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276B1 -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276B1
KR100241276B1 KR1019970041440A KR19970041440A KR100241276B1 KR 100241276 B1 KR100241276 B1 KR 100241276B1 KR 1019970041440 A KR1019970041440 A KR 1019970041440A KR 19970041440 A KR19970041440 A KR 19970041440A KR 100241276 B1 KR100241276 B1 KR 100241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weight
parts
resin composition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1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8290A (ko
Inventor
최치훈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41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276B1/ko
Publication of KR19990018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2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PP)을 매트릭스로 사용하고 충격보강재로서 폴리올레핀계 고무를 사용하는 차량의 범퍼커버용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계 고무, 충전제에 더하여 과산화물(peroxide) 및 공가교제(co-agent)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강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하여 자동차의 범퍼커버용 재료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고무, 충전제 등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트릭스로 사용되는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high crystallinity polypropylene; HCPP), 충격보강재인 폴리프로필렌계 고무, 무기충전제인 탈크 이외에 과산화물 및 공가교제를 더 포함하는, 강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자동차의 범퍼커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 범퍼커버용 재료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수지는 에틸렌-프로필렌(EPR)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DPEM)로 개질시킨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이다. 이들 수지는 비중이 낮고 가격에 비하여 기계적 강도 및 내충격성이 동시에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리싸이클성 또한 다른 원료수지에 비하여 우수하므로 향후에도 그 사용량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최근 자동차 분야에서 폴리프로필렌에 고무 및 탈크(talc)를 블렌딩하여 굴곡탄성율 및 내열성은 높고 반대로 수축률 및 선팽창계수는 낮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범퍼커버용 재료로 채택하는 것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들 수지는 기존의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hermoplastic polyolefin, TPO)에 비하여 고강성이기 때문에 성형물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경량화 및 원가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자동차 범퍼커버용 재료보다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를 계속한 결과, 일반 폴리프로필렌 대신에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강성 및 경도 등을 향상시키고, 충격 보강재인 폴리프로필렌계 고무를 사용하여 내충격성을 보완하고, 과산화물과 공가교제를 미량 첨가하여 구조적으로 안정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강성, 충격강도 및 탄성률이 우수한 자동차 범퍼커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을 매트릭스로 하고 폴리프로필렌계 고무, 충전제, 과산화물 및 공가교제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은 매트릭스로 사용되는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충격보강재인 폴리올레핀계 고무, 구조적으로 안정한 수지 조성물이 될 수 있도록 첨가하는 과산화물 및 공가교제, 그리고 충전제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구성하는 수지의 주성분은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으로서 전체 수지 조성중 50~90 중량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때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이 매트릭스로 사용되는데,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일반 폴리프로필렌에 비하여 입체규칙성이 우수하여 결정화도가 높기 때문에 강성, 경도, 내열성 및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다. 따라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면 일반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보다 고강성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용융지수(MI)가 다른 2종 이상의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과 일반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만을 포함하는 수지일 수도 있고 에틸렌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에틸렌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일 경우,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내의 에틸렌 함량은 2~2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중 충격보강재인 고무로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와 같은 폴리프로필렌계 고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전체 수지 조성물의 10~40 중량부로 포함된다. 이때 EPR 또는 EPDM 내의 에틸렌 함량은 45~8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중 과산화물로는 1,3-bis(이소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1,3-bis(isobutylperoxy-isopropyl)benzene; IPIB ] 또는 디큐밀 퍼옥사이드(dicumyl oxid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전체 수지 조성물 중 0.001~0.5 중량부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중 공가교제로는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triacrylate), 트리메틸로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propanetriacrylate), 트리알릴이소시아뉴레이트(triallylisocyanurate) 또는 p-벤조퀴논(p-benzoquinon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전체 수지 조성물 중 0.01~3 중량부로 포함된다.
상기 과산화물과 공가교제는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올레핀계 고무 단독성분 및 상호간의 화학적인 반응을 유도하여 구조적으로 안정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여 고탄성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첨가제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무기충전제로서 탈크가 5~20 중량부 포함된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고무 및 충전제를 적절한 함량비가 되도록 배합한 후, 적당량의 과산화물 및 공가교제를 첨가하고 슈퍼 믹서(Super Mixer)로 충분히 혼합한 다음, 이 혼합물을 이축압출기(co-rotating twin screw extruder)를 사용하여 용융 압출 가공하여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수지 조성물은 고강성 재료이므로 성형시 두께를 줄임으로서 성형물을 경량화할 수 있어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흡습성이 낮고 가공시 열안정성이 높은 올레핀계 수지들로만 구성되어 리싸이클링시에 물성이 거의 감소되지 않으므로 리싸이클링이 용이한 재료이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뿐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 : EPR : 탈크의 함량비가 70 : 17 : 13이 되도록 배합하고, 여기에 과산화물로서 1,3-bis(이소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IPIB)을 0.01 중량부, 공가교제로 트리메틸로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를 0.1 중량부가 되도록 계량하여 첨가시킨 후 슈퍼 믹서(Super Mixer)로 충분히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동방향 L/D가 40인 이축압출기(co-rotating twin screw extruder)를 사용하여 210~230℃, 250rpm에서 용융압출한 후, 수조(water bath)에 통과시켜 냉각시켜 펠레타이징(pelletizing)한 다음 사출성형하여 기본 물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폴리프로필렌 : EPR : 탈크의 함량비가 70 : 17 : 13이 되도록 배합하고, 여기에 과산화물로서 1,3-bis(이소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IPIB)을 0.01 중량부, 공가교제로 트리메틸로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를 0.2 중량부가 되도록 계량하여 첨가시킨 후 슈퍼 믹서로 충분히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동방향 L/D가 40인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210~230℃, 250rpm에서 용융압출한 후, 수조에 통과시켜 냉각시켜 펠레타이징한 다음 사출성형하여 기본 물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폴리프로필렌 : EPR : 탈크의 함량비가 70 : 17 : 13이 되도록 배합하고, 여기에 과산화물로서 1,3-bis(이소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IPIB)을 0.01 중량부, 공가교제로 트리메틸로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를 0.3 중량부가 되도록 계량하여 첨가시킨 후 슈퍼 믹서로 충분히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동방향 L/D가 40인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210~230℃, 250rpm에서 용융압출한 후, 수조에 통과시켜 냉각시켜 펠레타이징한 다음 사출성형하여 기본 물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폴리프로필렌 : EPR : 탈크의 함량비가 70 : 17 : 13이 되도록 배합하고, 여기에 과산화물로서 1,3-bis(이소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IPIB)을 0.01 중량부, 공가교제로 트리메틸로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를 0.5 중량부가 되도록 계량하여 첨가시킨 후 슈퍼 믹서로 충분히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동방향 L/D가 40인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210~230℃, 250rpm에서 용융압출한 후, 수조에 통과시켜 냉각시켜 펠레타이징한 다음 사출성형하여 기본 물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폴리프로필렌 100 : EPR : 탈크의 함량비가 70 : 17 : 13이 되도록 배합하고, 여기에 과산화물로서 1,3-bis(이소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IPIB)을 0.01 중량부, 공가교제로 트리메틸로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를 0.1 중량부가 되도록 계량하여 첨가시킨 후 슈퍼 믹서로 충분히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동방향 L/D가 40인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210~230℃, 250rpm에서 용융압출한 후, 수조에 통과시켜 냉각시켜 펠레타이징한 다음 사출성형하여 기본 물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 EPR : 탈크의 함량비가 70 : 17 : 13이 되도록 배합하고, 여기에 과산화물로서 1,3-bis(이소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IPIB)을 0.01 중량부, 공가교제로 트리메틸로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를 0.1 중량부가 되도록 계량하여 첨가시킨 후 슈퍼 믹서로 충분히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동방향 L/D가 40인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210~230℃, 250rpm에서 용융압출한 후, 수조에 통과시켜 냉각시켜 펠레타이징한 다음 사출성형하여 기본 물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1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비교예의 수지 조성물에 비하여 강도뿐 아니라 산율, 굴곡탄성율이 모두 우수한 수지 조성물임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을 매트릭스로 사용하고 충격보강재로서 폴리프로필렌계 고무, 충전제, 과산화물 및 공가교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강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하고, 구조적으로 안정하여 고탄성율을 유지할 수있으며, 고강성 재료이므로 성형시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성형물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며, 올레핀계 수지로만 구성되어 리싸이클링이 용이한 재료이므로 자동차의 범퍼커버용 재료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5)

  1.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high crystallinity polypropylene) 단독, 용융지수가 다른 2종 이상의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혼합물 또는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과 일반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50~90 중량부, 폴리프로필렌계 고무 10~40 중량부, 충전제 5~20 중량부, 1,3-비스(이소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1,3-bis(isobutyl peroxy-is opropyl)benzene] 또는 디큐밀 퍼옥사이드(dicumyl ox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물(peroxide) 0.001~0.5 중량부 및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triacrylate), 트리메틸로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propane-triacrylate), 트리알릴이소시아뉴레이트(triallylisocya nurate) 또는 p-벤조퀴논(p-benzoquino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가교제(co-agent) 0.01~3 중량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범퍼커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 단독 또는 폴리프로필렌 내에 에틸렌을 2~20 중량부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커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계 고무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커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충전제는 탈크(tal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커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5. 제1항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계 고무 및 충전제를 배합한 후, 과산화물 및 공가교제를 첨가하고 슈퍼 믹서(Super Mixer)로 충분히 혼합한 다음, 이 혼합물을 이축압출기(co-rotating twin screw extruder)를 사용하여 용융 압출 가공하여 차량용 범퍼커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9970041440A 1997-08-27 1997-08-27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41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440A KR100241276B1 (ko) 1997-08-27 1997-08-27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440A KR100241276B1 (ko) 1997-08-27 1997-08-27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290A KR19990018290A (ko) 1999-03-15
KR100241276B1 true KR100241276B1 (ko) 2000-02-01

Family

ID=19518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1440A KR100241276B1 (ko) 1997-08-27 1997-08-27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2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215A (ko) * 2000-10-12 2002-04-18 조 정 래 용융장력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417A (ko) * 2002-09-04 2004-03-10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표면 모폴로지가 향상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KR100657360B1 (ko) * 2005-05-30 2006-12-20 삼성토탈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8449A (ja) * 1983-08-11 1985-02-28 Tounen Sekiyu Kagaku Kk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8449A (ja) * 1983-08-11 1985-02-28 Tounen Sekiyu Kagaku Kk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215A (ko) * 2000-10-12 2002-04-18 조 정 래 용융장력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290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96680B2 (en)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and method of molding parts with reduced shrinkage
EP1769029B1 (en) Novel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s
KR101209795B1 (ko) 압출-사출-발포 연속성형 공법을 이용한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CN111004430B (zh) 具有优异的触感和耐热性的高刚性复合树脂组合物、及由其制备的成型品
CN113912947B (zh) 一种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A2125682C (en) Dynamically vulcanized multi-component polymer blend
KR20100027322A (ko) 강성이 우수한  고충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241276B1 (ko)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18290B1 (ko) 유동성 및 내 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및 이로부터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성형품
KR101836627B1 (ko) 촉감과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고강성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KR101543124B1 (ko) 충격강도가 우수한 재활용 열가소성 소재
US5374485A (en) Composite polyacetal article
KR100204658B1 (ko) 자동차 외장재용 복합 탄성수지 조성물
KR100290079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자동차 범퍼 커버용 수지 조성물
JP3467895B2 (ja) 改質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1102479A (en) Thermoplastic rubber compositions
KR20020034858A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30057505A (ko) 인라인 컴파운딩 공법을 이용한 글래스 버블이 함유된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KR102631525B1 (ko) 섬유 질감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960008117B1 (ko) 폴리올레핀-식물섬유계 성형용 수지 조성물
JP2770199B2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及びその射出成形品
KR20220070968A (ko)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수지 조성물
KR100186880B1 (ko)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
CA2207807C (en)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and method of molding parts with reduced shrinkage
KR100754101B1 (ko)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