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2341B1 - 캠코더의 조리개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캠코더의 조리개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2341B1
KR100242341B1 KR1019970023287A KR19970023287A KR100242341B1 KR 100242341 B1 KR100242341 B1 KR 100242341B1 KR 1019970023287 A KR1019970023287 A KR 1019970023287A KR 19970023287 A KR19970023287 A KR 19970023287A KR 100242341 B1 KR100242341 B1 KR 100242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erture
signal
microcomputer
driving voltage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3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0414A (ko
Inventor
김성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23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2341B1/ko
Publication of KR19990000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Abstract

개시된 조리개 조절장치는 촬영되는 피사체의 밝기변화에 따라 조리개를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동작속도를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개 조절장치는 촬상소자에서 변환된 촬상영상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로 분리하여 복합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와, 현재 동작되는 조리개의 열린 정도를 검출하는 홀센서와, 현재 촬영되는 피사체의 휘도신호를 이용하여 조리개가 완전히 열릴 때와 완전히 닫힐 때의 최대 및 최소 구동전압을 판단하고 그 최대 및 최소 구동전압 범위 내에서 현재 촬영되는 피사체의 밝기변화에 따라 조리개를 여닫기 위한 전압변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와,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판단된 조리개가 완전히 열릴때와 완전히 닫힐때의 구동전압을 기록하는 EEPROM과,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변환된 조리개 구동전압에 따라 조리개를 여닫는 조리개 구동모터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재 촬영되는 피사체의 휘도신호를 이용하여 조리개가 완전히 열릴 때와 완전히 닫힐 때의 구동전압을 판단하고, 그 범위내에서 조리개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동작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캠코더의 조리개 조절장치
본 발명은 캠코더의 조리개 제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되는 피사체의 밝기변화에 따라 조리개를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동작속도를 향상시키는 캠코더의 조리개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코더(Camcorder)는 카메라를 일체화한 브이 씨 알(Video Cassette-Tape Recorder)로서, 피사체의 영상을 비디오신호의 형태로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비디오신호를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와 같은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이와 같은 캠코더에는 빛의 밝기에 따라 빛이 많을 때에는 작게 열리도록 하며, 빛이 적을 때에는 많이 열리도록 자동으로 조절하는 조리개가 있다.
도 1은 이와 같은 종래의 조리개 조절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소자(Charge Coupled Device : CCD)(3)는 렌즈(1) 및 조리개(2)를 통한 피사체의 광신호를 촬상영상신호로 변환한다.
씨디에스(Correlated Double Sampling ; 이하, CDS라 약칭함)(4)는 촬상소자(3)의 출력신호를 정형화하여 신호처리에 적당한 휘도신호와 색신호성분만으로 구성된 신호를 만들어준다.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5)는 CDS(4)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디지털 신호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ing : DSP)(6)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로 분리하여 복합영상신호를 출력한다.
홀센서(7)는 현재 동작되고 있는 조리개(2)의 열고 닫히는 정도를 검출하여 마이크로 컴퓨터(8)에 제공한다.
마이크로 컴퓨터(8)는 디지털 신호처리부(6)와 홀센서(7)에서 각각 출력되는 휘도신호와 조리개(2)의 조절량을 비교하여 현재 촬영되는 피사체의 밝기변화에 적당한 조리개(2)의 제어를 위해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브이알(Electric Volume Register ; 이하, EVR로 약칭함)(9)은 마이크로 컴퓨터(8)의 제어신호에 따라 조리개(2)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전압을 변화시켜 출력한다.
조리개 구동모터(10)는 EVR(9)에서 출력되는 변화된 전압에 따라 조리개(2)의 열고 닫힘을 조절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캠코더의 조리개 조절장치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렌즈(1)와 조리개(2)를 통해 입력되는 피사체의 광신호가 촬상소자(3)에서 촬상영상신호로 변환된다.
이 촬상소자(3)의 출력신호는 CDS(4)를 통해 휘도신호와 색신호성분만으로 구성된 신호로 변환되고,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5)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 디지털 신호처리부(6)에 인가된다.
디지털 신호처리부(6)에서는 입력된 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로 분리하여 복합영상신호를 출력한다.
디지털 신호처리부(6)에서 출력되는 휘도신호는 마이크로 컴퓨터(8)에 입력되고, 또한 홀센서(7)에서 검출된 조리개(2)의 조절량이 마이크로 컴퓨터(8)에 입력된다.
이와 같이 휘도신호와 조리개(2)의 조절량을 마이크로 컴퓨터(8)에서 비교하여 현재 촬영되는 피사체의 밝기변화에 적당한 조리개(2)의 제어가 되는지를 판단한다.
즉 마이크로 컴퓨터(8)에서 비교·판단한 결과 현재 피사체의 밝기가 밝으면 전압을 감소시키고, 어두우면 전압을 증가시키는 제어신호를 EVR(9)로 출력하여 조리개(2)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전압을 변화시켜 조리개 구동모터(10)에 공급하도록 한다.
따라서 EVR(9)에서 출력되는 변화된 전압에 따라 조리개 구동모터(10)가 동작되어 조리개(2)가 조절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캠코더의 조리개 조절장치는 조리개를 열고 닫기 위한 전압변화의 범위가 미리 정해져 있기 때문에 조리개가 현재 촬영되는 피사체의 밝기를 벗어나 동작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전압변화가 조리개의 동작범위를 벗어나 동작된 후 다시 조리개를 조절할 경우 응답속도가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촬영되는 피사체의 밝기변화에 따라 조리개를 동작시키는 조리개 구동모터의 구동전압의 범위를 정확히 제어함으로써 조리개의 동작속도를 향상시키는 캠코더의 조리개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리개 조절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조리개 조절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개의 최대 구동전압의 판단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개의 최소 구동전압의 판단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렌즈 110 : 조리개
120 : 촬상소자 130 : CDS
140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150 : 디지털 신호처리부
160 : 홀센서 170 : 마이크로 컴퓨터
180 : EEPROM 190 : EVR
200 : 조리개 구동모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의 조리개 조절장치는 촬상소자에서 변환된 촬상영상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로 분리하여 복합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와, 현재 동작되는 조리개의 열린 정도를 검출하는 홀센서와, 현재 촬영되는 피사체의 휘도신호를 이용하여 조리개가 완전히 열릴 때와 완전히 닫힐 때의 최대 및 최소 구동전압을 판단하고 최대 및 최소 구동전압 범위 내에서 현재 촬영되는 피사체의 밝기변화에 따라 조리개를 여닫기 위한 전압변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와,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판단된 조리개가 완전히 열릴 때와 완전히 닫힐 때의 구동전압을 기록하는 EEPROM과,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변환된 조리개 구동전압에 따라 조리개를 여닫는 조리개 구동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캠코더의 조리개 조절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리개 조절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소자(120)는 렌즈(100) 및 조리개(110)를 통한 피사체의 광신호를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CDS(130)는 촬상소자(120)의 출력신호를 정형화하여 신호처리에 적당한 휘도신호와 색신호성분만으로 구성된 신호를 만들어준다.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140)는 CDS(13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디지털 신호처리부(150)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14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로 분리하여 복합영상신호를 출력한다.
홀센서(160)는 현재 동작되고 있는 조리개(110)의 열고 닫히는 정도를 검출하여 마이크로 컴퓨터(170)에 제공한다.
마이크로 컴퓨터(170)는 디지털 신호처리부(150)와 홀센서(160)에서 출력되는 휘도신호와 조리개(110)의 조절량을 비교하여 현재 촬영되는 피사체의 밝기변화에 따라 조리개(110)가 여닫히도록 전압을 변화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170)는 조리개(120)를 동작시키는 조리개 구동모터(200)를 정확히 제어하기 위해 현재 촬영되는 피사체의 휘도신호를 이용하여 조리개(120)가 완전히 열릴 때와 완전히 닫힐 때의 구동전압을 판단하여 EEPROM(180)에 기록하기 위해 신호를 출력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180)은 마이크로 컴퓨터(180)에서 판단된 조리개(120)가 완전히 열릴 때와 완전히 닫힐 때의 구동전압을 마이크로 컴퓨터(170)의 제어에 따라 기록한다.
EVR(190)은 마이크로 컴퓨터(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조리개(110)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전압을 변화시켜 출력한다.
조리개 구동모터(200)는 EVR(190)에서 출력되는 변화된 전압에 따라 조리개(110)의 열고 닫힘을 조절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개의 최대 구동전압의 판단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개(120)의 구동전압을 일정하게 증가시키는 단계(S30)와, 홀센서(160)의 검출값을 기록하는 단계(S31)와, 현재의 홀센서 검출값과 이전의 홀센서 검출값을 비교하는 단계(S32)와, 현재의 홀센서 검출값과 이전의 홀센서 검출값이 동일한 경우의 전압을 조리개(120)의 최대 구동전압으로 EEPROM(180)에 기록하는 단계(S33)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개의 최소 구동전압의 판단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밝은 피사체를 촬영하는 단계(S40)와, 조리개(120)의 구동전압을 일정하게 감소시키는 단계(S41)와, 디지털 신호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휘도신호를 기록하는 단계(S42)와, 현재의 휘도신호가 0이 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43)와, 현재의 휘도신호가 0인 경우의 전압을 조리개(120)의 최소 구동전압으로 EEPROM(180)에 기록하는 단계(S44)로 구성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의 조리개 조절장치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렌즈(100)와 조리개(110)를 통해 입력되는 피사체의 광신호가 촬상소자(120)에서 촬상영상신호로 변환된다.
이 촬상소자(120)의 출력신호는 CDS(130)를 통해 휘도신호와 색신호성분만으로 구성된 신호로 변환되고,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140)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 디지털 신호처리부(150)에 인가된다.
디지털 신호처리부(150)에서는 입력된 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로 분리하여 복합영상신호를 출력한다.
디지털 신호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휘도신호는 마이크로 컴퓨터(170)에 입력되고, 또한 홀센서(160)에서 검출된 조리개(120)의 조절량이 마이크로 컴퓨터(170)에 입력된다.
마이크로 컴퓨터(170)에서는 조리개(120)를 동작시키는 조리개 구동모터(200)의 최대 구동전압을 설정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처리부(150)로부터 입력되는 현재 촬영되는 피사체의 휘도신호를 이용하여 조리개(120)가 완전히 닫힐 때의 구동전압을 판단하여 EEPROM(180)에 기록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170)에서는 조리개(120)를 동작시키는 조리개 구동모터(200)의 최소 구동전압을 설정하기 위해 홀센서(160)로부터 입력되는 현재 조리개(120)의 조절량을 이용하여 조리개(120)가 완전히 열릴 때의 구동전압을 판단하여 EEPROM(180)에 기록한다.
이와 같이 휘도신호와 조리개의 조절량을 마이크로 컴퓨터(170)에서 비교하여 현재 촬영되는 피사체의 밝기변화에 따라 EEPROM(180)에 기록된 최대 및 최소 구동전압의 범위 내에서 조리개(1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EVR(190)로 출력한다.
따라서 EVR(190)에서는 조리개(120)의 구동전압을 변화시켜 조리개 구동모터(200)에 공급함으로써 EVR(190)에서 출력되는 변화된 전압에 따라 조리개 구동모터(200)가 동작되어 조리개(120)가 조절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캠코더의 조리개 조절장치에 의하면, 현재 촬영되는 피사체의 휘도신호를 이용하여 조리개가 완전히 열릴 때와 완전히 닫힐 때의 구동전압을 판단하여 그 범위 내에서 조리개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동작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촬상소자에서 변환된 촬상영상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로 분리하여 복합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
    현재 동작되는 조리개의 열린 정도를 검출하는 홀센서;
    현재 촬영되는 피사체의 휘도신호를 이용하여 조리개가 완전히 열릴 때와 완전히 닫힐 때의 최대 및 최소 구동전압을 판단하고, 상기 최대 및 최소 구동전압 범위 내에서 현재 촬영되는 피사체의 밝기변화에 따라 조리개를 여닫기 위한 전압변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판단된 조리개가 완전히 열릴 때와 완전히 닫힐 때의 구동전압을 기록하는 EEPROM; 및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변환된 조리개 구동전압에 따라 조리개를 여닫는 조리개 구동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조리개 조절장치.
KR1019970023287A 1997-06-05 1997-06-05 캠코더의 조리개 조절장치 KR100242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3287A KR100242341B1 (ko) 1997-06-05 1997-06-05 캠코더의 조리개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3287A KR100242341B1 (ko) 1997-06-05 1997-06-05 캠코더의 조리개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414A KR19990000414A (ko) 1999-01-15
KR100242341B1 true KR100242341B1 (ko) 2000-02-01

Family

ID=19508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3287A KR100242341B1 (ko) 1997-06-05 1997-06-05 캠코더의 조리개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23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581B1 (ko) * 2002-04-08 2004-11-0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카메라용 조명광량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727641B1 (ko) * 2004-12-06 2007-06-13 주식회사 하이소닉 프로젝션 시스템의 콘트라스트 증가를 위한 조리개 구동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7065A (ja) * 1990-07-16 1992-03-11 Konica Corp ビデオカメ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7065A (ja) * 1990-07-16 1992-03-11 Konica Corp ビデオ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414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5685A (en) Video camera exposure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iris diaphragm and automatic gain control operating speed
US6570620B1 (en) Exposure control device
JP3791102B2 (ja) 露光制御装置、露光制御方法およびカメラ
KR100242341B1 (ko) 캠코더의 조리개 조절장치
US6151072A (en) Method of controlling automatic focusing in a video camera for different ambient light conditions
KR100570565B1 (ko) 줌 일체형 감시용 카메라의 자동노출제어방법
KR100253943B1 (ko) 조리개자동제어방법
US20060007349A1 (en) Still image photographing method for reproducing color sense suitable for outdoor and indoor environment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JP2666343B2 (ja) 撮像装置
JP2771470B2 (ja) ムービーカメラのシャッタ速度の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8076833A (ja) アイリス制御回路、映像入力装置、アイリス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S61238191A (ja) 撮像装置
JP2608163B2 (ja) 撮像装置
JP2000115628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KR19990000122A (ko) 액정디스플레이 화면의 밝기 자동조절방법
JPH11127380A (ja) 撮像装置
KR0139363B1 (ko) 카메라의 역광 보정회로
KR19990002933A (ko) 스폿 라이트모드(Spot Lkght Mode)시의 노광 자동제어방법
KR100261595B1 (ko) 카메라의비디오구동방식렌즈를가진영상처리장치및그방법
JPH0833567B2 (ja) 自動絞り調整回路
JPS5991778A (ja) 撮像装置
JPH0937143A (ja) 撮像装置
KR19990055953A (ko) 캠코더의 셔터 변속 장치
KR19980050597A (ko) 비디오 카메라의 역광 보정장치
JPH02195334A (ja) 自動露出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