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799B1 - 경구투여용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고체미셀분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고형제제 - Google Patents

경구투여용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고체미셀분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고형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799B1
KR100239799B1 KR1019950001118A KR19950001118A KR100239799B1 KR 100239799 B1 KR100239799 B1 KR 100239799B1 KR 1019950001118 A KR1019950001118 A KR 1019950001118A KR 19950001118 A KR19950001118 A KR 19950001118A KR 100239799 B1 KR100239799 B1 KR 100239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cyclosporin
micelle dispersion
dispersion
cyclospo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1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917A (ko
Inventor
황성주
박선희
정은주
Original Assignee
손경식
제일제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경식, 제일제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경식
Priority to KR1019950001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9799B1/ko
Priority to AU44009/96A priority patent/AU4400996A/en
Priority to PCT/KR1996/000008 priority patent/WO1996022103A1/en
Publication of KR960028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7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2Cyclic peptides, e.g. bacitracins; Polymyxins; Gramicidins S, C; Tyrocidins A, B or C
    • A61K38/13Cyclospor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61K9/1075Microemulsions or submicron emulsions; Preconcentrates or solids thereof; Micelles, e.g. made of phospholipids or block co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시클로스포린 A를 함유하는 조성물
2. 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과제
난용성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개선의 개발
3. 그 기술적 과제의 해결방법의 요지
활성성분인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100mg당 1) 70 내지 200mg의 PVP K-30, PEG4000 또는 PEG6000 또는 이들의 혼합물, 2) 100 내지 200mg의 폴록사머 407 또는 폴록사머 188 및 3) 10 내지 50mg의 POE(60) 수소첨가된 피마자유와 글리세린으 LGHSGKQANF을 함유한 고체미셀분산체.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약제

Description

경구투여용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고체미셀분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고형제제
제1도는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실시예 9(CyA-A 처방) 조성물의 물리적 혼합물 및 용매증발법에 의한 고체미셀분산체의 시차주사열량 분석도이다.
제2도는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실시예 10(CyA-B 처방) 조성물의 물리적 혼합물 및 용매증발법에 의한 고체미셀분산체의 시차주사열량분석도이다.
제3도는 용매증발법과 용융/용매증발 복합법으로 제조된 고체미셀분산체의 시차주사열량분석도이다.
제4도는 대조제제인 산디문(●), 시험제제인 CyA-A 제제(○) 및 CyA-B 제제(▲)를 웅성 SD 흰쥐에 경구투여하였을때의 전혈중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농도-시간 곡선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 사이클로스포린 에이(Cyclosporin A)를 고함량으로 함유하면서 생체이용률을 개선시키는 고체미셀분산체, 및 고형제제 특히, 정제와 캅셀제의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이클로스포린류는 통상의 약리학적 활성, 특히, 면역억제, 염증방지 및 기생활억제에 구조적으로 독특한 시클릭폴리-N-메틸화엔데카펩티드를 포함한다. 최초로 분비된 사이클로스포린은 자발성 진균대사물인 시클로스포린(ciclosporin) 또는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인데 사이클로스포린 에이(cyclosporin A)로 알려져 있다.
사이클로스포린 에이는 면역억제제로서 심장, 폐, 결합한 심-폐, 간, 신장, 췌장, 골수, 피부, 각막이식 및 타성이식조직 등의 장기나 조직이식 환자에게 적용하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동시에, 자가면역질환 및 염증상태, 특히 관절염 및 류마티스성 질병 같은 자가면역 성분을 포함하는 병인의 염증상태에 점진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시험관내 실험이나 동물 및 임상시험 결과가 문헌에 많이 보고되어 있다.
사이클로스포린 에이(C62H111N11O12)는 상기와 같이 임상적으로 유용성이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분자량이 1,202,63으로 비교적 크고, 매우 소수성이어서 물에 대한 용해도(7.3㎍/㎖, 37℃)가 극도로 낮기 때문에[G. Ismailos et al., J. Pharm. Pharmcol., 43, 28-289, 1991] 경구 투여시 생체이용률이 30% 이하로 흡수율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다[K. Takada et al, Drug Delivery System 1, 1-7, 1986].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지금까지 많은 선행기술이 특허되어 있다. 예를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4,388,307호에서는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내용액제에 관한 것으로 계면활성제로 라브라필(Labrafil)과 용매로서 올리브오일과 에탄올의 3가지 성분 조성물을 사용하여 가용화시킨 기술이 특허되어 있으나, 이 방법에서는 고농도의 에탄올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보관시 내용물의 조성비가 변화하며 에탄올 함량의 감소로 인하여 사이클로스포린 에이의 결정이 석출될 우려가 있고, 불쾌한 맛이 있을뿐만 아니라 이 방법으로는 고형제제화가 불가능하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90-4348호에서는 친수성상, 소수성상 및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사이클로스포린 함유 마이크로에멀젼 예비농축액에 관한 것으로 친수성상으로는 저분자량의 모노- 또는 폴리-옥시-알칸디올(C1-5), 테트라히드로퍼퓨릴 디- 또는 부분-에테르, 1,2-프로필렌글리콜, 트랜스쿠톨(transcutol), 글리코푸롤(glycofurol) 등을 사용하고 소수성상으로는 중급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지방산 사카라이드 모노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마이크로에멀젼 예비농축액과 에멀젼 형태의 국소적용 제제에 관한 것이며, 경질캅셀제로 만들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캅셀제조방법으로는 불가능하며 퀄리-실(Quali-Seal) 기술이라는 특수기술을 사용해야 하며, 정제로의 적용은 불가능하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90-12625호에서는 활성성분으로 사이클로스포린, 지방산당 모노에스테르 및 희석제 또는 담체로 구성된 조성물 특허로서 경구투여에 적합한 고형단위 복용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기술되어 있으나 사이클로스포린과 사카로즈 모노라우레이트 L-1695와 같은 지방산당 모노에스테르를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에탄올을 증발시켜 고용액을 제조하는 공정이 복잡하고 지방산당 모노에스테르가 고가이기 때문에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특히, 단위투여제형으로 제조시 사이클로스포린 100mg을 함유하기 위해서는 적게는 924mg에서 많게는 1930mg이 되어야 하므로 1캅셀(또는 정)의 단위 투여제형으로 환자가 복용하기에는 불가능하며, 임상적인 투여용량이 되기 위해서는 2∼5캅셀 정도로 여러개의 투여제형을 복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89-4694호(제목:약리학적 활성화합물과 약학적 부형제를 위한 용해제로서의 수용성 모노에스테르)에서도 사이클로스포린과 지방산당모노에스테르 또는 지방산모노에스테르와의 고용액에 관한 것으로 정맥 내 투여가 가능한 액체용액등이 기술되어 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제제는 마이크로에멀젼 예비농축액을 비롯하여 대부분 많은 양의 식물유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인데 이들 제제를 경구투여한 경우에는 사이클로스포린 에이가 위장관막을 통하여 흡수되기 위해서는 유상에 있는 사이클로스포린 에이가 우선 수상인 위장관액에 용해되어야 한다. 이때 수상인 위장관액에 용해되는 정도는 환자의 담즙분비량, 음식물의 종류 및 섭취정도 등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환자간 또는 복용시기 등에 따라 개체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이상적인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제제는 식물유를 함유하지 않거나 사용할 경우에도 국소량 사용하면서도 약물의 흡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제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기존의 시판제제들에는 사이클로스포린 에이의 유용한 가용화 용매인 에탄올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인데, 이 에탄올에 사이클로스포린 에이가 용해되어 있는 제제를 경구투여할 경우에는 제제 중에서는 에탄올에 용해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위장관내에서 수상인 위장관액에 희석되면 용해도가 감소하거나 심할 경우에는 침전이 생성되어 흡수가 방해되는 문제가 있다. 이런 경우에도 환자가 어떤 음식물(예를들면, 지방성 음식물)을 섭취했느냐에 따라 약물의 흡수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최종 투여제형내에서는 에탄올이 함유되어 있지 않으면서 흡수율이 우수한 제형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 방법이나 흡수 증대 방법으로 보조용매법(cosolvent 법), 고체분사법, 시클로덱스트린류(예, α-, β, γ-cyclodextrin)등과의 포접화합물 형성, 계면활성제 첨가법(미셀용액법)등이 기지의 사실로 알려져 있다.
난용성 약물의 용출속도는 약물의 입자도(입자크기)에 매우 큰 영향을 받는다. 입자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분쇄기를 사용하여 미세하게 분쇄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아무리 미세하게 분쇄한다 할지라도 분자크기의 수준으로 분쇄하기란 불가능하다. 분자크기 수준으로 미세하게 크기를 줄이는 방법(size reduction)으로는 상기 방법중에서 고체분산법이 유용하다. 이 고체분산법은 폴리비닐피롤리돈, 고분자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이 고체분산법은 폴리비닐피롤리돈, 고분자량의 폴리에칠렌글리콜, 유드라짓트 등의 친수성 고분자 매트릭스에 약물을 분자크기 수준으로 분산시키는 방법으로 고형제제의 제형개발에 매우 유용한 방법이지만, 이 고체분산체를 물에 가하거나 경구 투여하면 위장관내에서 친수성 매트릭스가 용해되면서 분자수준의 약물이 신속하게 용해되면서 일시적으로 과포화 상태로까지 용해되지만 그 약물 자체의 평형용해도를 이기지 못하여 포화 용액으로 되면서 침전이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흡수의 율속단계가 용출속도일 경우 생체내에서는 싱크컨디션(sknk condition)에 가까우므로 용해된 약물은 위장관막을 통하여 전신혈류로 흡수되어 이 흡수된 양만큼 용해가 촉진되므로 시험관내의 상태보다는 생체이용률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어느 정도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본 발명의 활성성분인 사이클로스포린 에이를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흡수시키기에는 미흡하다.
또한, 계면활성제 첨가법은 난용성 약물을 가용화시켜 미셀용액 등의 용액상태로 투여할 경우에는 별문제가 없으나, 난용성 약물과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고형제제로 투여할 경우에는 위장관내에서의 용출속도가 느린 문제가 있고, 그 용출속도는 약물의 입자도와 계면활성제의 종류와 양 등에 크게 영향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난용성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개선시키는 방법으로 고체분산체법이나 미셀법을 각기 따로 적용시킨 예는 문헌에 많이 보고되어 있으나, 이 2가지 방법을 적절하게 병용하여 적용한 “고체미셀분산법”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거의 연구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이클로스포린 에이를 친수성 매트릭스에 분자수준의 크기로 분산시켜 위장관내에서의 용출속도와 용해도를 증대시키는 고체분산법을 적용하고, 신속하게 용출되어 과포화상태로 용해된 약물은 계면활성제와 작용하여 미셀을 형성시킴으로써, 흡수과정에서 사이클로스포린 에이의 용해도가 감소하거나 침전을 방지하여, 사이클로스포린 에이의 생체내 흡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신규의 “고체미셀분산체”를 제공한다. 기존 시판제제인 산디문 연질캅셀은 증류수에 가하면 7.5∼450㎛ 크기로 비교적 소적(droplet)의 크기가 크고 다양한 크기분포로 분산되는데 비하여, 본 발명의 “고체미셀분산체”는 증류수에 가하면 0.5∼2㎛ 크기로 미세하고 균일하게 분산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체미셀분산체”의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성분으로 적당량 포함하게 된다.
성분 2)의 친수성 고분자 매트릭스는 PVP K-30, PEG4000 또는 PEG6000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여기서 혼합물인 경우는 ① PVP K-30과 PEG4000의 혼합물, ② PVP K-30, PEG4000 및 PEG6000의 혼합물, 또는 ③ PVP K-30과 PEG6000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①의 PVP K-30과 PEG4000의 혼합물은 여러 가지 조성비가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기로는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100mg당 PVP K-30 50mg과 PEG 4000 50mg의 혼합물이다. ②의 PVP K-30, PEG4000, PEG6000의 혼합물도 여러 가지 조성비가 가능하지만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PVP K-30 5∼10mg, PEG4000 50mg PEG6000 20mg의 혼합물이다. ③의 PVP K-30과 PEG600의 혼하물도 여러 가지 조성비가 가능하지만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PVP K-30 50mg과 PEG6000 10∼20mg의 혼합물이다.
성분 3)의 계면활성제는 폴록사머 407(LutrolF 127, 폴리옥시에틸렌 및 폴리옥시프로필렌의 블록 공중합체)을 100∼200mg을 사용하지만,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150mg이다.
성분 4)의 용해보조제로는 HCO-60(POE(60) 수소첨가된 피마자유)과 글리세린의 혼합물이며, 총사용량은 50mg 이하가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HCO-60 20mg과 글리세린 10mg의 혼합물이다.
성분 5)의 에탄올은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10mg당 5∼10ml를 사용하지만 제조과정에만 사용되고 건조 후의 최종 “고체미셀분산체”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고체미셀분산체”를 이용한 고형제제중, 정제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1)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함유 고체미셀분산체
2) 증량제(diluent)
3) 붕해제
4) 활택제
성분 2)의 증량제로는 옥수수전분, 유당, 분무건조된 유당, 미세결정셀루로오즈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성분 3)의 붕해제로 카르복시메칠셀루로오즈, 소디움스타치글리콜레이트(예, Primojel), 가교된 폴리비닐피롤리돈(예, Kollidon CL), 가교된 카르복시메칠셀루로오즈나트륨(예, Ac-Di-Sol)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붕해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Kollidon CL단독 또는 Kollidon CL과 Ac-Di-Sol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성분 4)의 활택제로서 입자간의 마찰을 감소시켜주는 탈크, 콜로이드성 실리콘디옥사이드(예, Aerosil 200)등을 사용하여 타정용 과립물의 유동성을 좋게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고체미셀분산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으며, 이 중에서 대량 생산에 용이고 경제적인 제조방법은 용융/용매증발 복합법이다.
1) 용매증발법
용매증발법은 에탄올에 각 조성성분을 용해시킨 다음 회전증발감압농축기를 사용하여 에탄올을 증발건조시켜 “고체미셀분산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100mg당 에탄올의 양이 10ml 정도로 많은 양이 사용되므로 실험실적으로 소량 제조할 경우에는 유용한 방법이지만, 실제의 대량생산에서는 매우 불편하고 비경제적이다. 그 이유로는 증발건조시킬 수 있는 생산설비를 새로 갖추어야 하고, 증발건조 과정에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는데, 특히, 용매가 증발됨에 따라 점도가 증가하여 표면경화현상(case hardening)이 일어나므로 내부의 용매는 더욱더 표면으로 이동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건조가 거의 불가능해진다. 또한, 많은 양의 용매 때문에 큰 설비를 갖추었다고 할지라도 제조단위 크기는 상대적으로 상당히 작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대량생산에 보다 용이한 공정법을 찾지 않으면 안되었다.
2) 용융/용매증발 복합법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고체미셀분산체”를 제조할 때 온도를 60℃로 가온할 경우에는 용매인 에탄올의 양을 대폭 줄일수 있는데 그 사용량은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100mg당 에탄올 100mg 이하로 약 1/80정도 줄일수 있다. 이 방법으로 제조할 경우에는 따로 에탄올을 증발농축할 필요가 없는데, 이 용융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면 제립하기에 적당한 에탄올 함량이 되기 때문이다. 냉각된 용융물을 7∼10호 체로 제립한후 35∼40℃에서 건조시키면 표면경화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잘 건조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험예와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용매증발법에 의한 고체미셀분산체의 예비실험]
본 발명에서 제조된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고체미셀분산체는 고체상태이어야 하며 위장관내에서 흡수가 잘 되기 위해서는 신속하게 분산 용해되어야하며, 미세하게 분산되어야 하고 장시간동안 침전물이 생성이 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선, 다음과 같이 예비실험을 행하였다.
아래의 처방과 같이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폴록사머 407, Span 20(모노라우레이트), Span 40(모노팔미테이트), Span 60(모노스테아레이트), Cremopher A25, Cremopher RH, Solutol및 PVP K-30(폴리비닐피롤리돈)을 증발플라스크에 넣고, 에탄올 약 5ml를 가해 용해시킨 후 1분간 음파파쇄시켜 균질한 용액이 되도록 한 다음 이 용액을 35℃에서 감압증류시켜 얻은 고형 또는 반고형물을 데시케이터상에서 24시간 빙냉 건조하여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고형물 또는 반고형물을 얻었다.
이 고형 또는 반고형물을 사이클로스포린 에이로서 10mg에 해당하는 양을 증류수 10ml에 가하고 분산시켜 육안 또는 현미경으로 분산상태를 관찰하였고 실온에서 방치할때의 침전 생성여부 및 재분산성을 측정하였다.
[표 1]
표 1에서 보는 바와같이 처방 I-1은 음파분쇄 하였을 때 양호하게 분산되었으나 24시간 방치후에는 소량의 침전물이 생성되었고, 이것을 다시 흔들어 주면 침전물이 분산되어 가능성은 보였으나, 이 방법으로는 양호한 고체미셀분산체를 얻는데는 미흡하였고, I-5처방은 분산속도는 다른 처방에 비해 느렸으나, 분산된 후에는 I-1 처방과 유사하였다. I-2, I-3, I-4 및 I-5 처방 모두고형성이 불량하였으므로,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정제의 제제화로는 부적합하였다.
[실험예 2]
[폴리에칠렌글리콜 4000 및 6000의 양에 따른 고체미셀분산체의 생성능(특성)]
고분자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류는 고체상태로서 친수성이 크기 때문에 오래전부터 난용성 약물의 용해도 및 용출속도를 개선할 목적으로 난용성 약물과의 고체분산체를 제조시에 많이 이용되어 왔다. 본 실험에서는 사이클로스포린 에이의 고체분산체로서 고분자량의 폴리에칠렌글리콜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폴록사머 407, PVP L-30외에 폴리에칠렌글리콜 4000 및 6000을 표 2와 같은 처방으로 사용비를 달리하여 실험예 1과 같은 용매증발법으로 사이클로스포린 에이의 고체미셀분산체를 얻었다.
[표 2]
표 2의 II-1의 처방에서 폴리에칠렌글리콜 4000을 8mg 이하로 소량 사용할 경우에는 고체미셀분산체를 분산한 후 1시간 후부터 다량의 침전이 생성되어 불량한 고체미셀분산체가 생성되었으며, 100, 150, 200mg으로 다량 사용한 경우에는 침전 생성속도가 매우 느리게 나타나 14시간 방치시에 소량의 침전이 생성되었다. 또한, 표 2의 II-2처방에서 폴리에칠렌글리콜 6000을 사용한 경우에는 폴리에칠렌글리콜 4000의 경우와는 반대로 30mg 이상을 사용하였을 경우 분산액이 불안정하여 침전이 다량 생성되었고 10,20mg을 사용한 경우에는 침전생성속도는 느리고 침전물의 양도 매우 감소하였다.
[실험예 3]
[글리세린의 양에 따른 고체미셀분산체의 생성능(특성)]
실험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표 3에 나타낸 처방과 같이 글리세린의 양을 달리하여 사이클로스포린 에이의 고체미셀분산체를 얻었다. 여기서 글리세린은 에탄올에 2% w/v으로 미리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표 3의 III-1의 처방에서는 글리세린의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분산성이 더 개선되었으나, 반면에 고형화가 불량하였다. 즉, 글리세린을 20mg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증류수에서의 분산성이 불량하였고, 50mg 이상 사용할 경우에는 분산성은 양호하였으나 고형성이 불량하여 반고형상태로 되므로 정제용으로는 부적합하였다.
[표 3]
그러나, 이 처방에서 PEG 6000을 소량 가한 III-2의 처방에서는 글리세린을 20mg 사용하여도 분산성이 매우 양호하고 24시간 방치후에도 침전이 거의 생성되지 않았으며, 고형화도 용이하므로, 정제 제조용으로 적용가능한 처방이라 할 수 있다.
[실험예 4]
[HCO-10 및 HCO-60의 양에 따른 고체미셀분산체의 생성능(특성)]
실험예 3과 유사한 방법으로 표 4에 나타낸 처방과 같이 글리세린의 양을 달리하여 사이클로스포린 에이의 고체미셀분산체를 얻었다.
[표 4]
표 4의 IV-1 처방에서 HCO-10을 10, 20mg으로 소량 사용한 경우에는 분산성이 불량하였고, 30mg 이상 사용한 경우에는 분산성은 양호하였으나, HCO-10의 사용량이 100mg 이상에서는 고형화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여기서는 30mg 또는 50mg이 가장 양호하였다. IV-2 처방과 같이 HCO-60을 사용할 경우에는 30, 40mg으로 소량 사용하였을 때 분산성이 우수하고 투명한 용액을 얻을 수 있었으나 50mg 이상으로 양을 증가시키면 오히려 계가 불안정하여 침전이 많이 생성되었다. HCO-60은 HCO-110에 비하여 용융점이 높으므로 고형화가 더 유리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IV-2 처방에서 HCO-60을 30 또는 40mg 사용한 처방이 고형제제(정제)로 적용하였다.
이상에 열거한 실험예를 제외하고 수많은 처방의 고체미셀분산체를 제조하여 용해성, 분산성, 입자크기, 침성생성 여부 및 정도등으로 스크리닝하여 고형제제 특히 정제처방으로 가능한 처방에는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글리세린 20mg에 에탄올 10ml를 가하고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100mg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여기에 PEG 6000, P파 K-30, 폴록사머 407을 순차적으로 가해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회전증발농축기를 사용하여 35℃에서 감압 증류시켜 얻은 고형물을 건조기 상에서 1일 방냉 건조에서 고체미셀분산체를 얻었다.
[실시예 2]
에탄올에 HCO-60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다음의 고체미셀분산체를 얻었다.
이하의 실시예 3에서 10까지는 용매증발법에 의해 앞의 실시예 1,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고체미셀분산체를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CyA-A 처방]
[실시예 10]
[CyA-B 처방]
이상의 실시예로부터 모두 정제로의 개발 가능한 양호한 고체미셀분산체를 얻을 수 있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실시예 9에서 얻은 A 처방은 증류수에 분산시켜서 24시간 방치후에도 전혀 침전물이 생성되지 않았고 매우 미세하게 분산되어 실시예중에서 가장 용해성, 분산성 및 고형성이 우수하였고, 실시예 10에서 얻은 B처방도 A 처방에 비해서는 분산성이 다소 떨어지지만 PEG를 분산체로 사용한 처방으로 A처방과 매우 유사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실시예 9 및 10의 A와 B처방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실험예 5]
[시차주사열량분석(DSC)을 이용한 A 및 B 처방인 고체미셀분산체의 열역학적 특성]
20℃/min의 승온속도로 50∼250℃의 온도 범위에서 표준물질 α-알부민을 사용하여 사이클로스포린 에이와 실시예 9(CyA-A 처방) 및 실시예 10(CyB-B 처방)의 조성물에 대해서 그 물리적 혼합물 및 고체미셀분산체를 각각 35mesh체로 통과시켜 8mg씩 취하여 시차주사열량분석(DSC)을 행하여 그 결과를 제1도와 제2도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9(CyA-A 처방)의 조성대로 용매증발법과 용융/용매증발 복합법으로 제조한 고체미셀분산체 8mg씩을 취하여 시차주사열량분석(DSC)을 하였다.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이클로스포린 에이의 DSC곡선은 150℃ 부근에서 녹는 점에 해당하는 흡열 피이크가 관찰되었다. 또한, 물리적 혼합물은 60℃와 143℃부근에서 흡열 피이크가 나타나 각 조성성분이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나, 고체미셀분산체는 135℃ 부근에서 단일 흡열피이크가 나타나 균일한 분산체가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제2도의 CyB-B 처방도 제1도의 CyA-A 처방과 유사하였는데, 물리적 혼합물을 60℃와 145℃ 부근에서 흡열피이크가 나타나 각 조성성분이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나, 고체미셀분산체는 138℃ 부근에서 단열 흡열피이크가 나타나 균일한 분산체가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제3도에서는 실시예 9(CyA-A)의 조성물을 용매증발법과 용융/용매증발 복합법으로 제조방법을 달리하여 제조하였을 때 시차주사열량분석도 상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2종의 고체미셀분산체 모두 균일한 분산체가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흰쥐에 경구 투여시에 약물동태연구]
1) 시험 약물
대조제제로 산디문(Sandimmun) 연질캅셀(Lot No. 096 MFD 0393 EXP 0996)을 사용하였으며 시험제제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 9(CyB-B 처방)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CyA-A 제제와 CyB-B 제제를 사용하였다.
2) 약물투여 및 혈액시료의 채취
실험전 12시간 전에 물은 자유로이 섭취가 가능하게 하고 사료만 절식시켰다. 각 군당 5마리씩 3Group으로 나누어 대조제형으로 산디문과 CyA-A 및 CyB-B 처방 2가지를 SD 웅성 흰쥐에 사이클로스포린 에이로서 10mg/kg씩을 0.5ml 수용액상 현탁액으로 만들어 흰쥐(rat) 경구용 존데로 투여하고, 투여 후 1.0, 2.0, 3.0, 4.0, 6.0, 10, 24, 28시간에 헤파린(Heparin) 처리된 모세관으로 흰쥐의 안구모세동맥 파혈에 의한 채혈법으로 EDTA-2Na 5% 용액 25㎕로 전처리한 cap-tube에 혈액 0.5ml를 받아 -20℃에서 냉장보관하였다.
3) 혈액시료의 분석(FPIA 법)
TDxCyclosporine Monoclonal Whole Blood 시약(Abbott Lab)을 사용한다. 전처리과정으로 원심분리용 시험관에 전혈 150㎕, 용해시약 50㎕(Triton-X100 계면활성제 4% 함유 완충액)와 전혈 침전시약(메탄올과 에틸렌글리콜에 녹인 황산아연) 300㎕를 넣어 충분히 혼합하여 9,500g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단백질이 침전된 것을 확인하고 상청 전액을 TD×FLx(Abbott Lab)검체반응관에 옮긴 후 기기를 작동시켰다. 반응시약으로 랫트의 사이클로스포린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 형광 물질을 사용하고 시약의 로트번호가 바뀔 때마다, 또는 2주일에 한번씩 6개의 보정액(calibrator) 0, 50, 100, 200, 500, 1000ng/ml으로 기기의 조건을 맞추고, 검사시 사이클로스포린 대조액 150, 400, 800ng/ml을 검사하였다. 검체내 사이클로스포린 측정범위는 0∼1500ng/ml이므로 이 범위를 넘는 경우에 한하여 희석법에 의하여 다시 측정하였다.
4) 결과
경구투여 후의 사이클로스포린 에이의 혈중 농도 곡선을 제4도에 나타내었고 그 결과를 요약하여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산디문과 비교해 볼 때, CyA-A 제제 및 CyB-B 제제의 MRT, VRT는 유의성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Tmax는 CyA-A 제제에서 0.4분 정도 빨랐고, 특히, Cmax와 AUC는 CyA-A 제제 및 CyB-B 제제 모두 기존의 시판제제인 산디문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비교 생체이용률(Relative bioavailability)은 대조제제인 산디문에 비하여 CyA-A 제제는 약 210%, CyB-B 제제는 약 190%로 시험제제에서 약물의 흡수가 현저히 증가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고체미셀분산체”는 사이클로스포린 에이를 유효하게 흡수시킬 수 있는 우수한 조성물임을 알 수 있다.
[표 5]
[실시예 11]
[용융법/용매중량 복합법에 의한 CyA-A 고체미셀분산체 과립의 제조]
실시예 9에 기술한 바와 같이 용매증발법에 의한 고체미셀분산체의 제조방법은 에탄올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에탄올을 증발시키는데 에너지가 많이 소요되고 용적을 많이 차지하므로 동일 제조시설에서는 제조단위크기에 제한을 받으므로 생산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대량생산으로 공정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높은 방법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많은 실험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용융/용매증발 복합법으로 고생산성의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고체미셀분산체”를 얻을 수 있었다.
에탄올에 글리세린, HCO-60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용해시킨다. 여기에 PVP K-30을 가하여 실온에서 완전히 용해시키고, PEG4000을 가하여 60℃에서 완전히 가온 용해시킨다. 그 다음 30호체를 통과시킨 폴록사머 407을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100mg당 20mg에 해당되는 양을 가하여 투명하게 용해시키고 여기에 30호체를 통과시킨 사이클로스포린 에이를 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킨다. 사이클로스포린 에이가 완전히 용해된 후 30호체를 통과시킨 나머지 양의 폴록사머 407을 가하여 균질화시킨 다음 계속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냉각된 고체미셀분산체를 7호체로 제립하고 35∼40℃에서 완전히 건조시킨다. 이 건조물을 20호체로 통과시켜 정립하여 얻은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고체미셀분산체”를 정제의 타정용으로 사용한다. 실시예 9와 비교해 볼 때 본 실시예 11에서와 같이 용융/용매증발 복합법으로 제조하면 에탄올 사용량을 약 1/80정도로 적은 양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2]
[용융법/용매증발 복합법에 의한 CyB-B 고체미셀분산체 과립의 제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조성의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고체미셀분산체”를 얻었다.
[실시예 13]
[CyA-A 정제 및 CyB-B 정제의 제조]
실시예 11과 실시예 12에서 얻은 CyA-A 및 CyB-B 고체미셀분산체 과립물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처방으로 혼합한 후 타원형의 양면 블록 정제를 제조하였다. 이때 정제 1정의 중량은 200mg이며, 1정당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25mg이 포함된다.
[실시예 14]
[CyA-A 캅셀제 및 CyB-B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1과 실시예 12에서 얻은 CyA-A l 및 CyB-B 고체미셀분산체 과립물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처방으로 혼합한 후 충전하여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이때 캅셀제 1캅셀의 내용물은 137mg이며, 1캅셀당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25mg이 포함된다.
[실시예 15]
[CyA-A 코팅정제 및 CyB-B 코팅정제의 제조]
실시예 13에서 얻은 CyA-A 및 CyB-B 정제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처방으로 필름코팅 정을 제조하였다.

Claims (5)

  1. 활성성분인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100mg당 1) 70 내지 200mg의 PVP K-30, PEG4000 또는 PEG6000 또는 이들의 혼합물, 2) 100 내지 200mg의 폴록사머 407 또는 폴록사머 188 및 3) 10 내지 50mg의 POE(60) 수소첨가된 피마자유와 글리세린의 혼합물을 함유한 고체미셀분산체.
  2. 제1항의 고체미셀분산체, 중량제(diluent), 붕해제 및 활택제를 함유한 사이클로스포린 에이의 경구투여용 고형약제.
  3. 제2항에 있어서, 붕해제가 카르복시메칠셀루로오스,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가교된 폴리비닐피롤리돈, 가교된 카르복시메칠셀루로오스 나트륨 및 이들의 혼합물중에서선택되는 고형제제.
  4. 제2항에 있어서, 활택제가 탈크 또는 콜로이드성 실리콜디옥사이드인 고형제제.
  5. 100mg의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70 내지 200mg의 PVP K-30, PEG4000 또는 PEG6000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0 내지 200mg의 폴록사머 407 또는 폴록사머 188 및 10 내지 50mg의 POE(60) 수소화된 피마자유와 글리세린의 혼합물을 60℃에서 에탄올과 혼합하여 용액을 냉각한 후 분자체에 통과시켜 고형물을 얻고, 이 고형물을 35 내지 40℃에서 건조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사이클로스포린 에이의 경구 고형제제에 적합한 고체미셀분산체를 대량생산하는 방법.
KR1019950001118A 1995-01-21 1995-01-21 경구투여용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고체미셀분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고형제제 KR100239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1118A KR100239799B1 (ko) 1995-01-21 1995-01-21 경구투여용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고체미셀분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고형제제
AU44009/96A AU4400996A (en) 1995-01-21 1996-01-20 Solid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of cyclosporine a
PCT/KR1996/000008 WO1996022103A1 (en) 1995-01-21 1996-01-20 Solid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of cyclosporine 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1118A KR100239799B1 (ko) 1995-01-21 1995-01-21 경구투여용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고체미셀분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고형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917A KR960028917A (ko) 1996-08-17
KR100239799B1 true KR100239799B1 (ko) 2000-02-01

Family

ID=19407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1118A KR100239799B1 (ko) 1995-01-21 1995-01-21 경구투여용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고체미셀분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고형제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39799B1 (ko)
AU (1) AU4400996A (ko)
WO (1) WO199602210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226B1 (ko) * 2001-07-03 2004-03-30 주식회사 팜트리 아세클로페낙을 함유하는 경제적인 경구용 제제의 조성 및제법
KR20170078972A (ko) * 2015-12-29 2017-07-10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사이클로스포린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1819310B1 (ko) * 2015-12-29 2018-01-18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사이클로스포린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0518A (en) * 1996-08-16 2000-05-09 Supratek Pharma Inc. Polymer compositions for chemotherapy and methods of treatment using the same
US6458373B1 (en) 1997-01-07 2002-10-01 Sonus Pharmaceuticals, Inc. Emulsion vehicle for poorly soluble drugs
US6727280B2 (en) 1997-01-07 2004-04-27 Sonus Pharmaceuticals, Inc. Method for treating colorectal carcinoma using a taxane/tocopherol formulation
DE19821951A1 (de) * 1998-05-15 1999-11-18 Basf Ag Cyclosporin-Zubereitungen
US7030155B2 (en) 1998-06-05 2006-04-18 Sonus Pharmaceuticals, Inc. Emulsion vehicle for poorly soluble drugs
MXPA01011981A (es) * 1999-05-24 2003-09-04 Sonus Pharma Inc Vehiculo de emulsion para farmacos poco solubles.
DE19929361A1 (de) * 1999-06-25 2001-01-04 Basf Ag Mechanisch stabile pharmazeutische Darreichungsformen, enthaltend flüssige oder halbfeste oberflächenaktive Substanzen
DE10000792A1 (de) 2000-01-11 2001-07-19 Bernhard C Lippold Formulierungen von Wirkstoffen in Form einer festen Dispersion
WO2002026208A2 (en) * 2000-09-27 2002-04-04 Sonus Pharmaceuticals, Inc. Emulsion vehicle for poorly soluble drugs
AR033711A1 (es) * 2001-05-09 2004-01-07 Novartis Ag Composiciones farmaceuticas
WO2004069180A2 (en) 2003-01-31 2004-08-19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Solid dispersion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07460A1 (de) * 1978-03-07 1979-09-13 Sandoz Ag Neue resorbierbare galenische komposition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226B1 (ko) * 2001-07-03 2004-03-30 주식회사 팜트리 아세클로페낙을 함유하는 경제적인 경구용 제제의 조성 및제법
KR20170078972A (ko) * 2015-12-29 2017-07-10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사이클로스포린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1819310B1 (ko) * 2015-12-29 2018-01-18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사이클로스포린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917A (ko) 1996-08-17
WO1996022103A1 (en) 1996-07-25
AU4400996A (en) 1996-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9799B1 (ko) 경구투여용 사이클로스포린 에이 고체미셀분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고형제제
KR100894130B1 (ko) 사이클로스포린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US5756450A (en) Water soluble monoesters as solubilisers for pharmacologically active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excipients and novel cyclosporin galenic forms
KR0170769B1 (ko) 신규한 사이클로스포린 갈렌 제제
US5962019A (en) Oral cyclosporin formulations
US7732404B2 (en) Pro-nanodispersion for the delivery of cyclosporin
CA1338775C (en) Water soluble monoesters as solubilisers for pharmacologicably active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excipients
IE61179B1 (en) Hydrosols of pharmacologically active agent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m
US6187747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yclosporin
US6008191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cyclosporin
WO1997007787A1 (en) Oral cyclosporin formulations
EP0985412B1 (en) Cyclosporin compositions
AU716855B2 (en) Novel compositions containing cyclosporin
EP1151755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cyclosporin as active ingredient
US6346511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yclosporin
KR0173349B1 (ko) 사이클로스포린-함유 고체 분산체 조성물
KR100256007B1 (ko) 사이클로스포린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100267149B1 (ko) 사이클로스포린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AP1040A (en) A novel composition containing cyclosporin.
Patel et al. Enhancement of Solubility of Poorly Water Soluble Drug (Allopurinol) Through Solid Dispersion
SK123299A3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cyclosporin
CZ20012999A3 (cs) Farmaceutický prostředek obsahující cyklosporin a způsob jeho příprav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80727

Effective date: 199906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