기 현재 채널을 상기 다음 채널로 전환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다음 채널의 방송모드가 상기 현재 채널의 방송모드와 다른 방송모드이면, 상기 현재 방송모드를 상기 다음 채널의 방송모드로 절환한 다음 상기 현재 채널을 상기 다음 채널로 전환하는 제 5 단계로 이루어진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방송의 유효한 각 방송채널 정보 및 상기 위성방송의 유효한 각 방송채널 정보는, 상기 수신 시스템이 파워온 될 때 자동으로 탐색되어 상기 메모리 블록의 해당 영역에 각각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방송 신호는, 지상파 방송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방송 신호는, 케이블 방송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KR1019970022204A 1997-05-30 1997-05-30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KR100242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2204A KR100242881B1 (ko) 1997-05-30 1997-05-30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GB9811170A GB2325805B (en) 1997-05-30 1998-05-22 Method for selecting a channel in a composite broadcast signal receiver
JP10146781A JPH10341176A (ja) 1997-05-30 1998-05-28 チャネル選択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2204A KR100242881B1 (ko) 1997-05-30 1997-05-30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976A KR19980085976A (ko) 1998-12-05
KR100242881B1 true KR100242881B1 (ko) 2000-02-01

Family

ID=19508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2204A KR100242881B1 (ko) 1997-05-30 1997-05-30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0341176A (ko)
KR (1) KR100242881B1 (ko)
GB (1) GB23258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6775A1 (en) * 1999-07-16 2001-01-25 Thomson Licensing S.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programming a television receiver
ES2226880T3 (es) * 1999-07-16 2005-04-01 Thomson Licensing S.A. Introduccion de canal para la seleccion de canal.
EP1318674B1 (en) * 1999-07-16 2006-05-17 Thomson Licensing Channel entry for selection of a channel
KR20010011600A (ko) * 1999-07-29 2001-02-15 윤종용 방송 신호 수신방법
US6901453B1 (en) 2000-02-16 2005-05-31 Microsoft Corporation Modularization of broadcast receiver driver components
US20020140871A1 (en) * 2001-03-28 2002-10-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eamless control of input TV signals
EP1706995A2 (en) * 2003-12-22 2006-10-04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electable channel search
KR100686093B1 (ko) * 2005-02-03 200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 및 그의 채널 운용 방법
KR100715534B1 (ko) * 2005-02-17 2007-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수신 시스템의 채널 변경 방법
KR100683791B1 (ko) * 2005-07-30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176B1 (ko) * 1990-04-21 1992-06-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중방송방식 영상수신장치의 채널선택방법
JP3057512B2 (ja) * 1990-08-28 2000-06-26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
DE4241599C2 (de) * 1992-12-10 1995-03-23 Grundig Emv Fernsehempfänger zur Wiedergabe von terrestrisch und über Satellit übertragenen Fernsehsignalen
JPH07203327A (ja) * 1993-12-31 1995-08-04 Sony Corp テレビジヨン信号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811170D0 (en) 1998-07-22
JPH10341176A (ja) 1998-12-22
KR19980085976A (ko) 1998-12-05
GB2325805A (en) 1998-12-02
GB2325805B (en) 2001-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2881B1 (ko)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KR100247446B1 (ko)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의 방송 채널 자동 검색 및 절환 방법
KR100242882B1 (ko)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개선된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
KR19990056472A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제어 방법
KR19990042299A (ko) 복합 방송 수신기의 케이블 방송 채널 자동 검색 방법
KR19990052314A (ko) 복합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안내 화면 표시 방법
KR19990032224A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KR100242883B1 (ko) 방송용 복합 수신 시스템에서의 개선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KR19990052304A (ko) 위성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안내 화면 표시 방법
KR19990042302A (ko) 케이블 티브이의 채널 안내 화면 표시 방법
KR19990033457A (ko) 복합 방송 수신기의 채널 자동 검색 방법
KR20000003159A (ko) 복합 위성방송 수신시스템에 있어서 채널 자동 검색방법
KR19990056473A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KR19990052312A (ko) 복합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안내 화면 표시 방법
KR19990042304A (ko) 복합 방송 수신기의 예약 설정 방법
KR19990042784A (ko) 복합 방송 수신기의 채널 검색 제어 방법
KR19990052313A (ko) 복합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안내 화면 표시 방법
KR19990052289A (ko) 복합 방송 수신기의 신호 측정 장치 및 방법
KR19990052316A (ko) 복합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안내 화면 표시 방법
KR19990052305A (ko) 위성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안내 화면 표시 방법
KR19990042303A (ko) 복합 방송 수신기의 예약 안내 화면 표시 방법
KR19990066523A (ko) 복합 방송 수신기의 채널 삭제 방법
KR19990032223A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KR19990042787A (ko) 복합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안내 화면 표시 방법
KR19990052319A (ko) 복합 방송 수신기의 정보 갱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